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얼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오얼징은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중국어 표기 체계로, 주로 한자를 모르는 회족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명칭은 지역과 민족에 따라 다르며, '샤오얼징' 외에도 '샤오징', '샤오얼진', '샤오진' 등으로 불린다. 7세기 중반 이슬람교의 전파와 함께 아랍 문자를 차용하여 중국어를 표기하기 시작한 것이 기원으로, 초기에는 이슬람 경전이나 청진사 비문 등에 사용되었다. 샤오얼징은 경당문과 일상문으로 나뉘며, 한어 병음의 보급과 한자 교육의 확대로 인해 사용 빈도가 줄었지만, 회족어의 고유한 발음을 표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나 알-파티하와 같은 문헌의 샤오얼징 표기 예시를 통해 그 사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이족 문화 - 둥간어
둥간어는 19세기 둥간 반란 이후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후이족 후손들이 간쑤성 방언을 기반으로 러시아어와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시킨 독립적인 언어로, 소련 시대에 표준어가 개발되어 키릴 문자로 교육 및 출판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후이족 문화 - 훼이민보
훼이민보는 키르기스 자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에서 1930년 키르기스어 신문으로 창간되어 둥간어, 소련어 신문으로 제호를 변경하며 발행되다가 소련 붕괴 이후 현재의 제호로 변경되어 발행되고 있다. - 아랍 문자 - 자위 문자
자위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해 14세기경 만들어져 말레이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브루나이 공식 문자이자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종교, 문화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체계이다. - 아랍 문자 - 우르두 문자
우르두 문자는 13세기 이란에서 기원한 페르시아-아랍 문자의 변형으로, 나스타리크 서체로 쓰이는 아브자드 문자이며, 우르두어의 음운 체계를 반영하여 자모가 추가되었고, 38개의 자음과 여러 모음을 표기하며,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파키스탄과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다. - 음소 문자 - 룬 문자
룬 문자는 고대 게르만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문자 체계로, 그리스 문자와 라틴 문자의 영향을 받았으며, 주로 나무나 돌에 새겨졌고,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 음소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는 기원전 8세기경 서방 그리스 문자를 바탕으로 에트루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26자에서 시작하여 에트루리아어에 맞게 변형되었고, 라틴 문자를 비롯한 여러 고대 이탈리아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샤오얼징 | |
---|---|
개요 | |
![]() | |
이름 | 샤오얼징 (小儿经) |
로마자 표기 | Xiao'erjing |
문자 유형 | 음소 문자 |
언어 | 중국어 |
별칭 | 샤오징 (小经), 샤오얼진 (小儿锦), 샤오징 (消经) |
문자 체계 |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나바테아 문자 아라비아 문자 |
역사 | |
사용 시기 | 8세기 경 – 현재 |
지역별 명칭 | |
중국어 간체 | 小儿经 |
중국어 번체 | 小兒經 |
한어 병음 | Xiǎo'érjīng |
웨이드-자일스 | Hsiao3-er2-ching1 |
소아경 (아랍 문자 표기) | شِيَوْ عَر دٍ |
중국어 간체 (별칭) | 小经 |
중국어 번체 (별칭) | 小經 |
한어 병음 (별칭) | Xiǎojīng |
소경 (아랍 문자 표기) | شِيَوْ جٍْ |
중국어 간체 (별칭) | 消经 |
중국어 번체 (별칭) | 消經 |
한어 병음 (별칭) | Xiāojīng |
둥간어 (키릴 문자) | Щёрҗин |
둥간어 (라틴 문자) | Щёрҗин |
2. 명칭
샤오얼징은 통일된 명칭이 없으며, 지역 및 민족에 따라 다르게 불린다. 산시성(섬서), 산시성(산서), 허베이, 허난, 산둥, 베이징, 톈진, 둥베이 지방에서는 주로 "샤오얼징"(小儿经)이라고 부르며, '샤오징'(小经) 또는 '샤오징'(消经)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19] 닝샤, 간쑤, 내몽골, 칭하이 및 중국 북서부에서는 "샤오얼진"(小儿锦)이라고 부르며, '샤오진'(小锦)으로 줄여 부른다.[19]
7세기 중반 이슬람교가 당나라에 전파되면서 아랍어나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중국으로 유입되었고, 이들은 점차 중국인들과 동화되어 후이족을 형성하였다. 후이족은 이슬람 전통에 따라 꾸란을 아랍어로 배워야 했고, 모스크나 마드라사에서 아랍 문자를 익혔다. 이들은 한자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아랍 문자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표기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샤오얼징이 탄생하게 되었다.
