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서울과 부산 사이의 주요 역으로 개통되었다. 대전 부르스와 대전역 가락국수로 유명하며, 2016년 영화 부산행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1905년 개업 이후 여러 차례 역사 개축 및 시설 확장을 거쳐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하는 역으로 발전했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과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동구의 건축물 - 세천역
세천역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경부선의 폐쇄된 역으로, 과거 상대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었으나 현재는 KTX 운행을 위한 선로 개량으로 승강장이 철거되어 여객 및 화물 영업을 하지 않으며, 주변에 호소카와 체육공원 등의 시설이 있다. - 대전 동구의 건축물 - 대전복합터미널
대전복합터미널은 1979년 개장한 종합 버스터미널로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터미널을 통합 운영하며, 전국 각지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을 제공한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역 - 서대전역
1936년 개업한 서대전역은 호남선의 분기점으로서, 대전시 성장과 함께 발전하여 호남선 복선화 이후 주요 경유지가 되었고, KTX 개통 후 신축되어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거점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열차의 주요 연결 역할을 수행하고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도 인접해 있다. - 대전광역시의 철도역 - 신탄진역
신탄진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경부고속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부고속선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대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주소 |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15 |
좌표 | 36°19′54.82″N 127°26′4.28″E |
일일 승객 수 | (2011년 1월~6월 기준) KR: 44,913명 |
다른 역 | [[파일:South Korea subway logo.svg|25px|link=대전 도시철도]] 도시철도 역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역사 정보 |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한국어 표기 | |
한글 | 대전역 |
한자 | 大田驛 |
로마자 표기 | Daejeon-yeok |
매큔-라이샤워 표기 | Taechŏn-yŏk |
역 구조 | |
승강장 | 6면 |
선로 | 13선 |
구조 | 지상역/직선 |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 경부고속선, 대전선 |
경부고속선 | 오송역 (←) 김천(구미)역 (→) |
경부선 | 대전조차장역 (←) 세천역 (→) |
대전선 | 서대전역 (→) |
역 정보 (한국철도공사) |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대전관리역 |
등급 | 1급 |
단말기 | 10대 |
비고 | 한국철도공사 본사, 대전충남본부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 |
한국철도공사 노선 정보 | |
경부고속선 영업 거리 | 금천구청 기점 140.6km |
경부고속선 전역 | 오송 |
경부고속선 전역 거리 | 35.1km |
경부고속선 후역 | 김천(구미) |
경부고속선 후역 거리 | 73.8km |
경부선 영업 거리 | 서울 기점 166.3 km |
경부선 전역 | 대전조차장 |
경부선 전역 거리 | 4.7km |
경부선 후역 | 세천 |
경부선 후역 거리 | 7.3km |
대전선 영업 거리 | 대전 기점 0.0km |
대전선 후역 | 서대전 |
대전선 후역 거리 | 5.7km |
2. 역사
대전역은 1905년 서울역과 부산역 사이의 주요역으로 정식 개통되었다.[9] 1904년 11월 2일 서울과 대전간의 열차가 운행되었는데, 도보로 일주일이상 걸리던 거리가 5시간 반정도로 가까워졌다.[9] 1917년 한 해동안 대전역을 지나는 열차는 12편이었으나, 빠르게 운송량이 증가하였다. 역사는 1919년 대구역사를 본따 개축되었고, 1920년에는 지하도가 개통되었다. 같은 해 승객 수는 연간 15만 7천명이었으나 1939년 연간 114만 명으로 늘어났다.[10]
해방 직후 대전역은 충청, 전라, 경상도의 사람들과 물자들이 모였다가 흩어지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한국 전쟁 초기에는 20여일간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가 되자 수많은 피난민이 대전역으로 몰려들었다.
대전역은 대중 가요 《대전 부르스》와 가락국수로 유명하다. 대전역 출입구에는 《대전 부르스》 노래비가 서 있다. 대전블루스[2]는 1963년 영화 《대전발 0시 50분》에 삽입되어 널리 알려졌다. 1959년 당시 대전역에서는 경부선뿐만이 아니라 호남선이나 전라선을 운행하는 열차를 탈 수 있었고, 급행열차 통과를 위하여 완행열차가 항상 10여분 간 정차하는 시간 동안에 가락국수가 많이 팔렸다. 성심당 분점도 대전역에 입주하여 여행객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대전역은 2016년 영화 ''부산행''[3]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 1905년 1월 1일 - 개업.
