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북선은 조치원역에서 봉양역을 잇는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이다. 1920년 조치원-청주 구간 공사 착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개통 및 폐지, 복선화, 전철화 과정을 거쳤다. 현재는 화물 수송을 중시하며, 무궁화호가 운행된다. 2019년 충북선 고속화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아, KTX-이음 운행을 통해 청주공항과 서대전역까지의 이동 시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철도 - 부강화물선
부강화물선은 한국철도공사 운영의 2.9km 표준궤 복선 철도 노선으로, 부강역과 부강화물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철화는 되지 않았고 2010년 개통 후 2019년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 충청북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충청북도의 철도 - 태백선
태백선은 제천에서 백산까지 104.1km를 잇는 한국철도공사 운영 노선으로, 복선 전철과 단선 전철 구간으로 나뉘며, 무궁화호 열차 등이 운행되고, 과거 석탄 수송에서 현재 시멘트 수송과 여객 수송을 담당한다. - 19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항선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사설 철도 충남선으로 개통 후 국유화되어 장항선으로 개칭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을 통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서해선과 연결되어 여객 및 화물 수송의 주요 노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충북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충북선 |
로마자 표기 | Chungbuk Line |
한자 표기 | 忠北線 |
노선 종류 | 간선철도 |
노선 상태 | 영업 중 |
노선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
기점 | 조치원역 |
종점 | 봉양역 |
역 수 | 19 |
개통일 | 1921년 11월 1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위탁: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노선 길이 | 115.0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단선 (오송역 ~ 조치원역), 복선 (봉양역 ~ 오송역) |
전철화 방식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V 60Hz |
신호 방식 | ATS |
최고 속도 | 100 km/h |
노선도 | |
![]() | |
운행 정보 | |
노선 번호 | 306 |
운행 구간 | 조치원역 - 봉양역 |
최고 속도 | 120km/h |
연혁 | |
개통 구간 | 1921년 11월 1일 (조치원~청주), 1923년 12월 23일 (청주~청안), 1928년 12월 25일 (청안~충주) |
노선 정보 (일본어) | |
노선명 | 忠北線 |
노선 종류 | 간선철도 |
구간 | 鳥致院 - 鳳陽 |
역 수 | 19역 |
개업일 | 1921년 11월 1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위임: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영업 거리 | 113.6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단선, 복선 |
복선 구간 | 鳳陽駅 ~ 清州駅 |
전철화 방식 | 교류 25,000V 60Hz |
최고 속도 | 120 km/h |
노선 지도 |
2. 역사
충북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사설 철도 회사인 조선중앙철도에 의해 1921년 조치원역~청주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조선중앙철도는 충주역까지 노선을 연장했다. 해방 이후에는 국가에 의해 국유화되었고, 중앙선과 연결되면서 강원도 지역의 화물 (석탄, 양회 등) 운송 경로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화물 열차 운행이 증가하면서 청주시 등 도시 지역에서는 선로 이설 요구가 강해졌고, 이에 따라 청주 시내 구간은 여러 차례 이설되었다. 1970년대 초반에는 선로 용량 초과 문제로 복선화가 결정되었고, 1980년에 봉양~조치원 구간이 복선화되었다.[13] 이는 경부선, 경인선에 이어 세 번째 전 구간 복선 노선이었다. 1997년에는 전철화 공사가 시작되어 2005년에 완료되었다.
현재 충북선에는 대전~제천 간 무궁화호가 가장 많이 운행되고 있으며, 서울~제천 간 무궁화호와 동대구~영주 간 무궁화호(충북종단열차)도 운행 중이다.