이 외에도 둥샹족은 '둥샹문'(东鄕文) 또는 '회회문'(回回文)으로, 살라르족은 '살라문'(撒拉文)으로 부른다.[19] 중앙아시아의 둥간인(东干人)들은 1928년 라틴 문자 도입 이전까지 샤오얼징과 비슷한 '회문'(回文)을 사용했다.[20]
화북 일대에서 샤오얼징은 병음이나 주음 도입 이전에 한자음을 나타내는 보조 기호로 쓰였으며, 이것이 '샤오얼징'이라는 명칭의 유래로 추정된다. '샤오얼진'은 '샤오얼징'에서 와전된 것으로, 원래 '징(經)'이었으나 중국 북서부 방언의 영향으로 '진(錦)'으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3. 기원
3. 1. 이슬람교의 전파와 회족의 형성
7세기 중반 무렵 이슬람교가 당나라로 전파되면서 아랍어나 페르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1세기 정도 지나 이들은 중국인과 혼혈되어 현재 후이족의 조상이 되었다. 이슬람교에서는 꾸란 번역을 금지하고 있어 무슬림은 아랍어로 된 꾸란을 이해해야 했고, 어릴 때부터 모스크 등에서 아랍어나 꾸란을 배웠다. 당시 이슬람 세력이 강했던 북서부에서는 한자 교육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꾸란 학습 과정에서 익힌 아랍 문자를 써서 중국어를 표기하게 되었다. 현존하는 샤오얼징의 가장 오래된 용례는 시안의 청진사(淸眞寺, 중국에서 모스크를 가리킴)에 남아있는 비문이다. 이 비문에는 이슬람력 740년, 즉 1339년 7월 9일부터 다음 해 6월 26일 사이에 기록된 것으로, 아랍어로 꾸란 경전이 기록됨과 동시에 비석 아래쪽에 샤오얼징으로 작성된 비문과 청진사 건립에 기부한 인물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3. 2. 아랍 문자 차용과 중국어 표기
7세기 중반 이슬람교가 당나라로 전파되면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1세기 정도 후, 이들은 중국인과 혼혈되어 후이족의 조상이 되었다. 이슬람교에서는 꾸란 번역을 금지하고 있어 무슬림은 아랍어로 된 꾸란을 이해해야 했고, 어린 시절부터 모스크 등에서 아랍어와 꾸란을 배웠다. 당시 이슬람 세력이 강했던 북서부에서는 한자 교육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꾸란 학습 과정에서 익힌 아랍 문자를 사용해 중국어를 표기하게 되었다. 이는 수라 암기를 돕기 위해 중국어로 메모를 하거나, 마드라사에서 배운 아랍어 어휘를 중국어로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1] 이렇게 아랍 문자로 중국어를 표기하는 체계가 점차 발전하고 표준화되었다.[1]
현재 샤오얼징의 가장 오래된 용례는 시안의 청진사(淸眞寺, 중국에서 모스크를 가리킴)에 남아있는 비문이다. 이 비석에는 아랍어로 꾸란 경전이 기록되어 있고, 아래쪽에는 샤오얼징으로 작성된 비문과 청진사 건립에 기부한 인물 명단이 있다. 비문은 이슬람력 740년(1339년 7월 9일부터 1340년 6월 26일 사이)에 기록된 것으로 밝혀졌다.
