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실스 (야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샌프란시스코 실스는 1903년 창설된 퍼시픽 코스트 리그의 창립 멤버로, 1909년, 1915년, 1917년, 1922년, 1923년, 1925년, 1928년, 1931년, 1935년, 1943년, 1944년, 1945년, 1946년, 1957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으로 인해 경기장을 잃었으며, 이후 여러 구장을 거쳐 실스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1949년에는 일본을 방문하여 친선 경기를 치렀으며, 이 경험은 한국 야구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조 디마지오, 레프티 오둘 등 명예의 전당 헌액자를 배출했으며, 55년의 역사 동안 메이저 리그 구단과 제휴 관계를 맺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 자이언츠 (야구) 산하 마이너 리그 팀 - 미니애폴리스 밀러스
미니애폴리스 밀러스는 1902년부터 1960년까지 아메리칸 협회에서 9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낸 프로 마이너 리그 팀으로, 테드 윌리엄스, 윌리 메이스, 칼 야스트렘스키와 같은 메이저 리그 스타들을 배출했고 세인트폴 세인츠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으나 1961년 미네소타 트윈스 창단으로 해체되었다. - 브루클린 다저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 - 스포캔 인디언스
- 1957년 해체된 야구팀 - 다이에이 유니언스
다이에이 유니언스는 1957년 창단되어 다카하시 유니온스를 흡수 합병했으나 재정난과 낮은 성적으로 1958년 마이니치 오리온스와 합병하여 해체되었으며, 현재 지바 롯데 마린스가 방계로 취급한다.
샌프란시스코 실스 (야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샌프란시스코 실스 |
도시 |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 | |
![]() | |
역사 | |
첫 시즌 | 1903년 |
마지막 시즌 | 1957년 |
이전 명칭 | 샌프란시스코 실스 (1903–1957) |
리그 | |
리그 | 퍼시픽 코스트 리그 (1903–1957) |
리그 타이틀 | 1909, 1915, 1917, 1922, 1923, 1925, 1928, 1931, 1935, 1943, 1944, 1945, 1946, 1957 |
제휴 구단 | |
이전 메이저 리그 제휴 | 보스턴 레드삭스 (1956–1957) 뉴욕 양키스 (1951) 브루클린 다저스 (1942) 뉴욕 자이언츠 (1936) |
구장 | |
이전 홈구장 | 실스 스타디움 (1931–1957) 유잉 필드 (1914) 레크리에이션 파크 (1903–1913, 1915–1930) |
등급 | |
이전 클래스 레벨 | 오픈 (1952–1957) 트리플-A (1946–1951) 더블-A (1908–1945) A (1903–1907) |
2. 역사
실스는 1903년 퍼시픽 코스트 리그 창설과 함께 탄생한 팀으로, 리그에서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했다. 특정 메이저 리그 구단에 소속되지 않은 팀이었지만, 구단주와의 관계에 따라 뉴욕 자이언츠 (1936년, 1945년), 브루클린 다저스 (1942년), 뉴욕 양키스 (1951년), 보스턴 레드삭스 (1956년, 1957년) 산하에 있던 시기도 있었다.
실스는 샌프란시스코의 "레크리에이션 파크"(1903년 - 1913년, 1915년 - 1930년)와 "유잉 필드"(1914년)를 거쳐, 1931년에 완공된 실스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1935년부터 1951년까지는 "레프티" 프랭크 오도울이 감독을 맡았으며, 1935년에는 미국으로 원정을 온 다이닛폰 도쿄 야구 구락부(후의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친선 경기를 가졌다.
1949년에는 더글러스 맥아더 GHQ 최고사령관의 초청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일본 프로 야구 팀들을 상대로 전승을 거두며 압도적인 실력 차이를 보여주었다.[4]
1958년, 뉴욕 자이언츠가 샌프란시스코로 이전하면서 실스는 애리조나주 피닉스로 이전하여 "피닉스 자이언츠"로 이름을 바꾸었다. 실스 스타디움은 자이언츠의 홈 구장으로 2년간 사용된 후, 캔들스틱 파크가 신설되면서 이전했다. 피닉스 자이언츠는 이후 타코마로 이전했다가 다시 피닉스로 돌아왔고, 1998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창단 이후에는 캘리포니아주 프레즈노로 이전하여 프레즈노 그리즐리스가 되었다.[4]
조 디마지오, 얼 애버릴 등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들이 실스 출신이다.
실스는 55년간의 역사 동안 다음 6시즌 동안만 메이저 리그 구단의 산하에 소속되었다.[4]
비록 "실스"라는 이름은 사라졌지만, 현재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마스코트는 "루 실(Lou Seal)[5]"이라는 이름의 물개이다.
