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협동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활협동조합은 산업 혁명 시대 노동 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노동자나 소비자들이 스스로 출자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형태의 협동조합이다. 1769년 스코틀랜드에서 최초의 소비자 협동조합이 설립된 이후, 로버트 오웬 등의 사회주의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생활협동조합은 민주적 회원 통제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상품 구매, 공제 사업,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일본에서는 1900년 산업조합법 제정 이후 농협, 어협 등과 함께 발전했으며, 특히 1970년대 이후 식품 안전성에 대한 신뢰 저하로 인해 공동 구매 사업이 활성화되었다. 현재 유럽, 북미, 오스트레일리아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생활협동조합이 운영되고 있으며, 각 지역의 특색에 맞춰 발전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협동조합 - 가가와 도요히코
가가와 도요히코는 일본의 기독교 사회주의자이자 사회운동가, 소설가로서, 빈민 구제, 노동 운동, 농민 운동, 협동조합 운동 등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전시에는 제국주의에 협력적인 태도를 보여 비판을 받았고, 전후에는 정치 활동과 세계 평화 운동에 힘썼다. - 협동조합 - 농회
농회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농업 정책 수행을 위해 설립한 농민 조직으로, 행정기관 통제 속에서 농민 억압 기관으로 변질되었으나 광복 후 해산되어 농업협동조합의 모체가 되었다. - 유통 - 신격호
신격호는 롯데그룹의 창업주로서, 일본에서 롯데를 10대 재벌로 성장시킨 후 한국에 롯데제과를 설립하여 그룹을 확장했으나, 경영권 분쟁과 여러 논란에 휘말린 기업인이다. - 유통 - 도매
도매는 소매상, 산업 및 상업 기관, 관공서 등에 상품을 판매하는 상업 활동으로, 보관, 금융, 위험 부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생활 - 생활 양식
생활 양식은 개인의 태도, 가치관, 세계관을 반영하는 삶의 방식이며, 소비, 정치, 종교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위치, 행동 양식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된다. - 생활 - 동거
동거는 결혼하지 않은 성인 커플이 함께 사는 관계로, 사회, 문화, 경제적 변화와 관련되어 증가하고 있지만, 종교적 비판과 법적, 사회적 차이가 존재하며, 동거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와 법적 지위는 국가별로 다르다.
생활협동조합 | |
---|---|
소비자 협동조합 | |
유형 | 기업 소유 및 소비자에 의해 민주적으로 관리됨 |
개요 | |
목적 | 소비자 요구 충족 |
특징 | 민주적 통제 이익 공유 사회적 책임 |
운영 원칙 | |
핵심 가치 | 자조 자기 책임 민주주의 평등 형평성 연대 |
윤리적 가치 | 정직 공개 사회적 책임 배려 |
국제 협력 | |
국제 협동조합 연맹 (ICA) | ICA 웹사이트 |
참고 | |
관련 주제 | 생활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
2. 역사
소비자 협동조합은 산업 혁명 시대에 노동 운동의 일환으로 등장했다. 산업 자본주의와 산업 혁명의 과잉에 대한 비판적인 반응으로 시작되었으며, 일부 노동자 협동조합은 무제한적인 자본주의의 폐해와 임금 노동의 불안정성에 대처하기 위해 만들어졌다.[5]
최초로 기록된 소비자 협동조합은 1769년[6] 스코틀랜드 이스트에이셔의 페닉에서 설립된 페닉 직조공 협회이다. 이 협회는 지역 직조공들이 존 워커의 하얀색 앞방에 귀리 자루를 옮겨 담고 내용물을 할인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결성되었다. 이후 1812년에 설립된 레녹스타운 친목 식료품 협회 등 여러 협동조합이 만들어졌다.[7]
협동조합 운동의 기초가 된 철학은 로버트 오웬과 샤를 푸리에와 같은 사회주의 작가들에게서 나왔다. 로버트 오웬은 노동자들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믿었으며, 스코틀랜드 뉴라나크의 면방직 공장에서 이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실행했다. 그는 "협동촌"을 통해 노동자들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스코틀랜드 오비스톤과 미국 뉴하모니에 설립한 공동체는 실패했다.
19세기 초, 윌리엄 킹은 오웬의 아이디어를 더 실용적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The Co-operator''[9]라는 간행물을 통해 협동조합 철학과 운영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했다.
2. 1. 세계

최초의 성공적인 협동조합은 1844년 영국에서 설립된 로치데일 공정 선구자 협동조합이었다. 이는 현대 협동조합 운동의 발전과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13] 산업 혁명의 기계화로 인해 더 많은 숙련 노동자들이 빈곤에 시달리자, 이들 장인들은 힘을 합쳐 자신들이 감당할 수 없는 식료품을 판매하는 자체 상점을 열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과거 협동조합 실패의 교훈을 염두에 두고, 현재 유명한 로치데일 원칙을 설계했으며, 4개월에 걸쳐 한 사람당 1 파운드 스털링을 모아 총 28GBP의 자본을 마련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1844년 12월 21일, 그들은 버터, 설탕, 밀가루, 오트밀, 촛불 몇 개로 구성된 매우 빈약한 상품을 갖춘 상점을 열었다. 3개월 이내에 차와 담배를 포함하도록 품목을 확장했으며, 곧 고품질의 순수한 상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협동조합 그룹은 많은 독립 소매 협동조합, 그리고 그들의 도매 협동조합 및 연합의 합병을 통해 140년 동안 점진적으로 형성되었다. 1863년, 로치데일 선구자들이 협동조합을 연 지 20년 후, 300개의 개별 협동조합에 의해 요크셔와 랭커셔 전역에 걸쳐 잉글랜드 북부 협동조합이 출범했다. 1872년까지 이는 협동조합 도매 협회(CWS)로 알려지게 되었다. 20세기를 거치면서 스코틀랜드 협동조합 도매 협회(1973)와 사우스 서버번 협동조합(1984)과 같은 소규모 협동조합이 CWS와 합병되었다.
