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전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전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서울과 부산 사이의 주요 역으로 개통되었다. 대전 부르스와 대전역 가락국수로 유명하며, 2016년 영화 부산행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1905년 개업 이후 여러 차례 역사 개축 및 시설 확장을 거쳐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하는 역으로 발전했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과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동구의 건축물 - 세천역
    세천역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경부선의 폐쇄된 역으로, 과거 상대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었으나 현재는 KTX 운행을 위한 선로 개량으로 승강장이 철거되어 여객 및 화물 영업을 하지 않으며, 주변에 호소카와 체육공원 등의 시설이 있다.
  • 대전 동구의 건축물 - 대전복합터미널
    대전복합터미널은 1979년 개장한 종합 버스터미널로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 운영하며, 전국 각지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을 제공한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역 - 서대전역
    1936년 개업한 서대전역은 호남선의 분기점으로서, 대전시 성장과 함께 발전하여 호남선 복선화 이후 주요 경유지가 되었고, KTX 개통 후 신축되어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거점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열차의 주요 연결 역할을 수행하고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도 인접해 있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역 - 신탄진역
    신탄진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경부고속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부고속선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대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전역
주소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15
좌표36°19′54.82″N 127°26′4.28″E
일일 승객 수(2011년 1월~6월 기준) KR: 44,913명
다른 역[[파일:South Korea subway logo.svg|25px|link=대전 도시철도]] 도시철도 역
개업일1905년 1월 1일
역사 정보
개업일1905년 1월 1일
한국어 표기
한글대전역
한자大田驛
로마자 표기Daejeon-yeok
매큔-라이샤워 표기Taechŏn-yŏk
역 구조
승강장6면
선로13선
구조지상역/직선
노선 정보
노선경부선, 경부고속선, 대전선
경부고속선오송역 (←) 김천(구미)역 (→)
경부선대전조차장역 (←) 세천역 (→)
대전선서대전역 (→)
역 정보 (한국철도공사)
관할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대전관리역
등급1급
단말기10대
비고한국철도공사 본사, 대전충남본부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
한국철도공사 노선 정보
경부고속선 영업 거리금천구청 기점 140.6km
경부고속선 전역오송
경부고속선 전역 거리35.1km
경부고속선 후역김천(구미)
경부고속선 후역 거리73.8km
경부선 영업 거리서울 기점 166.3 km
경부선 전역대전조차장
경부선 전역 거리4.7km
경부선 후역세천
경부선 후역 거리7.3km
대전선 영업 거리대전 기점 0.0km
대전선 후역서대전
대전선 후역 거리5.7km

2. 역사

대전역은 1905년 서울역부산역 사이의 주요역으로 정식 개통되었다.[9] 1904년 11월 2일 서울과 대전간의 열차가 운행되었는데, 도보로 일주일이상 걸리던 거리가 5시간 반정도로 가까워졌다.[9] 1917년 한 해동안 대전역을 지나는 열차는 12편이었으나, 빠르게 운송량이 증가하였다. 역사는 1919년 대구역사를 본따 개축되었고, 1920년에는 지하도가 개통되었다. 같은 해 승객 수는 연간 15만 7천명이었으나 1939년 연간 114만 명으로 늘어났다.[10]

해방 직후 대전역은 충청, 전라, 경상도의 사람들과 물자들이 모였다가 흩어지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한국 전쟁 초기에는 20여일간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가 되자 수많은 피난민이 대전역으로 몰려들었다.