- 1958년 - 콘크리트 역사 신축.
- 1997년 9월 30일 - 역 지하도 확장.
- 2000년 1월 1일 - 지역관리역으로 지정.
- 2003년 5월 15일 - 신역사 준공.
- 2004년 4월 1일 - KTX 운행 개시. 동시에 통일호 폐지.
- 2006년 3월 16일 -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1호선 개통 및 본 역 연결.
- 2006년 7월 1일 - 대전지역관리역을 한국철도공사 대전지사로 변경.
- 2007년 11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
- 2009년 9월 14일 - 조직 개편으로 충남지사와 합병, 대전충남본부로 변경.
- 2011년 12월 18일 - 11·12번 승강장 완공.
- 2012년 10월 31일 - 9·10번 승강장 완공.
- 2013년 2월 21일 - 대전선 경유 호남선 방면 여객열차 운행 중지.
- 2014년 1월 15일 - 상행선 9·10번 승강장을 5·6번으로 변경.
- 2014년 3월 1일 - 대전선 경유 호남선 방면 여객열차 운행 재개.
- 2015년 4월 2일 - 대전선 경유 호남선 방면 여객열차 운행 재차 중지.
2. 1. 개요
2. 2. 연표
-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서울역과 부산역 사이의 주요 역으로, 서울-대전 간 열차가 운행되어 도보로 일주일 이상 걸리던 거리가 5시간 반 정도로 단축되었다.[9]
- 1912년 3월 6일: 호남선 개통으로 분기역 영업을 개시하였다.
- 1917년: 한 해 동안 대전역을 지나는 열차는 12편이었으나, 빠르게 운송량이 증가하였다.
- 1919년: 대구역사를 본따 역사를 개축하였다.
- 1920년: 승객 수가 연간 15만 7천 명이었으나 1939년 연간 114만 명으로 늘어났다.[10] 지하도가 개통되었다.
- 1958년 7월 7일: 역사 신축을 착공하여 12월 28일에 준공하였다.
- 1976년 1월 1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가 4월 26일에 지정 취소되었다.
- 1993년 5월 1일: 유료휴게실 운영을 개시하였다.[11]
- 1995년 7월 1일: 유료휴게실 운영을 폐지하였다.[12]
- 1997년 9월 30일: 대전역 지하도를 확장 개통하였다.
- 1998년 12월 20일: 맞이방을 증축(107평)하였다.
- 2000년 1월 1일: 대전지역관리역으로 조직이 개편되었다.
- 2003년 7월 1일: 고속철도 선상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 2004년 3월 30일: 고속철도 지상역사를 준공하고 영업을 개시하였다.
- 2004년 4월 1일: KTX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06년 3월 16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개통 및 환승역 영업을 개시하였다.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을 중지하였다.
- 2006년 7월 1일: 대전지사(코레일) 관할역 보통역(1급)으로 변경되었다.
- 2007년 11월 1일: 화물 취급을 중지하였다.[13]
- 2009년 9월 14일: 조직 개편으로 충남지사와 합병하여 대전충남본부로 변경되었다.
- 2011년 12월 18일: 11~12번 승강장을 완공하여 현재 경부선 여객 취급 중이다.
- 2012년 10월 31일: 9~10번 승강장을 완공하여 현재 경부선 여객 취급 중이다.
- 2013년 2월 21일: 대전선 경유 호남선 여객 열차 운행을 중지하였다.
- 2014년 1월 15일: 경부선 상행 타는 곳을 9~10번에서 5~6번으로 변경하였다.
- 2014년 3월 1일: 대전역 출발 상행 타는 곳을 3~4번으로 변경하고, 대전선 경유 호남선 여객 열차 운행 타는 곳을 1~2번에서 재개하였다.
- 2014년 5월 1일: 충북종단열차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15년 4월 2일: 대전선 경유 호남선 여객 열차 운행을 중지하였다.
