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도로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민도로 주는 필리핀 민도로 섬의 서쪽 부분을 차지하는 주로, 1950년에 동민도로 주와 분리되어 형성되었다. 고대에는 마이 또는 메이트로 알려졌으며, 1570년 스페인인에 의해 금광을 의미하는 "미나 데 오로"로 명명되었으나, 주요 금 매장량은 발견되지 않았다. 1898년 스페인 통치가 끝나고 미국 식민 시대를 거쳐 필리핀 독립 이후 서민도로 주와 동민도로 주로 분할되었다. 주요 산업은 쌀 생산을 중심으로 한 농업이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아포 암초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민도로주 - 루방섬
루방섬은 필리핀 루손섬 동쪽에 위치한 루방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잔류병 오노다 히로오가 은신했으며, 어업과 관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민도로섬 - 동민도로주
동민도로주는 필리핀 미마로파 지역의 주로, 1950년에 분할되었으며,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로마 가톨릭이 주된 종교이며, 푸에르토 갈레라를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다. - 미마로파 지방 - 팔라완주
팔라완주는 필리핀의 팔라완 섬과 주변 섬들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지닌 "마지막 생물 다양성 전선"이라 불리며, 역사적으로 여러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미마로파 지방에 속하고 푸에르토 프린세사를 주도로 두고 있으며 농업, 어업과 함께 관광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 미마로파 지방 - 마린두케주
마린두케주는 필리핀 군도 중심부에 하트 모양으로 위치한 섬으로,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모리오네스 축제와 칼루탕 악기로 유명하고, 스페인 통치, 필리핀-미국 전쟁,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쳐 타이아바스 주에 합병되었다가 독립된 주가 되었다.
서민도로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한국어) | 옥시덴탈 민도로 주 |
이름 (타갈로그어) | Kanlurang Mindoro |
이름 (타갈로그어, 전체) | Lalawigan ng Kanlurang Mindoro |
이름 (일본어) | 西ミンドロ州 (니시민도로슈) |
위치 | 필리핀 |
지역 | 미마로파 지방 (Region IV-B) |
설립일 | 1950년 11월 15일 |
수도 | 맘부라오 |
최대 규모 도시 | 산호세 |
면적 | 5,865.7 제곱킬로미터 |
면적 순위 | 81개 중 11위 |
해발고도 최대점 | 바코 산 (2,488 미터) |
![]()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시/군 수 | 11 |
바랑가이 수 | 164 |
하원 의원 지역구 | 옥시덴탈 민도로 주의 입법 구역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525,354 명 (2020년) |
인구 순위 | 81개 중 58위 |
인구 밀도 | 89.56 명/제곱킬로미터 |
인구 밀도 순위 | 81개 중 71위 |
정치 | |
정치 체제 | 주 |
주지사 | 에두아르도 가디아노 (PFP) |
부주지사 | 다이아나 아피고-타약 (PFP) |
대표 | 레오디 F. 타리에라 (PFP) |
입법부 | 옥시덴탈 민도로 주 의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PHT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4400–4412 |
지역 코드 | 43 |
ISO 3166-2 | PH-MDR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주요 언어 | 타갈로그어 망얀어 영어 |
2. 역사
1944년 12월 민도르 섬은 태평양 전쟁 중 구 일본군과 미국군 사이에 벌어진 민도르 섬 전투의 무대가 되었다. 당시 상황은 구 일본군 민도르 섬 수비대에 소속되어 미군의 포로가 된 오카오 쇼헤이의 소설 『포로기』에 기록되어 있다. 종전 후 10년 이상이 지난 1956년에는 민도르 섬에서 4명의 구 일본군 잔존 병사가 귀국했다. 루방 제도의 루방 섬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항복 병사인 구 일본 육군 소위이자 정보 장교인 오노다 히로오가 종전 후 29년이 지난 1974년에 항복할 때까지 종전을 믿지 않고 잠복했던 섬으로 알려져 있다.
