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봉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봉장은 1899년 대한제국 칙령 제20호로 제정된 여성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1897년 대궐 여관에게 수여하는 훈장으로 시작하여, 1898년 내·외명부 작위를 가진 여성에게도 수여하도록 확대되었다. 훈등은 1등에서 6등까지로 구분되었으며, 내명부와 외명부 가운데 덕행과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황후의 휘지를 거쳐 수여되었다. 훈장의 명칭과 의미는 궁중의 예장 봉황관에서 유래했다. 훈장은 정장과 부장으로 구성되며, 봉황 문양을 특징으로 한다.

2. 역사

서봉장은 1897년(광무 원년) 3월 30일 조령을 통해 대궐 여관에게 수여하는 훈장으로 만들어졌다.[1] 1898년(광무 2년) 9월 19일에는 내·외명부 작위를 가진 여성에게도 수여하라는 조령이 내려졌고,[2] 1899년(광무 3년) 3월 30일 대한제국 칙령 제20호로 〈훈장 조례〉(勳章條例)를 개정하면서 제정되었다.[3]

훈등은 일등에서 육등까지 구분되어 내명부, 외명부 가운데 현숙한 덕행과 특별한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황후의 휘지(徽旨)를 거쳐 수여하였다.[3] 훈장의 명칭과 의미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궁중의 예장 봉황관(禮裝鳳凰冠)에서 취한 것이다.[2]

2. 1. 제정 배경

서봉장은 1897년(광무 원년) 3월 30일 조령을 통해 대궐 여관에게 수여하는 훈장으로 만들어졌다.[1] 1898년 (광무 2년) 9월 19일에는 내·외명부 작위를 가진 여성에게도 수여하라는 조령이 내려졌고,[2] 1899년 (광무 3년) 3월 30일 대한제국 칙령 제20호로 〈훈장 조례〉(勳章條例)를 개정하면서 제정되었다.[3]

훈등은 일등에서 육등까지 구분되어 내명부(內命婦), 외명부(外命婦) 가운데 현숙한 덕행과 특별한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황후의 휘지(徽旨)를 거쳐 수여하였다.[3] 훈장의 명칭과 의미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궁중의 예장 봉황관(禮裝鳳凰冠)에서 취한 것이다.[2]

2. 2. 훈장 제도 정비

1897년(광무 1년) 3월 30일 조령을 통해 대궐의 여관에게 수여하는 훈장으로 만들어졌다.[1] 1898년(광무 2년) 9월 19일 내·외명부의 작위를 가진 여성에게도 수여하라는 조령이 내려졌고,[2] 1899년(광무 3년) 3월 30일 대한제국 칙령 제20호로 〈훈장 조례〉(勳章條例)를 개정하면서 제정되었다.[3] 훈등은 일등에서 육등까지로 구분되어 내명부(內命婦), 외명부(外命婦) 가운데 현숙한 덕행과 특별한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황후의 휘지(徽旨)를 거쳐 수여하였다.[3] 훈장의 명칭과 의미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궁중의 예장 봉황관(禮裝鳳凰冠)에서 취한 것이다.[2]

3. 형태

훈일등 서봉대수장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으로 구성된다. 정장의 장(章), 즉 문채의 재질은 금(金)이고, 길이가 2치 5푼, 너비가 1촌 5푼이며, 그 모양은 한쌍의 봉황이 마주본 형상이며 금질의 구룡쌍봉관(九龍雙鳳冠)의 꼭지와 연결되어 있다. 고리도 금질이며 그 모양은 정원형이다. 훈일등 서봉대수장을 패용할 때는 분홍색 바탕에 백선(白線) 간도직(間道織)으로 이루어진 대수(大綬)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에 두른 다음에 끝부위에서 교차하여 오얏꽃을 천으로 접어달고 그 밑에 정장을 달았으며, 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 약수(略綬)의 재질은 금이며 그 모양은 원형으로 분홍색 바탕에 비상하는 봉황의 형상이 새겨져 있고 외변선을 둘렀다.[4]

