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1883년 뉴욕 고담스로 창단하여 1885년 뉴욕 자이언츠로 팀명을 변경한 후, 1958년 샌프란시스코로 연고지를 이전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구단이다. 뉴욕 시절 5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과 17번의 내셔널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윌리 메이스, 크리스티 매슈슨 등 많은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를 배출했다. 2010년, 2012년, 2014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라이벌 팀으로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뉴욕 양키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이 있다. 한국인 선수로는 황재균, 이정후가 자이언츠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3년 설립된 야구팀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1883년 브루클린에서 창단되어 1958년 로스앤젤레스로 연고지를 옮긴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 서부 지구 소속 팀으로, 재키 로빈슨 영입, 샌디 쿠팩스, 클레이튼 커쇼 등 스타 선수 배출, 7회의 월드 시리즈 우승 등으로 메이저리그 최고의 프랜차이즈 중 하나이며 강력한 팬덤과 팀 문화를 가진 팀이다. - 1883년 설립된 야구팀 - 필라델피아 필리스
필라델피아 필리스는 1883년에 창단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내셔널 리그 동부 지구 소속 프로 야구팀이며, MLB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구단으로 1980년과 2008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 1883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1883년 브루클린에서 창단되어 1958년 로스앤젤레스로 연고지를 옮긴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 서부 지구 소속 팀으로, 재키 로빈슨 영입, 샌디 쿠팩스, 클레이튼 커쇼 등 스타 선수 배출, 7회의 월드 시리즈 우승 등으로 메이저리그 최고의 프랜차이즈 중 하나이며 강력한 팬덤과 팀 문화를 가진 팀이다. - 1883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오타와 세너터스 (1883년)
오타와 세너터스(1883년)는 1883년 창단되어 스탠리 컵을 여러 차례 우승하고 NHL 초창기 왕조를 구축했으나 재정난으로 활동을 중단한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클럽이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오라클 파크
오라클 파크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홈 구장으로, 맥코비 코브와 인접한 독특한 입지 조건과 스플래시 히트 존으로 유명하며 야구 외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이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2010년 월드 시리즈
2010년 월드 시리즈는 텍사스 레인저스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대결에서 샌프란시스코가 4승 1패로 승리하며 1954년 이후 56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고, 에드가 렌테리아가 MVP를 수상했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기본 정보 | |
팀 이름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영어 표기 | San Francisco Giants |
별칭 | 더 G-멘 로스 기간테스 오렌지와 검은색 팀 |
창단 연도 | 1883년 |
연고지 |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소속 리그 | 내셔널 리그 |
지구 | 서부 지구 |
홈 구장 | 오라클 파크 |
이전 홈 구장 | 캔들스틱 파크 (1960년–1999년) 실즈 스타디움 (1958년–1959년) 힐탑 파크 (1911년) 폴로 그라운즈 III (1891년–1957년) 폴로 그라운즈 II (1889년–1890년) 세인트 조지 크리켓 그라운드 (1889년) 오클랜드 파크 (1889년) 폴로 그라운즈 I (1883년–1888년) |
과거 팀 이름 | 뉴욕 고담스 (1883년–1884년) 뉴욕 자이언츠 (1885년–1957년) |
구단주 | 찰스 B. 존슨 그레그 E. 존슨(의장) |
사장 | 래리 베어 |
단장 | 잭 미나시안 |
감독 | 밥 멜빈 |
야구 운영 사장 | 버스터 포지 |
웹사이트 | mlb.com/giants |
![]() | |
![]() | |
![]() | |
팀 색상 | |
색상 | 검정색, 주황색, 메탈릭 골드, 크림색 |
색상 코드 | |
영구 결번 | |
영구 결번 선수 | NYG NYG 3 4 11 20 22 24 25 27 30 36 42 44 |
우승 기록 | |
월드 시리즈 우승 | 8회 |
월드 시리즈 우승 연도 | 1905 1921 1922 1933 1954 2010 2012 2014 |
리그 우승 | 23회 |
리그 우승 연도 | 1888 1889 1904 1905 1911 1912 1913 1917 1921 1922 1923 1924 1933 1936 1937 1951 1954 1962 1989 2002 2010 2012 2014 |
지구 우승 | 9회 |
지구 우승 연도 | 1971 1987 1989 1997 2000 2003 2010 2012 2021 |
와일드카드 진출 | 3회 |
와일드카드 진출 연도 | 2002 2014 2016 |
이전 월드 시리즈 우승 (전신팀) | 2회 |
이전 월드 시리즈 우승 연도 | 1888 1889 |
2. 구단의 역사
메이저 리그의 명문 구단인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1883년 '''뉴욕 고담스'''로 창단되어 1886년 '''뉴욕 자이언츠'''로 이름이 바뀌었다. 1958년 샌프란시스코로 연고지를 이전하기 전까지 뉴욕을 연고지로 활동했다.
