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하이 코뮈니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하이 코뮈니케는 1972년 2월 27일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원칙을 담아 발표된 공동 성명이다. 헨리 키신저 당시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주은래 중국 총리의 협상을 통해 초안이 작성되었으며,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방중을 통해 최종 서명되었다. 상하이 코뮈니케는 양국 간의 무역 및 문화 교류를 증진하고, 대만 문제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인정"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이로 인해 미국은 소련과의 냉전 구도에서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 외교 정책을 재편하고, 중국은 국제 사회에서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마련했다. 상하이 코뮈니케는 이후 미중 관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1979년 수교에 관한 공동성명 발표의 기반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중국 -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미중 적대 관계를 종식시키고 국제 정세를 변화시킨 역사적 사건으로, 베트남 전쟁과 중소 국경 분쟁을 배경으로 비밀 외교와 핑퐁 외교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상하이 공동성명 발표를 통해 관계 정상화에 합의하고 동아시아 질서 재편과 미소 관계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 1972년 중국 - 중일공동성명
    중일공동성명은 1972년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이 국교 정상화를 위해 발표한 성명으로, 일본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수용했으며, 중국은 일본에 대한 전쟁 배상 청구를 포기하는 등 평화 우호 관계를 수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972년 체결된 조약 - 중일공동성명
    중일공동성명은 1972년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이 국교 정상화를 위해 발표한 성명으로, 일본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수용했으며, 중국은 일본에 대한 전쟁 배상 청구를 포기하는 등 평화 우호 관계를 수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972년 체결된 조약 - 생물무기금지협약
    생물무기금지협약은 생물 무기의 개발, 생산, 비축 등을 금지하는 국제 조약이며, 1972년에 서명되어 1975년에 발효되었고, 5년마다 검토 회의를 개최하여 운영을 검토한다.
  • 1972년 2월 -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미중 적대 관계를 종식시키고 국제 정세를 변화시킨 역사적 사건으로, 베트남 전쟁과 중소 국경 분쟁을 배경으로 비밀 외교와 핑퐁 외교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상하이 공동성명 발표를 통해 관계 정상화에 합의하고 동아시아 질서 재편과 미소 관계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 1972년 2월 - 1972년 동계 올림픽
    1972년 동계 올림픽은 일본 삿포로에서 개최되었으며, 나가이 잇세이가 디자인한 엠블럼을 사용하고, 아마추어리즘 논쟁과 환경 문제가 주요 이슈로 떠올랐으며, 삿포로시는 올림픽 유산을 바탕으로 동계 올림픽 유치를 시도하고 있다.
상하이 코뮈니케
지도 정보
문서 정보
제목중화인민공화국과 미합중국 공동성명 (1972년)
다른 이름상하이 공보
정식 명칭중화인민공화국과 미합중국 공동성명
로마자 표기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hé Měilìjiān Hézhòngguó liánhé gōngbào
주요 내용
서명일1972년 2월 28일
장소진장 호텔
서명 당사자미국
중화인민공화국
주요 합의 내용양국 관계 정상화 목표
하나의 중국 원칙 인정
타이완 문제에 대한 입장 차이 확인
양국 간 교류 증진 약속
관련 인물리처드 닉슨
저우언라이
기타
관련 링크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공동성명 (영문 원문)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공식 발표 자료 (영문)

2. 역사적 배경

헨리 키신저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의 1971년 비밀 방중과 주은래 총리와의 협상으로 상하이 공동성명 초안이 작성되기 시작했다.[4]

1969년 중소 국경 분쟁을 배경으로, 닉슨 대통령 방중 한 달 전 백악관 비서실장 알렉산더 헤이그 장군은 중국에서 소련의 국경 위협을 언급하며 미국과 중국의 정보 공유 및 군사적 대응에 대한 공통 이익을 강조했다. 주은래와 마오쩌둥은 이를 불성실한 태도로 여겼으나, 미국의 데탕트에 대한 진정한 의지로 판단했다.[5]

이 문서는 미중 관계 정상화를 약속했지만, 실현은 1979년 양국이 발표한 ""까지 기다려야 했다.