2. 1. 초기 역사
민도로 섬은 원래 고대에는 '마이(Ma-i)' 또는 스페인 정복 이전에는 '메이트(Mait)'로 불렸으며, 중국 상인들에게도 알려져 있었다.[1] 민도로 섬은 775년 중국 연대기에 처음 등장하며, 1225년에 더 자세히 기록되었다.[1] 필리핀 제도 시대 이전에는 동남아시아 무역로의 주요 정박지였으며, 중국, 아랍, 인도 상인들이 원주민들과 교역했다.[1]2. 2. 스페인 식민 시대
1570년, 스페인인들은 섬을 탐험하며 "미나 데 오로"(Mina de Oro, '금광')라고 명명했다.[1] 민도로의 원주민은 망얀족이라 불렸는데, 이들은 평화롭고 수줍음이 많은 민족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폭력적인 갈등 기록이 거의 없다.[3]13세기에 정화 제독 휘하의 중국 제국군이 민도로 섬을 방문하여 무역 확대를 시도했다.[6] 이후 이슬람교도들이 민도로 해협을 건너와 해안 지역에 정착했다.[8]
1572년, 후안 데 살세도 대위가 섬의 서쪽 해안을 탐험하며 망얀족과 모로족 정착민들을 만났다.[10] 모로족과의 전투 후, 민도로 섬은 스페인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민도로'로 불리게 되었다.[11] 19세기 말까지 스페인-모로 전쟁이 계속되었다.[11]
1896년, 필리핀 혁명이 발발하여 섬 전체로 확산되었고, 1898년 스페인 통치가 종식되었다.
2. 3. 미국 식민 시대
미국-필리핀 전쟁에서 미국이 승리하면서 민도로 섬은 미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910년, 미국의 정치-군사 행정부는 현재 산호세에 있는 웰치 앤 파고 설탕 회사에 50km2 이상의 토지를 할당했으며, 이 회사는 시에테 센트럴(현재 바랑가이 센트럴)에 극동 지역 최초의 현대식이자 최대 규모의 설탕 공장을 건설했다. 같은 해, 사탕수수 재배자, 제분소 노동자, 회사 전문직 종사자 및 사업가들로 구성된 지역 사회가 필리핀의 공식적인 타운으로 산호세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2. 4. 필리핀 독립 이후
1950년, 민도로 주는 공화국 법 제505호에 따라 서민도로 주와 동민도로 주로 분할되었다.[1]2. 5. 현대
2023년 4월, 지방 정부는 한 달 반 동안 지속된 하루 20시간의 정전 사태로 인해 주 전체를 재난 상태로 선포했다.[2][3]3. 지리
서민도로 주는 민도로 섬의 서쪽 부분을 차지하며 총 면적은 5865.71km2이고, 북서쪽의 외딴 섬들을 포함한다.
지형은 산, 강, 언덕, 계곡, 넓은 평야와 몇 개의 작은 담수 호수로 이루어져 있다. 더 높은 산들은 동민도로 주와 공유하는 내륙에 있으며, 할콘 산과 바코 산이 주요 산맥이다. "처녀의 가슴 산"이라고 알려진, 기대어 누운 여성처럼 보이는 산도 있다.[4]
북쪽 지역은 평야가 적고, 남쪽 지역은 넓은 평야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평야는 경작지이며, 남아있는 원시림은 거의 없다. 중요한 언덕 지역은 북쪽의 산타 크루즈와 남쪽의 산호세 및 막사이사이에 나타나는데, 이 지역은 숲보다는 풀이 우거져 있다.
주요 강으로는 맘부라오 강|맘부라오 강ceb, 파그바한, 똠퐁, 비가, 루민타오, 부수앙가 및 카구레이 강이 있으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서쪽으로 흐른다. 습지는 남쪽에, 특히 강어귀를 따라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필리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산호초 중 하나인 아포 암초가 있다.
3. 1. 기후
서민도로주는 우기와 건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8] 5월 말부터 11월까지 우기이며, 8월과 9월에 가장 많은 비가 내린다. 11월부터 4월까지는 건기이며, 3월과 4월이 가장 건조하다. 기온은 고지대에서 26°C, 저지대에서 32°C로 나타난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섭씨) | 29.3 | 29.9 | 31.4 | 32.6 | 32.6 | 32.3 | 31.8 | 31.8 | 31.9 | 31.4 | 30.8 | 29.5 |
평균 최저 기온 (섭씨) | 22.1 | 22.2 | 23.2 | 24.1 | 24.2 | 23.9 | 23.7 | 23.9 | 23.7 | 23.5 | 23.4 | 22.6 |
평균 강수 일수 | 15 | 10 | 8 | 7 | 11 | 15 | 15 | 13 | 13 | 16 | 17 | 18 |
4. 행정 구역
서민도로 주는 11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2개의 하원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다. 주도는 맘부라오이다.