세계적으로는 캐나다의 협동조합 운동가인 알렉산더 레이드로의 "레이드로 보고서"가 오늘날 협동조합 운동의 큰 지침이 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조합원의 민주적 참여"와 "협동조합의 경제적 목적뿐만 아니라 사회적 목적"이 기본적인 생각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1980년대부터 경제 상황이 시장주의적인 경향을 강화하는 가운데, 협동조합도 기업적인 색채를 짙게 띠게 된 것에 대한 경종이었다.
영국의 저널리스트 폴 메이슨영어은 2015년에 출판한 ''포스트 자본주의: 우리의 미래에 대한 안내''에서 협동조합이 2008년부터의 세계적인 경제 위기 속에서도 조합 수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안정적으로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포스트 자본주의 사회에서 협동조합의 역할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탈리아의 철학자 안토니오 네그리는 저서에서, 세계화가 진행되는 현대 사회에서 협동조합이 수행해야 할 역할에 기대를 나타내는 서술을 하고 있다.
2. 1. 1. 기원
소비자 협동조합은 산업 혁명 시대에 노동 운동의 일환으로 등장했다. 고용이 산업 지역으로 이동하고 직업 분야가 쇠퇴하면서, 노동자들은 스스로 사업을 조직하고 통제하기 시작했다. 노동자 협동조합은 원래 "산업 자본주의와 산업 혁명의 과잉에 대한 비판적인 반응"에서 시작되었으며, 일부는 "무제한적인 자본주의의 폐해와 임금 노동의 불안정성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었다.[5]최초로 기록된 소비자 협동조합은 1769년에[6] 스코틀랜드 이스트에이셔의 페닉에서 설립되었다. 지역 직조공들이 존 워커의 하얀색 앞방에 귀리 자루를 옮겨 담고 내용물을 할인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페닉 직조공 협회를 결성했다.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1812년에 설립된 레녹스타운 친목 식료품 협회를 포함하여 여러 협동조합이 만들어졌다.[7]
협동조합 운동의 기초가 된 철학은 로버트 오웬과 샤를 푸리에와 같은 사회주의 작가들에게서 나왔다. 협동조합 운동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로버트 오웬은 면화 거래로 재산을 모았지만, 노동자들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믿었다. 이 아이디어는 최초의 협동조합 상점이 문을 연 스코틀랜드 뉴라나크의 면방직 공장에서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다. 오웬은 노동자들이 스스로 식량을 재배하고, 옷을 만들고, 자치 정부가 됨으로써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협동촌"을 만들고자 했다. 그는 스코틀랜드의 오비스톤과 미국의 뉴하모니에 그러한 공동체를 만들려 했지만, 두 공동체 모두 실패했다.
비슷한 초기 실험이 19세기 초에 이루어졌으며 1830년까지 수백 개의 협동조합이 있었다.[8] 윌리엄 킹은 오웬의 아이디어를 더 실용적으로 만들었다. 그는 작은 규모로 시작하는 것을 믿었고, 노동 계급이 스스로 협동조합을 설립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1828년 5월 1일에 첫 번째 판이 출판된 월간 간행물인 ''The Co-operator''[9]를 창간하여, 협동조합 철학과 협동조합 원칙을 사용하여 상점을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했다.
2. 1. 2. 현대 운동
소비자 협동조합은 산업 혁명 시대에 노동 운동의 일환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고용이 산업 지역으로 이동하고 직업 분야가 쇠퇴하면서, 노동자들은 스스로 사업을 조직하고 통제하기 시작했다. 노동자 협동조합은 원래 "산업 자본주의와 산업 혁명의 과잉에 대한 비판적인 반응"에서 시작되었으며, "무제한적인 자본주의의 폐해와 임금 노동의 불안정성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었다.[5]최초로 기록된 소비자 협동조합은 1769년에[6] 스코틀랜드 이스트에이셔의 페닉에서 설립된 페닉 직조공 협회였다. 지역 직조공들이 존 워커의 앞방에 귀리 자루를 옮겨 담고 내용물을 할인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1812년에 설립된 레녹스타운 친목 식료품 협회를 포함하여 여러 협동조합이 형성되었다.[7]
로버트 오웬과 샤를 푸리에와 같은 사회주의 작가들은 협동조합 운동의 기초가 된 철학을 제시했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협동조합 운동의 아버지로 여겨지는[8] 로버트 오웬은 노동자들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믿었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최초의 협동조합 상점이 문을 연 스코틀랜드 뉴라나크의 면방직 공장에서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다. 오웬은 노동자들이 스스로 식량을 재배하고, 옷을 만들고, 자치 정부가 됨으로써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협동촌"을 형성하려는 아이디어를 갖게 되었다. 그는 스코틀랜드의 오비스톤과 미국의 뉴하모니, 인디애나에 그러한 공동체를 형성하려고 시도했지만, 두 공동체 모두 실패했다.
19세기 초에 이루어진 비슷한 초기 실험은 1830년까지 수백 개의 협동조합을 탄생시켰다.[8] 윌리엄 킹 (의사)은 오웬의 아이디어를 더 실용적이고 현실적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작은 규모로 시작하는 것을 믿었고, 노동 계급이 스스로 협동조합을 설립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기에, 자신의 역할을 교육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1828년 5월 1일에 첫 번째 판이 출판된 월간 간행물인 ''The Co-operator''[9]를 창간하여 협동조합 철학과 협동조합 원칙을 사용하여 상점을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했다.
