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충북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충북선은 조치원역에서 봉양역을 잇는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이다. 1920년 조치원-청주 구간 공사 착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개통 및 폐지, 복선화, 전철화 과정을 거쳤다. 현재는 화물 수송을 중시하며, 무궁화호가 운행된다. 2019년 충북선 고속화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아, KTX-이음 운행을 통해 청주공항과 서대전역까지의 이동 시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철도 - 부강화물선
    부강화물선은 한국철도공사 운영의 2.9km 표준궤 복선 철도 노선으로, 부강역과 부강화물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철화는 되지 않았고 2010년 개통 후 2019년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 충청북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충청북도의 철도 - 태백선
    태백선은 제천에서 백산까지 104.1km를 잇는 한국철도공사 운영 노선으로, 복선 전철과 단선 전철 구간으로 나뉘며, 무궁화호 열차 등이 운행되고, 과거 석탄 수송에서 현재 시멘트 수송과 여객 수송을 담당한다.
  • 19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항선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사설 철도 충남선으로 개통 후 국유화되어 장항선으로 개칭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을 통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서해선과 연결되어 여객 및 화물 수송의 주요 노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충북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충북선
로마자 표기Chungbuk Line
한자 표기忠北線
노선 종류간선철도
노선 상태영업 중
노선 위치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기점조치원역
종점봉양역
역 수19
개통일1921년 11월 1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위탁: 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길이115.0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단선 (오송역 ~ 조치원역), 복선 (봉양역 ~ 오송역)
전철화 방식가공전차선, 교류 25,000V 60Hz
신호 방식ATS
최고 속도100 km/h
노선도
충북선 노선도
운행 정보
노선 번호306
운행 구간조치원역 - 봉양역
최고 속도120km/h
연혁
개통 구간1921년 11월 1일 (조치원~청주), 1923년 12월 23일 (청주~청안), 1928년 12월 25일 (청안~충주)
노선 정보 (일본어)
노선명忠北線
노선 종류간선철도
구간鳥致院 - 鳳陽
역 수19역
개업일1921년 11월 1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위임: 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영업 거리113.6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단선, 복선
복선 구간鳳陽駅 ~ 清州駅
전철화 방식교류 25,000V 60Hz
최고 속도120 km/h
노선 지도

2. 역사

충북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사설 철도 회사인 조선중앙철도에 의해 1921년 조치원역~청주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조선중앙철도는 충주역까지 노선을 연장했다. 해방 이후에는 국가에 의해 국유화되었고, 중앙선과 연결되면서 강원도 지역의 화물 (석탄, 양회 등) 운송 경로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화물 열차 운행이 증가하면서 청주시 등 도시 지역에서는 선로 이설 요구가 강해졌고, 이에 따라 청주 시내 구간은 여러 차례 이설되었다. 1970년대 초반에는 선로 용량 초과 문제로 복선화가 결정되었고, 1980년에 봉양~조치원 구간이 복선화되었다.[13] 이는 경부선, 경인선에 이어 세 번째 전 구간 복선 노선이었다. 1997년에는 전철화 공사가 시작되어 2005년에 완료되었다.

현재 충북선에는 대전~제천 간 무궁화호가 가장 많이 운행되고 있으며, 서울~제천 간 무궁화호와 동대구~영주 간 무궁화호(충북종단열차)도 운행 중이다.