2. 1. 창단과 초기 (1903년 ~ 1930년)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포틀랜드 비버스, 오클랜드 오크스, 새크라멘토 솔론스, 시애틀 인디언스와 함께 샌프란시스코 실스는 1903년에 창설된 퍼시픽 코스트 리그(PCL)의 창립 멤버였다. 이 팀은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으로 파괴되기 전까지 해리슨 스트리트와 8번가에 위치한 리크리에이션 파크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실스는 1906 시즌을 오클랜드의 프리먼 파크에서 홈 경기를 치르며 마쳤다. 1907 시즌을 위해 14번가와 발렌시아 스트리트에 새로운 리크리에이션 파크가 건설되었다. 실스는 1909년에 첫 번째 퍼시픽 코스트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1915년, 1917년, 1922년, 1923년, 1925년에도 우승했다.
1914 시즌 동안 새크라멘토 솔론스는 샌프란시스코로 이전하여 샌프란시스코 미션스로 시즌을 마쳤고, 도시의 미션 디스트릭트를 대표했다. 같은 해에 실스는 도시를 가로질러 이윙 필드에서 첫 시즌이자 유일한 시즌을 보냈다. 1925 시즌 이후 버논 타이거스는 샌프란시스코 사업가 허버트 플라이쉬하커가 이끄는 그룹에 의해 인수되어 샌프란시스코로 이전하여 미션 레드 또는 단순히 "미션스"로 이름을 변경했으며, 이 팀은 미션 산프란시스코 데 아시스에서 다섯 블록 떨어진 곳에서 경기를 치르면서 다시 미션 디스트릭트를 대표했다. 1926년부터 1930년까지 그들은 실스가 원정 경기를 치르는 동안 리크리에이션 파크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1918년,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구단주 헨리 베리는 샌프란시스코 실스를 매물로 내놓았고, 찰스 H. 스트럽, 조지 알프레드 (앨피) 푸트남, 찰스 H. 그레이엄이 각각 팀의 지분 3분의 1을 인수했다.
2. 2. 실스 스타디움 시대 (1931년 ~ 1957년)
1931년, 샌프란시스코 실스는 16번가와 브라이언트 스트리트에 위치한 18,600석 규모의 실스 스타디움으로 홈 구장을 옮겼다.[4] 실스는 이 구장에서 1931년, 1935년, 1943년, 1944년, 1945년, 1946년, 1957년에 퍼시픽 코스트 리그(PCL) 우승을 차지했다.[4]
실스는 조 디마지오, 얼 애버릴 등 훗날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들을 배출했다. 특히 조 디마지오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뉴욕 양키스의 두 번째 황금기를 이끈 선수로, 실스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4] 얼 애버릴은 1934년에 전미 선발팀의 일원으로 베이브 루스 등과 함께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4] 이 외에도 폴 워너, 프랭키 크로세티, 돔 디마지오 등이 실스 출신이다.
1945년, 사업가 폴 페이건이 실스의 지배 지분을 매입하면서, PCL을 미국의 세 번째 메이저 리그로 승격시키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했다.[3] 그는 실스 스타디움을 메이저 리그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했고, 샌프란시스코 출신의 전 메이저 리그 선수이자 팬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레프티 오둘을 감독으로 영입했다.[3] 1946년, 실스는 페넌트 우승을 차지했지만, 이후 페이건의 팀들은 하위권에 머물렀다.[3] 다른 구단들은 페이건의 메이저 리그 승격 계획에 동의하지 않았고, 오히려 메이저 리그 팀들과 협력 관계를 맺어 실스보다 더 나은 성적을 거두었다.[3]
결국 페이건은 자신의 계획을 포기하고 실스의 지분을 매각했고, 실스는 보스턴 레드삭스의 제휴 구단이 되었다.[3] 1957년, 베이 지역 라이벌인 오클랜드 오크스가 밴쿠버로 이전한 후, 실스는 마지막 PCL 페넌트 우승을 차지했다.[3] 같은 해 말, 뉴욕 자이언츠가 1958 시즌부터 샌프란시스코로 이전한다고 발표하면서 실스는 연고지 이전을 강요받았다.[3]
1957년 10월 15일, 실스는 미니애폴리스 밀러스와 교환을 통해 자이언츠의 최고 제휴 구단이 되었고,[3] 1958 시즌을 위해 애리조나주 피닉스로 이동하여 피닉스 자이언츠로 팀명을 변경했다.[3]
실스는 55년간의 역사 동안 특정 메이저 리그 구단의 산하에 소속되었던 시기는 다음과 같이 6시즌뿐이었다.[4]
2. 3. 일본 원정 (1949년)
1949년, 샌프란시스코 실스는 더글러스 맥아더 GHQ 최고사령관의 초청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일본 프로 야구 팀들과 경기를 가졌다. 실스는 일본 프로 야구 팀과의 경기에서 모두 승리하며 압도적인 실력 차이를 과시했다.[4]당시 실스의 감독은 '레프티' 프랭크 오도울이었다. 오둘 감독은 일본 프로 야구 팀에 '자이언츠'라는 명칭을 부여하기도 했다.[4]
실스와 일본 프로야구팀과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 | 경기 날짜 | 스코어 | 상대 팀 | 구장 | 투수 승패 |
---|---|---|---|---|---|
제1전 | 1949년 10월 15일 | 13 - 4 | 요미우리 자이언츠 | 고라쿠엔 구장 | (승) 뎀프시 (패) 가와사키 도쿠지 |
제2전 | 10월 17일 | 4 - 0 | 전 동군(일본프로야구) | 진구 구장 | (승) 캔디니 (패) 나카오 세키시 |
제3전 | 10월 21일 | 3 - 1 | 전 서군(일본프로야구) | 니시노미야 구장 | (승) 워를 (패) 무스에 시코 |
제4전 | 10월 23일 | 2 - 1 | 전 일본(일본프로야구) | 고시엔 구장 | (승) 멜턴 (패) 후지모토 히데오 |
제5전 | 10월 27일 | 13 - 4 | 전 일본(일본프로야구) | 나고야 구장 | (승) 워를 (패) 벳쇼 다케히코 |
제6전 | 10월 29일 | 1 - 0 | 전 일본(일본프로야구) | 진구 구장 | (승) 캔디니 (패) 무스에 시코 |
실스 선수들의 일본 원정 (프로 야구팀 상대 6경기) 투수 기록은 다음과 같다.