최초의 성공적인 협동조합은 1844년 영국에서 설립된 로치데일 공정 선구자 협동조합이었다. 이는 현대 협동조합 운동의 발전과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13] 산업 혁명의 기계화로 인해 더 많은 숙련 노동자들이 빈곤에 시달리자, 이들 장인들은 힘을 합쳐 자신들이 감당할 수 없는 식료품을 판매하는 자체 상점을 열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과거 협동조합 실패의 교훈을 염두에 두고, 현재 유명한 로치데일 원칙을 설계했으며, 4개월에 걸쳐 한 사람당 1 파운드 스털링을 모아 총 28GBP의 자본을 마련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1844년 12월 21일, 그들은 버터, 설탕, 밀가루, 오트밀, 촛불 몇 개로 구성된 매우 빈약한 상품을 갖춘 상점을 열었다. 3개월 이내에 차와 담배를 포함하도록 품목을 확장했으며, 곧 고품질의 순수한 상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협동조합 그룹은 많은 독립 소매 협동조합, 그리고 그들의 도매 협동조합 및 연합의 합병을 통해 140년 동안 점진적으로 형성되었다. 1863년, 로치데일 선구자들이 협동조합을 연 지 20년 후, 300개의 개별 협동조합에 의해 요크셔와 랭커셔 전역에 걸쳐 잉글랜드 북부 협동조합이 출범했다. 1872년까지 이는 협동조합 도매 협회(CWS)로 알려지게 되었다. 20세기를 거치면서 스코틀랜드 협동조합 도매 협회(1973)와 사우스 서버번 협동조합 (1984)과 같은 소규모 협동조합이 CWS와 합병되었다.
2. 2. 한국
한국의 주요 생협으로는 한살림[1], iCOOP자연드림[2], 두레생협[3], [http://www.happycoop.or.kr/main.do 행복중심생협], [http://univcoop.or.kr/ 대학생활협동조합] 등이 있다.2. 2. 1. 한국의 주요 생협
- 한살림[1]
- iCOOP자연드림[2]
- 두레생협[3]
- [http://www.happycoop.or.kr/main.do 행복중심생협]
- [http://univcoop.or.kr/ 대학생활협동조합]
3. 운영 및 특징
소비자생활협동조합(생협)은 민주적 회원 통제(1인 1표) 원칙을 활용한다. 대부분의 생협은 회원이 선출한 이사회를 둔다. 이사회는 경영진을 고용하고 협동조합의 재정 및 기타 목표 달성을 보장할 책임이 있다. 이사 소환, 청원 등 민주적 기능은 협동조합의 정관에 명시될 수 있다. 대부분의 생협은 정기적인 회원 총회(대개 연 1회)를 개최한다.
대규모 생협은 다른 사업체와 마찬가지로 운영되며, 근로자, 관리자, 사무원, 제품, 고객이 필요하다. 소규모 사업체의 경우 소비자/소유자가 종종 근로자이기도 하다. 생협은 설립 및 운영 방식이 다양하지만, 로치데일 원칙을 따라야 한다. 소비자협동조합은 소비자가 지불하려는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소유자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리 기업은 비용(노동 등 포함)과 판매 가격의 차이를 투자자의 재정적 이익으로 처리하지만, 생협은 이를 공동 소유 자본으로 축적하거나, 소비자의 사회적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 분배하거나, 초과 지불로 소비자/소유자에게 환불한다.
일반적으로 "생협"은 소비자를 조합원으로 한 시민생협을 가리킨다. 생협은 조합원의 출자금으로 운영되며, 조합원은 생협을 이용하고 운영에 참여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생협 이용은 조합원에 한정되며, 출자금은 탈퇴 시 반환된다.
생협은 식품, 일용품, 의류 등 상품 전반의 공동 구매부터, 소매까지 생활 물품의 공동 구매 활동(점포 판매, 택배)이 중심이지만, 공제 사업, 의료 · 개호 서비스, 주택 분양, 관혼상제까지 사업이 광범위하다.
생협 중에는 다중 채무자나 생활 곤궁자의 생활 재건을 위해 저리 융자하는 소비자 신용 생활 협동조합 (이와테현)[39][40], 영화관을 운영하는 미야코 영화 생활 협동조합 (이와테현), 배우, 성우 등 연예인의 매니지먼트 (연예 기획사)를 하는 도쿄 배우 생활 협동조합 (하이쿄·도쿄도), 도시 가스를 공급하는 사카에 가스 소비 생활 협동조합 (니가타현)과 같은 독특한 조합도 있다.
생협 조직에는 전국노동자공제생활협동조합연합회 (코쿠민 공제 coop·전노제), 일본생활협동조합연합회 (일본생협련), 전국생활협동조합연합회 (전국생협련), 전국대학생활협동조합연합회와 같은 연합회도 있다. 단위 생협은 각 연합 내에서 공동 구매나 공동 사업을 하지만, 각 생협은 독립적으로 경영되며 경쟁하기도 한다.
공제 사업에서는, 노동조합 조직에서 발전한 전국노동자공제생활협동조합연합회 (코쿠민 공제 coop)의 "코쿠민 공제", "단체 생명 공제", "마이카 공제", "화재·자연 재해 공제", 일본생협련의 "CO-OP 공제", 전국생협련의 "현민(도민·부민·도민) 공제"(단, 가나가와현에서는 "전국 공제"), 독립 생협 ("가나가와현민 공제", "아이치현 공제 생활 협동조합(라이프 공제)" 등)이 경쟁한다.
일반적으로 조합원이 운영하고, 조합원 자신이 이용한다는 형태상, 이익 추구보다는 소비자 입장에서 운영이 이루어진다. 대규모 슈퍼마켓과 비교해 반드시 가격이 저렴한 것은 아니지만, 소비자 측 시각을 가지고 판매한다는 안전, 안심감을 내세운다.