대전역은 대중 가요 《대전 부르스》와 가락국수로 유명하다. 대전역 출입구에는 《대전 부르스》 노래비가 서 있다. 대전블루스[2]는 1963년 영화 《대전발 0시 50분》에 삽입되어 널리 알려졌다. 1959년 당시 대전역에서는 경부선뿐만이 아니라 호남선이나 전라선을 운행하는 열차를 탈 수 있었고, 급행열차 통과를 위하여 완행열차가 항상 10여분 간 정차하는 시간 동안에 가락국수가 많이 팔렸다. 성심당 분점도 대전역에 입주하여 여행객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대전역은 2016년 영화 ''부산행''[3]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 1905년 1월 1일 - 개업.
  • 1958년 - 콘크리트 역사 신축.
  • 1997년 9월 30일 - 역 지하도 확장.
  • 2000년 1월 1일 - 지역관리역으로 지정.
  • 2003년 5월 15일 - 신역사 준공.
  • 2004년 4월 1일 - KTX 운행 개시. 동시에 통일호 폐지.
  • 2006년 3월 16일 -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1호선 개통 및 본 역 연결.
  • 2006년 7월 1일 - 대전지역관리역을 한국철도공사 대전지사로 변경.
  • 2007년 11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
  • 2009년 9월 14일 - 조직 개편으로 충남지사와 합병, 대전충남본부로 변경.
  • 2011년 12월 18일 - 11·12번 승강장 완공.
  • 2012년 10월 31일 - 9·10번 승강장 완공.
  • 2013년 2월 21일 - 대전선 경유 호남선 방면 여객열차 운행 중지.
  • 2014년 1월 15일 - 상행선 9·10번 승강장을 5·6번으로 변경.
  • 2014년 3월 1일 - 대전선 경유 호남선 방면 여객열차 운행 재개.
  • 2015년 4월 2일 - 대전선 경유 호남선 방면 여객열차 운행 재차 중지.

2. 1. 개요

2. 2. 연표


  •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서울역부산역 사이의 주요 역으로, 서울-대전 간 열차가 운행되어 도보로 일주일 이상 걸리던 거리가 5시간 반 정도로 단축되었다.[9]
  • 1912년 3월 6일: 호남선 개통으로 분기역 영업을 개시하였다.
  • 1917년: 한 해 동안 대전역을 지나는 열차는 12편이었으나, 빠르게 운송량이 증가하였다.
  • 1919년: 대구역사를 본따 역사를 개축하였다.
  • 1920년: 승객 수가 연간 15만 7천 명이었으나 1939년 연간 114만 명으로 늘어났다.[10] 지하도가 개통되었다.

  • 1958년 7월 7일: 역사 신축을 착공하여 12월 28일에 준공하였다.
  • 1976년 1월 1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가 4월 26일에 지정 취소되었다.
  • 1993년 5월 1일: 유료휴게실 운영을 개시하였다.[11]
  • 1995년 7월 1일: 유료휴게실 운영을 폐지하였다.[12]
  • 1997년 9월 30일: 대전역 지하도를 확장 개통하였다.
  • 1998년 12월 20일: 맞이방을 증축(107평)하였다.
  • 2000년 1월 1일: 대전지역관리역으로 조직이 개편되었다.
  • 2003년 7월 1일: 고속철도 선상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 2004년 3월 30일: 고속철도 지상역사를 준공하고 영업을 개시하였다.
  • 2004년 4월 1일: KTX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06년 3월 16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개통 및 환승역 영업을 개시하였다.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을 중지하였다.
  • 2006년 7월 1일: 대전지사(코레일) 관할역 보통역(1급)으로 변경되었다.
  • 2007년 11월 1일: 화물 취급을 중지하였다.[13]
  • 2009년 9월 14일: 조직 개편으로 충남지사와 합병하여 대전충남본부로 변경되었다.
  • 2011년 12월 18일: 11~12번 승강장을 완공하여 현재 경부선 여객 취급 중이다.
  • 2012년 10월 31일: 9~10번 승강장을 완공하여 현재 경부선 여객 취급 중이다.
  • 2013년 2월 21일: 대전선 경유 호남선 여객 열차 운행을 중지하였다.
  • 2014년 1월 15일: 경부선 상행 타는 곳을 9~10번에서 5~6번으로 변경하였다.
  • 2014년 3월 1일: 대전역 출발 상행 타는 곳을 3~4번으로 변경하고, 대전선 경유 호남선 여객 열차 운행 타는 곳을 1~2번에서 재개하였다.
  • 2014년 5월 1일: 충북종단열차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15년 4월 2일: 대전선 경유 호남선 여객 열차 운행을 중지하였다.
  • 2016년 1월 1일: 충북선 누리로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16년 12월 9일: SRT 운행을 개시하고, 충북선 누리로 운행을 폐지하였다.
  • 2017년 상반기: 증축공사로 인해 경부선 하행 타는 곳을 9~10번에서 7~8번으로, 경부고속선 하행 타는 곳을 11~12번에서 9~10번으로 변경하고 11~12번을 임시 사용 중지하였다.
  • 2017년 5월 1일: 경부선 ITX-청춘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17년 7월 31일: 증축공사를 완료하였다.
  • 2018년 3월 23일: 경부선 ITX-청춘 운행을 중지하였다.
  •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을 개시하였다.

