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영상광고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영상광고제는 2003년 시작된 국내 광고제이다. 세계 최초의 온라인·오프라인 영상 광고제인 TVCF AWARD로 시작하여, 2012년 서울영상광고제로 명칭을 변경하고 영상 광고 전 분야로 출품 및 시상 영역을 확장했다. 2017년 Craft 부문을 신설하고, 2020년에는 수상 부문을 18개로 확대했다. 17년간 총 55,201편의 작품에 대해 35만 명의 네티즌 심사위원이 참여하는 등 국내 규모의 광고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사 - 송년회
    송년회는 한 해를 마무리하며 동료, 친구, 가족 등과 함께 모여 즐기는 연말 행사로, 그 기원은 16세기 후반의 연회에서 찾을 수 있으며, 현대에는 직장 내 스트레스 해소와 친목 도모의 기회로 여겨지지만, 과도한 음주 문화와 비효율적인 시간 소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행사 -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는 삼성전자가 주최하는 연례 행사로, 모바일 기술을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를 다루며, 2022년부터는 오프라인 행사로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축제 - 이태원지구촌축제
    이태원지구촌축제는 2008년부터 매년 10월 이태원 일대에서 열리는 축제로, 지구촌 퍼레이드, 패션쇼, 음식전, 콘서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 서울특별시의 축제 - 서울세계불꽃축제
    서울세계불꽃축제는 한화가 주최하여 매년 10월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불꽃축제로, 2000년에 시작되어 1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모으는 서울의 대표적인 가을 축제이지만 기업 홍보성 논란, 교통 체증, 쓰레기 문제 등의 비판과 2024년 유료 관람석 도입 등 변화를 겪고 있다.
서울 영상광고제
서울영상광고제
서울영상광고제 로고
서울영상광고제 로고
영문 명칭Seoul Creative Award of Film Advertising
종류광고제
주최서울영상광고제 집행위원회
주관(사)한국광고총연합회
후원서울특별시
웹사이트서울영상광고제 공식 웹사이트
상세 정보
심사 기준창의성, 작품성, 대중성, 기술, 완성도
시상 부문작품상 (TV, 디지털, 인쇄, 옥외)
특별상 (크래프트, 혁신, 공익광고)
네티즌 인기상
주요 행사본선 진출작 상영회
시상식
광고 컨퍼런스
연혁2003년 시작

2. 역사

2003년 12월 29일, 세계 최초의 온ㆍ오프라인 영상 광고제 <TVCF AWARD>가 시작되었다. 2005년 1월 11일에는 전문심사위원단 심사제가 도입되었고, 2006년 2월 15일 TVCF AWARD 행사 후 <광고인의 밤> 행사가 진행되었다. 같은 해, 전문심사위원단 구성원을 업계와 학계까지 확장시켜 다양한 시선으로 공정한 심사를 진행하였다.

2008년에는 집행위원회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크리에이티브> 시상이 신설되었다. 2009년에는 케이블 광고 부문을 확장하여 출품을 받았으나, 오프라인 시상식은 진행하지 않았다. 2011년 1월 25일, 영상광고제의 위상을 정립하였다.

2012년 1월 27일, 9회 행사부터 TVCF AWARD에서 <서울영상광고제>로 명칭을 변경하고 영상 광고 전 분야로 출품 및 시상 영역을 확장하였다. 2013년 1월 29일, 10회 행사에서는 박원순 당시 서울특별시장이 시상식에 처음 참석하여 수상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는 광고제의 위상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비 TV 부문 캠페인 출품을 시작하였다.

2015년 1월 15일, 12회 서울영상광고제 시상식 및 <광고인의 밤> 리셉션 행사가 서울시청에서 개최되었다. 2016년 1월 14일, 13회 행사에서는 국제심사위원을 초빙하였다. 2017년 1월 11일, 14회 행사에서는 Craft 부문을 신설하였다. 2018년 1월 4일 15회 행사에서는 국제심사위원을 초빙하여 이들과 함께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세미나 주제는 '광고는 여성을 어떻게 그리는가'(Masako Okamura영어), '크리에이티브를 위한 자기관리'(Takuya Matsuo영어)였다.

2019년 1월 3일, <제16회 서울영상광고제> 서울시청 다목적홀 진행되었다. 2020년 1월 7일, 17회 행사에서는 Craft 부문에서 첫 그랑프리상이 탄생하였다. 2020년 1월 5일, 18회에서는 수상 부문이 18개 부문으로 확장되어 심사 방식이 더 구체화되고 고도화되었다.

2. 1. TVCF AWARD (2003-2011)

2003년 12월 29일, 세계 최초의 온ㆍ오프라인 영상 광고제 <TVCF AWARD>가 시작되었다. 2005년 1월 11일에는 전문심사위원단 심사제가 도입되었고, 2006년 2월 15일 TVCF AWARD 행사 후 <광고인의 밤> 행사가 진행되었다. 같은 해, 전문심사위원단 구성원을 업계와 학계까지 확장시켜 다양한 시선으로 공정한 심사를 진행하였다.

2008년에는 집행위원회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크리에이티브> 시상이 신설되었다. 2009년에는 케이블 광고 부문을 확장하여 출품을 받았으나, 오프라인 시상식은 진행하지 않았다. 2011년 1월 25일, 영상광고제의 위상을 정립하였다.