훈이등 서봉장은 훈일등 서봉대수장의 부장을 겸한다. 재질은 금과 은이고, 지름은 2치이며, 중앙의 문양은 금색의 비상하는 봉황이다. 봉황 둘레에는 남색 바탕 위로 ‘셔봉부쟝’이 적혀있고, 그 외변에는 백색 광선이 여섯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그 사이 마다에는 녹색 잎이 배치되어 있다. 광선의 끝에는 홍색의 별이 원형으로 표현되었다. 한편 뒷면의 패침은 재질이 은이며 중앙과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4]

훈삼등 서봉중수장의 문채의 재질과 모양은 훈일등과 동일하나 길이가 1촌 5푼, 너비가 1촌이고, 꼭지가 구룡단봉관(九龍單鳳冠), 고리가 타원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4] 패용할 때는 문채를 정중앙에 끼운 중수(中綬)를 목 밑에 건다.[5]

훈사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금이며 규격과 모양은 훈삼등과 동일하나 고리가 정원형이다. 훈오등 서봉소수장은 재질, 규격과 모양이 훈사등과 동일하나 고리의 재질은 은이다. 훈육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은이고 모양은 훈오등과 동일하다.[4] 패용할 때 훈사등에서 훈육등까지는 천을 사선꼴로 접은 삼각형의 소수(小綬)로서 왼쪽 가슴에 단다.[5] 다만 훈사등의 소수 표면에는 천으로 꽃을 접어 다는 차이가 있다.[4]

3. 1. 훈일등 서봉대수장

훈일등 서봉대수장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으로 구성된다. 정장의 장(章), 즉 문채의 재질은 금(金)이고, 길이가 2치(寸) 5푼(分), 너비가 1촌 5푼이며, 그 모양은 한쌍의 봉황이 마주본 형상이며 금질의 구룡쌍봉관(九龍雙鳳冠)의 꼭지와 연결되어 있다. 고리도 금질이며 그 모양은 정원형이다. 훈일등 서봉대수장을 패용할 때는 분홍색 바탕에 백선(白線) 간도직(間道織)으로 이루어진 대수(大綬)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에 두른 다음에 끝부위에서 교차하여 오얏꽃을 천으로 접어달고 그 밑에 정장을 달았으며, 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 약수(略綬)의 재질은 금이며 그 모양은 원형으로 분홍색 바탕에 비상하는 봉황의 형상이 새겨져 있고 외변선을 둘렀다.[4]

3. 2. 훈이등 서봉장

훈일등 서봉대수장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으로 구성된다. 정장의 장(章), 즉 문채의 재질은 금(金)이고, 길이가 2치(寸) 5푼(分), 너비가 1촌 5푼이며, 그 모양은 한쌍의 봉황이 마주본 형상이며 금질의 구룡쌍봉관(九龍雙鳳冠)의 꼭지와 연결되어 있다. 고리도 금질이며 그 모양은 정원형이다. 훈일등 서봉대수장을 패용할 때는 분홍색 바탕에 백선(白線) 간도직(間道織)으로 이루어진 대수(大綬)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에 두른 다음에 끝부위에서 교차하여 오얏꽃을 천으로 접어달고 그 밑에 정장을 달았으며, 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 약수(略綬)의 재질은 금이며 그 모양은 원형으로 분홍색 바탕에 비상하는 봉황의 형상이 새겨져 있고 외변선을 둘렀다.[4]

훈이등 서봉장은 훈일등 서봉대수장의 부장을 겸한다. 재질은 금과 은이고, 지름은 2치이며, 중앙의 문양은 금색의 비상하는 봉황이다. 봉황 둘레에는 남색 바탕 위로 ‘셔봉부쟝’이 적혀있고, 그 외변에는 백색 광선이 여섯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그 사이 마다에는 녹색 잎이 배치되어 있다. 광선의 끝에는 홍색의 별이 원형으로 표현되었다. 한편 뒷면의 패침은 재질이 은이며 중앙과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4]

훈삼등 서봉중수장의 문채의 재질과 모양은 훈일등과 동일하나 길이가 1촌 5푼, 너비가 1촌이고, 꼭지가 구룡단봉관(九龍單鳳冠), 고리가 타원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4] 패용할 때는 문채를 정중앙에 끼운 중수(中綬)를 목 밑에 건다.[5]