2. 3. 문화

대전역은 1959년 안정애가 불러 유명해진 대중가요 '대전 블루스'의 배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7] 이 노래는 남녀의 이별을 주제로 한 트로트 곡으로, 가사에는 심야 0시 50분 대전역을 출발하는 목포행 열차가 등장한다.[7] 1979년 조용필이 리메이크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일본에서도 여러 가수가 번안하여 불렀다.[7] 1999년에는 대전역 앞에 '대전 블루스' 노래비가 세워졌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서는 대전역 도착 전 안내방송에 이 노래가 나온다.[8] 대전블루스"[2]의 선율은 대전역에 도착할 때 지하철 열차 스피커에서 재생된다.

대전역 가락국수는 대전역의 명물로, 과거 경부선호남선의 분기역이었던 시절, 열차의 방향 전환 및 기관차 교체 작업으로 인한 대기 시간 동안 승객들이 승강장에서 즐겨 먹던 음식이다.

이 역은 2016년 영화 ''부산행''[3]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3. 역 구조

대전역은 경부고속선(KTX)의 모든 KTX 열차를 운행한다. 또한 일반 속도의 경부선에서 고속 및 완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역은 대전역과 서대전역을 연결하는 단선인 대전선대전 도시철도가 운행된다. 대전역과 연결된 지하 상가도 있다.

== 한국철도공사 대전역 ==

대전역은 지상역(고가역) 구조로, 3층에 매표소 및 개찰구가 있고 1층에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은 섬식 6면 12선 구조이다.

경부고속선, 경부선, 대전선이 지나며, 충북선, 경전선 열차가 대전역을 경유한다. 호남선 여객 열차는 대전조차장에서 서대전역으로 진입하므로, 대전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호남선 열차가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돌려 운행했으나, 대전선 개통 이후에는 대전조차장에서 바로 서대전역으로 진입한다.

과거현재
호남선이 처음 부설되었을 때는 경부선 측 분기점이 부산을 향하게 되어 있어서, 서울에서 목포 등지로 이동하려면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돌려야 하였다.대전선이 부설된 이후 대전조차장에서 바로 호남선 서대전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경부선을 경유할 필요가 없어졌다.



기관차를 돌리는 시간 동안 가락국수를 먹는 사람이 많아 가락국수가 유명해졌다.

== 배선도 ==

대전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본래 대전차량사업소와 대전객화차사무소가 대전역 구내에 있었던 관계로 10개의 주/부본선, 20여 개의 측선이 존재하여 수백 량의 객/화차가 유치되어 있을 정도로 역 규모가 전국 순위권이었으나 2002년 대전조차장역으로 차량 업무가 이관되면서 부본선 1개를 포함한 대부분의 측선을 철거하여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다. 서쪽(서광장)에는 큰 규모의 소화물취급시설이 있었고 동쪽(동광장)에는 전차대 및 기관차 검수고가 있었다.

== 승강장 ==

번호노선열차행선지비고
1~2사용하지 않음
3~4경부고속선 상행KTX광명 · 서울 · 행신 방면
SRT평택지제 · 동탄 · 수서 방면
경부선 상행KTX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5~6경부선 상행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천안 · 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충북선 · 중앙선무궁화호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 영주 방면
7~8충북선무궁화호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방면 · 당역 종착
9~10경부고속선 하행KTX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경부선 하행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부산 ·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하행마산 · 진주 방면
11~12경부고속선 하행KTX · SRT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경부선 하행KTX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방면
동해선 하행동대구 · 포항 방면
경전선 하행마산 · 진주 방면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풀스크린타입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5개이며, 4번 출구를 통해 한국철도공사 대전역과 환승할 수 있다.

=== 승강장 ===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승강장노선행선지
상행대전 도시철도 1호선대동 방면
하행반석 방면



3. 1. 한국철도공사 대전역

대전역은 지상역(고가역) 구조로, 3층에 매표소 및 개찰구가 있고 1층에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은 섬식 6면 12선 구조이다.

경부고속선, 경부선, 대전선이 지나며, 충북선, 경전선 열차가 대전역을 경유한다. 호남선 여객 열차는 대전조차장에서 서대전역으로 진입하므로, 대전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호남선 열차가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돌려 운행했으나, 대전선 개통 이후에는 대전조차장에서 바로 서대전역으로 진입한다.