3. 1. 운영 원리
최초의 성공적인 협동조합은 1844년 영국에서 설립된 로치데일 공정 선구자 협동조합이었다. 이는 현대 협동조합 운동의 발전과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13] 산업 혁명으로 인해 많은 숙련 노동자들이 빈곤에 시달리자, 이들은 힘을 합쳐 자신들이 감당할 수 없는 식료품을 판매하는 자체 상점을 열기로 결정했다.이들은 과거 협동조합 실패의 교훈을 바탕으로 로치데일 원칙을 설계했으며, 4개월에 걸쳐 1인당 1 파운드 스털링씩 모아 총 28파운드의 자본을 마련했다. 1844년 12월 21일, 버터, 설탕, 밀가루, 오트밀, 양초 몇 개로 구성된 매우 빈약한 상품을 갖춘 상점을 열었다. 3개월 안에 차와 담배를 포함하도록 품목을 확장했으며, 곧 고품질의 순수한 상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은 민주적 회원 통제 (1인 1표) 원칙을 활용한다. 대부분의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은 회원이 선출한 이사회를 둔다. 이사회는 경영진을 고용하고 협동조합의 재정적, 기타 목표 달성을 보장할 책임이 있다. 이사 소환, 청원 등 민주적 기능은 협동조합의 정관에 명시될 수 있다. 대부분의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은 정기적인 회원 총회(대개 연 1회)를 개최한다. 조합의 각 회원은 가입 시 지불한 금액과 동일한 지분을 갖는다.
대규모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은 다른 사업체와 마찬가지로 운영되며, 근로자, 관리자, 사무원, 제품, 고객이 필요하다. 소규모 사업체의 경우 소비자/소유자가 종종 근로자이기도 하다.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은 설립 및 운영 방식이 다양하지만, 진정한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 되려면 로치데일 원칙을 따라야 한다.
일반적으로 "생협"은 소비자를 조합원으로 한 시민생협을 가리킨다. 생협은 조합원의 출자금으로 운영되며, 조합원은 생협을 이용하고 운영에 참여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생협 이용은 조합원에 한정되며, 출자금은 탈퇴 시 반환된다. 조합원이 운영하고, 조합원 자신이 이용한다는 형태상, 이익 추구보다는 소비자 입장에서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3. 2. 재정 및 자본 축적
소비자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출자금으로 운영되며, 조합원은 생협을 이용하고 운영에도 참여할 수 있다. 영리 기업이 이윤을 추구하는 것과 달리, 소비자협동조합은 조합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11]생협은 조합원이 낸 출자금으로 운영되며, 출자금은 탈퇴 시 돌려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협"이라고 부르는 경우는 소비자를 조합원으로 한 시민생협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이익을 남기기보다는 조합원들에게 낮은 가격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5년 말 기준으로 일본의 생활협동조합 현황은 다음과 같다.
3. 3. 사회적 목표 추구

다양한 정치적 관점을 가진 많은 소비자 협동조합 옹호자들은 협동조합 설립을 더 넓은 사회적 목표 달성에 필수적인 요소로 여겼다.
예를 들어, 1844년 영국에서 최초의 소비자 협동조합 중 하나를 설립한 로치데일 선구자의 설립 문서는 그들이 시작한 단순한 상점을 훨씬 뛰어넘는 비전을 표현했다.[13]
> 가능한 한 빨리, 이 사회는 생산, 유통, 교육 및 정부의 권한을 정리하거나, 다시 말해 공동의 이익을 가진 자급자족적인 홈-콜로니를 설립하거나, 그러한 콜로니를 설립하는 다른 사회를 지원해야 한다.
협동 연방주의는 베아트리체 웹의 저술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서, 사회 개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비자 협동조합 연합의 결성을 옹호했다. 그들은 이러한 발전이 경제적 민주주의와 정의, 투명성, 더 높은 제품 순도, 그리고 소비자에게 재정적 이점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었다.[14]
3. 4. 일본 생협의 공동 구매 사업
일본 생협의 공동 구매 사업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독특한 형태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취급 품목이 제한적이었지만, 일반 유통 상품과 차별화된 자체 브랜드(PB) 상품을 중심으로 취급하여 조합원들의 지지를 얻었다.특히, 연합회 전체가 상품의 안전성에 중점을 둔 정책을 펼쳐 업계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상품 개발에도 앞장섰다.
현재는 그룹 배송 대신 개인 자택 배송이 늘어나고, 취급 상품이 대형 할인점과 유사해지면서 차별화가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나 물류 시스템 구축 및 상품 설계 방식에서는 여전히 독자적인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일본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생협 연합회가 있다.
- '''일본생활협동조합연합회(日本生協連, 일본생협련)''': 각 지역 생협, 직장 생협, 학교 생협, 대학생협, 의료 생협, 공제 생협 등 약 500개 생협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회원 생협과 일본생협련은 각각 독립된 법인으로 운영된다. 무로란 공업대학생협, 토요타 생활협동조합처럼 대학생협과 시민 생협, 시민 생협과 직장 생협이 통합된 경우도 있고, 지역 농업협동조합이 가맹한 경우도 있다.
- '''일본 코프 공제 생활협동조합연합회(日本コープ共済生活協同組合連合会, 코프공제련)''': 일본생협련에서 공제 사업을 계승하기 위해 설립된 공제 전문 생협 연합회이다. CO・OP공제, 아이아이 공제, 아이플러스, 학생 종합 공제, CO・OP 화재 공제+자연재해 공제, 마이카 공제 등을 제공하며, 가까운 생협 창구나 인터넷으로 가입할 수 있다.
- '''전국노동자공제생활협동조합연합회(全国労働者共済生活協同組合連合会, 국민공제 coop)''': 원래 노동조합을 위한 공제였으나, 현재는 출자금을 내고 조합원이 되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국민공제, 종합 의료 공제, 단체 생명 공제 등의 생명 보장과 화재 공제, 자연 재해 공제, 마이카 공제 등의 손해 보장을 제공한다. 2019년에 대외 호칭이 전노제에서 국민공제 coop으로 변경되었으며, 전국에 '공제 숍'이라는 대면 상담형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 '''전국대학생활협동조합연합회(全国大学生活協同組合連合会, 전국대학생협련)''': 각 대학교 구매 생협(대학생협)의 중앙 조직으로, 지역별 공동 구매를 진행하기도 한다.