훈사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금이며 규격과 모양은 훈삼등과 동일하나 고리가 정원형이다. 훈오등 서봉소수장은 재질, 규격과 모양이 훈사등과 동일하나 고리의 재질은 은이다. 훈육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은이고 모양은 훈오등과 동일하다.[4] 패용할 때 훈사등에서 훈육등까지는 천을 사선꼴로 접은 삼각형의 소수(小綬)로서 왼쪽 가슴에 단다.[5] 다만 훈사등의 소수 표면에는 천으로 꽃을 접어 다는 차이가 있다.[4]

3. 3. 훈삼등 서봉중수장

훈일등 서봉대수장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으로 구성된다. 정장의 장(章), 즉 문채의 재질은 금(金)이고, 길이가 2치(寸) 5푼(分), 너비가 1촌 5푼이며, 그 모양은 한쌍의 봉황이 마주본 형상이며 금질의 구룡쌍봉관(九龍雙鳳冠)의 꼭지와 연결되어 있다. 고리도 금질이며 그 모양은 정원형이다. 훈일등 서봉대수장을 패용할 때는 분홍색 바탕에 백선(白線) 간도직(間道織)으로 이루어진 대수(大綬)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에 두른 다음에 끝부위에서 오얏꽃을 천으로 접어달고 그 밑에 정장을 달았으며, 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 약수(略綬)의 재질은 금이며 그 모양은 원형으로 분홍색 바탕에 비상하는 봉황의 형상이 새겨져 있고 외변선을 둘렀다.[4]

훈이등 서봉장은 훈일등 서봉대수장의 부장을 겸한다. 재질은 금과 은이고, 지름은 2치이며, 중앙의 문양은 금색의 비상하는 봉황이다. 봉황 둘레에는 남색 바탕 위로 ‘셔봉부쟝’이 적혀있고, 그 외변에는 백색 광선이 여섯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그 사이 마다에는 녹색 잎이 배치되어 있다. 광선의 끝에는 홍색의 별이 원형으로 표현되었다. 한편 뒷면의 패침은 재질이 은이며 중앙과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4]

훈삼등 서봉중수장의 문채의 재질과 모양은 훈일등과 동일하나 길이가 1촌 5푼, 너비가 1촌이고, 꼭지가 구룡단봉관(九龍單鳳冠), 고리가 타원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4] 패용할 때는 문채를 정중앙에 끼운 중수(中綬)를 목 밑에 건다.[5]

훈사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금이며 규격과 모양은 훈삼등과 동일하나 고리가 정원형이다. 훈오등 서봉소수장은 재질, 규격과 모양이 훈사등과 동일하나 고리의 재질은 은이다. 훈육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은이고 모양은 훈오등과 동일하다.[4] 패용할 때 훈사등에서 훈육등까지는 천을 사선꼴로 접은 삼각형의 소수(小綬)로서 왼쪽 가슴에 단다.[5] 다만 훈사등의 소수 표면에는 천으로 꽃을 접어 다는 차이가 있다.[4]

3. 4. 훈사등 ~ 훈육등 서봉소수장

훈일등 서봉대수장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으로 구성된다. 정장의 장(章), 즉 문채의 재질은 금(金)이고, 길이가 2치(寸) 5푼(分), 너비가 1촌 5푼이며, 그 모양은 한쌍의 봉황이 마주본 형상이며 금질의 구룡쌍봉관(九龍雙鳳冠)의 꼭지와 연결되어 있다. 고리도 금질이며 그 모양은 정원형이다. 훈일등 서봉대수장을 패용할 때는 분홍색 바탕에 백선(白線) 간도직(間道織)으로 이루어진 대수(大綬)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에 두른 다음에 끝부위에서 교차하여 오얏꽃을 천으로 접어달고 그 밑에 정장을 달았으며, 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 약수(略綬)의 재질은 금이며 그 모양은 원형으로 분홍색 바탕에 비상하는 봉황의 형상이 새겨져 있고 외변선을 둘렀다.[4]