미국과 중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패권 추구에 반대한다는 데 합의했는데, 이는 소비에트 연방과 군사 국경을 공유하던 중국에게 특히 중요했다.

“코뮈니케(communiqué)”는 “성명”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이다.

2. 1. 키신저의 비밀 외교

헨리 키신저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1971년 중국과의 비밀 외교 임무를 수행했는데, 여기에는 상하이 공동성명 초안 작성과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방중 계획 수립이 포함되었다.[4] 중국 측 협상 대표는 주은래 총리가 맡았으며, 키신저는 그와 25시간에 달하는 회담을 가졌다. 키신저는 정보 유출 우려로 미국 국무부 소속 통역사를 사용하지 않았다.

키신저의 비밀 방문 과정에서 상하이 공동성명 내용을 두고 7차례의 초안 작업이 진행되었다. 키신저는 처음에는 미국과 중국의 상호 이익만 언급하는 공동성명 초안 작성에 관심을 보였지만, 주은래는 양국 간의 이견도 포함하여 더 의미 있는 문서를 만들고자 했다. 이러한 솔직한 관계 묘사는 키신저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는 중국 지도부에 대한 호의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5]

2. 2. 닉슨 대통령의 방중

1972년 2월, 리처드 닉슨 대통령과 헨리 키신저소련에 대항하는 중국과 미국의 공동 이익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마오쩌둥저우언라이에게서 미국 대표단과의 회담 내용을 보고받았으나, 안보 제안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을 가졌다. 저우언라이는 키신저가 제안한 조기 경보 탐지 지원에 대해 다소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5]

2월 25일, 미국 대표단 내에서 공동성명 내용을 둘러싼 의견 차이가 발생했다. 당시 공동성명은 미국이 일본, 대한민국과 체결한 안보 조약을 인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 국무장관 윌리엄 로저스와 외교관 마셜 그린은 닉슨과 키신저가 1955년 타이완과 체결한 미중 상호방위조약에 대한 언급을 의도적으로 누락한 것을 비판하며, 이는 긴밀한 동맹국을 배신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키신저는 조관화와 협력하여[6] 2월 26일 조약 관련 내용을 모두 삭제함으로써 의견 차이를 해소했다.[7]

최종 공동성명은 1972년 2월 27일 저녁 진장 호텔에서 서명되었다.[8][6] 닉슨은 다음 날 아침 중국을 떠났다.[9]

3. 주요 내용

1972년 2월 28일에 발표된 상하이 코뮈니케(상하이 공동성명)는 미국과 중국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기본적인 원칙과 방향을 제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하나의 중국: 미국은 "대만 해협 양측의 모든 중국인들은 하나의 중국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을 "인정(acknowledged)"했다.[10]
  • 경제·문화 교류 확대: 양국은 상호 무역을 통해 평화 공존을 추구하고 경제 및 문화적 접촉을 확대하고자 했다.[13]
  • 국제 관계 원칙: 모든 국가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존중하고, 다른 국가를 공격하거나 내정에 간섭하지 않으며, 평등과 상호 이익 및 평화 공존의 원칙에 따라 관계를 수행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14]
  • 아시아·태평양 지역 패권 추구 금지: 양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패권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데 합의했다.[14]


각국은 상하이 공동성명을 통해 자국의 이익을 추구했다. 미국은 소련의 영향력에 맞서기 위한 지정학적 재편을 꾀했고, 중국은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 국제적 인정을 받았다. 이러한 관계 정상화 노력은 1979년 양국이 발표한 외교 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 코뮈니케를 통해 실현되었다.