날짜 | 사건 |
---|---|
1920년 3월 |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 조치원-청주(구역) 간 공사 착공. |
1921년 11월 1일 | 조치원-청주(구역) 간 개통. |
1923년 4월 28일 | 청주(구역)-청안(현 증평역) 간 개통. |
1923년 9월 1일 | 조선중앙철도 등 5개 회사 합병, 조선철도 설립.[6] |
1928년 12월 25일 | 청안-충주역 간 개통. |
1945년 10월 1일 | 청안역 → 증평역 개칭. |
1946년 5월 17일 | 조선철도주식회사 국유화, 국철 편입.[15] |
1956년 4월 11일 | 목행역 개업. |
1956년 6월 29일 | 월곡역 → 미호역, 송정역 → 서청주역 개칭. |
1957년 9월 6일 | 상당역 개업.[7] |
1958년 5월 15일 | 충주-봉양역 간 개통, 전 구간 개통. |
1959년 1월 1일 | 산척역, 동량역, 공전역 개업. |
1959년 2월 15일 | 삼탄역 개업. |
1960년 12월 25일 | 도안역 개업. |
1967년 5월 1일 | 문암역 개업.[8] |
1974년 6월 1일 | 문암역 폐지.[9] |
1974년 8월 15일 | 상당역, 미호역 폐지. |
1974년 12월 5일 | 오송역, 정하역 폐지.[10] |
1975년 10월 20일 | 복선화 공사 착공. |
1977년 9월 5일 | 오송역 재개업.[11] |
1980년 10월 14일 | 산척역 폐지. |
1980년 10월 17일 | 복선화 공사 완료. 정봉역(충청북도)-구 청주역-오근장역 간 노선 변경, 정봉역 → 청주역 개칭.[13] |
1992년 5월 1일 | 대전-제천 간 무궁화호 운행 개시. |
1997년 5월 | 전철화 공사 착공. |
2000년 9월 14일 | 청주공항역 개업. |
2004년 12월 30일 | 전철화 공사 완료. |
2019년 4월 17일 | 노선 번호 306번으로 변경.[12] |
2. 1. 일제강점기
충북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사설철도회사인 조선중앙철도에 의해 건설되었다. 1921년 조치원~청주 구간이 개통된 것을 시작으로, 1928년에는 충주까지 연장되었다.[13]날짜 | 구간 |
---|---|
1920년 3월 | 조선중앙철도가 조치원~청주 구간 착공 |
1921년 11월 1일 | 조치원~청주 구간 개통 |
1923년 4월 28일 | 청주~청안 구간 개통 |
1923년 9월 1일 | 조선중앙철도가 5개 회사와 함께 조선철도로 합병[14] |
1928년 12월 25일 | 청안~충주 구간 개통 |
1942년 11월 시간표(태평양 전쟁 시작 전 마지막으로 발행된 시간표)에 따르면, 조선철도는 다음과 같은 지역 여객 서비스를 운영하였다("R"은 철도차량으로 운행되는 열차를 나타낸다).[2]
거리 ↓ | 요금 일본 엔 | 1 | 101 R | 3 | 5 | 103 R | 7 | 105 R | 9 | 역 이름 | 거리 ↑ | 요금 일본 엔 | 10 | 2 | 102 R | 4 | 104 R | 6 | 106 | 8 | ||
---|---|---|---|---|---|---|---|---|---|---|---|---|---|---|---|---|---|---|---|---|---|---|
2등석 | 3등석 | 2등석 | 3등석 | |||||||||||||||||||
0.0 | - | - | 07:40 | 08:48 | 11:40 | 14:00 | 16:10 | 17:30 | 18:40 | 20:50 | 조치원 | 94.0 | 6.60 | 3.30 | 06:28 | 09:31 | 08:25 | 12:25 | 14:47 | 15:51 | 18:15 | 20:21 |
22.7 | 1.70 | 0.85 | 08:45 | 09:29 | 12:50 | 15:30 | 16:52 | 18:40 | 19:22 | 21:32 | 청주 | 71.3 | 5.00 | 2.50 | 05:50 | 08:50 | 07:40 | 11:40 | 14:05 | 15:10 | 17:30 | 19:40 |
94.0 | 6.60 | 3.30 | 11:06 | ... | 15:11 | 17:56 | ... | 20:58 | ... | ... | 충주 | 0.0 | - | - | ... | 06:00 | ... | 08:50 | ... | 12:10 | ... | 16:50 |
조선철도는 충주에서 영월까지 선로를 연장할 계획이 있었지만, 일제강점기가 끝나면서 중단되었다.
2. 2. 해방 이후
충북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사설철도회사인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에 의해 1921년 조치원~청주 구간이 개통된 것이 시초였다. 일제강점기에 충주까지 연장되었다. 해방 이후, 국가에 의해 국유화되어 중앙선과 연결되면서 강원도 지역 화물(석탄, 양회 등)의 경로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런 화물열차 중심의 운행으로 인해, 청주시 등 도시 지역에서는 이설을 강력히 요구하게 되어, 청주시내 구간은 수 차례 이설되기도 하였다.1946년 5월 17일 조선철도주식회사 국유화로 국가에 편입되었다.[15] 1958년 5월 15일 충주~봉양 구간이 개통되었다.