3. 3. 초기 용례
7세기 중반부터 당나라 시대에 이슬람교가 중국에 전파되면서 많은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중국으로 이주해왔다. 수 세기 후, 이들은 토착 한족과 동화되어 오늘날의 회족을 형성했다. 많은 중국 무슬림 학생들이 마드라사에 다니며 고전 아랍어와 코란을 공부했다. 이 학생들은 한자에 대한 이해는 매우 기초적이었지만, 동화된 후에는 구어에 대한 이해가 더 뛰어났기 때문에,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아랍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종종 수라 암기를 돕기 위해 중국어로 메모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방법은 또한 마드라사에서 배운 아랍어 어휘의 중국어 번역을 작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로써, 아랍 문자로 중국어를 표기하는 시스템이 점차 개발되어 어느 정도 표준화되었다.[1]
현재 샤오얼징의 흔적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유물은 시안의 한 모스크 안뜰에 있는 석비이다. 이 비석에는 아랍어로 코란 구절이 새겨져 있으며, 샤오얼징으로 새겨진 비문 작성자들의 이름에 대한 짧은 메모가 있다. 이 비석은 이슬람력으로 AH 740년 (1339년 7월 9일과 1340년 6월 26일 사이)에 만들어졌다.[1] 일부 오래된 샤오얼징 필사본( 둔황에서 발견된 것을 포함한 다른 희귀 텍스트와 함께)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 필사본 연구소에 보존되어 있다.[1]
4. 사용 현황
샤오얼징은 규칙화된 표준 문자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명칭도 통일되어 있지 않다. 표제인 "샤오얼징"은 산시(陕东), 산시(山西), 허베이, 허난, 산둥(山东), 베이징, 톈진 및 둥베이 지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이며, ‘'''샤오징'''(小经 또는 消经)’이라고 줄여 부른다. 닝샤, 간쑤, 내몽골, 칭하이 및 중국 북서부에서는 '''샤오얼진'''이라고 하여 ‘'''샤오진'''(小锦)’으로 줄여 부른다. 둥샹족은 '''둥샹문'''(东鄕文) 혹은 '''회회문'''(回回文)으로, 살라르족에서는 '''살라문'''(撒拉文)이라고 부른다.[19] 중앙아시아의 둥간족 사이에서는 1928년에 라틴 문자가 도입되기 이전, 샤오얼징과 비슷한 회문(回文)이란 문자 체계를 쓰고 있었다.
화북 일대에서는 샤오얼징이 중국어에서 병음이나 주음이 도입되기 이전에 한자음을 나타내는 보조 기호로 쓰였고, 이것이 샤오얼징이란 명칭의 유래로 보인다. 샤오얼진은 샤오얼징에서 와전된 것이며, 본래 ‘징()’이라고 하는 자음이지만 중국 북서부에서는 운미의 ng과 n의 구별이 없고, 상성을 고평조로 발음하기 때문에 ‘진()’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4. 1. 경당문과 일상문
샤오얼징은 크게 경당문(经堂文)과 일상문(日常文)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6]- 경당문: 모스크 내에서 학생과 울라마 사이의 간단한 문장에서 사용되었으며, 아랍어, 페르시아어 계통의 이슬람 경전 전문 용어가 많이 섞여 있고 한자는 전혀 쓰이지 않았다. 기술 방법도 비교적 체계화되어 있다.[6]
- 일상문: 무슬림들이 일상적인 서신(书简)에서 사용한 것으로, 쉬운 한자가 자주 섞여 있다. 글쓴이의 발음에 따라, 자신의 아랍어, 페르시아어의 변형된 발음으로 적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외부인이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6]
구분 | 경당문(经堂文) | 일상문(日常文) |
---|---|---|
사용 목적 | 모스크 내에서 학생과 울라마 사이의 교육 | 무슬림 간의 일상적인 서신 교환 |
특징 | ||
추가 설명 | 사원과 마드라사에서 학생과 이맘들이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진정한 문자 체계로 간주될 수 있다.[6]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의 종교적 어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6] |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용했다.[6] 주로 비종교적인 문제를 다루며,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차용어는 비교적 적다.[6] 이러한 관행은 사람마다 크게 다를 수 있으며, 종종 편지를 보낸 사람과 받는 사람만이 쓰여진 내용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6] |
4. 2. 현대의 쇠퇴
현대에는 중국 내륙도 경제 개방이 진행되고 있고 농촌 지역에서도 한자 교육이 보급되는 추세이므로 샤오얼징은 점차 쓰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부터 중국 내외의 학자들이 샤오얼징 연구를 진행하여 난징대학을 중심으로 북서부 지방 현지 조사를 통해 샤오얼징으로 쓰인 문서 수집을 실시하였다.[10] 그 결과 샤오얼징은 모스크에서 교육 용도가 쇠퇴한 뒤에도 친척이나 친구 사이의 편지 교환 등에 많이 쓰였던 것으로 밝혀졌다.중앙아시아의 중국계 둥간족도 1928년에 라틴 문자를 사용한 둥간어 표기법이 제정되고 1953년에는 키릴 문자로 바뀌면서 이들 문자에 의한 공교육이 실시됨으로 말미암아 샤오얼징은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다.