훈이등 서봉장은 훈일등 서봉대수장의 부장을 겸한다. 재질은 금과 은이고, 지름은 2치이며, 중앙의 문양은 금색의 비상하는 봉황이다. 봉황 둘레에는 남색 바탕 위로 ‘셔봉부쟝’이 적혀있고, 그 외변에는 백색 광선이 여섯 방향으로 뻗어나오며 그 사이 마다에는 녹색 잎이 배치되어 있다. 광선의 끝에는 홍색의 별이 원형으로 표현되었다. 한편 뒷면의 패침은 재질이 은이며 중앙과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4]

훈삼등 서봉중수장의 문채의 재질과 모양은 훈일등과 동일하나 길이가 1촌 5푼, 너비가 1촌이고, 꼭지가 구룡단봉관(九龍單鳳冠), 고리가 타원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4] 패용할 때는 문채를 정중앙에 끼운 중수(中綬)를 목 밑에 건다.[5]

훈사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금이며 규격과 모양은 훈삼등과 동일하나 고리가 정원형이다. 훈오등 서봉소수장은 재질, 규격과 모양이 훈사등과 동일하나 고리의 재질은 은이다. 훈육등 서봉소수장은 재질이 모두 은이고 모양은 훈오등과 동일하다.[4] 패용할 때 훈사등에서 훈육등까지는 천을 사선꼴로 접은 삼각형의 소수(小綬)로서 왼쪽 가슴에 단다.[5] 다만 훈사등의 소수 표면에는 천으로 꽃을 접어 다는 차이가 있다.[4]

4. 수장자

(광무 9년)10월 5일순헌황귀비 엄씨고종의 귀비대한제국[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za_14210005_001&mTree=0&inResult=0&indextype=1&keyword=%ED%9B%88%EC%9E%A5 실록]연원군부인 김씨의친왕 이강의 비대한제국1907년
(광무 11년)1월 24일황태자비 윤씨순종의 계후대한제국[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za_14401024_005&mTree=0&inResult=0&indextype=1&keyword=%EC%84%9C%EB%B4%89 실록]1908년
(융희 2년)7월 14일하루코 황후메이지 천황의 황후일본 제국[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zb_10107014_001&grp=&aid=&sid=0&pos=0 실록]사다코 황태자비요시히토 황태자의 비일본 제국이토 우메코태자태사 이토 히로부미의 처일본 제국1909년
(융희 3년)7월 21일나시모토노미야 이쓰코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비일본 제국[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zb_10207021_002&grp=&aid=&sid=13807404&pos=0 실록]1909년
(융희 3년)8월 27일의창부부인 남씨여은부원군 민태호의 처대한제국[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zb_10208027_001&grp=&aid=&sid=13807404&pos=1 실록]정경부인 김씨영평군 이경응의 처대한제국정경부인 홍씨영돈녕사사 윤철구의 처대한제국경흥부부인 유씨해풍부원군 윤택영의 처대한제국정경부인 이씨완흥군 이재면의 처대한제국10월 21일소네 미츠코통감부 통감 소네 아라스케의 처일본 제국[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zb_10210021_004&grp=&aid=&sid=0&pos=0 실록]1910년
(융희 4년)5월 9일노부코 내친왕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의 비일본 제국[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zb_10305009_001&grp=&aid=&sid=0&pos=0 실록]후사코 내친왕기타시라카와노미야 나루히사 왕의 비일본 제국마사코 내친왕다케다노미야 쓰네히사 왕의 비일본 제국8월 1일데라우치 타키코통감부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일본 제국[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zb_10308001_001&grp=&aid=&sid=0&pos=0 실록]8월 21일정경부인 홍씨청안군 이재순의 처대한제국[http://sillok.history.go.kr/viewer/viewtype1.jsp?id=kzb_10308021_001&grp=&aid=&sid=0&pos=0 실록]정경부인 서씨완순군 이재완의 처대한제국정경부인 조씨태자소사,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의 처대한제국정경부인 심씨궁내부대신 민병석의 처대한제국정경부인 김씨시종원경 윤덕영의 처대한제국


4. 1. 주요 수장자

1905년 10월 5일 순헌황귀비 엄씨와 연원군부인 김씨가 서봉장을 받았다. 순헌황귀비 엄씨는 고종의 귀비이며, 연원군부인 김씨는 의친왕의 비이다.