충북선은 1970년대 초반부터 화물열차로 인한 통행량이 선로 용량을 초과하는 상황이 되어 복선화가 결정되었다. 1975년 10월 20일 복선화 공사가 착공되어, 1980년 10월 17일 봉양~조치원 110km 구간이 복선화되어 경부선, 경인선에 이은 세 번째 전 구간 복선 노선이 되었다.[13] 복선화 이후, 경부선 전철화에 따른 운행 효율화 등을 위하여 1997년 5월에 전철화 공사가 실시, 2005년 3월 말에 완공되어 전기 기관차가 운행하고 있다.
현재 충북선을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서울~제천 노선은 누리로에서 2020년 1월 13일부터 무궁화호로 변경되었고, 가장 많이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대전~제천 무궁화호다. 그 외에도 충북종단열차인 동대구~영주 무궁화호가 운행되고 있다.
'''해방 이후 연혁'''
날짜 | 내용 |
---|---|
1945년 10월 1일 | 청안역을 증평역으로 개칭 |
1946년 5월 17일 | 조선철도주식회사 국유화로 국가에 편입[15] |
1956년 4월 11일 | 목행역 개업 |
1956년 6월 29일 | 월곡역, 송정역을 미호역, 서청주역으로 각각 개칭 |
1957년 9월 6일 | 상당역 개업[16] |
1958년 5월 15일 | 충주~봉양 구간 개통 |
1959년 1월 1일 | 산척역, 동량역, 공전역 개업 |
1959년 2월 15일 | 삼탄역 개업 |
1960년 12월 25일 | 도안역 개업 |
1967년 5월 1일 | 문암임시승강장 개업[17] |
1974년 6월 1일 | 문암임시승강장 폐역[18] |
1974년 8월 15일 | 상당역[19], 미호역 폐역 |
1974년 12월 5일 | 오송역, 정하역 폐역[20] |
1975년 10월 20일 | 충북선 복선화 공사 착공 |
1977년 9월 5일 | 오송역 재개업[21] |
1980년 10월 14일 | 산척역 폐역 |
1980년 10월 17일 | 전 구간 복선화 완료[22] |
1992년 5월 1일 | 대전~제천 간 NDC 무궁화호 운행 개시 |
1997년 5월 | 전철화 공사 착공[23] |
2000년 9월 14일 | 청주공항임시승강장 개업 |
2000년 10월 1일 | 청주공항역 정식 개업 |
2004년 12월 10일 | 내수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24] |
2. 3. 역 목록 변천사
충북선은 일제강점기에 민간 철도 회사인 조선중앙철도에 의해 처음 건설되기 시작했다.날짜 | 사건 |
---|---|
1920년 3월 |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조치원 - 청주(구역) 간 공사 착공. |
1921년 11월 1일 | 조치원 - 청주(구역) 간 개통. |
1923년 4월 28일 | 청주(구역) - 청안(현·증평) 간 개통. |
1923년 9월 1일 | 조선중앙철도 등 5개 회사의 합병으로 조선철도 설립[6]. |
1928년 12월 25일 | 청안 - 충주 간 개통. |
1945년 10월 1일 | 청안역을 증평역으로 개칭. |
1946년 5월 17일 | 조선철도주식회사가 국유화되어 국가에 편입[15]. |
1956년 4월 11일 | 목행역 개업. |
1956년 6월 29일 | 월곡역, 송정역을 미호역, 서청주역으로 각각 개칭. |
1957년 9월 6일 | 상당역 개업[7], [16]. |
1958년 5월 15일 | 충주 ~ 봉양 구간 개통. |
1959년 1월 1일 | 산척역, 동량역, 공전역 개업. |
1959년 2월 15일 | 삼탄역 개업. |
1960년 12월 25일 | 도안역 개업. |
1967년 5월 1일 | 문암임시승강장 개업[8], [17]. |
1974년 6월 1일 | 문암임시승강장 폐역[9], [18]. |
1974년 8월 15일 | 상당역[19], 미호역 폐역. |
1974년 12월 5일 | 오송역, 정하역 폐역[10], [20]. |
1975년 10월 20일 | 충북선 복선화 공사 착공. |
1977년 9월 5일 | 오송역 재개업[11], [21]. |
1980년 10월 14일 | 산척역 폐역. |
1980년 10월 17일 | 전 구간 복선화 완료[22]. |
1992년 5월 1일 | 대전 ~ 제천 간 NDC 무궁화호 운행개시. |
1997년 5월 | 전철화 공사 착공[23]. |
2000년 9월 14일 | 청주공항임시승강장 개업. |
2000년 10월 1일 | 청주공항역 정식 개업. |
2004년 12월 10일 | 내수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24]. |
2019년 4월 17일 | 노선 번호가 306번으로 변경됨[12]. |
충북선은 한국 중부를 가로지르며, 경부선과 중앙선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노선 주변에는 충청북도의 주요 도시인 청주시와 충주시가 위치해 있다.