등번호 | 선수명 | 나이 | 경기 | 선발 | 완투 | 승 | 패 | 이닝 | 타자 | 피안타 | 탈삼진 | 사사구 | 실점 | 생년 | 사망년 | 메이저 리그 재적 경험 |
---|---|---|---|---|---|---|---|---|---|---|---|---|---|---|---|---|
#17 | 빌 워를 (Bill Werle) | 29세 | 3 | 2 | 2 | 2 | 0 | 23 | 92 | 19 | 15 | 4 | 6 | 1920년 | 2010년 | 파이리츠(1949-1952) 카디널스(1952) 레드삭스(1953-1954) |
#27 | 클리프 멜턴 (Cliff Melton) | 37세 | 3 | 2 | 0 | 1 | 0 | 15 | 53 | 5 | 1 | 0 | 0 | 1912년 | 1986년 | 자이언츠(1937-1944) |
#25 | 밀로 칸디니 (Milo Candini) | 32세 | 3 | 1 | 0 | 2 | 0 | 12 | 39 | 4 | 19 | 1 | 1 | 1917년 | 1998년 | 세네터스(1943-1949) 필리스(1950-1951) |
#22 | 콘 뎀프시 (Con Dempsey) | 27세 | 1 | 1 | 0 | 1 | 0 | 4 | 21 | 5 | 3 | 4 | 3 | 1922년 | 2006년 | Pirates(1951) |
#29 | 알 리엔 (Al Lien) | 34세 | - | - | - | - | - | - | - | - | - | - | - | 1915년 | 1967년 | |
#24 | 윌리엄 맥도날드 (William McDonald) | - | - | - | - | - | - | - | - | - | - | - | ||||
#26 | 딕 드릴링 (Dick Drilling) | 20세 | - | - | - | - | - | - | - | - | - | - | - | 1929년 | 2004년 |
1949년 실스의 일본 원정은 당시 연합군 최고사령부(GHQ) 점령하에 있던 일본 야구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간접적으로 한국 야구에도 영향을 주었다. 실스의 감독이었던 레프티 오둘은 일본 프로야구 팀에 자이언츠라는 명칭을 부여하고,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비롯한 일본 프로야구 팀들의 기술 향상에 기여했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한국 야구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4] 오둘은 1949년 일본 원정 당시 일본 프로야구 팀들을 상대로 압도적인 실력 차이를 보여주며 전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당시 한국 야구인들에게도 큰 충격과 자극을 주었을 것으로 예상된다.[4]
재적 경험
이 원정을 통해 가와카미 데쓰하루, 후지무라 토미오 등 일본 선수들이 실스의 스프링 캠프에 참가하기도 했다.
3. 한국과의 관계
4. 역대 주요 선수
17 빌 워를
(Bill Werle|빌 월영어)29세 3 2 2 2 0 23 92 19 15 4 6 1920년 2010년 파이리츠(1949-1952)
카디널스(1952)
레드삭스(1953-1954)27 클리프 멜턴
(Cliff Melton|클리프 멜튼영어)37세 3 2 0 1 0 15 53 5 1 0 0 1912년 1986년 자이언츠(1937-1944) 25 밀로 칸디니
(Milo Candini|밀로 칸디니영어)32세 3 1 0 2 0 12 39 4 19 1 1 1917년 1998년 세네터스(1943-1949)
필리스(1950-1951)22 콘 뎀프시
(Con Dempsey|콘 뎀프시영어)27세 1 1 0 1 0 4 21 5 3 4 3 1922년 2006년 Pirates(1951) 29 알 리엔
(Al Lien|알 리엔영어)34세 - - - - - - - - - - - 1915년 1967년 24 윌리엄 맥도날드
(William McDonald|윌리엄 맥도널드영어)- - - - - - - - - - - - - - 26 딕 드릴링
(Dick Drilling|딕 드릴링영어)20세 - - - - - - - - - - - 1929년 200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