20세기 초 존 맥그로 감독 시절과 윌리 메이스 등이 활약한 1950년대까지 월드 시리즈에서 5번 우승했다. 샌프란시스코로 연고지를 옮긴 후에는 2010년, 2012년, 2014년에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93년부터 2007년까지는 배리 본즈가 통산 및 시즌 홈런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NPB의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유니폼과 팀명을 본땄다. 1968년 고시엔 대회 스타였던 재일동포 투수 김일융이 입단 교섭 물망에 오르기도 했고,[64] 1981년 말에는 최동원 스카우트 물망에도 올랐으나,[65] 병역 문제로 성사되지 못했다.
2. 1. 뉴욕 자이언츠 (1883년 ~ 1957년)
1883년 뉴욕 고담스(New York Gothams)로 창단되었으며, 1886년 뉴욕 자이언츠(New York Giants)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뉴욕 자이언츠는 1957년 시즌 후 샌프란시스코로 이전할 때까지 뉴욕에서 활동하였다. 뉴욕 시절 대부분 동안 맨해튼 상부의 여러 폴로 그라운즈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존 맥그로(John McGraw), 크리스티 매슈슨(Christy Mathewson), 멜 오트(Mel Ott), 빌 테리(Bill Terry), 윌리 메이스(Willie Mays), 몬테 어빈(Monte Irvin), 트래비스 잭슨(Travis Jackson) 등 수많은 선수들이 뉴욕 자이언츠에서 활약했다. 뉴욕 시절 구단은 5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1905년, 1921년, 1922년, 1933년, 1954년)과 17번의 내셔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뉴욕 시절의 유명한 순간으로는 1922년 월드 시리즈에서 양키스를 4경기로 스윕한 것, 바비 톰슨(Bobby Thomson)의 "세계를 뒤흔든 한 방"으로 불리는 1951년 홈런, 그리고 1954년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 메이스가 보여준 "더 캐치" 등이 있다.
자이언츠는 뉴욕의 다른 팀인 뉴욕 양키스와 브루클린 다저스와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맺었다. 특히 양키스와는 6번의 월드 시리즈에서 맞붙었고, 리그 라이벌 다저스와는 시즌당 여러 번 경기를 치렀다. 이 세 팀 중 어떤 두 팀의 경기든 서브웨이 시리즈로 알려져 있었다.
1933년, 빌 테리가 선수 겸 감독을 맡아 9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월드 시리즈에서는 워싱턴 세네터스(현재의 미네소타 트윈스)를 꺾고 세계 정상에 올랐다. 이후 멜 오트, 칼 험벨 등이 두각을 나타낸 1936년부터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거머쥐었다.
1951년에는 윌리 메이스가 데뷔하였고, 다저스와 리그 우승을 놓고 경쟁, 3전제의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바비 톰슨이 역전 끝내기 홈런을 터트리며 우승을 결정짓는 극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홈런은 "그 한 방이 세상을 바꿨다(Shot Heard 'round the World)[51]"라고까지 불리며 구단 역사에 남는 한 방이 되었다.
1954년에는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 메이스가 역사에 남을 명장면 "'''더 캐치'''"로 역전 위기를 구해냈고, 바로 이어 더스티 로즈가 대타 끝내기 홈런을 쳐 승리의 분위기를 이어받아 4연승으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꺾고 5번째 세계 정상에 올랐다.
2.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58년 ~ 현재)
1958년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함께 메이저 리그 서부 시대를 열었다. 샌프란시스코로 연고지 이전 후, 오랫동안 월드시리즈 우승이 없었으나, 2010년에 뉴욕 시대 이후 처음으로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했고, 2012년과 2014년에도 월드시리즈에서 우승했다.1993년부터 2007년까지 배리 본즈가 선수로 활동하며 통산(762개) 및 시즌 최다(73개) 홈런 기록을 경신했다.
같은 지구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는 숙적 관계로, 뉴욕 시대부터 현재까지 치열한 우승 경쟁을 벌이고 있다. 양 팀의 경기는 MLB 최고의 인기 경기 중 하나로, 입장권이 매진되는 경우가 많다. 홈구장에서 열리는 다저스와의 경기에서는 자이언츠 팬들이 "'''BEAT LA'''"(LA를 이겨라)를 크게 함께 부른다.
홈 구장인 오라클 파크는 2000년 개장 이후 네 번이나 이름이 바뀌었는데, 이는 2018년까지 명명권을 가지고 있던 AT&T가 인수, 합병을 거듭하며 회사 이름을 변경했기 때문이다(퍼시픽 벨 → SBC → AT&T → 오라클).