3. 노선
이 노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사설 철도 회사인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조치원~청주 구간이 1921년 개통된 것이 시초이다. 이후 충주까지 연장되었으며, 해방 이후 국유화되었다. 중앙선과 연결되면서 강원도 지역의 석탄, 양회 등 화물 운송 경로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1975년 10월부터 5년간 공사하여 1980년 10월 17일, 봉양~조치원 110km 구간이 복선화되어 경부선, 경인선에 이어 세 번째로 전 구간 복선 노선이 되었다.[13] 1997년에는 전철화 공사가 시작되어 2005년 3월 말 완료, 전기 기관차가 운행되고 있다.[25]
현재 충북선을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대전~제천 간 무궁화호가 가장 많으며, 그 외 동대구~영주 간 무궁화호와 서울~제천을 잇는 누리로가 일부 운행되고 있다. 2020년 1월 13일부터 서울~제천 노선은 누리로에서 무궁화호로 변경되었다. 또한 관광열차인 O-train도 이 노선을 경유한다.
화물열차는 오송선을 거쳐 오봉역, 오류동역 등지로 운행되는 열차가 주를 이룬다.
충북선 연선은 전반적으로 완만한 구릉지가 많으나, 중앙선 방향으로는 산악 구간이 많다. 청주시 구간은 평야 지대이나, 역이 대부분 시가지에서 떨어져 있어 여객 수요가 충분하지는 않다.
3. 1. 노선 데이터
역 | 한글 | 한자 | 연결 노선 및 서비스 | 역 간 거리 (km) | 노선 거리 (km) | 위치 |
---|---|---|---|---|---|---|
조치원 | 조치원 | 鳥致院 | 경부선, ITX-새마을, 무궁화호 | 0.0 | 0.0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오송 | 오송 | 五松 | 경부고속철도, 오송선, 오-트레인 | 4.4 | 4.4 | 충청북도 청주시 |
청주 | 청주 | 淸州 | 7.0 | 11.4 | ||
오근장 | 오근장 | 梧根場 | 10.1 | 21.5 | ||
청주국제공항 | 청주공항 | 淸州空港 | 2.9 | 24.4 | ||
내수 | 내수 | 內秀 | 4.4 | 28.8 | ||
증평 | 증평 | 曾坪 | 7.8 | 36.6 | 증평군 | |
도안 | 도안 | 道安 | 6.2 | 42.8 | ||
보천 | 보천 | 甫川 | 8.7 | 51.5 | 음성군 | |
음성 | 음성 | 陰城 | 8.1 | 59.6 | ||
소이 | 소이 | 蘇伊 | 4.5 | 64.1 | ||
주덕 | 주덕 | 周德 | 7.8 | 71.9 | 충주시 | |
달천 | 달천 | 達川 | 7.0 | 78.9 | ||
충주 | 충주 | 忠州 | 중부내륙선 | 3.8 | 82.7 | |
목행 | 목행 | 牧杏 | 5.4 | 88.1 | ||
동량 | 동량 | 東良 | 4.6 | 92.7 | ||
삼탄 | 삼탄 | 三灘 | 7.9 | 100.6 | ||
공전 | 공전 | 公田 | 5.8 | 106.4 | 제천시 | |
봉양 | 봉양 | 鳳陽 | 8.6 | 115.0 |
- 노선 거리: 115.0km
- 궤간: 1435mm (표준궤)
- 역 수: 19개 역 (기점·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오송 - 봉양 간 110.6km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교류 25kV, 60Hz)
- 최고 속도: 120km/h
3. 2. 역 목록
경부고속선호남고속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