날짜사건
1920년 3월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 조치원-청주(구역) 간 공사 착공.
1921년 11월 1일조치원-청주(구역) 간 개통.
1923년 4월 28일청주(구역)-청안(현 증평역) 간 개통.
1923년 9월 1일조선중앙철도 등 5개 회사 합병, 조선철도 설립.[6]
1928년 12월 25일청안-충주역 간 개통.
1945년 10월 1일청안역 → 증평역 개칭.
1946년 5월 17일조선철도주식회사 국유화, 국철 편입.[15]
1956년 4월 11일목행역 개업.
1956년 6월 29일월곡역 → 미호역, 송정역 → 서청주역 개칭.
1957년 9월 6일상당역 개업.[7]
1958년 5월 15일충주-봉양역 간 개통, 전 구간 개통.
1959년 1월 1일산척역, 동량역, 공전역 개업.
1959년 2월 15일삼탄역 개업.
1960년 12월 25일도안역 개업.
1967년 5월 1일문암역 개업.[8]
1974년 6월 1일문암역 폐지.[9]
1974년 8월 15일상당역, 미호역 폐지.
1974년 12월 5일오송역, 정하역 폐지.[10]
1975년 10월 20일복선화 공사 착공.
1977년 9월 5일오송역 재개업.[11]
1980년 10월 14일산척역 폐지.
1980년 10월 17일복선화 공사 완료. 정봉역(충청북도)-구 청주역-오근장역 간 노선 변경, 정봉역 → 청주역 개칭.[13]
1992년 5월 1일대전-제천 간 무궁화호 운행 개시.
1997년 5월전철화 공사 착공.
2000년 9월 14일청주공항역 개업.
2004년 12월 30일전철화 공사 완료.
2019년 4월 17일노선 번호 306번으로 변경.[12]


2. 1. 일제강점기

충북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사설철도회사인 조선중앙철도에 의해 건설되었다. 1921년 조치원~청주 구간이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1928년에는 충주까지 연장되었다.[13]

날짜구간
1920년 3월조선중앙철도가 조치원~청주 구간 착공
1921년 11월 1일조치원~청주 구간 개통
1923년 4월 28일청주~청안 구간 개통
1923년 9월 1일조선중앙철도가 5개 회사와 함께 조선철도로 합병[14]
1928년 12월 25일청안~충주 구간 개통



1942년 11월 시간표(태평양 전쟁 시작 전 마지막으로 발행된 시간표)에 따르면, 조선철도는 다음과 같은 지역 여객 서비스를 운영하였다("R"은 철도차량으로 운행되는 열차를 나타낸다).[2]

거리
요금 일본 엔1101
R
35103
R
7105
R
9역 이름거리
요금
일본 엔
102102
R
4104
R
61068
2등석3등석2등석3등석
0.0--07:4008:4811:4014:0016:1017:3018:4020:50조치원94.06.603.3006:2809:3108:2512:2514:4715:5118:1520:21
22.71.700.8508:4509:2912:5015:3016:5218:4019:2221:32청주71.35.002.5005:5008:5007:4011:4014:0515:1017:3019:40
94.06.603.3011:06...15:1117:56...20:58......충주0.0--...06:00...08:50...12:10...16:50



조선철도는 충주에서 영월까지 선로를 연장할 계획이 있었지만, 일제강점기가 끝나면서 중단되었다.

2. 2. 해방 이후

충북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사설철도회사인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에 의해 1921년 조치원~청주 구간이 개통된 것이 시초였다. 일제강점기에 충주까지 연장되었다. 해방 이후, 국가에 의해 국유화되어 중앙선과 연결되면서 강원도 지역 화물(석탄, 양회 등)의 경로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화물열차 중심의 운행으로 인해, 청주시 등 도시 지역에서는 이설을 강력히 요구하게 되어, 청주시내 구간은 수 차례 이설되기도 하였다.

1946년 5월 17일 조선철도주식회사 국유화로 국가에 편입되었다.[15] 1958년 5월 15일 충주~봉양 구간이 개통되었다.

충북선은 1970년대 초반부터 화물열차로 인한 통행량이 선로 용량을 초과하는 상황이 되어 복선화가 결정되었다. 1975년 10월 20일 복선화 공사가 착공되어, 1980년 10월 17일 봉양~조치원 110km 구간이 복선화되어 경부선, 경인선에 이은 세 번째 전 구간 복선 노선이 되었다.[13] 복선화 이후, 경부선 전철화에 따른 운행 효율화 등을 위하여 1997년 5월에 전철화 공사가 실시, 2005년 3월 말에 완공되어 전기 기관차가 운행하고 있다.

현재 충북선을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서울~제천 노선은 누리로에서 2020년 1월 13일부터 무궁화호로 변경되었고, 가장 많이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대전~제천 무궁화호다. 그 외에도 충북종단열차인 동대구~영주 무궁화호가 운행되고 있다.