2005년에는 MLB 구단으로는 처음으로 10,000승을 달성했다.[64]
3. 주요 선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주요 선수로는 윌리 메이스, 오랜드 세페다, 윌리 매코비, 보비 본즈, 게일로드 페리, 후안 마리샬 등이 있다. 무라카미 마사노리는 일본인 최초의 메이저리거로 1964년부터 2년간 활약했다. 1982년에는 보비 본즈의 아들 베리 본즈를 드래프트로 지명했지만, 계약금 문제로 합의를 보지 못했다. 1986년에는 윌 클라크 등이 두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3. 1. 현역 선수
2024년 12월 10일 기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
3. 2. 역대 주요 선수
- 버스터 포지
- 헌터 펜스
- 맷 케인
- 매디슨 범가너
- 윌리 메이스
- 배리 본즈: 피츠버그 파이리츠에서 자유계약선수(FA)로 1993년에 입단했다. 대부와 같은 존재였던 윌리 메이스를 존경하여 등번호 24번을 물려받을 의향이었지만 이미 영구결번이라 아버지 본즈가 달았던 등번호 25번을 사용했다. 2001년 시즌에는 마크 맥과이어의 시즌 홈런 기록을 경신하였으나, 다저스와의 경기에서 패하며 월드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4년 9월 17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서 베이브 루스의 통산 홈런 기록을 넘어섰지만, '''약물 의혹 스캔들'''에 휘말렸다. 2005년에는 부상으로 시즌 대부분을 결장했고, 2007년 행크 애런의 메이저리그 통산 홈런 기록을 경신했다. 높은 연봉, 팀 부진, 세대교체 방침 등의 이유로 자이언츠를 떠나게 되었다.
- 후안 마리칼
- 오를랜도 세페다
- 게일로드 페리
- 윌리 맥코비
- 팀 린스컴: 2008년 2년차에 방어율 2.62, 18승 5패, 265탈삼진으로 최다 탈삼진과 사이 영 상을 수상하였다.
4. 한국과의 관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황재균과 이정후 등 한국인 선수들이 거쳐간 팀이다. 2017년에는 내야수 황재균이, 2024년부터는 외야수 이정후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서 뛰고 있다.[21]
자이언츠는 과거에도 한국 선수 영입에 관심을 보였는데, 1968년에는 재일동포 투수 김일융(니우라 히사오) 영입을 시도했고, 1981년에는 최동원 영입을 추진하기도 했다.[21]
4. 1. 역대 한국인 선수
4. 2. 기타
1968년 재일동포 투수 김일융 영입을 시도했고, 1981년에는 최동원 영입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21]5. 영구 결번
선수 | 등번호 | 포지션 | 영구 결번 지정일 | |
---|---|---|---|---|
크리스티 매슈슨 | NY | 투수 | 1988년 | |
존 맥그로 | NY | 3루수, 감독 | 1988년 | |
빌 테리 | 3 | 1루수, 감독, 단장 | 1984년 | |
멜 오트 | 4 | 우익수, 감독 | 1949년 | |
칼 허벨 | 11 | 투수 | 1944년 | |
몬테 어빈 | 20 | 좌익수 | 2010년 6월 26일 | |
윌 클락 | 22 | 1루수 | 2022년 7월 30일 | |
윌리 메이스 | 24 | 중견수 | 1972년 5월 12일 | |
배리 본즈 | 25 | 좌익수 | 2018년 8월 11일 | |
후안 마리칼 | 27 | 투수 | 1975년 | |
올랜도 세페다 | 30 | 1루수 | 1999년 7월 11일 | |
게일로드 페리 | 36 | 투수 | 2005년 7월 23일 | |
윌리 맥코비 | 44 | 1루수 | 1980년 9월 21일 | |
재키 로빈슨 | 42 | - | 전 메이저리그 | 1997년 4월 15일 |
- 재키 로빈슨의 등번호 42번은 메이저 리그 전 구단 영구 결번이다. 로빈슨은 실제로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되었지만, 자이언츠에서 경기를 뛰기 전에 은퇴했다.
영구 결번으로 지정된 자이언츠 선수들 중 배리 본즈와 윌 클락을 제외한 모든 선수들은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944년, 칼 허벨(11번)은 소속팀에 의해 등번호가 영구 결번으로 지정된 최초의 내셔널리그 선수가 되었다.[35] 빌 테리(3번), 멜 오트(4번), 칼 허벨은 뉴욕 자이언츠에서 선수 또는 감독 생활을 했다. 윌리 메이스(24번)는 뉴욕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1958년 자이언츠가 샌프란시스코로 이전하면서 함께 갔다. 그는 한국 전쟁 참전으로 인해 1952년 대부분과 1953년 전체 시즌을 뛰지 못했다. 매슈슨과 맥그로는 자이언츠에 의해 기념되지만, 유니폼 번호가 야구에서 표준이 되기 이전 시대에 활동한 선수들이다.