- 2016년 1월 1일: 충북선 누리로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16년 12월 9일: SRT 운행을 개시하고, 충북선 누리로 운행을 폐지하였다.
- 2017년 상반기: 증축공사로 인해 경부선 하행 타는 곳을 9~10번에서 7~8번으로, 경부고속선 하행 타는 곳을 11~12번에서 9~10번으로 변경하고 11~12번을 임시 사용 중지하였다.
- 2017년 5월 1일: 경부선 ITX-청춘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17년 7월 31일: 증축공사를 완료하였다.
- 2018년 3월 23일: 경부선 ITX-청춘 운행을 중지하였다.
-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을 개시하였다.
2. 3. 문화
대전역은 1959년 안정애가 불러 유명해진 대중가요 '대전 블루스'의 배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7] 이 노래는 남녀의 이별을 주제로 한 트로트 곡으로, 가사에는 심야 0시 50분 대전역을 출발하는 목포행 열차가 등장한다.[7] 1979년 조용필이 리메이크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일본에서도 여러 가수가 번안하여 불렀다.[7] 1999년에는 대전역 앞에 '대전 블루스' 노래비가 세워졌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서는 대전역 도착 전 안내방송에 이 노래가 나온다.[8] 대전블루스"[2]의 선율은 대전역에 도착할 때 지하철 열차 스피커에서 재생된다.대전역 가락국수는 대전역의 명물로, 과거 경부선과 호남선의 분기역이었던 시절, 열차의 방향 전환 및 기관차 교체 작업으로 인한 대기 시간 동안 승객들이 승강장에서 즐겨 먹던 음식이다.
이 역은 2016년 영화 ''부산행''[3]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3. 역 구조
대전역은 경부고속선(KTX)의 모든 KTX 열차를 운행한다. 또한 일반 속도의 경부선에서 고속 및 완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역은 대전역과 서대전역을 연결하는 단선인 대전선과 대전 도시철도가 운행된다. 대전역과 연결된 지하 상가도 있다.
== 한국철도공사 대전역 ==
대전역은 지상역(고가역) 구조로, 3층에 매표소 및 개찰구가 있고 1층에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은 섬식 6면 12선 구조이다.
경부고속선, 경부선, 대전선이 지나며, 충북선, 경전선 열차가 대전역을 경유한다. 호남선 여객 열차는 대전조차장에서 서대전역으로 진입하므로, 대전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호남선 열차가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돌려 운행했으나, 대전선 개통 이후에는 대전조차장에서 바로 서대전역으로 진입한다.
과거 | 현재 |
---|---|
호남선이 처음 부설되었을 때는 경부선 측 분기점이 부산을 향하게 되어 있어서, 서울에서 목포 등지로 이동하려면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돌려야 하였다. | 대전선이 부설된 이후 대전조차장에서 바로 호남선 서대전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경부선을 경유할 필요가 없어졌다. |
기관차를 돌리는 시간 동안 가락국수를 먹는 사람이 많아 가락국수가 유명해졌다.
== 배선도 ==
대전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본래 대전차량사업소와 대전객화차사무소가 대전역 구내에 있었던 관계로 10개의 주/부본선, 20여 개의 측선이 존재하여 수백 량의 객/화차가 유치되어 있을 정도로 역 규모가 전국 순위권이었으나 2002년 대전조차장역으로 차량 업무가 이관되면서 부본선 1개를 포함한 대부분의 측선을 철거하여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다. 서쪽(서광장)에는 큰 규모의 소화물취급시설이 있었고 동쪽(동광장)에는 전차대 및 기관차 검수고가 있었다.