- '''일본 의료복지생활협동조합연합회(日本医療福祉生活協同組合連合会, 의료복지생협련)''': 의료 및 복지 종사 의료 생협의 전국 조직으로, 111개 의료 생협이 가맹되어 있으며, 산하에 78개 병원과 350개 진료소를 두고 있다.
4. 각국의 현황
유럽, 일본,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의 생활협동조합(생협)이 운영되고 있다.
- '''일본:''' 1,400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소비자 생활협동조합 운동이 활발하다. 효고현에 위치한 코프 고베(コープこうべ)는 일본 최대의 소매 생협으로, 120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여 세계 최대의 생협 중 하나이다. 소매 생협 외에도 의료, 주택, 보험 생협과 더불어 기관 (직장 기반) 생협, 학교 교사 생협, 대학 기반 생협 등이 있다.[19]
- '''미국:''' 시애틀에 위치한 PCC (퓨젯 소비자 협동조합) 내추럴 마켓은 미국 최대 규모의 소비자 소유 식품 협동조합이다.[23] R.E.I.는 시애틀에 본사를 둔 야외 스포츠 장비 전문점으로, 미국에서 가장 큰 소비자 협동조합이다.[24]
- '''캐나다:''' 마운틴 이큅먼트 코업(MEC)은 캐나다의 주요 소비자 협동조합 중 하나였다. 캐나다 대평원 및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는[25] 주유소, 목재소, 식료품점을 Co-Op 브랜드로 찾을 수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모든 신용 협동조합은 금융 협동조합이다.[26]
- '''오스트레일리아:''' 더 코업 북샵(The Co-op Bookshop)은 온라인과 대학교 캠퍼스에서 교재를 판매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지오그래픽(Australian Geographic)을 소유하고 있었다. 2020년에 소매점은 문을 닫았고 온라인 상점은 북토피아(Booktopia)에 매각되었다.[18] 뱅크 오스트레일리아(Bank Australia)는 전적으로 고객이 소유하고 있다.
- '''카리브해:''' 푸에르토리코에는 여러 개의 슈퍼마켓 팜 쿱(Supermercados Fam Coop)이 운영되고 있다.
4. 1. 유럽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생활협동조합(생협)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스위스에서는 가장 큰 두 개의 슈퍼마켓 체인인 Coop과 미그로스가 모두 협동조합이며, 이들은 스위스 최대 고용주에 속한다.
- 아일랜드에서는 더블린 푸드 협동조합이 1983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노르웨이의 국가 협동조합인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가 2002년 1월 Coop 노르덴으로 통합되었으나, 2008년에 다시 분리되었다.
- 핀란드에서는 S 그룹이 22개의 지역 협동조합과 19개의 지역 협동조합 매장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다시 고객에 의해 소유된다. 2005년 S 그룹은 소매 식료품 판매에서 36%의 점유율을 기록하여 28%의 점유율을 기록한 Kesko Oyj를 제치고 경쟁사보다 앞섰다.[16]
- 프랑스에서는 Coop Atlantique가 7개의 대형 할인점, 39개의 슈퍼마켓, 약 200개의 편의점을 소유하고 있다.
- 독일에서는 ReWe 그룹이 수천 개의 소매점, 할인점 및 관광 에이전시를 포함하는 소비자 협동조합의 다양한 지주 회사이다.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슈퍼마켓 체인이며 세계 10대 협동조합 그룹에 속한다.[17]
- 스페인에서는 Eroski가 몬드라곤 협동조합 기업 내의 슈퍼마켓 체인이다. 노동자-소비자 하이브리드로, 일부 직원은 고용된 노동자이고 일부는 소유주-노동자이다. 소유주에는 노동자와 단순 소비자가 포함되지만, 구매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다. Eroski가 소유하지 않지만 제품 범위를 공유하는 ''Aliprox'' 브랜드의 프랜차이즈를 운영한다. 그 기원은 바스크 지방이다. 확장 과정에서 발렌시아에 기반을 둔 협동조합 Consum과 합병했지만, 합병은 2005년에 해체되었다. 스페인 전역으로 확장되었고 프랑스와 지브롤터에 진출했다. 2008년 스페인 경제 위기 이후, Eroski는 여러 슈퍼마켓과 대형 할인점을 매각했다.
4. 1. 1. 영국
19세기 영국의 실업가 로버트 오웬이 노동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공장 내에 구매부(매점) 등을 설치한 '이상 공장'을 스코틀랜드 뉴 라나크에 설립한 것에서 유래한다. 맨체스터 교외의 로치데일은 방적업이 활발한 공업 지역이었지만, 공장 노동자들은 생활용품을 비싸게 구매해야 했고, 잦은 파업이 발생했다. 이후 노동자들은 자금을 모아 상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로치데일 선구자 협동조합을 설립했는데, 이것이 세계 최초의 생활협동조합이자, 근대적 협동조합의 시초가 되었다.[31]
영국에서는 로치데일 선구자 협동조합의 흐름을 잇는 Co-op Food영어가 세계 최대의 생협으로 사업 운영을 계속하고 있다. 본부는 맨체스터에 있다.[32] The Co-op은 Co-op Food(영국 6위의 슈퍼마켓 체인), Co-op Funeralcare, Co-op Travel, Co-op 법률 서비스, Co-op Electrical을 포함하여 5,500개 이상의 'Co-op' 브랜드 사업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더 협동조합 그룹은 이러한 사업체 중 최대 규모이며, 4,50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공동 구매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15]
4. 1. 2.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는 여러 하위 협동조합으로 구성된 Coop Italia 체인이 2005년 식료품 시장의 17.7%를 점유했다.[16] 이탈리아의 생활협동조합은 영국에서 시작된 지 10년 후에 시작되었으며,[33] 택배보다는 점포 위주로 운영된다.[33] 조합원의 이용이 일정 수 이상 없으면 정부로부터 감세 조치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조합원의 이용 촉진에 특히 열심이다.[33]이탈리아에는 7개의 거대한 생협이 있으며, 대형 할인점, 슈퍼 스토어, 소형 점포 등을 각 도시에 전개하고 있다.[33] 특히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생협이 발달하여, 이탈리아 전역의 유통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18%를 넘는다.[33]
4. 1. 3. 기타 유럽 국가
영국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소비자 협동조합 연합 중 하나인 The Co-op이 운영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Co-op Food(영국 6위의 슈퍼마켓 체인), Co-op Funeralcare, Co-op Travel, Co-op 법률 서비스, Co-op Electrical을 포함하여 5,500개 이상의 'Co-op' 브랜드의 사업 지점이 있다. 더 협동조합 그룹은 이러한 사업체 중 단연 최대 규모이며, 4,50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공동 구매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15]스위스에서는 가장 큰 두 개의 슈퍼마켓 체인인 Coop과 미그로스가 모두 협동조합이며, 이들은 스위스 최대 고용주에 속한다.