자이언츠는 원래 2020년 7월 11일에 윌 클락의 22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할 예정이었지만,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2022년 7월 30일로 연기되었다.[36]
존 맥그로(3루수, 1902~1906; 감독, 1902~1932)와 크리스티 매슈슨(투수, 1900~1916)은 유니폼 번호가 도입되기 전 뉴욕 자이언츠 소속이었으며, 번호 대신 "NY"가 표시되어 있다.
방송인 론 시먼스(1958~1973, 1976~1978, 1996~2002 & 2006), 러스 호지스(1949~1970), 존 밀러(1997~현재)는 각각 번호 대신 옛날식 라디오 마이크가 표시되어 있다.
6. 라이벌 관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다저스, 애슬레틱스, 양키스와 오랜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다저스와의 라이벌 관계는 메이저 리그 역사상 가장 오래된 라이벌 관계로 꼽힌다.
6. 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다저스와는 메이저 리그 역사상 가장 오래된 라이벌 관계이다. 19세기 후반 뉴욕 시절부터 이어진 이 관계는, 1958년 양 팀이 함께 캘리포니아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경제, 문화, 정치적 경쟁 관계로 더욱 심화되었다. 잦은 포스트시즌 맞대결은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2021년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는 명승부로 기록되었다.[64][65]6.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89년 월드 시리즈(베이 브리지 시리즈)에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맞대결을 펼쳤으나, 로마 프리에타 지진으로 인해 경기가 중단되기도 했다. 이후 인터리그 경기에서 두 팀은 치열한 경쟁을 벌였으며, 베이 지역 팬들 사이에서도 라이벌 의식이 존재한다.6. 3. 뉴욕 양키스
뉴욕 양키스와는 뉴욕 시절부터 이어진 역사적 라이벌 관계이며, 월드시리즈에서 7번 맞붙었다. 인터리그 도입 후 정규 시즌 경기에서도 만나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매년 맞대결을 펼칠 예정이다.7. 홈구장
2000년부터 현재 홈구장인 오라클 파크(이전 명칭: 퍼시픽 벨 파크, SBC 파크, AT&T 파크)를 사용하고 있다. 오라클 파크는 개장 이후 4번이나 이름을 변경했다(퍼시픽·벨 → SBC → AT&T → 오라클).[24]
7. 1. 뉴욕 시절
1882년 존 B. 데이와 짐 매트리가 뉴욕의 부호를 이용하여 뉴욕 메트로폴리탄스를 창설했다. 이 구단은 당시 프로 야구 리그에 참가하지 않은 독립 구단이었으며, 맨해튼을 연고지로 하여 구단 경영에 성공을 거두고 있었다. 같은 해 메트로폴리탄스는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양 리그로부터 가입 제의를 받았으나, 데이와 매트리는 비밀리에 양 리그 모두에 가입을 이중으로 제안하고 있었다. 그 후 두 사람은 내셔널 리그에서 1882년 해체된 트로이 트로잔스의 프랜차이즈 권리를 사들여 새로운 팀 "고섬스" ('''Gothams''':「고섬」은 뉴욕시의 다른 명칭)를 설립, 메트로폴리탄스를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에, 고섬스를 내셔널 리그에 가입시켰다. 메트로폴리탄스와 고섬스는 같은 폴로 그라운즈를 연고지로 삼았고, 당시 폴로 그라운즈에는 다이아몬드가 2면 설치되어 그라운드를 두 개로 나누어 경기를 치렀다.그 후 데이와 매트리는 수익이 많은 고섬스 경영에 주력하게 되어, 1885년에 메트로폴리탄스에서 선수를 고섬스로 이적시켰다. 이 무렵 팀 명칭을 "자이언츠" ('''Giants''',거인)로 개칭했다. 팀 명칭의 유래는 당시 고섬스 감독이었던 매트리가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승리하여 흥분한 나머지 라커룸에서 "너희들이 크게 보인다"고 외쳤다는 설과, 예전에 두 명의 장신 선수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자이언츠는 팀 키프, 미키 웰치 두 선수가 합쳐 시즌 76승을 기록하며 1888년과 1889년에 내셔널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 폴로 그라운즈 I (1883년–1888년)
- 오클랜드 파크 (1889년)
- 세인트 조지 크리켓 그라운즈 (1889년)
- 폴로 그라운즈 II (1889년–1890년)
- 폴로 그라운즈 III (1891년–1957년)
- * 힐탑 파크 (1911년 화재로 인해 1911년 폐장)
7. 2. 샌프란시스코 시절
시얼스 스타디움(1958년~1959년)과 캔들스틱 파크(1960년~1999년)를 거쳐, 2000년부터 오라클 파크(이전 명칭: 퍼시픽 벨 파크, SBC 파크, AT&T 파크)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로 연고지를 옮긴 후, 2010년, 2012년, 2014년에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24]같은 지구에 소속된 다저스와는 뉴욕 시절부터 이어진 오랜 라이벌 관계를 가지고 있다.[10] 1958년 함께 서부로 연고지를 이전한 후, 다저스는 1988년까지 월드시리즈를 5번 제패했지만, 자이언츠는 오랫동안 우승과 멀어져 있었다.[24][25] 그러나 자이언츠는 56년 만인 2010년 우승을 시작으로 2012년과 2014년에 월드시리즈를 제패했다. 반면 다저스는 1988년 이후 우승하지 못하다가 2024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두 팀의 경기는 메이저 리그의 흥행 카드로서 항상 많은 관중을 동원한다.