'''해방 이후 연혁'''

날짜내용
1945년 10월 1일청안역을 증평역으로 개칭
1946년 5월 17일조선철도주식회사 국유화로 국가에 편입[15]
1956년 4월 11일목행역 개업
1956년 6월 29일월곡역, 송정역을 미호역, 서청주역으로 각각 개칭
1957년 9월 6일상당역 개업[16]
1958년 5월 15일충주~봉양 구간 개통
1959년 1월 1일산척역, 동량역, 공전역 개업
1959년 2월 15일삼탄역 개업
1960년 12월 25일도안역 개업
1967년 5월 1일문암임시승강장 개업[17]
1974년 6월 1일문암임시승강장 폐역[18]
1974년 8월 15일상당역[19], 미호역 폐역
1974년 12월 5일오송역, 정하역 폐역[20]
1975년 10월 20일충북선 복선화 공사 착공
1977년 9월 5일오송역 재개업[21]
1980년 10월 14일산척역 폐역
1980년 10월 17일전 구간 복선화 완료[22]
1992년 5월 1일대전~제천 간 NDC 무궁화호 운행 개시
1997년 5월전철화 공사 착공[23]
2000년 9월 14일청주공항임시승강장 개업
2000년 10월 1일청주공항역 정식 개업
2004년 12월 10일내수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24]


2. 3. 역 목록 변천사

충북선은 일제강점기에 민간 철도 회사인 조선중앙철도에 의해 처음 건설되기 시작했다.

날짜사건
1920년 3월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조치원 - 청주(구역) 간 공사 착공.
1921년 11월 1일조치원 - 청주(구역) 간 개통.
1923년 4월 28일청주(구역) - 청안(현·증평) 간 개통.
1923년 9월 1일조선중앙철도 등 5개 회사의 합병으로 조선철도 설립[6].
1928년 12월 25일청안 - 충주 간 개통.
1945년 10월 1일청안역을 증평역으로 개칭.
1946년 5월 17일조선철도주식회사가 국유화되어 국가에 편입[15].
1956년 4월 11일목행역 개업.
1956년 6월 29일월곡역, 송정역을 미호역, 서청주역으로 각각 개칭.
1957년 9월 6일상당역 개업[7], [16].
1958년 5월 15일충주 ~ 봉양 구간 개통.
1959년 1월 1일산척역, 동량역, 공전역 개업.
1959년 2월 15일삼탄역 개업.
1960년 12월 25일도안역 개업.
1967년 5월 1일문암임시승강장 개업[8], [17].
1974년 6월 1일문암임시승강장 폐역[9], [18].
1974년 8월 15일상당역[19], 미호역 폐역.
1974년 12월 5일오송역, 정하역 폐역[10], [20].
1975년 10월 20일충북선 복선화 공사 착공.
1977년 9월 5일오송역 재개업[11], [21].
1980년 10월 14일산척역 폐역.
1980년 10월 17일전 구간 복선화 완료[22].
1992년 5월 1일대전 ~ 제천 간 NDC 무궁화호 운행개시.
1997년 5월전철화 공사 착공[23].
2000년 9월 14일청주공항임시승강장 개업.
2000년 10월 1일청주공항역 정식 개업.
2004년 12월 10일내수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24].
2019년 4월 17일노선 번호가 306번으로 변경됨[12].


3. 노선

충북선은 한국 중부를 가로지르며, 경부선과 중앙선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노선 주변에는 충청북도의 주요 도시인 청주시충주시가 위치해 있다.

이 노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사설 철도 회사인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조치원~청주 구간이 1921년 개통된 것이 시초이다. 이후 충주까지 연장되었으며, 해방 이후 국유화되었다. 중앙선과 연결되면서 강원도 지역의 석탄, 양회 등 화물 운송 경로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1975년 10월부터 5년간 공사하여 1980년 10월 17일, 봉양~조치원 110km 구간이 복선화되어 경부선, 경인선에 이어 세 번째로 전 구간 복선 노선이 되었다.[13] 1997년에는 전철화 공사가 시작되어 2005년 3월 말 완료, 전기 기관차가 운행되고 있다.[25]

현재 충북선을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대전~제천무궁화호가 가장 많으며, 그 외 동대구~영주 간 무궁화호서울~제천을 잇는 누리로가 일부 운행되고 있다. 2020년 1월 13일부터 서울~제천 노선은 누리로에서 무궁화호로 변경되었다. 또한 관광열차인 O-train도 이 노선을 경유한다.