과거현재
]]]]
호남선이 처음 부설되었을 때는 경부선 측 분기점이 부산을 향하게 되어 있어서, 서울에서 목포 등지로 이동하려면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돌려야 하였다.대전선이 부설된 이후 대전조차장에서 바로 호남선 서대전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경부선을 경유할 필요가 없어졌다.



기관차를 돌리는 시간 동안 가락국수를 먹는 사람이 많아 가락국수가 유명해졌다.

== 배선도 ==

대전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본래 대전차량사업소와 대전객화차사무소가 대전역 구내에 있었던 관계로 10개의 주/부본선, 20여 개의 측선이 존재하여 수백 량의 객/화차가 유치되어 있을 정도로 역 규모가 전국 순위권이었으나 2002년 대전조차장역으로 차량 업무가 이관되면서 부본선 1개를 포함한 대부분의 측선을 철거하여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다. 서쪽(서광장)에는 큰 규모의 소화물취급시설이 있었고 동쪽(동광장)에는 전차대 및 기관차 검수고가 있었다.

== 승강장 ==

번호노선열차행선지비고
1~2사용하지 않음
3~4경부고속선 상행KTX광명 · 서울 · 행신 방면
SRT평택지제 · 동탄 · 수서 방면
경부선 상행KTX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5~6경부선 상행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천안 · 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충북선 · 중앙선무궁화호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 영주 방면
7~8충북선무궁화호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방면 · 당역 종착
9~10경부고속선 하행KTX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경부선 하행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부산 ·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하행마산 · 진주 방면
11~12경부고속선 하행KTX · SRT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경부선 하행KTX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방면
동해선 하행동대구 · 포항 방면
경전선 하행마산 · 진주 방면


3. 1. 1. 배선도

대전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본래 대전차량사업소와 대전객화차사무소가 대전역 구내에 있었던 관계로 10개의 주/부본선, 20여 개의 측선이 존재하여 수백 량의 객/화차가 유치되어 있을 정도로 역 규모가 전국 순위권이었으나 2002년 대전조차장역으로 차량 업무가 이관되면서 부본선 1개를 포함한 대부분의 측선을 철거하여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다. 서쪽(서광장)에는 큰 규모의 소화물취급시설이 있었고 동쪽(동광장)에는 전차대 및 기관차 검수고가 있었다.

3. 1. 2. 승강장

wikitable

번호노선열차행선지비고
1~2사용하지 않음
3~4경부고속선 상행KTX광명 · 서울 · 행신 방면
SRT평택지제 · 동탄 · 수서 방면
경부선 상행KTX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5~6경부선 상행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천안 · 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충북선 · 중앙선[14]무궁화호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 영주 방면
7~8충북선[15]무궁화호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방면 · 당역 종착
9~10경부고속선 하행KTX[16]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경부선 하행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부산 ·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하행마산 · 진주 방면
11~12경부고속선 하행KTX · SRT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경부선 하행KTX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방면
동해선 하행동대구 · 포항 방면
경전선 하행마산 · 진주 방면


3. 2.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풀스크린타입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5개이며, 4번 출구를 통해 한국철도공사 대전역과 환승할 수 있다.

3. 2. 1. 승강장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승강장노선행선지
상행대전 도시철도 1호선대동 방면
하행반석 방면



4. 기능

제천, 서울, 부산 방면으로의 일부 열차의 시·종착역으로 기능한다. 2006년 7월 한국철도공사 지사제 실시 당시 대전지사가 발족되면서 주변 역들을 관할하다가, 2009년 9월 각 지사가 지역 본부로 축소되면서 대전지사와 충남지사가 합병하여 대전충남본부로 명칭을 바꿨다. 2009년 9월 동광장에 신축한 30층 규모의 철도기관 공동사옥에는 한국철도공사 본사, 국가철도공단 본부, 충청본부와 철도 관련 기관이 입주되어 있다.

대전역은 경부고속선(KTX)의 모든 KTX 열차를 운행한다. 또한 일반 속도의 경부선에서 고속 및 완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역은 대전선대전 도시철도가 운행된다. 대전역과 연결된 지하 상가도 있다.

