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주 (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주는 고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산둥성 남동부와 장쑤성 북부에 걸쳐 있었다. 한나라 시대에 서주는 13개 주로 나뉘어 설치되었으며, 이후 삼국 시대에는 조위의 영토가 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7군 61현을 관할했고, 동진 시기에는 북서주로 개칭되었다. 이후 수나라와 당나라를 거치며 팽성군으로 불리다가 서주로 명칭이 회복되었고, 송나라, 원나라 시대를 거쳐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서주부는 강소성에 속했다. 1913년 부제가 폐지된 후, 서주부는 폐지되었고, 중화민국 시기에 서주시는 부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쑤성의 주 - 양주 (안후이성)
양주는 시대에 따라 범위와 위치가 다르게 정의된 고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초기에는 회수와 바다 사이, 이후에는 강남 지역, 더 넓게는 중국 동남부 전체를 의미했으며 수나라 시대부터 현재의 양저우시와 연결되어 당나라 시대 이후 양저우시를 중심으로 그 이름이 고정되었다. - 산둥성의 주 - 연주 (중국)
연주는 중국 역사에서 여러 시기에 걸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 처음 설치되어 관할 지역이 변화했으며, 남북조 시대에는 중심지가 이동하고, 수나라 시대에는 황하 하류 지역을 통합하여 관리하다가, 송나라 시대에는 경동서로에 속했다. - 산둥성의 주 - 청주 (중국)
청주는 상고 시대 구주 중 하나로 산둥성 일대에 위치했으며, 전한, 후한, 위진남북조, 수당, 송, 금, 명나라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소속에 변화를 겪다가 중화민국 시기에 폐지된 중국의 옛 행정 구역이다. - 안후이성의 주 - 양주 (안후이성)
양주는 시대에 따라 범위와 위치가 다르게 정의된 고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초기에는 회수와 바다 사이, 이후에는 강남 지역, 더 넓게는 중국 동남부 전체를 의미했으며 수나라 시대부터 현재의 양저우시와 연결되어 당나라 시대 이후 양저우시를 중심으로 그 이름이 고정되었다. - 안후이성의 주 - 예주
예주는 상고 시대부터 요금 시대까지 존재했던 중국의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선진 시대에는 중국 구주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진한 시대에 설치되어 수당 시대를 거치며 하남성 지역을 포괄하다가 요나라 시대에 군사 행정 구역으로 변경된 후 금나라 시대에 폐지되었다.
서주 (중국)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중국 |
위치 | 고대 중국의 구주 중 하나 |
시대 | 춘추전국시대 ~ 수나라 |
역사 | |
분할 | 조위에서 분할 |
설치 | 후한 말기 |
폐지 | 수나라 초기 |
행정 구역 | |
속한 군 | 패군 동해군 낭야군 초군 광릉군 하비군 산양군 회양군 |
중심지 | 팽성 |
2. 연혁
우공에 따르면, 서주는 바다, 태산(태산의 고대 명칭), 회수를 경계로 했다.[1][2] 이아에서는 서주를 기수의 동쪽에 위치한다고 간략히 설명한다. 이러한 기록을 종합하면, 고대 서주는 현재의 산둥성 남동부(태산 남쪽)와 장쑤성 북부(장강 이북, 회수 북쪽) 지역에 해당한다.[3][4]
기원전 106년, 전한 무제는 전국을 13개 주(州)로 나누고 각 주에 자사를 설치했는데, 이때 현재의 장쑤성 (양쯔강 북쪽)과 산둥성 남동부 일부에 서주(徐州)가 설치되었다.[3][4] 후한 시대에는 서주의 수도가 담(; 현재 산둥성 린이시 탄청현)에 있었다.[3][4]
후한대에 들어서면서 주치(州治)는 담현(현재의 산둥성 탄청현)이었다. 삼국 시대 조위는 주치를 팽성(현재의 장쑤성 쉬저우시)으로 이전했다.
영가의 난으로 서진이 멸망하고 강남을 중심으로 동진이 성립되면서, 동진은 회하 이북의 땅을 상실하여 서주 북반부가 상실되었고, 주치는 남쪽으로 이전되었다. 411년에는 주치가 경구(현재의 장쑤성 전장시)까지 남하했다. 남조 송은 421년에 서주를 남서주로 개칭하고, 북서주를 서주로 개칭했다.
한편, 동진과 회하를 사이에 두고 대립한 오호 십육국과 남조와 대립한 북조 제국에서도 서주가 설치되었다. 4세기 말부터 5세기 초에 걸쳐서는 십육국의 각 정권이 각각 서주를 설치했다.