화물열차는 오송선을 거쳐 오봉역, 오류동역 등지로 운행되는 열차가 주를 이룬다.

충북선 연선은 전반적으로 완만한 구릉지가 많으나, 중앙선 방향으로는 산악 구간이 많다. 청주시 구간은 평야 지대이나, 역이 대부분 시가지에서 떨어져 있어 여객 수요가 충분하지는 않다.

3. 1. 노선 데이터

한글한자연결 노선 및 서비스역 간 거리 (km)노선 거리 (km)위치
조치원조치원鳥致院경부선, ITX-새마을, 무궁화호0.00.0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오송오송五松경부고속철도, 오송선, 오-트레인4.44.4충청북도 청주시
청주청주淸州7.011.4
오근장오근장梧根場10.121.5
청주국제공항청주공항淸州空港2.924.4
내수내수內秀4.428.8
증평증평曾坪7.836.6증평군
도안도안道安6.242.8
보천보천甫川8.751.5음성군
음성음성陰城8.159.6
소이소이蘇伊4.564.1
주덕주덕周德7.871.9충주시
달천달천達川7.078.9
충주충주忠州중부내륙선3.882.7
목행목행牧杏5.488.1
동량동량東良4.692.7
삼탄삼탄三灘7.9100.6
공전공전公田5.8106.4제천시
봉양봉양鳳陽8.6115.0

3. 2. 역 목록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충청북도청주시청주Cheongju淸州7.011.4●오근장Ogeunjang梧根場10.121.5●청주공항Cheongju Int'l Airport淸州空港2.924.4●인근에 청주국제공항 위치내수Naesu內秀4.428.8|증평Jeungpyeong曾坪7.836.6●증평군도안Doan道安6.242.8|보천Bocheon甫川8.751.5|음성군음성Eumseong陰城8.159.6●소이Soi蘇伊4.564.1|주덕Judeok周德7.871.9●충주시달천Dalcheon達川7.078.9|충주Chungju忠州3.882.7●중부내륙선목행Mokhaeng牧杏5.488.1|동량Dongnyang東良4.692.7|삼탄Samtan三灘7.9100.6▲공전Gongjeon公田5.8106.4|제천시봉양Bongyang鳳陽8.6115.0▲중앙선


4. 운행

충북선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해방 이후 국유화되었으며, 중앙선과 연결되면서 강원도 지역 화물(석탄, 양회 등)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화물 운송량 증가로 1980년 복선화되었고, 2005년에는 전철화가 완료되었다.[13][25]

현재 충북선을 운행하는 여객 열차는 서울~제천 (무궁화호), 대전~제천 (무궁화호), 동대구~영주 (무궁화호) 등이 있다.

4. 1. 여객 열차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충북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운행구간일반여객운행총계
조치원~오송1016
오송~봉양1132



다른 노선으로의 환승은 조치원역(경부선), 오송역(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에서 가능하다. 모든 열차가 제천역으로 운행하므로 제천역에서 태백선이나 중앙선으로 갈아탈 수도 있다. 미니카페는 대전 ~ 제천 간을 운행하는 왕복 8회의 무궁화호 열차에만 운영하고 동대구 ~ 영주 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에는 운영하지 않는다.[32]

실제 정기 여객열차 운행 구간은 경부선 동대구역 또는 대전역에서 서울 방면으로 시작해 신탄진역에 정차한 후, 분기역인 조치원역에서 충북선으로 분기하여 봉양역에서 다시 중앙선 경주 방면으로 분기, 제천역에서 운행이 종료되거나 영주역까지 연장 운행한다.[32] 반대로 영주역 또는 제천역에서 청량리 방면으로 봉양역까지 가다가 충북선으로 분기해 조치원역에서 부산 방면으로 분기 후, 신탄진역을 경유하여 대전역에서 운행을 종료하거나 동대구역까지 운행하기도 한다.[33]

여객 열차는 모든 열차가 종착역인 봉양역에서 중앙선으로 진입하여 제천역을 기점·종착으로 한다. 대부분의 열차는 대전 - 제천 구간을 잇는 무궁화호(일부 누리로)이지만, 경부선 동대구역과 중앙선 영주역을 잇는 무궁화호, 오송선을 경유하여 경부선 서울역과 제천역을 잇는 누리로도 소수 운행된다. 또한, 관광열차인 O-train도 본 노선을 경유한다.