1993년부터 2007년까지 배리 본즈가 자이언츠 소속으로 활동하며 시즌(73개) 및 통산(762개) 홈런 신기록을 경신했다. 2005년에는 메이저 리그 구단 최초로 10000승을 달성했다.
일본 프로야구(NPB)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유니폼과 팀명을 채택했다. 1968년 고시엔 대회 스타였던 재일동포 투수 김일융의 입단 교섭 대상[64]이었고, 1981년에는 최동원 스카우트 물망[65]에 오르기도 했다.
2001년에는 원정 및 홈 경기에 사용할 검은색 대체 유니폼을 추가했다. 2015년에는 특정 토요일 홈 경기에 사용할 새로운 검은색 대체 유니폼을 공개했는데, 금문교가 있는 소매 패치가 특징이다. 2021년에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과 나이키(Nike, Inc.)가 도입한 "시티 커넥트(City Connect)" 프로그램에 따라 특별 유니폼을 착용했다. 이 유니폼은 샌프란시스코 안개를 상징하는 디자인이 특징이다.
8. 기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는 금요일 홈 경기에 새로운 주황색 유니폼을 사용한다. 이 유니폼은 2011년에 소매 패치가 원정 유니폼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변경되었고, 2014년에는 검은색 파이핑과 겹쳐진 "SF" 로고가 있는 새로운 소매 패치가 추가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 사용했던 "Giants" 글씨체로 돌아왔다. "SF" 로고가 있는 주황색 챙이 달린 검은색 모자와 함께 착용한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의 지역 라이벌 관계는 '베이 브리지 시리즈'라고 불리며, 1989년 월드 시리즈에서 애슬레틱스가 스윕 승리를 거두면서 고조되었다. 이 시리즈는 샌프란시스코에서 3차전 시작 직전 1989년 로마프리에타 지진으로 중단되었다.[29] 두 팀은 1905년, 1911년, 1913년 월드 시리즈에서 맞붙었고, 1997년 인터리그 도입 후 매 시즌 6경기(2013년에는 4경기)를 치렀으며, 인터리그 전적은 애슬레틱스가 63승 57패로 우세하다.[29]
20세기 초, 뉴욕 자이언츠와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는 존 맥그로와 코니 맥 감독의 지휘 아래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두 팀은 세 번의 월드 시리즈에서 맞붙어 1905년에는 자이언츠가, 1911년과 1913년에는 애슬레틱스가 우승했다. 이후 샌프란시스코와 오클랜드로 연고지를 옮긴 후, 1989년 월드 시리즈에서 다시 만나 애슬레틱스가 우승했다.
자이언츠의 응원가는 Bye, Bye Baby!영어이며, 홈런이 나올 때마다 연주된다. 이는 러스 호지스가 홈런을 콜할 때 외치던 말에서 유래했다.[49][50] 홈 경기 승리 시 오라클 파크에서는 토니 베넷의 "샌프란시스코에 내 마음을 두고 왔네"가 연주된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산하 마이너 리그 야구 팀은 다음과 같다.[43]
클래스 | 팀 | 리그 | 위치 | 경기장 | 계열팀 참가 |
---|---|---|---|---|---|
트리플A | 새크라멘토 리버 캐츠 | 퍼시픽 코스트 리그 | 웨스트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주 | 서터 헬스 파크 | 2015년 |
더블A | 리치먼드 플라잉 스쿼럴스 | 이스트 리그 | 리치먼드, 버지니아주 | 더 다이아몬드 | 2010년 |
하이A | 유진 에메랄드 | 노스웨스트 리그 | 유진, 오리건주 | PK 파크 | 2021년 |
싱글A | 샌호세 자이언츠 | 캘리포니아 리그 | 샌호세, 캘리포니아주 | 엑사이트 볼파크 | 1988년 |
루키 | ACL 자이언츠 | 애리조나 컴플렉스 리그 | 스코츠데일, 애리조나주 | 스코츠데일 스타디움 | 2024년 |
DSL 자이언츠 블랙 | 도미니카 서머 리그 | 보카 치카, 산토 도밍고 | 로링 파운데이션 컴플렉스 | 2021년 | |
DSL 자이언츠 오렌지 | 2021년 |
8. 1.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명예의 전당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명예의 전당은 장기간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들을 기리기 위한 곳이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서 최소 9시즌 이상 활동하거나, 자이언츠 소속으로 5시즌 이상 활동하면서 올스타에 최소 1회 이상 선정된 선수들이 명예의 전당에 오를 수 있다.[34]연도 | 입성 연도 |