== 승강장 ==
번호 | 노선 | 열차 | 행선지 | 비고 |
---|---|---|---|---|
1~2 | 사용하지 않음 | |||
3~4 | 경부고속선 상행 | KTX | 광명 · 서울 · 행신 방면 | |
SRT | 평택지제 · 동탄 · 수서 방면 | |||
경부선 상행 | KTX | 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 ||
5~6 | 경부선 상행 | 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 | 천안 · 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 |
충북선 · 중앙선 | 무궁화호 | 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 영주 방면 | ||
7~8 | 충북선 | 무궁화호 | 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방면 · 당역 종착 | |
9~10 | 경부고속선 하행 | KTX | 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 |
경부선 하행 | 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 | 부산 · 신해운대 방면 | ||
경전선 하행 | 마산 · 진주 방면 | |||
11~12 | 경부고속선 하행 | KTX · SRT | 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 |
경부선 하행 | KTX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방면 | ||
동해선 하행 | 동대구 · 포항 방면 | |||
경전선 하행 | 마산 · 진주 방면 |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풀스크린타입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5개이며, 4번 출구를 통해 한국철도공사 대전역과 환승할 수 있다.
=== 승강장 ===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승강장 | 노선 | 행선지 |
---|---|---|
상행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대동 방면 |
하행 | 반석 방면 |
3. 1. 한국철도공사 대전역
대전역은 지상역(고가역) 구조로, 3층에 매표소 및 개찰구가 있고 1층에 승강장이 있다.승강장은 섬식 6면 12선 구조이다.
경부고속선, 경부선, 대전선이 지나며, 충북선, 경전선 열차가 대전역을 경유한다. 호남선 여객 열차는 대전조차장에서 서대전역으로 진입하므로, 대전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호남선 열차가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돌려 운행했으나, 대전선 개통 이후에는 대전조차장에서 바로 서대전역으로 진입한다.
과거 | 현재 |
---|---|
]] | ]] |
호남선이 처음 부설되었을 때는 경부선 측 분기점이 부산을 향하게 되어 있어서, 서울에서 목포 등지로 이동하려면 대전역에서 기관차를 돌려야 하였다. | 대전선이 부설된 이후 대전조차장에서 바로 호남선 서대전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경부선을 경유할 필요가 없어졌다. |
기관차를 돌리는 시간 동안 가락국수를 먹는 사람이 많아 가락국수가 유명해졌다.
== 배선도 ==
대전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본래 대전차량사업소와 대전객화차사무소가 대전역 구내에 있었던 관계로 10개의 주/부본선, 20여 개의 측선이 존재하여 수백 량의 객/화차가 유치되어 있을 정도로 역 규모가 전국 순위권이었으나 2002년 대전조차장역으로 차량 업무가 이관되면서 부본선 1개를 포함한 대부분의 측선을 철거하여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다. 서쪽(서광장)에는 큰 규모의 소화물취급시설이 있었고 동쪽(동광장)에는 전차대 및 기관차 검수고가 있었다.
== 승강장 ==
번호 | 노선 | 열차 | 행선지 | 비고 |
---|---|---|---|---|
1~2 | 사용하지 않음 | |||
3~4 | 경부고속선 상행 | KTX | 광명 · 서울 · 행신 방면 | |
SRT | 평택지제 · 동탄 · 수서 방면 | |||
경부선 상행 | KTX | 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 ||
5~6 | 경부선 상행 | 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 | 천안 · 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 |
충북선 · 중앙선 | 무궁화호 | 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 영주 방면 | ||
7~8 | 충북선 | 무궁화호 | 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방면 · 당역 종착 | |
9~10 | 경부고속선 하행 | KTX | 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 |
경부선 하행 | 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 | 부산 · 신해운대 방면 | ||
경전선 하행 | 마산 · 진주 방면 | |||
11~12 | 경부고속선 하행 | KTX · SRT | 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 |