4. 2. 화물 열차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충북선을 경유하는 정기 화물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운행구간컨테이너일반화물
조치원~오송06
오송~봉양021



화물열차는 대전 방면보다는 오송선을 거쳐 오봉역, 오류동역 등지로 운행되는 열차가 주를 이룬다.[32] 충북선은 화물 수송을 주 목적으로 복선화 및 전철화가 이루어진 노선이다.

4. 3. 운행 계통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충북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운행구간선로용량일반여객컨테이너일반화물운행총계
조치원~오송76100616
오송~봉양1281102132



조치원역(경부선), 오송역(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모든 열차가 제천역으로 운행하므로 제천역에서 태백선이나 중앙선으로 갈아탈 수도 있다.

이 노선은 화물 수송이 중시되는 노선으로, 복선화 및 전철화도 여객 수송이 아닌 화물 수송을 주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여객 열차는 무궁화호가 운행한다.

실제 정기 여객열차 운행 구간은 경부선 동대구역 또는 대전역에서 서울 방면으로 시작해 신탄진역에 정차한 후, 조치원역에서 충북선으로 분기하여 봉양역에서 다시 중앙선 경주 방면으로 분기, 제천역에서 운행이 종료되거나 영주역까지 연장 운행한다.[32] 그 반대의 경우에도 영주역 또는 제천역에서 청량리 방면으로 봉양역까지 가다가 충북선으로 분기해 조치원역에서 경부선 부산 방면으로 분기 후, 신탄진역을 경유하여 대전역에서 운행을 종료하거나 동대구역까지 운행한다.[33] 일일 상·하행 2왕복은 서울역에서 부산 방면으로 가다가 서창역에서 오송선으로 분기, 오송역부터 충북선을 운행하며, 이 운행 계통무궁화호로 운행한다. 열차 운용상의 문제로 무궁화호로 잠시 환원되어 운행하기도 하였다.

여객 열차는 모든 열차가 종착역인 봉양역에서 중앙선으로 진입하여 제천역을 기점·종착으로 한다. 대부분의 열차는 대전 - 제천역 구간을 잇는 무궁화호(일부 누리로)이지만, 경부선 동대구역중앙선 영주역을 잇는 무궁화호, 오송선을 경유하여 경부선 서울역제천역을 잇는 누리로도 소수 운행된다. 관광열차인 「O-train」도 이 노선을 경유한다.

5. 차량

현재 충북선에서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다음과 같다.



사용되는 객차 및 기관차는 다음과 같다.

6. 이용객 변동

다음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34]

구분이용 인원수 (명)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비둘기0000000000000000
통일(통근)180,341200,786193,370179,50540,32200000000000
무궁화561,499558,648521,213470,668617,515668,589657,253669,988692,694655,789727,429856,123929,8701,005,4401,043,9091,096,302
새마을000003454838201,0885003421,8431,70914,919
건설10,41418,66829,99847,346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39,72137,78342,52938,985
합계791,975815,885787,110736,504657,837668,934657,736670,808693,782655,794727,429856,124930,1211,007,2831,045,6181,111,221


7. 미래

2019년 1월, 충북선 고속화 사업이 2031년 완공 목표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았다.[35] 이 사업으로 KTX-이음이 운행될 수 있게 되어, 제천 봉양역에서 청주공항역까지, 그리고 서대전역까지의 이동 시간이 단축될 예정이다.

2010년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전국 주요 도시 간 이동 시간을 단축하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충북선 개량을 통해 KTX 운행 가능성을 제시했다.[5]

2023년 12월 4일, 국토교통부는 청주공항~제천 봉양역 간 85.5km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했다.[36]

7. 1. 충북선 고속화 사업

2019년 1월, 충북선 고속화 사업이 2031년 완공 목표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았다.[35] 선형개량 구간은 최고속도 250km/h로, 기존선 활용 구간은 최고속도 150km/h로 증속되어 KTX-이음이 운행될 경우 제천 봉양역에서 청주공항역까지 41.4분, 서대전역까지 1시간 2분만에 갈 수 있게 된다.