아일랜드에서는 더블린 푸드 협동조합이 1983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노르웨이의 국가 협동조합인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가 2002년 1월 Coop 노르덴으로 통합되었으나, 2008년에 다시 분리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여러 하위 협동조합으로 구성된 Coop Italia 체인이 2005년 식료품 시장의 17.7%를 점유했다.
핀란드에서는 S 그룹이 22개의 지역 협동조합과 19개의 지역 협동조합 매장에서 소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다시 고객에 의해 소유된다. 2005년 S 그룹은 소매 식료품 판매에서 36%의 점유율을 기록하여 28%의 점유율을 기록한 Kesko Oyj를 제치고 경쟁사보다 앞섰다.[16]
프랑스에서는 Coop Atlantique가 7개의 대형 할인점, 39개의 슈퍼마켓, 약 200개의 편의점을 소유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ReWe 그룹이 수천 개의 소매점, 할인점 및 관광 에이전시를 포함하는 소비자 협동조합의 다양한 지주 회사이다.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슈퍼마켓 체인이며 세계 10대 협동조합 그룹에 속한다.[17]
스페인에서는 Eroski가 몬드라곤 협동조합 기업 내의 슈퍼마켓 체인이다. 노동자-소비자 하이브리드로, 일부 직원은 고용된 노동자이고 일부는 소유주-노동자이다. 소유주에는 노동자와 단순 소비자가 포함되지만, 구매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다. Eroski가 소유하지 않지만 제품 범위를 공유하는 ''Aliprox'' 브랜드의 프랜차이즈를 운영한다. 그 기원은 바스크 지방이다. 확장 과정에서 발렌시아에 기반을 둔 협동조합 Consum과 합병했지만, 합병은 2005년에 해체되었다. 스페인 전역으로 확장되었고 프랑스와 지브롤터에 진출했다. 2008년 스페인 경제 위기 이후, Eroski는 여러 슈퍼마켓과 대형 할인점을 매각했다.
4. 2. 일본
1900년 시나가와 야지로와 히라타 토스케를 중심으로 독일의 협동조합을 본받아 자본주의 폐해 시정, 중산층 육성, 서민 생활 안정을 목적으로 산업조합법이 제정되었다. 산업조합법에 따라 신용, 판매, 구매, 이용 4가지 업종의 산업조합이 설립되었고, 이는 농업협동조합, 어업협동조합, 신용금고, 신용협동조합 등의 모체가 되었다. 생활협동조합(생협)도 초기에 이 법에 근거했다.생활협동조합은 노동자나 소비자들이 스스로 출자금을 모아 설립하고 사업을 시작한 "아래로부터의 조직"으로 평가받는다. 가가와 도요히코 등이 1920년대 시작한 "농민운동조직"이나 "구매조합"을 잇는 생활협동조합 코프 고베는 일본 최초이자 가장 오래된 생협이다.
전후 생협은 소비생활협동조합법에 근거해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직장, 학교, 지역에 작은 생협이 많이 설립되었고, 합병, 해산, 신규 설립을 반복하며 현재 모습이 되었다. 오랫동안 현 경계를 넘는 사업이 금지되어 현 단위 통합 경향이 있었으나, 같은 현 내에서도 새로운 생협이 설립되며 경쟁 관계가 생기기도 했다.
일본 지역 생협은 조합원 그룹을 만들어 트럭으로 배달하는 "공동 구매 사업"이 특징이다. 이는 1970년대 전후 식품 안전성에 대한 불신 시기에 대학생협을 모체로 각지에 지역 생협이 설립되며 생겨난 일본 특유의 시스템이다.
일본의 생협 관련 조직은 다음과 같다.