5. 역 주변



대전역이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철도기관 공동사옥(한국철도공사 본사, 국가철도공단 본부, 충청본부), 철도특별사법경찰대, 대전 중앙시장, 대전 역전시장이 있다. 대전역은 경부고속선(KTX)의 모든 KTX 열차와 일반 속도의 경부선에서 고속 및 완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전선대전 도시철도가 운행되며, 대전역과 연결된 지하 상가도 있다.

한국철도공사 역사 서쪽에는 도시철도역 출입구(2번, 3번 출입구)와 택시 승강장, 버스 정류장이 있으며, 대전 중심부 방면으로 중앙로가 있다. 동쪽에는 렌터카 업체, 극장, 중앙시장, 지하 상가 등의 상업 시설이 밀집해 있으며, 버스 차고지와 주차장도 있다.

이 외에도 한국철도공사 본사, 한국철도시설공단 본부, 중부건어물도매시장, 중앙동행정복지센터,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천, 대동천, KT 대전지점, 우리은행 철도타워지점, NH농협은행 대전지점이 있다.

6. 광장

대전역에는 서광장과 동광장이 있다.

도시철도 역의 출입구(1~4번 출입구)와 택시 승강장, 버스 승강장이 있으며, 대전의 도심 중 하나인 중앙로가 있다. 또한 서광장 주변에는 렌터카 업체, 극장, 중앙시장, 지하상가 등의 상업 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대전동부경찰서 역전지구대도 이곳에 위치한다.

대전역(역전시장), 중앙시장 정류장에는 급행1, 외곽버스(20, 30, 52, 60, 62, 63), 간선버스(102, 103, 311, 313, 501, 511, 512, 514, 605, 607, 608, 611, 616), 지선버스(317, 606, 612) 노선이 지난다.

대전역(중앙시장앞), 목척교 정류장에는 급행1, 간선버스(101, 103, 107, 201, 202, 311, 313, 314, 511, 514, 603, 608, 613, 615, 701, 711, 802), 지선버스(317, 612, 614), 직통좌석버스(2002), 외곽버스(20) 노선이 지난다.

대전역(서광장), 철도공단 충청본부 정류장에는 급행2, 외곽버스(52, 60, 63), 간선버스(101, 201, 202, 314, 501, 512, 607, 611, 705, 711, 802), 직통좌석버스(2002) 노선이 지난다.

동광장은 버스 회차장, 버스 승강장, 승용차 주차장으로 사용되며, 한국철도공사 본사와 국가철도공단 본부, 충청본부가 있는 철도기관 공동사옥이 위치하고 있다.

6. 1. 서광장

도시철도 역의 출입구(1~4번 출입구)와 택시 승강장, 버스 승강장이 있으며, 대전의 도심 중 하나인 중앙로가 있다. 또한 서광장 주변에는 렌터카 업체, 극장, 중앙시장, 지하상가 등의 상업 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대전동부경찰서 역전지구대도 이곳에 위치한다.

대전역(역전시장), 중앙시장 정류장에는 급행1, 외곽버스(20, 30, 52, 60, 62, 63), 간선버스(102, 103, 311, 313, 501, 511, 512, 514, 605, 607, 608, 611, 616), 지선버스(317, 606, 612) 노선이 지난다.

대전역(중앙시장앞), 목척교 정류장에는 급행1, 간선버스(101, 103, 107, 201, 202, 311, 313, 314, 511, 514, 603, 608, 613, 615, 701, 711, 802), 지선버스(317, 612, 614), 직통좌석버스(2002), 외곽버스(20) 노선이 지난다.

대전역(서광장), 철도공단 충청본부 정류장에는 급행2, 외곽버스(52, 60, 63), 간선버스(101, 201, 202, 314, 501, 512, 607, 611, 705, 711, 802), 직통좌석버스(2002) 노선이 지난다.

6. 2. 동광장

동광장은 버스 회차장, 버스 승강장, 승용차 주차장으로 사용되며, 한국철도공사 본사와 국가철도공단 본부, 충청본부가 있는 철도기관 공동사옥이 위치하고 있다.