2. 2. 서울영상광고제 (2012-현재)

2012년 1월 27일, 9회 행사부터 TVCF AWARD에서 '서울영상광고제'로 명칭을 변경하고 영상 광고 전 분야로 출품 및 시상 영역을 확장하였다. 2013년 1월 29일, 10회 행사에서는 박원순 당시 서울특별시장이 시상식에 처음 참석하여 수상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는 광고제의 위상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비 TV 부문 캠페인 출품을 시작하였다.

2015년 1월 15일, 12회 서울영상광고제 시상식 및 '광고인의 밤' 리셉션 행사가 서울시청에서 개최되었다. 2016년 1월 14일, 13회 행사에서는 국제심사위원을 초빙하였다. 2017년 1월 11일, 14회 행사에서는 Craft 부문을 신설하였다. 2018년 1월 4일 15회 행사에서는 국제심사위원을 초빙하여 이들과 함께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세미나 주제는 '광고는 여성을 어떻게 그리는가'(Masako Okamura), '크리에이티브를 위한 자기관리'(Takuya Matsuo)였다.

2019년 1월 3일, 16회 서울영상광고제가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진행되었다. 2020년 1월 7일, 17회 행사에서는 Craft 부문에서 첫 그랑프리상이 탄생하였다. 2020년 1월 5일, 18회에서는 수상 부문이 18개 부문으로 확장되어 심사 방식이 더 구체화되고 고도화되었다.

3. 심사 및 시상

3. 1. 심사 방식

3. 2. 심사위원 구성

3. 3. 시상 부문

4. 역대 수상작(자)

2018년에는 그랑프리 수상작이 없었다.[2]

연도부문주요 수상 내용
2021Creative/CRAFT 분야
2020작품상/크래프트 부문
2019작품상/크래프트 부문
2018작품상/크래프트 부문
2017작품상/크래프트 부문
2016본상 수상작/올해의 스탭상
2015본상 수상작/올해의 스탭상
2014본상 수상작/올해의 스탭상
2013본상 수상작/올해의 스탭상
2012본상 수상작
2011본상 수상작
2010본상 수상작/캠페인 수상작/특별상/인기상/품목별 최우수상/올해의 모델상
2009본상 수상작/캠페인 수상작/특별상/인기상/품목별 최우수상/부문별 최우수상/올해의 스탭상
2008본상 수상작/품목별 최우수상/부문별 최우수상/올해의 스탭상
2007본상 수상작/품목별 최우수상/부문별 최우수상/올해의 스탭상
2006본상 수상작/품목별 최우수상/부문별 최우수상/올해의 스탭상
2005본상 수상작/품목별 최우수상/부문별 최우수상
2004본상 수상작/품목별 우수 수상작/부문별 우수 수상작


5. 트로피 및 포스터

14회 이전 트로피
14회 이후 트로피
14회 이후 그랑프리 트로피


서울영상광고제의 트로피는 14회를 기점으로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14회 이후 그랑프리 트로피는 별도로 제작되었다.

[https://www.tvcf.co.kr/TvcfAward/About/TvcfAward06.asp 역대 포스터 바로가기]

6. 기타

서울영상광고제는 17년간 총 55,201편의 작품에 대해 35만 명의 네티즌 심사위원이 950만 건의 투표에 참여한 국내 규모의 광고 축제이다. 연도별 심사 작품 수, 온라인 심사 투표 건수, 심사 참여 인원, 시상식 장소 및 참석 인원은 아래 표와 같다.

17년의 기간 총 55,201편의 작품에 대하여 35만 명의 네티즌 심사위원이 950만건의 투표에 참여한 국내 규모의 광고 축제
기준 연도심사작품수온라인심사 투표건심사 참여 인원시상식시상식 참석
20031,887편126,027건8,969명포스코 섬유센터600명
20041,764편283,194건9,000명코엑스 컨퍼런스룸450명
20051,861편392,959건10,000명코엑스 컨퍼런스룸450명
20061,914편486,958건22,000명코엑스 오디토리움1,200명
20071,907편538,908건35,000명코엑스 오디토리움1,200명
20081,736편577,049건32,000명코엑스 오디토리움1,200명
20092,135편604,529건28,000명온라인 시상식
20102,323편624,270건29,000명코엑스 오디토리움1,200명
20113,287편638,234건32,000명코엑스 오디토리움1,300명
20123,516편652,791건25,000명코엑스 오디토리움1,200명
20133,861편665,882건22,000명코엑스 오디토리움1,100명
20144,396편677,919건15,000명서울특별시청 다목적홀750명
20154,568편690,200건12,000명서울특별시청 다목적홀700명
20164,720편698,520건13,000명서울특별시청 다목적홀600명
20174,081편705,280건17,500명서울특별시청 다목적홀600명
20185,729편707,929건21,000명서울특별시청 다목적홀600명
20195,516편375,203건18,000명서울특별시청 다목적홀600명
20206,898편210,000여건온라인 시상식


참조

[1] 문서 2가지 이상 부문에서 공동수상하였다.
[2] 웹인용 2017 서울영상광고제, 사상 첫 '그랑프리상' 수상작 없어… 부끄러운 광고업계 http://biz.newdaily.[...] 2018-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