4. 3. 학술 연구 및 보존 노력
1980년대 중반부터 중국 안팎의 학자들이 샤오얼징 연구를 진행하였다. 난징대학을 중심으로 북서부 지방 현지 조사를 통해 샤오얼징으로 쓰인 문서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샤오얼징은 모스크에서 교육 용도로 쇠퇴한 뒤에도 친척이나 친구 사이의 편지 교환 등에 많이 쓰였던 것으로 밝혀졌다.[10] 현장 조사가 실시되었고, 샤오얼징 사용자들이 인터뷰를 진행했다. 난징 대학교의 자료를 포함하여 샤오얼징 서면 및 인쇄 자료도 연구자들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이는 가장 포괄적인 자료이다. 町田和彦|마치다 가즈히코일본어는 일본에서 샤오얼징 관련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11] 샤오얼징으로 인쇄된 책들도 있다.4. 4. 둥간족의 사례
1928년 라틴 문자를 사용한 둥간어 표기법이 제정되었고, 1953년에는 키릴 문자 표기법으로 이행되었으며, 각 문자에 의한 교육도 이루어졌기 때문에, 중앙아시아의 둥간족 사이에서 회문(샤오얼징) 사용은 거의 없어졌다.[19]5. 문자 체계
샤오얼징은 36개의 문자로 구성되며, 이 중 4개는 모음 음소를 나타낸다. 샤오얼징은 아랍 문자 28개, 페르시아 문자 4개를 차용하고, 여기에 샤오얼징 고유 문자 4개를 추가하여 만들어졌다.[1]
샤오얼징 문자 체계는 아랍 문자와 페르시아 문자를 바탕으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여러 변형 및 추가 문자를 포함한다.
참조
[1]
논문
Standardisation in Manuscripts written in Sino-Arabic Scripts and xiaojing
https://doi.org/10.1[...]
De Gruyter
2019
[2]
서적
China's Muslim Hui community: migration, settlement and sects
https://books.google[...]
Curzon Press
2010-06-28
[3]
서적
Remapping the past: fictions of history in Deng's China, 1979–1997
https://books.google[...]
Brill
2010-11-30
[4]
서적
The Iran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Volume 12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Political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0-11-30
[5]
서적
Religion in communist lands, Volume 31
https://books.google[...]
Centre for the Study of Religion and Communism
2010-11-30
[6]
서적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 studies, Volumes 3–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11-30
[7]
서적
World survey of Islamic manuscripts. 4. (Supplement; including indexes of languages, names and titles of collections of volumes I-IV), Volumes 1–4
https://books.google[...]
Al-Furqan Islamic Heritage Foundation
2010-11-30
[8]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0-11-28
[9]
서적
World survey of Islamic manuscripts. 4. (Supplement; including indexes of languages, names and titles of collections of volumes I-IV), Volumes 1–4
https://books.google[...]
Al-Furqan Islamic Heritage Foundation
2010-11-28
[10]
서적
Central Eurasian Reader: a biennial journal of critical bibliography and epistemology of Central Eurasian Studies, Volume 1
https://books.google[...]
Schwarz
2010-11-28
[11]
서적
Religion in communist lands, Volume 31
https://books.google[...]
Centre for the Study of Religion and Communism
2010-11-30
[12]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 Islamic cultures, Volume 1
https://books.google[...]
Brill
2010-11-30
[13]
서적
The Iran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Volume 12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Political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0-11-30
[14]
서적
Archives de sciences sociales des religions, Volume 46, Issues 113–116
https://books.google[...]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2010-11-30
[15]
서적
Encyclopedia of Arabic Language and Linguistics: A-Ed
https://books.google[...]
Brill
[16]
간행물
The Islamic Heritage in China: A General Survey
http://www.muslimher[...]
2006-03
[17]
논문
Arabic Script among China's Muslims: A Dongxiang folk story
https://journal.fi/s[...]
2015
[18]
문서
List of chapters in the Quran
https://archive.org/[...]
1995-12
[19]
문서
サラール語には、サラール語用のアラビア文字表記があるが、これも同一地域の小児経と字母・書記法の面で共通点が多い。(『周辺アラビア文字文化の世界-規範と拡張』2004.3、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発行)
[20]
문서
회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