3. 1. 대만 문제

미국은 "대만 해협 양측의 모든 중국인들은 하나의 중국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을 "인정(acknowledged)"했습니다. "수용(accept)"이 아닌 "인정"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대만의 미래에 대한 미국의 모호한 입장을 보여주는 예로 자주 인용됩니다.[10] 합의된 중국어 번역은 "인정한다"를 으로 옮기는데, 이는 인식과 수용을 의미합니다.[11]

당시 국무장관으로서 미국 측 협상을 감독했던 헨리 키신저2011년에 출판된 저서 『On China』에서 이 합의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수십 년에 걸친 내전과 적대감을 베이징, 타이베이, 워싱턴 세 곳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긍정적인 일반 원칙으로 융합했다."[11]

3. 2. 경제 및 문화 교류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양국은 상호 무역을 통해 평화 공존을 추구하고 경제 및 문화적 접촉을 확대하고자 했다.[13] 양국은 "인적 교류"와 상업 전망을 증진하고 관계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13]

양측은 양자 무역이 상호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또 다른 영역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했으며, 평등과 상호 존중에 기반한 경제 관계가 양국 국민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데 동의했다. 양국은 양국 간 무역의 점진적 발전을 촉진하기로 합의했다.[12]

3. 3. 국제 관계

양국은 사회 제도와 관계없이 모든 국가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존중하고, 다른 국가를 공격하지 않으며, 다른 국가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으며, 평등과 상호 이익 및 평화 공존의 원칙에 따라 관계를 수행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14] 또한 양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패권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데 합의했는데, 이는 소비에트 연방과 군사 국경을 공유하고 있던 중국에게 특히 중요했다.

4. 의의 및 영향

상하이 코뮈니케는 소련의 영향력에 맞서기 위한 지정학적 재편을 의미했다. 이는 소련의 냉전 시대 전략적 입지를 크게 약화시켰고, 소련과 소련 블록의 몰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15] 미국은 이 공보를 통해 외교 정책을 재편하고 소련을 성공적으로 고립시킬 수 있었다. 소련은 중국과 미국의 협력으로 인해 동서 양쪽에서 적을 맞닥뜨리게 되어 역량의 균형이 깨졌으며, 특히 미국이 소련과의 군축 협상 중 중국과 대립했을 때 군비 경쟁에서 소련은 방어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15]

상하이 코뮈니케는 공산권 내 이념적 분열을 드러내고 확대시켰다. 유고슬라비아루마니아와 같은 국가들이 독자적인 노선을 취하면서 소련의 패권에 도전했고, 모든 공산 국가들이 모스크바의 정책을 채택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나 소련 이론의 정당성과 동맹국을 통합하는 능력이 약화되었다.[15]

리처드 닉슨의 방중은 중국과의 새로운 무역 기회의 문을 열어 세계 권력 역학을 크게 바꾸었고 냉전의 종식을 가져왔을 수도 있다.[15] 이는 또한 참여를 통한 중국에 대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었다.[15] 미국은 공식적으로 "대만 해협 양측의 모든 중국인들은 하나의 중국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을 "인정(acknowledged)"했다.[10] "수용(accept)"이 아닌 "인정"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대만의 미래에 대한 미국의 모호한 입장의 예로 자주 인용된다.[10] 합의된 중국어 번역은 "인정한다"를 으로 옮기는데, 이는 인식과 수용을 의미한다.[11]

상하이 코뮈니케를 통해 중국은 미국으로부터의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중국은 또한 대만으로부터 유엔의 자리를 되찾았다.

4. 1. 미국

미국에게 상하이 코뮈니케는 소련의 영향력에 맞서기 위한 지정학적 재편을 의미했다. 이러한 정렬은 소련의 냉전 시대 전략적 입지를 크게 약화시켰고, 소련과 소련 블록의 몰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15] 이 공보를 통해 미국은 외교 정책을 재편하고 소련을 성공적으로 고립시킬 수 있었다. 소련은 중국과 미국의 협력으로 인해 동서 양쪽에서 적을 맞닥뜨리게 되어 역량의 균형이 깨졌다. 이는 특히 미국이 소련과의 군축 협상 중 중국과 대립했을 때 군비 경쟁 중에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소련은 방어적인 입장을 취하도록 압력을 받았다.[15]

상하이 코뮈니케는 공산권 내 이념적 분열을 드러내고 확대시켰다. 유고슬라비아와 루마니아와 같은 국가들이 독자적인 노선을 취하면서 소련의 패권에 도전이 가해졌다. 이 공보는 모든 공산 국가들이 모스크바의 정책을 채택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드러내어 소련 이론의 정당성과 동맹국을 통합하는 능력을 약화시켰다.[15]