---|---|
굵은 글씨 | 야구 명예의 전당 멤버 |
scope="row" style="background:#ffb;"| | 자이언츠 소속으로 야구 명예의 전당 멤버 |
연도 | 번호 | 이름 | 포지션 | 활동 기간 |
---|---|---|---|---|
2008 | 23, 49 | 펠리페 알루 | OF/1B 감독 | 1958–1963 2003–2006 |
46 | 가리 라벨 | P | 1974–1984 | |
33 | 짐 바 | P | 1971–1978 1982–1983 | |
10 | 조니 레마스터 | SS | 1975–1985 | |
14, 24 | 윌리 메이스 | CF | 1951–1952, 1954–1972 | |
47 | 로드 벡 | P | 1991–1997 | |
00, 20, 26 | 제프리 레너드 | LF | 1981–1988 | |
14 | 비다 블루 | P | 1978–1981 1985–1986 | |
8, 17, 19 | 커트 맨워링 | C | 1987–1996 | |
44 | 윌리 매코비 | 1B | 1959–1973 1977–1980 | |
42 | 바비 볼린 | P | 1961–1969 | |
27 | 후안 마리찰 | P | 1960–1973 | |
49 | 제프 브랜틀리 | P | 1988–1993 | |
15, 22 | 잭 클락 | RF/1B | 1975–1984 | |
29, 40 | 마이크 매코믹 | P | 1956–1962 1967–1970 | |
15, 19 | 밥 브렌리 | C | 1981–1988 1989 | |
32, 33, 40, 51 | 존 버킷 | P | 1987 1990–1994 | |
23, 37 | 스튜 밀러 | P | 1957–1962 | |
25 | 바비 본즈 | RF | 1968–1974 | |
30 | 오를란도 세페다 | 1B | 1958–1966 | |
17, 39 | 랜디 모피트 | P | 1972–1981 | |
38, 41 | 그렉 민턴 | P | 1975–1987 | |
7, 9 | 케빈 미첼 | LF | 1987–1991 | |
22 | 윌 클락 | 1B | 1986–1993 | |
34, 39 | 마이크 크루코 | P | 1983–1989 | |
12 | 짐 데이븐포트 | 3B 감독 | 1958–1970 1985 | |
26, 50 | 존 몬테푸스코 | P | 1974–1980 | |
30, 33 | 칠리 데이비스 | OF | 1981–1987 | |
9, 10, 60 | 맷 윌리엄스 | 3B | 1987–1996 | |
31 | 롭 넨 | P | 1998–2002 | |
2 | 딕 디츠 | C | 1966–1971 | |
22, 28, 35, 36 | 게일로드 페리 | P | 1962–1971 | |
41 | 다렐 에반스 | 3B/1B | 1976–1983 | |
16 | 짐 레이 하트 | 3B/LF | 1963–1973 | |
48 | 릭 로이셜 | P | 1987–1991 | |
6 | J. T. 스노 | 1B | 1997–2005 2008 | |
23, 26, 29 | 티토 후엔테스 | 2B | 1965–1974 | |
42, 45, 46 | 커크 루터 | P | 1996–2005 | |
31, 43, 50, 52, 54 | 스콧 개럴츠 | P | 1982–1991 | |
6 | 로비 톰슨 | 2B | 1986–1996 | |
5, 51 | 톰 홀러 | C | 1961–1967 | |
2, 35 | 크리스 스파이어 | SS | 1971–1977 1987–1989 | |
7, 14, 17 | 애틀리 해머커 | P | 1982–1985 1987–1990 | |
2009 | 21 | 제프 켄트 | 2B | 1997–2002 |
2010 | 33, 35, 57 | 리치 어릴리아 | SS | 1995–2003 2007–2009 |
36, 55 | 션 에스티스 | P | 1995–2001 | |
2011 | 7, 56 | 마빈 베너드 | OF | 1995–2003 |
29 | 제이슨 슈미트 | P | 2001–2006 | |
2017 | 25 | 배리 본즈 | LF | 1993–2007 |
2018 | 18, 43 | 맷 케인 | P | 2005–2017 |
33, 38 | 브라이언 윌슨 | P | 2006–2012 | |
14, 32, 51 | 라이언 보겔송 | P | 2000–2001 2011–2015 | |
2019 | — | 피터 매고완 | 운영 총괄 파트너 | 1993–2008 |
2021 | — | 밥 루리 | 구단주 | 1976–1993 |
2022 | 8 | 헌터 펜스 | RF | 2012–2018 2020 |
2023 | — | 마이크 머피 | 클럽하우스 매니저 | 1958–2023 |
2024 | 41 | 제러미 애펠트 | P | 2009–2015 |
46 | 산티아고 카시야 | P | 2010–2016 | |
49 | 하비에르 로페즈 | P | 2010–2016 | |
54 | 세르히오 로모 | P | 2008–2016 |
2008년에 설립되어 2024년까지 총 57명이 헌액되었다.