2010년 9월 1일, 대한민국 정부는 2020년까지 서울에서 전국 95% 지역까지의 여행 시간을 2시간 이내로 단축하는 전략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의 일환으로 충북선은 시속 230km로 개량될 예정이며, KTX 운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5]

2023년 12월 4일 국토교통부는 청주공항~제천 봉양역 85.5㎞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했다.[36]

7. 2. 기대 효과

2019년 1월, 충북선 고속화 사업이 2031년 완공을 목표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았다.[35] 선형개량 구간은 최고 속도 230km로, 기존 선 활용 구간은 최고 속도 150km로 증속되어 KTX-이음이 운행될 경우 제천 봉양역에서 청주공항역까지 41.4분, 서대전역까지 1시간 2분 만에 갈 수 있게 된다.

2023년 12월 4일 국토교통부는 청주공항~제천 봉양역 간 85.5km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했다.[36]

참조

[1] 뉴스 Establishment of the Chosen Railway http://newslibrary.n[...] Dong-A Ilbo 1923-09-03
[2] 간행물 Ministry of Railways Combined Timetable 1 November 1942 Tōa Travel Co. (東亜旅行社) 1942-11-01
[3] 웹사이트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영업거리현황 http://info.korail.c[...] Korail 2010-12-04
[4] 웹사이트 Electricity Almanac 2009 http://www.epic.or.k[...] Korea Electric Association 2010-10-21
[5] 웹사이트 Bullet trains coming to a town near you by 2020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10-10-27
[6] 뉴스 조선철도성립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3-09-03
[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 제497호 1957-09-06
[8]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25호 1967-04-26
[9]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24호 1974-05-22
[10]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52호 1974-12-04
[11]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0호 1977-09-01
[1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13] 뉴스인용 총공비 7백43억 충북선 복선개통 조치원~봉양 1백13.2㎞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80-10-17
[14] 뉴스 조선철도성립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3-09-03
[15] 법령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군정청 군정법령 제75호 조선철도의 통일 1946-05-07
[1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 제497호 1957-09-06
[1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25호 1967-04-26
[18]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24호 1974-05-22
[19]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24호 1969-05-22
[20]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52호 1974-12-04
[21]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0호 1977-09-01
[22] 뉴스인용 대한뉴스 제1304호-산업의 동맥 https://www.youtube.[...] 대한뉴스 1980-10-18
[23] 뉴스인용 충북선 철도 전찰화공사 내년 착공 https://v.daum.net/v[...] 연합뉴스 1997-05-17
[24]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http://gwanbo.mois.g[...] 2004-11-29
[25] 뉴스인용 천안-조치원·조치원-봉양 전철 오늘 개통 https://news.kbs.co.[...] KBS 2005-03-30
[26] 사건 2014년 7월 22일 태백선 열차 충돌 사고 2014-07-22
[27] 설명 정선아리랑열차와의 노선 중복 해소
[2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29] 뉴스인용 토사 쏟아진 삼탄역, 운행 중단…선로 복구에만 한 달 http://news.jtbc.joi[...] JTBC 2020-08-02
[30] 뉴스인용 철도·도로 곳곳 운행 중단…“완전 복구 최대 한 달” http://news.kbs.co.k[...] KBS 9시뉴스 2020-08-03
[31] 뉴스인용 ‘호우 피해’ 충북선 8일 운행 재개 http://news.kbs.co.k[...] KBS청주 2020-09-08
[32] 설명 대전역-제천역, 동대구역-영주역 열차 운행
[33] 설명 제천역-대전역, 영주역-동대구역 열차 운행
[34]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35] 뉴스인용 충북선철도 고속화사업 밑그림 완성 https://www.chungbuk[...] 충청북도 2019-01-10
[36] 뉴스 청주~제천 40분…고속화 충북선 철도 2031년 개통 https://n.news.naver[...] 2023-12-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