경부선 하행 | KTX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방면 | ||
동해선 하행 | 동대구 · 포항 방면 | |||
경전선 하행 | 마산 · 진주 방면 |
3. 1. 1. 배선도
대전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본래 대전차량사업소와 대전객화차사무소가 대전역 구내에 있었던 관계로 10개의 주/부본선, 20여 개의 측선이 존재하여 수백 량의 객/화차가 유치되어 있을 정도로 역 규모가 전국 순위권이었으나 2002년 대전조차장역으로 차량 업무가 이관되면서 부본선 1개를 포함한 대부분의 측선을 철거하여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다. 서쪽(서광장)에는 큰 규모의 소화물취급시설이 있었고 동쪽(동광장)에는 전차대 및 기관차 검수고가 있었다.3. 1. 2. 승강장
wikitable번호 | 노선 | 열차 | 행선지 | 비고 |
---|---|---|---|---|
1~2 | 사용하지 않음 | |||
3~4 | 경부고속선 상행 | KTX | 광명 · 서울 · 행신 방면 | |
SRT | 평택지제 · 동탄 · 수서 방면 | |||
경부선 상행 | KTX | 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 ||
5~6 | 경부선 상행 | 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 | 천안 · 수원 · 영등포 · 서울 방면 | |
충북선 · 중앙선[14] | 무궁화호 | 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 영주 방면 | ||
7~8 | 충북선[15] | 무궁화호 | 청주 · 청주공항 · 충주 · 제천 방면 · 당역 종착 | |
9~10 | 경부고속선 하행 | KTX[16] | 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 |
경부선 하행 | ITX-새마을 · ITX-마음 · 무궁화호 | 부산 · 신해운대 방면 | ||
경전선 하행 | 마산 · 진주 방면 | |||
11~12 | 경부고속선 하행 | KTX · SRT | 동대구 · 울산 · 부산 방면 | |
경부선 하행 | KTX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방면 | ||
동해선 하행 | 동대구 · 포항 방면 | |||
경전선 하행 | 마산 · 진주 방면 |
3. 2.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풀스크린타입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5개이며, 4번 출구를 통해 한국철도공사 대전역과 환승할 수 있다.3. 2. 1. 승강장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승강장 | 노선 | 행선지 |
---|---|---|
상행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대동 방면 |
하행 | 반석 방면 |
4. 기능
제천, 서울, 부산 방면으로의 일부 열차의 시·종착역으로 기능한다. 2006년 7월 한국철도공사 지사제 실시 당시 대전지사가 발족되면서 주변 역들을 관할하다가, 2009년 9월 각 지사가 지역 본부로 축소되면서 대전지사와 충남지사가 합병하여 대전충남본부로 명칭을 바꿨다. 2009년 9월 동광장에 신축한 30층 규모의 철도기관 공동사옥에는 한국철도공사 본사, 국가철도공단 본부, 충청본부와 철도 관련 기관이 입주되어 있다.
대전역은 경부고속선(KTX)의 모든 KTX 열차를 운행한다. 또한 일반 속도의 경부선에서 고속 및 완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역은 대전선과 대전 도시철도가 운행된다. 대전역과 연결된 지하 상가도 있다.
5. 역 주변
대전역이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철도기관 공동사옥(한국철도공사 본사, 국가철도공단 본부, 충청본부), 철도특별사법경찰대, 대전 중앙시장, 대전 역전시장이 있다. 대전역은 경부고속선(KTX)의 모든 KTX 열차와 일반 속도의 경부선에서 고속 및 완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전선과 대전 도시철도가 운행되며, 대전역과 연결된 지하 상가도 있다.
한국철도공사 역사 서쪽에는 도시철도역 출입구(2번, 3번 출입구)와 택시 승강장, 버스 정류장이 있으며, 대전 중심부 방면으로 중앙로가 있다. 동쪽에는 렌터카 업체, 극장, 중앙시장, 지하 상가 등의 상업 시설이 밀집해 있으며, 버스 차고지와 주차장도 있다.
이 외에도 한국철도공사 본사, 한국철도시설공단 본부, 중부건어물도매시장, 중앙동행정복지센터,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천, 대동천, KT 대전지점, 우리은행 철도타워지점, NH농협은행 대전지점이 있다.
6. 광장
대전역에는 서광장과 동광장이 있다.
도시철도 역의 출입구(1~4번 출입구)와 택시 승강장, 버스 승강장이 있으며, 대전의 도심 중 하나인 중앙로가 있다. 또한 서광장 주변에는 렌터카 업체, 극장, 중앙시장, 지하상가 등의 상업 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대전동부경찰서 역전지구대도 이곳에 위치한다.
대전역(역전시장), 중앙시장 정류장에는 급행1, 외곽버스(20, 30, 52, 60, 62, 63), 간선버스(102, 103, 311, 313, 501, 511, 512, 514, 605, 607, 608, 611, 616), 지선버스(317, 606, 612) 노선이 지난다.