리처드 닉슨의 방중은 중국과의 새로운 무역 기회의 문을 열어 세계 권력 역학을 크게 바꾸었고 냉전의 종식을 가져왔을 수도 있다.[15] 이는 또한 참여를 통한 중국에 대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줄 것이다.[15]

4. 2. 중국

미국은 공식적으로 "대만 해협 양측의 모든 중국인들은 하나의 중국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을 "인정(acknowledged)"했다.[10] "수용(accept)"이 아닌 "인정"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대만의 미래에 대한 미국의 모호한 입장의 예로 자주 인용된다.[10] 합의된 중국어 번역은 "인정한다"를 으로 옮기는데, 이는 인식과 수용을 의미한다.[11]

상하이 코뮈니케를 통해 중국은 미국으로부터의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중국은 또한 대만으로부터 유엔의 자리를 되찾았다. 상하이 코뮈니케는 공산권 내 이념적 분열을 드러내고 확대시켰다.[15]

5. 유산

상하이 공동성명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미국과 처음으로 직접적인 공개 외교 협상을 한 것을 의미한다.[16] 1979년 수교에 관한 공동성명으로 양국 관계가 공식적으로 정상화되었다.

스티븐 올린스(Stephen Orlins) 미중 관계 전국 위원회 회장은 2017년에 상하이 공동성명이 대만 해협 안정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18] 그는 이 공동성명이 중국의 개방과 지속적인 고위급 대만 해협 대화로 인해 타이완에 대한 서방의 투자 신뢰를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윌리엄 F. 버클리 주니어(William F. Buckley Jr.)는 공동성명을 "충격적인 항복"이라고 부르며 비판했다.[19]

참조

[1] 간행물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Volume XVII, China, 1969–1972 https://history.stat[...]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6
[2] 서적 Richard Nixon: 1972 : Containing the Public Messages, Speeches, and Statements of the President. https://quod.lib.umi[...]
[3] 웹사이트 Joint Communiqu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taiwandoc[...] Taiwan Documents Project 1972-02-28
[4] 웹사이트 The Lead-Up to Nixon's Trip to China: U.S. and Chinese Documents and Tapes https://nsarchive2.g[...] 2002-05-22
[5] 서적 Constructing the U.S. Rapprochement with China, 1961–1974 From "Red Menace" to "Tacit Al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White House Years, 1968–1972 Little Brown and Co.
[7] 비디오 Assignment: China - "The Week That Changed The World" https://www.youtub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China Institute 2012-01-25
[8] 웹사이트 Kissinger warning on U.S.-China ties https://edition.cnn.[...] 2002-04-15
[9] 문서 H. R. Haldeman Diaries Collection, January 18, 1969 – April 30, 1973 https://www.nixonlib[...]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72-02-28
[10] 웹사이트 Trump, Tsai, and the Three Communiques: Prospects for Stability in US-China-Taiwan Relations https://www.fpri.org[...] 2017-03-09
[11] 서적 Mao and Markets: The Communist Roots of Chinese Enterprise Yale University Press 2022
[12] 웹사이트 https://history.stat[...]
[13] 웹사이트 Shanghai Communiqué Issued https://www.pbs.org/[...]
[14] 웹사이트 https://history.stat[...]
[15] 웹사이트 Nixon's 1972 Visit to China at 50 https://www.wilsonce[...]
[16] 뉴스 Text of Nixon Toast At Shanghai Dinner https://www.nytimes.[...] 1972-02-28
[17] 웹사이트 Shanghai Communiqué Issued https://www.pbs.org/[...]
[18] 웹사이트 The Shanghai Communique: An American Foreign Policy Success, 45 Years Later https://thediplomat.[...] 2017-02-28
[19] 뉴스 Veni, Vidi, Victus https://www.national[...] National Review 1972-03
[20] 간행물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Volume XVII, China, 1969–1972 https://history.stat[...]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6
[21] 서적 Richard Nixon: 1972 : Containing the Public Messages, Speeches, and Statements of the President. https://quod.lib.umi[...]
[22] 웹사이트 Joint Communiqu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taiwandoc[...] Taiwan Documents Project 1972-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