8. 2. 팀 응원가
Bye, Bye Baby!영어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응원가로, 홈런이 나올 때마다 연주된다. 이 응원가는 유명한 전 자이언츠 방송인 러스 호지스가 홈런을 콜할 때 외치던 말에서 유래되었다.[49][50] 자이언츠가 홈 경기에서 승리하면 오라클 파크에서는 토니 베넷의 "샌프란시스코에 내 마음을 두고 왔네(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가 축하 연주로 흘러나온다.8. 3. 마이너 리그 제휴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팜 시스템은 7개의 마이너 리그 계열팀으로 구성되어 있다.[43]클래스 | 팀 | 리그 | 위치 | 경기장 | 계열팀으로 참가 |
---|---|---|---|---|---|
트리플A | 새크라멘토 리버 캐츠 | 퍼시픽 코스트 리그 | 웨스트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주 | 서터 헬스 파크 | 2015년 |
더블A | 리치먼드 플라잉 스쿼럴스 | 이스트 리그 | 리치먼드, 버지니아주 | 더 다이아몬드 | 2010년 |
하이A | 유진 에메랄드 | 노스웨스트 리그 | 유진, 오리건주 | PK 파크 | 2021년 |
싱글A | 샌호세 자이언츠 | 캘리포니아 리그 | 샌호세, 캘리포니아주 | 엑사이트 볼파크 | 1988년 |
루키 | ACL 자이언츠 | 애리조나 컴플렉스 리그 | 스코츠데일, 애리조나주 | 스코츠데일 스타디움 | 2024년 |
DSL 자이언츠 블랙 | 도미니카 서머 리그 | 보카 치카, 산토 도밍고 | 로링 파운데이션 컴플렉스 | 2021년 | |
DSL 자이언츠 오렌지 |
참조
[1]
뉴스
San Francisco Giants Uniforms 1958 - Present
https://www.mlb.com/[...]
MLB Advanced Media
2019-10-24
[2]
뉴스
Everybody at the World Series could find themselves wearing the same colors
https://www.mlb.com/[...]
MLB Advanced Media
2014-10-09
[3]
뉴스
One weird fact you may not know for every team
https://www.mlb.com/[...]
MLB Advanced Media
2020-03-30
[4]
웹사이트
Giants Staff Directory
https://www.digitalp[...]
MLB Advanced Media
2020-09-23
[5]
뉴스
Low-key ownership style suits San Francisco Giants' Johnson
http://www.crainsdet[...]
Crains Detroit Business
2012-10-28
[6]
웹사이트
Games Won by Teams Records
http://www.baseball-[...]
baseball-almanac.com
2014-12-05
[7]
웹사이트
Teams with the most World Series titles
https://www.mlb.com/[...]
2022-08-12
[8]
웹사이트
Giants Hall of Famers
http://mlb.mlb.com/s[...]
Mlb.mlb.com
2012-10-31
[9]
웹사이트
Baseball's top 10 rivalries
http://msn.foxsports[...]
2012-03-17
[10]
뉴스
In Depth: Baseball's Most Intense Rivalries
https://www.forbes.c[...]
2017-09-11
[11]
웹사이트
ESPN's Hall of 100
https://www.espn.com[...]
2020-07-27
[12]
뉴스
Giants World Series Champions 2010: San Francisco Tops Texas Rangers In World Series Game 5
http://www.huffingto[...]
2012-11-02
[13]
뉴스
With a Sweep, Giants Are Champions Again
https://www.nytimes.[...]
2012-11-02
[14]
웹사이트
Giants become 2nd NL team to win 3 World Series in 5 years
https://www.sbnation[...]
2020-07-27
[15]
웹사이트
San Francisco Giants Team History & Encyclopedia
https://www.baseball[...]
Sports Reference
2024-09-30
[16]
웹사이트
Giants and Dodgers played first West Coast MLB game in 1958
https://aroundthefog[...]
2024-09-07
[17]
웹사이트
Los Angeles Dodgers vs San Francisco Giants Box Score: April 15, 1958
https://www.baseball[...]
2024-09-07
[18]
웹사이트
Oakland‑San Francisco World Series game postponed because of earthquake
https://www.history.[...]
2024-09-07
[19]
웹사이트
The record hits 73 / Bonds goes deep in season finale
https://www.sfgate.c[...]
2024-09-07
[20]
웹사이트
Bonds moves into eternity, assumes MLB home run record
https://www.espn.com[...]
Associated Press
2024-09-07
[21]
뉴스
Scouting: High Fash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5-01-30
[22]
서적
A Cunning Kind of Play: The Cubs–Giants Rivalry, 1876–1932
[23]
웹사이트
Giants, Cubs commemorate 1912
http://sanfrancisco.[...]