대전역(중앙시장앞), 목척교 정류장에는 급행1, 간선버스(101, 103, 107, 201, 202, 311, 313, 314, 511, 514, 603, 608, 613, 615, 701, 711, 802), 지선버스(317, 612, 614), 직통좌석버스(2002), 외곽버스(20) 노선이 지난다.
대전역(서광장), 철도공단 충청본부 정류장에는 급행2, 외곽버스(52, 60, 63), 간선버스(101, 201, 202, 314, 501, 512, 607, 611, 705, 711, 802), 직통좌석버스(2002) 노선이 지난다.
동광장은 버스 회차장, 버스 승강장, 승용차 주차장으로 사용되며, 한국철도공사 본사와 국가철도공단 본부, 충청본부가 있는 철도기관 공동사옥이 위치하고 있다.
6. 1. 서광장
도시철도 역의 출입구(1~4번 출입구)와 택시 승강장, 버스 승강장이 있으며, 대전의 도심 중 하나인 중앙로가 있다. 또한 서광장 주변에는 렌터카 업체, 극장, 중앙시장, 지하상가 등의 상업 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대전동부경찰서 역전지구대도 이곳에 위치한다.대전역(역전시장), 중앙시장 정류장에는 급행1, 외곽버스(20, 30, 52, 60, 62, 63), 간선버스(102, 103, 311, 313, 501, 511, 512, 514, 605, 607, 608, 611, 616), 지선버스(317, 606, 612) 노선이 지난다.
대전역(중앙시장앞), 목척교 정류장에는 급행1, 간선버스(101, 103, 107, 201, 202, 311, 313, 314, 511, 514, 603, 608, 613, 615, 701, 711, 802), 지선버스(317, 612, 614), 직통좌석버스(2002), 외곽버스(20) 노선이 지난다.
대전역(서광장), 철도공단 충청본부 정류장에는 급행2, 외곽버스(52, 60, 63), 간선버스(101, 201, 202, 314, 501, 512, 607, 611, 705, 711, 802), 직통좌석버스(2002) 노선이 지난다.
6. 2. 동광장
동광장은 버스 회차장, 버스 승강장, 승용차 주차장으로 사용되며, 한국철도공사 본사와 국가철도공단 본부, 충청본부가 있는 철도기관 공동사옥이 위치하고 있다.7. 승차량 변동
wikitable
연도와 승하차방향 | 이용 인원[17] | |||||||
---|---|---|---|---|---|---|---|---|
경부선 | 대전선[18] |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총계 | 총계 | |||
2001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553551 | 1353202 | 85335 | 1992088 | 31674 |
하차 | 미개통 | 674280 | 2420451 | 46710 | 3141441 | 미공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738320 | 2418212 | 39976 | 3196508 | 미공개 | |
하차 | 미개통 | 573290 | 1330624 | 86326 | 1990240 | 27,708 | ||
2002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520995 | 1186547 | 76003 | 1783545 | 13423 |
하차 | 미개통 | 618636 | 2129814 | 34236 | 2782686 | 미공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687231 | 2152504 | 37123 | 2876858 | 미공개 | |
하차 | 미개통 | 521922 | 1184723 | 80356 | 1787001 | 13859 | ||
2003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481953 | 1110146 | 73921 | 1666020 | 미공개 |
하차 | 미개통 | 580506 | 1979849 | 24356 | 2584711 | 11791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652145 | 1989316 | 30082 | 2671543 | 14131 | |
하차 | 미개통 | 483032 | 1104793 | 81127 | 1668952 | 미공개 | ||
2004년 | 하행 | 승차 | 832587 | 322247 | 914940 | 16998 | 2086772 | 25866 |
하차 | 1156544 | 479850 | 1780146 | 6654 | 3423194 | 0 | ||
상행 | 승차 | 1240190 | 529513 | 1705953 | 9226 | 3484882 | 0 | |
하차 | 789881 | 322485 | 919985 | 20310 | 2052661 | 49007 | ||
2005년 | 하행 | 승차 | 1336997 | 262798 | 781528 | 폐지 | 2381323 | 28483 |
하차 | 1851398 | 510573 | 1713714 | 4075685 | 0 | |||
상행 | 승차 | 1980557 | 575916 | 1583781 | 4140254 | 0 | ||
하차 | 1278757 | 256302 | 798557 | 2333616 | 51467 |
; 한국철도공사
연도별 | 이용객[4] | |||||||