1907년 1월 24일에는 황태자비 윤씨가 서봉장을 받았다. 황태자비 윤씨는 순종의 계후이다.

1908년 7월 14일 하루코 황후, 사다코 황태자비, 이토 우메코가 서봉장을 받았다. 하루코 황후는 메이지 천황의 황후, 사다코 황태자비는 요시히토 황태자의 비, 이토 우메코는 태자태사 이토 히로부미의 처이다.

1909년 7월 21일 나시모토노미야 이쓰코가, 같은 해 8월 27일에는 의창부부인 남씨, 정경부인 김씨, 정경부인 홍씨, 경흥부부인 유씨, 정경부인 이씨가 서봉장을 받았다. 나시모토노미야 이쓰코는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비이다. 의창부부인 남씨는 여은부원군 민태호의 처, 정경부인 김씨는 영평군 이경응의 처, 정경부인 홍씨는 영돈녕사사 윤철구의 처, 경흥부부인 유씨는 해풍부원군 윤택영의 처, 정경부인 이씨는 완흥군 이재면의 처이다. 같은 해 10월 21일에는 소네 미츠코가 서봉장을 받았는데, 통감부 통감 소네 아라스케의 처이다.

1910년 5월 9일 노부코 내친왕, 후사코 내친왕, 마사코 내친왕이 서봉장을 받았다. 노부코 내친왕은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의 비, 후사코 내친왕은 기타시라카와노미야 나루히사 왕의 비, 마사코 내친왕은 다케다노미야 쓰네히사 왕의 비이다. 같은 해 8월 1일에는 데라우치 타키코가 서봉장을 받았는데, 통감부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처이다. 같은 해 8월 21일 정경부인 홍씨, 정경부인 서씨, 정경부인 조씨, 정경부인 심씨, 정경부인 김씨가 서봉장을 받았다. 정경부인 홍씨는 청안군 이재순의 처, 정경부인 서씨는 완순군 이재완의 처, 정경부인 조씨는 태자소사,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의 처, 정경부인 심씨는 궁내부대신 민병석의 처, 정경부인 김씨는 시종원경 윤덕영의 처이다.

4. 2. 수장자 명단 (일부)

연도일자이름가족 관계국적출처
1905년(광무 9년)10월 5일순헌황귀비 엄씨고종의 귀비
연원군부인 김씨의친왕 이강의 비
1907년(광무 11년)1월 24일황태자비 윤씨순종의 계후
1908년(융희 2년)7월 14일하루코 황후메이지 천황의 황후
사다코 황태자비요시히토 황태자의 비
이토 우메코태자태사 이토 히로부미의 처
1909년(융희 3년)7월 21일나시모토노미야 이쓰코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비
1909년(융희 3년)8월 27일의창부부인 남씨여은부원군 민태호의 처
정경부인 김씨영평군 이경응의 처
정경부인 홍씨영돈녕사사 윤철구의 처
경흥부부인 유씨해풍부원군 윤택영의 처
정경부인 이씨완흥군 이재면의 처
10월 21일소네 미츠코통감부 통감 소네 아라스케의 처
1910년(융희 4년)5월 9일노부코 내친왕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의 비
후사코 내친왕기타시라카와노미야 나루히사 왕의 비
마사코 내친왕다케다노미야 쓰네히사 왕의 비
8월 1일데라우치 타키코통감부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
8월 21일정경부인 홍씨청안군 이재순의 처
정경부인 서씨완순군 이재완의 처
정경부인 조씨태자소사,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의 처
정경부인 심씨궁내부대신 민병석의 처
정경부인 김씨시종원경 윤덕영의 처


참조

[1] 웹인용 훈장 제도에서 서봉 훈장 한 종류를 더 두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897-03-30
[2] 웹인용 서봉 훈장을 6등급으로 나누어 작위를 가진 부인들 중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표창하도록 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898-09-19
[3] 웹인용 훈장 조례를 개정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899-03-30
[4] 서적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 백산출판사
[5] 웹인용 훈장 조례를 반포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0-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