Sanfrancisco.giants.mlb.com
2012-10-31
[24]
서적
After many a summer: the passing of the Giants and Dodgers and a golden age in New York baseball
https://archive.org/[...]
Sterling
[25]
서적
The Dodgers move west: the transfer of the Brooklyn baseball franchise to Los Angel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6]
뉴스
The 10 greatest rivalries
https://www.espn.com[...]
2010-12-02
[27]
뉴스
Giants-Dodgers best rivalry in baseball
http://static.espn.g[...]
2010-12-02
[28]
뉴스
Giants-Dodgers Covers a Lot of Ground
https://www.washingt[...]
2005-03-30
[29]
웹사이트
Head-to-head record for Oakland Athletics against the listed opponents from 1997 to 2014
https://www.baseball[...]
2018-03-27
[30]
서적
Yankees Century: 100 Years of New York Yankees Baseball
Houghton Mifflin
[31]
서적
The Sports Encyclopedia: Baseball 2006
St. Martin's Press
[32]
서적
The Book of Sports Trophies
Cornwall Books
[33]
웹사이트
Lou Gehrig's Farewell Speech
http://www.lougehrig[...]
LouGehrig.com
2009-09-10
[34]
웹사이트
Wall of Fame - Oracle Park
https://www.mlb.com/[...]
2019-03-05
[35]
웹사이트
Gehrig's No. 4 was first retired number
http://mlb.mlb.com/n[...]
MLB
2003-06-18
[36]
웹사이트
Giants to retire Will Clark's No. 22 next year
https://www.espn.com[...]
2019-08-12
[3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Giants captains before Belt's jersey joke
https://www.nbcsport[...]
NBC
2021-09-15
[38]
뉴스
Dan McGann A Suicide – Giants' Former Captain Shoots Him- self in a Hotel at Louisville
https://timesmachine[...]
1910-12-14
[39]
뉴스
Giants New Captain May Be Joe Kelley – Bowerman or Browne to be Traded for Cincinnatian – Champions to be Shaken Up – President Brush In St. Louis Trying, It Is Said, to Secure Grady and Shay
https://www.nytimes.[...]
1906-07-10
[40]
웹사이트
Hilarious reason why Captain Belt wore 'C' on Giants jersey
https://www.nbcsport[...]
NBC
2021-09-10
[41]
웹사이트
SF Giants 'captain' Belt makes unforgettable entrance to Oracle Park on Opening Day
https://www.mercuryn[...]
2022-04-08
[42]
웹사이트
Giants Postseason Results
http://mlb.mlb.com/s[...]
Major League Baseball
[43]
웹사이트
San Francisco Giants Minor League Affiliates
https://www.baseball[...]
Sports Reference
[44]
뉴스
Giants are moving to KNTV
http://www.sfgate.co[...]
2007-11-02
[45]
웹사이트
Here Are The 2016 MLB Prime Time Television Ratings For Each Team
https://www.forbes.c[...]
Forbes SportsMoney
2016-09-28
[46]
뉴스
Some MLB broadcasters still aren't back on the road. Viewers notice.
https://www.washingt[...]
2022-04-23
[47]
웹사이트
SF Giants News: Kruk & Kuip set to start their 31st season in the booth
https://www.mccoveyc[...]
2022-03-24
[48]
간행물
Notes to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Cumulus Media, Inc.
2012-12-31
[49]
웹사이트
How 'Bye Bye Baby' became a Giant hit
https://www.mlb.com/[...]
2022-01-07
[50]
웹사이트
'Bye Bye Baby' still providing soundtrack for Giants 6 decades later
https://www.sfchroni[...]
2021-09-27
[51]
기타
[52]
서적
ボールパークを巡る冒険 (2)
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1998-08
[53]
서적
[54]
뉴스
ジャイアンツ 7度目の世界一!58年ぶりの4連勝V
https://www.sponichi[...]
2012-10-29
[55]
기타
[56]
기타
[57]
기타
[58]
웹사이트
Feeling 'at peace,' SF legend Posey retires
https://www.mlb.com/[...]
2021-11-04
[59]
웹사이트
Gabe Kapler wins NL Manager of the Year after leading Giants to 107 victories
https://bbwaa.com/21[...]
2021-11-16
[59]
웹사이트
Stunning season earns Kapler NL MOY
https://www.mlb.com/[...]
2021-11-16
[60]
웹사이트
One Player Accepts Qualifying Offer; 13 Players Decline
https://www.mlbplaye[...]
2021-11-17
[61]
기타
[62]
기타
[63]
기타
[64]
뉴스
日野球界(일야구계)의 新星(신성) 僑胞少年(교포소년)투수 金日融(김일융)군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68-09-05
[65]
뉴스
崔東原(최동원) 世界大會(세계대회) 못나간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1-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