자치단체 | 하원 선거구 | 인구 (2020년) | 면적 (km2) | 인구 밀도 (명/km2) | 바랑가이 수 |
---|---|---|---|---|---|
아브라 데 일로그 | 제1구역 | 35,176 | 533.7km2 | 66 | 10 |
칼린탄 | 제2구역 | 30,190 | 382.5km2 | 79 | 7 |
로옥 | 제1구역 | 7,802 | 132.3km2 | 59 | 9 |
루방 | 제1구역 | 17,437 | 113.1km2 | 154 | 16 |
막사이사이 | 제2구역 | 39,767 | 296.7km2 | 134 | 12 |
맘부라오 | 제1구역 | 47,705 | 283.51km2 | 168 | 15 |
팔루안 | 제1구역 | 18,566 | 564.5km2 | 33 | 12 |
리잘 | 제2구역 | 40,429 | 242.5km2 | 167 | 11 |
사블라얀 | 제1구역 | 92,598 | 2188.8km2 | 42 | 22 |
산호세 | 제2구역 | 153,267 | 446.7km2 | 343 | 39 |
산타 크루스 | 제1구역 | 42,417 | 681.4km2 | 62 | 11 |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서민도로 주의 인구는 525,354명이다.[6] 타갈로그어와 망얀어가 주로 사용된다. 바탕가스와 가깝고, 바탕가스 출신 주민이 많아 바탕가스 타갈로그어 방언이 주로 사용된다. 일로카노어, 비사야어, 비콜어도 사용된다.
원주민은 망얀족으로, 7개의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릉과 내륙 지역에 주로 거주한다. 망얀족은 선사 시대부터 이 섬에 거주해 왔으며, 인도네시아에서 이주하여 정착한 것으로 여겨진다.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이들은 한때 해안가 근처에 거주했지만, 섬 간 이주민이 오면서 내륙 정글로 이동하게 되었다. 오늘날 망얀족은 약 8만 명으로 추산되지만, 정확한 인구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5. 1. 종교
주민의 대다수(82%)가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 소수 종교로는 기독교, 이슬람교, 필리핀 토착 민간 종교, 애니미즘 등이 있다.6. 경제
서민도로 주는 농업을 주 산업으로 하며, 필리핀의 주식인 쌀 생산이 경제의 중심이다. 쌀은 지역 경제 활동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며, 인구의 약 80%가 쌀 생산에 참여한다.[9]
우기(7월~10월)에는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습지 벼를 재배하고, 건기(11월~5월)에는 담배, 양파, 마늘, 채소 등 물 소비량이 적고 광주기성이 긴 작물을 재배한다.
쌀, 옥수수, 양파, 마늘, 소금, 어류(야생 및 양식)는 서민도로 주에서 많이 생산되어 다른 지역으로 수출된다. 망고, 캐슈넛, 요리용 바나나('사바') 등 과일도 주요 수출 품목이다. 땅콩, 카사바, 고구마, 생강 등도 소규모로 재배된다.
산림 자원으로는 목재와 광물이 있다. 금, 구리, 은, 크롬, 시멘트 제조용 석회, 장식품용 녹석 등이 생산된다. 목재는 마호가니와 같이 단단하고 내구성이 좋은 나무들이 주를 이룬다.
서민도로 주에는 대규모 산업이 발달하지 않았다. 정부가 가장 큰 고용주이며, 서부 민도로 전기 협동조합(OMECO)이 민간 부문에서 가장 큰 고용주로 약 150명의 정규 직원을 두고 있다. 나머지 인구는 개인 사업에 종사한다.
7. 동식물
8. 일본과의 관계
제2차 세계 대전 중 민도로 섬은 일본군과 미군 간의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당시 일본군 민도로 섬 수비대에 소속되어 미군의 포로가 된 오카오 쇼헤이의 소설 『포로기』에 전쟁 당시의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민도로 섬에서는 종전 후 10년 이상이 지난 1956년에 4명의 구 일본군 잔존 병사가 귀국했다. 루방 제도 주도인 루방 섬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항복 병사로 알려진 구 일본 육군 소위이자 정보 장교인 오노다 히로오가 종전 후 29년이 지난 1974년에 항복할 때까지 종전을 믿지 않고 잠복했던 섬으로 알려져 있다.[16]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2-10-29
[2]
뉴스
Occidental Mindoro, isinailalim sa state of calamity
https://news.abs-cbn[...]
2023-04-21
[3]
뉴스
Occidental Mindoro under state of calamity due to 20-hour daily power outage
https://www.gmanetwo[...]
2023-04-21
[4]
이미지
Maiden's breast mountain, Occ. Mindoro
http://4.bp.blogspot[...]
[5]
웹사이트
Weather forecast for Occidental Mindoro,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2
[6]
웹사이트
Fact Sheet; Region IV-B; Mimaropa' 2007 Census of Population
http://www.nso-r4b.w[...]
2016-07-08
[7]
웹인용
Fact Sheet; Region IV-B; Mimaropa' 2007 Census of Population
http://www.nso-r4b.w[...]
2016-07-08
[8]
웹인용
Weather forecast for Occidental Mindoro,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2
[9]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10]
간행물
2000
[11]
간행물
2003
[12]
간행물
2006
[13]
간행물
2012
[14]
간행물
2015
[15]
간행물
2018
[16]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