7. 승차량 변동

wikitable

연도와 승하차방향이용 인원[17]
경부선대전선[18]
KTX새마을호무궁화호통일호총계총계
2001년하행승차미개통553551135320285335199208831674
하차미개통6742802420451467103141441미공개
상행승차미개통7383202418212399763196508미공개
하차미개통573290133062486326199024027,708
2002년하행승차미개통520995118654776003178354513423
하차미개통6186362129814342362782686미공개
상행승차미개통6872312152504371232876858미공개
하차미개통521922118472380356178700113859
2003년하행승차미개통4819531110146739211666020미공개
하차미개통580506197984924356258471111791
상행승차미개통652145198931630082267154314131
하차미개통4830321104793811271668952미공개
2004년하행승차83258732224791494016998208677225866
하차11565444798501780146665434231940
상행승차12401905295131705953922634848820
하차78988132248591998520310205266149007
2005년하행승차1336997262798781528폐지238132328483
하차1851398510573171371440756850
상행승차1980557575916158378141402540
하차1278757256302798557233361651467



; 한국철도공사

연도별이용객[4]
경부선대전선[5]
KTX새마을호무궁화호통일호합계합계
2001년하행승차미개통553,5511,353,20285,3351,992,08831,674
하차미개통674,2802,420,45146,7103,141,441미공개
상행승차미개통738,3202,418,21239,9763,196,508미공개
하차미개통573,2901,330,62486,3261,990,24027,708
2002년하행승차미개통520,9951,186,54776,0031,783,54513,423
하차미개통618,6362,129,81434,2362,782,686미공개
상행승차미개통687,2312,152,50437,1232,876,858미공개
하차미개통521,9221,184,72380,3561,787,00113,859
2003년하행승차미개통481,9531,110,14673,9211,666,020미공개
하차미개통580,5061,979,84924,3562,584,71111,791
상행승차미개통652,1451,989,31630,0822,671,54314,131
하차미개통483,0321,104,79381,1271,668,952미공개
2004년하행승차832,587322,247914,94016,9982,086,77225,866
하차1,156,544479,8501,780,1466,6543,423,1940
상행승차1,240,190529,5131,705,9539,2263,484,8820
하차789,881322,485919,98520,3102,052,66149,007
2005년하행승차1,336,997262,798781,528폐지2,381,32328,483
하차1,851,398510,5731,713,714폐지4,075,6850
상행승차1,980,557575,9161,583,781폐지4,140,2540
하차1,278,757256,302798,557폐지2,333,61651,467



; 대전교통공사

연도1호선[6]비고
합계일일 평균
2006년승차1,634,9675,618291일
영업
하차1,476,4075,074
합계3,111,37410,692
2007년승차2,930,0038,027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2,799,0707,669
합계5,729,07315,696
2008년승차3,283,1338,970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3,210,6898,772
합계6,493,82217,743
2009년승차3,756,81410,293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3,695,47310,125
합계7,452,28720,417
2010년승차3,785,30110,371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3,791,27310,387
합계7,576,57420,758
2011년승차3,994,74510,945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4,018,83111,010
합계8,013,57621,955
2012년승차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
합계
2013년승차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
합계


8. 인접한 역

경전선
동해선김천(구미)수원경부선 수원 경유동대구SRT오송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김천(구미)ITX-새마을신탄진경부선옥천신탄진동해선영동조치원경전선옥천ITX-마음천안경부선김천무궁화호신탄진충북선
충북종단열차옥천신탄진충북선옥천



대전역은 경부고속선 KTX, 경부선 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가 정차한다.[19]

참조

[1] 웹사이트 Passenger Transportation Result of Korea Railway (O/D) http://ktdb.go.kr/ht[...]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1-08-28
[2] 잡지 Daejeon, Where People Embrace a Slow-paced Life http://ebook.kf.or.k[...] Korea Foundation 2011-11-09
[3] 웹사이트 Train to Busan filming locations — MovieMaps https://moviemaps.or[...]
[4]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0-08-25
[5] 일반
[6] 웹사이트 공사소개 > 경영공시 > 수송실적 http://www.djet.co.k[...] 대田広域市都市鉄道公社
[7] 뉴스 신オリエント特急夢紀行/大田・釜山 別れの愛惜がブルースを生んだ http://www.nishinipp[...] 서일본신문 2002-05-28
[8] 웹사이트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 공사소개 - 알림사항 - 자료실 https://web.archive.[...] 2013-08-08
[9] 서적 대전제일교회100년사
[10] 서적 충청남도지
[11]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대한민국관보 1993-04-17
[12]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대한민국관보 1995-06-17
[13] 간행물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7-392호 대한민국관보
[14] 일반
[15] 일반
[16] 일반
[17] 웹인용 철도통계연보 https://web.archive.[...] 2010-08-25
[18] 일반
[19]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