---|---|---|---|---|---|---|---|---|
경부선 | 대전선[5] |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일호 | 합계 | 합계 | |||
2001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553,551 | 1,353,202 | 85,335 | 1,992,088 | 31,674 |
하차 | 미개통 | 674,280 | 2,420,451 | 46,710 | 3,141,441 | 미공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738,320 | 2,418,212 | 39,976 | 3,196,508 | 미공개 | |
하차 | 미개통 | 573,290 | 1,330,624 | 86,326 | 1,990,240 | 27,708 | ||
2002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520,995 | 1,186,547 | 76,003 | 1,783,545 | 13,423 |
하차 | 미개통 | 618,636 | 2,129,814 | 34,236 | 2,782,686 | 미공개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687,231 | 2,152,504 | 37,123 | 2,876,858 | 미공개 | |
하차 | 미개통 | 521,922 | 1,184,723 | 80,356 | 1,787,001 | 13,859 | ||
2003년 | 하행 | 승차 | 미개통 | 481,953 | 1,110,146 | 73,921 | 1,666,020 | 미공개 |
하차 | 미개통 | 580,506 | 1,979,849 | 24,356 | 2,584,711 | 11,791 | ||
상행 | 승차 | 미개통 | 652,145 | 1,989,316 | 30,082 | 2,671,543 | 14,131 | |
하차 | 미개통 | 483,032 | 1,104,793 | 81,127 | 1,668,952 | 미공개 | ||
2004년 | 하행 | 승차 | 832,587 | 322,247 | 914,940 | 16,998 | 2,086,772 | 25,866 |
하차 | 1,156,544 | 479,850 | 1,780,146 | 6,654 | 3,423,194 | 0 | ||
상행 | 승차 | 1,240,190 | 529,513 | 1,705,953 | 9,226 | 3,484,882 | 0 | |
하차 | 789,881 | 322,485 | 919,985 | 20,310 | 2,052,661 | 49,007 | ||
2005년 | 하행 | 승차 | 1,336,997 | 262,798 | 781,528 | 폐지 | 2,381,323 | 28,483 |
하차 | 1,851,398 | 510,573 | 1,713,714 | 폐지 | 4,075,685 | 0 | ||
상행 | 승차 | 1,980,557 | 575,916 | 1,583,781 | 폐지 | 4,140,254 | 0 | |
하차 | 1,278,757 | 256,302 | 798,557 | 폐지 | 2,333,616 | 51,467 |
; 대전교통공사
연도 | 1호선[6] | 비고 | ||
---|---|---|---|---|
합계 | 일일 평균 | |||
2006년 | 승차 | 1,634,967 | 5,618 | 291일 영업 |
하차 | 1,476,407 | 5,074 | ||
합계 | 3,111,374 | 10,692 | ||
2007년 | 승차 | 2,930,003 | 8,027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하차 | 2,799,070 | 7,669 | ||
합계 | 5,729,073 | 15,696 | ||
2008년 | 승차 | 3,283,133 | 8,970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하차 | 3,210,689 | 8,772 | ||
합계 | 6,493,822 | 17,743 | ||
2009년 | 승차 | 3,756,814 | 10,293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하차 | 3,695,473 | 10,125 | ||
합계 | 7,452,287 | 20,417 | ||
2010년 | 승차 | 3,785,301 | 10,371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하차 | 3,791,273 | 10,387 | ||
합계 | 7,576,574 | 20,758 | ||
2011년 | 승차 | 3,994,745 | 10,945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하차 | 4,018,831 | 11,010 | ||
합계 | 8,013,576 | 21,955 | ||
2012년 | 승차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
하차 | ||||
합계 | ||||
2013년 | 승차 | 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
하차 | ||||
합계 |
8. 인접한 역
경전선
동해선
충북종단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