조직명 | 설명 |
---|---|
전국생활협동조합연합회(전국생협련) | 도도부현 단위의 공제 생협 연합회 (예: 현민공제 아이치현생활협동조합) |
전국공제생활협동조합연합회 | 화재 보험 연합회 |
생협 사업 연합 | 현역·직역 제한이 있는 생협들이 공동 구매 등 큰 사업을 할 때 조직. 지역 생협은 사업 연합 단위의 공동 개발 상품 (PB 상품)을 많이 만든다. (예: 코프 도호쿠, 코프 델리 생활협동조합연합회, 유코프 사업 연합, 코프 호쿠리쿠 사업 연합, 도카이 코프 사업 연합, 코프 킨키 사업 연합, 코프 주고쿠 시코쿠 사업 연합, 코프 규슈 사업 연합, 생활클럽 사업연합 생활협동조합연합회, 팔시스템 생활협동조합연합회, 코프 자연파 사업 연합, 생활협동조합연합회 키라리, 그린코프 생활협동조합연합회) |
도도부현 단위의 생활협동조합연합회 | 각 단협은 도도부현 단위 연합회와 사업별 연합회 양쪽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
자회사 | 비영리 협동조합인 생협 조직이 식품 제조·가공, 컴퓨터 시스템 개발 등 특정 업무를 위해 개별 생협이나 일본생협련 등 연합회 출자로 만든 자회사 (100% 출자도 있음) |
4. 2. 1. 일본의 주요 생협
일본은 1,400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크고 잘 발달된 소비자 생활협동조합 운동을 펼치고 있다. 2003년 4월 소매 생협만으로도 210억달러의 총매출을 기록했다.[19] 코프 고베(コープこうべ)는 효고현에 위치한 일본 최대의 소매 생협이며, 120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여 세계 최대의 생협 중 하나이다. 소매 생협 외에도 의료, 주택, 보험 생협과 더불어 기관 (직장 기반) 생협, 학교 교사 생협, 대학 기반 생협 등이 있다.일본 전체 가구의 약 5분의 1이 지역 소매 생협에 가입되어 있으며, 생협 회원 중 90%가 여성이다.[20] 거의 600만 가구가 1,788,000개의 한 그룹 중 하나에 소속되어 있다.[19] 이들은 이웃에 사는 5~10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주 합산 주문을 하여 다음 주에 트럭으로 배달받는다. 최근 일본 소비자 생협의 강점은 시장을 거치지 않고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신선한 농산물을 직접 보내는 공동체 지원 농업의 성장이다.
예를 들어 도쿄 도와 가나가와현의 일부 생협 단체는 1970년대부터 지역 정당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운동"("도쿄 생활자 네트워크",[21] "가나가와 네트워크 운동" 등)이라고 칭한다. 이들은 소비자 운동, 페미니즘, 지역주의에 의존하며, 반핵을 선호한다. 이 정당들은 현 및 시의회에서 작지만 꾸준한 의석을 유지하고 있다.
4. 2. 2. 생협 운동과 여성
일본 전체 가구의 약 5분의 1이 지역 소매 생활협동조합(생협)에 가입되어 있으며, 생협 회원 중 90%가 여성이다.[20]1920년대부터 코프 고베의 기원인 나다 생활협동조합[34]이나 고베 소비조합[35]에서 '가정회'가 시작되었다. 가정회에서는 주부들이 재봉 순서나 음식 보관법을 배우고, 사회나 경제의 움직임에 대한 강연회를 개최하는 등 활동을 했다. 일본의 여성 참정권이 아직 없던 시대부터의 가정회 활동은 여성의 권리 확립과 여성의 사회 진출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전후 나가야 하루코는 전부터 계속된 가정회를 발전시켜, 가사 도우미 서비스 그룹 '네잎클로버회'나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하는 여성들이 결성한 '부인 공영회'의 설립을 주도했다. 또한 가정회에서 협동 취사, 자작 그림 연극 만들기의 보급, 가계부 작성법 강습회와 가계 그룹의 조직화에도 힘썼다. 나가야의 활동은 하니 모토코의 전국 벗의 회의 영향도 컸다고 한다. 가정회의 활동은 현재 코프 고베의 조합원 활동 (통칭 '쿠미카츠')이나 '코프 생활 도움회'에도 이어지고 있다.[36][37]
도쿄도에서는 생활클럽 생활협동조합 연합회의 조합원들이 자신들의 대표를 지방 의회에 보내자는 운동이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대리인 운동이라고 불리는 이 운동은 도쿄・생활자 네트워크라는 지역 정당을 결성하게 했고, 여성의 의회 진출의 발판이 되었다. 대리인 운동의 의원 대다수는 여성이라는 특징이 있다. 현재는 도쿄뿐만 아니라 인접 현인 수도권 각 현이나 삿포로, 나가노, 후쿠오카 등에서도 대리인 운동의 흐름을 이어받은 지역 정당, 지방 의원이 활동하고 있다. 대리인 운동 출신으로는 국회의원 오가와라 마사코 (입헌민주당)가 있다. 수장으로는 우에하라 키미코 (전 구니타치 시장)가 있다.
오사카부를 중심으로 한 간사이권에서는 간사이 네잎클로버 연락회가 1970년대에 발족했다. 네잎클로버는 유기농법으로 생산된 식품과 안전한 생활용품을 회원에게 전달하는 사업체이며, 연락회에는 호쿠세츠・다카츠키 생활협동조합과 효고 이키이키 코프도 포함된다. 네잎클로버는 호쿠세츠 지역이나 효고현 내를 중심으로 정치인의 지원도 하고 있다. 여기에는 예로 쓰지모토 키요미 (입헌민주당), 나카가와 토모코 (전 다카라즈카 시장)가 있다.[38]
4. 3. 북미
PCC (퓨젯 소비자 협동조합) 내추럴 마켓은 시애틀에 위치한 미국 최대 규모의 소비자 소유 식품 협동조합이다.[23] 전국 협동조합 식료품 협회는 식품 협동조합 목록을 유지 관리한다.R.E.I.는 시애틀에 본사를 둔 야외 스포츠 장비 전문점으로, 미국에서 가장 큰 소비자 협동조합이다.[24]
마운틴 이큅먼트 코업(MEC)은 캐나다의 주요 소비자 협동조합 중 하나였다. 캐나다 대평원 및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는[25] 주유소, 목재소, 식료품점을 Co-Op 브랜드로 찾을 수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모든 신용 협동조합은 금융 협동조합이다.[26] 팀 워스톨은 뱅가드 그룹을 고객 소유 협동조합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뱅가드 펀드의 소유자가 펀드 투자자들이기 때문이다.[27]
4. 4. 오스트레일리아
더 코업 북샵(The Co-op Bookshop)은 온라인과 대학교 캠퍼스에서 교재를 판매했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지오그래픽(Australian Geographic)을 소유하고 있었다. 2020년에 소매점은 문을 닫았고 온라인 상점은 북토피아(Booktopia)에 매각되었다.[18]1946년에 설립된 와인 소사이어티(The Wine Society, 오스트레일리아 와인 소비자 협동조합 유한회사)는 현재 58,0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소사이어티는 자체 라벨로 프리미엄 와인을 구매 및 판매하고, 종합적인 와인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젊은 와인 제조자들의 우수성을 인정한다.
뱅크 오스트레일리아(Bank Australia)는 2011년 회원 및 교육 신용조합으로 설립되었다. 2015년에 뱅크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 은행은 전적으로 고객이 소유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125,000명으로 보고되었다.
4. 5. 카리브해
푸에르토리코에는 여러 개의 슈퍼마켓 팜 쿱(Supermercados Fam Coop)이 운영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Consumer Co-operatives: Democracy - Development - Employment
http://www.eurocoop.[...]
2011-06-07
[2]
서적
Cooperative Peace
http://abob.libs.uga[...]
[3]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Pearson Prentice Hall
[4]
서적
Consumers' Co-operative Societies
http://fax.libs.uga.[...]
[5]
서적
Putting Democracy To Work: A Practical Guide for Starting and Managing Worker-Owned Businesses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6]
웹사이트
The Meaning of Rochdale
http://www.usaskstud[...]
[7]
웹사이트
Lennoxtown (Local History)
http://www.eastdunba[...]
[8]
웹사이트
Social strife: The birth of the co-op
http://www.cottontim[...]
[9]
서적
The Co-operator
https://books.google[...]
1828
[10]
잡지
The Farmer Takes a Town
http://www.time.com/[...]
1944-12-25
[11]
학술지
Attacks Splutter
http://fax.libs.uga.[...]
CO-OP Magazine
1946-01
[12]
웹사이트
Problems of Cooperation
http://fax.libs.uga.[...]
[13]
학술지
Co-op Principles: Then and Now
http://www.cooperati[...]
1994-07-08
[14]
학술지
What Consumers' Cooperation does
http://fax.libs.uga.[...]
1934-05
[15]
웹사이트
View the top 300 co-operatives from around the world
http://www.thenews.c[...]
2014-02-04
[16]
서적
Retailing in Finland
http://www.euromonit[...]
Euromonitor International
2006-10
[17]
웹사이트
The world's biggest 300 co-operatives
https://www.theguard[...]
2012-01-04
[18]
웹사이트
Co-op bookshop to disappear from university campuses
https://www.smh.com.[...]
2020-01-30
[19]
간행물
Japanese Consumers' Co-operative Union.
[20]
문서
Takamura
[21]
웹사이트
Tokyo Seikatusha Network Official Site
http://www.seikatsus[...]
[22]
웹사이트
Kanagawa Network Movement Official Site
http://kanagawanet.o[...]
[23]
웹사이트
Food Co-ops and Associates - Co-op Grocer Network
http://cooperativegr[...]
[24]
웹사이트
REI: Financial Information | REI Co-op
http://www.rei.com/a[...]
[25]
웹사이트
Consumer Co-op Archives - BC Coop Association
http://bcca.coop/mem[...]
[26]
서적
The Credit Union Movement: Origins and Development 1850 to 1980
[27]
웹사이트
Memo For Bernie: World's Second Largest Investor, Vanguard, Is Socialist
https://www.forbes.c[...]
[28]
웹사이트
Consumers' co-operativeの意味
http://ejje.weblio.j[...]
Weblio
[29]
웹사이트
消費者生活協同組合の英訳
http://eow.alc.co.jp[...]
アルク
[30]
웹사이트
Home ICA
http://ica.coop/
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31]
서적
日本生活協同組合運動史
日本評論社
[32]
웹사이트
Co-op Food Local convenience on food, drink and groceries
http://www.co-operat[...]
The Co-operative Group
[33]
뉴스
海外の協同組合。組合員たちの働き方にヒントあり
https://special.nikk[...]
日経BP 未来開墾ビジネスファーム
2017-02-28
[34]
문서
灘生協の「家庭会」の中心に島田薫がいた。
[35]
문서
神戸生協の「家庭会」の中心には小泉初瀬がいた。
[36]
웹사이트
くみかつのあゆみ
https://kumikatsu.ko[...]
2022-07-23
[37]
웹사이트
永谷晴子氏(コープこうべ元常務理事)13日死去
https://news.nissyok[...]
2022-07-23
[38]
웹사이트
よつばつうしん〈2018年7月号(No.088) -8〉
https://www.yotuba.g[...]
[39]
뉴스
八戸に相談窓口開設へ 県消費者信用生協
http://www.iwate-np.[...]
2010-05-28
[40]
문서
共同購買が活動の中心の生協にも、同様の貸付事業を併せて実施する生協が存在する。詳細は、[[マイクロファイナンス#日本におけるマイクロファイナンス]]を参照。
[41]
웹사이트
虹の旗の由来
http://www.lib.hit-u[...]
一橋大学附属図書館
2011-09-22
[42]
웹사이트
生協総合研究所
http://ccij.jp/
2017-06-04
[43]
웹사이트
協同組合総合研究所
http://jicr.roukyou.[...]
2017-06-04
[44]
웹사이트
日本協同組合学会
https://www.coopstud[...]
2017-06-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차 소비쿠폰 제외 고액자산가, 과세표준 12억·금융소득 2천만원 검토”
2차 소비쿠폰 지급 시 고액자산가 제외…사용 확대
2차 소비쿠폰 지급서 '재산세 과세표준 12억 초과' 제외 검토
2차 소비쿠폰 지급 시 고액자산가 제외…생협·군장병 사용 확대
2차 소비쿠폰, 군 복무지·생협서도 가능하게…9월22일 지급
“여든에도 세월호 분향소 11년 지킨 전북 민주화운동 큰어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