정권 | 설치 시기 | 주치(州治) 위치 | 관할 범위 및 변동 |
---|---|---|---|
후연 | 황건고(현재의 산둥성 지난시 장추구) → 여양(현재의 허난성 준현 동쪽) → 권성(현재의 산둥성 권청현 북쪽) → 폐지 | ||
남연 | 거성(현재의 산둥성 쥐현) | 현재의 산둥성 린취현에 솟아 있는 이산 동남에서 황해 연안의 빈해 일대 | |
후진 | 항현(현재의 허난성 선추현 남쪽) → 폐지 | 현재의 허난성 상추시·타이캉현·상수이현 이동 지구, 안후이성 보저우시·워양현·멍청현 주변 | |
북위 | 433년 | 제양현(현재의 허난성 란카오현 동북) → 황흥 연간 초두에 폐지 |
140년 기준으로 서주의 중심지는 담현에 있었다. 후한말 복양 전투 이후 서주를 점령한 여포가 하비에 주둔하면서 서주의 중심지가 하비로 옮겨졌다. 조조의 서주 침공 당시 조조군이 벌인 학살로 인해 수많은 서주의 주민들이 동오, 촉한 등으로 이주했다.[16]
삼국 시대 (220–280) 동안, 서주는 조위 (220–265)의 영토였으며 수도는 팽성(彭城, 현재의 쑤저우 시, 장쑤성)으로 옮겨졌다.[4] 서주의 면적은 손오와의 남쪽 국경으로 인해 약간 축소되었다.[3]
서진 대 서주는 7군 61현 81,021호를 거느렸다. 진 혜제 이후 난릉군, 동안군, 회릉군, 당읍군이 신설되었다.
삼국 시대 | 서진 시대 |
---|---|
영가의 난 이후 회수 이북 지역이 후조에게 점령당하고, 회수 이남에 있던 광릉군, 당읍군 일대에 회수 이북 서주를 포함한 중국 화북 지역 주민들이 정착하면서 서주의 치소가 광릉(현재의 장쑤성 양저우시)으로 옮겨졌다. 이렇게 교치된 서주는 남서주 문서를 참조한다.[17]
이후 비수대전에서 승리한 동진은 411년 북벌로 얻은 회수 이북의 서주 지역을 수복했고 그 자리에 '''북서주(北徐州)'''를 두었다. 이 북서주는 421년 서주로 개명되었다. 본래 중심지는 팽성에 두었으나 유송 명제 태시 연간 북위의 공격으로 송나라가 회수 이북 전역을 상실하며 관할지의 거의 전부를 상실했다. 북위의 침공 이후 중심지는 종리(鍾離, 현재의 안후이성 추저우시 펑양현 임회관진(臨淮關鎭))에 두었다. 472년 중심지가 구현(朐縣, 현재의 장쑤성 롄윈강시)으로 옮겨졌다. 473년 일부 지역이 북서주로 분리되었다. 북위의 침공 이전까지 서주는 12군 34현 23,485호 175,967명을 거느렸다. 침공 이후 3군 9현만을 통치하게 되었다.[18][19]
군명 |
---|
팽성군(彭城郡) |
패군(沛郡) |
하비군(下邳郡) |
난릉군(蘭陵郡) |
동해군(東海郡) |
동완군(東莞郡) |
동안군(東安郡) |
낭야군(琅邪郡) |
회양군(淮陽郡) |
양평군(陽平郡) |
제음군(濟陰郡) |
북제음군(北濟陰郡) |
종리군(鍾離郡) |
마두군(馬頭郡) |
신창군(新昌郡) |
일부 지역이 525년 동서주, 527년 북서주 등으로 분리되며 주역이 축소되었다. 동위 시기 서주는 7군 24현 37,812호 108,787명을 거느렸다. 중심지는 팽성에 두었다.[20]
군명 |
---|
팽성군(彭城郡) |
남양평군(南陽平郡) |
번군(蕃郡) |
패군(沛郡) |
난릉군(蘭陵郡) |
북제음군(北濟陰郡) |
탕군(碭郡) |
오호 십육국 시대 동안, 서주는 다양한 국가들 사이에서 분할되거나 그들의 통치를 받았다.[3][4]
- 후연 (384–409)은 서주의 수도를 황금고(黃巾固, 현재의 장구시, 산둥성)에 두고, 이후 리양 (黎陽, 현재의 쉰현, 허난성 동쪽)으로 옮겼으며, 나중에는 거쳉 (鄄城, 현재의 거청현 북쪽)으로 옮겼다.
- 남연 (398–410)은 서주의 수도를 거성(莒城, 현재의 쥐현, 산둥성)에 두어 산둥성 남동부 일부를 관할했다.
- 후진 (384–417)은 서주의 수도를 항(項, 현재의 선추현, 허난성 남쪽)에 두어, 현재의 상추시, 타이캉현, 상수이현 동쪽 지역, 그리고 보저우, 우양현, 멍청현 (안후이성)을 관할했다.
408년, 동진의 안제 통치 기간 동안, 유유는 회하 북쪽의 이전 영토를 되찾았고, 411년에 북서주로 개명되었으며, 남쪽 경계는 회하와 접하고 수도는 펑청이었다.[3] 한편, 이주한 서주도 그대로 존재했다.
421년, 유송 (420–479)의 무제 치세 동안, 북서주는 서주로 복원되었으며, 이전의 이주한 서주 대신 남서주가 상대적으로 존재했다.[5][6][7]
433년, 북위 (386–535)의 태무제 치세 동안, 서주의 수도는 지양현(濟陽縣, 현재의 란카오 북동쪽)에 세워졌다.[3][4] 이 도시는 선문제 통치 기간인 467년에 해체되었다.
473년, 원래 지역이 북위에 의해 점령당함에 따라, 유송은 새로운 서주를 세웠고, 그 수도는 옌현(燕縣, 현재의 펑양, 안후이성)에 위치했다.[3][8]
607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郡)이 설치되면서 서주는 '''팽성군'''(彭城郡)으로 개칭되었으며, 그 아래 11현을 관할했다[10]。
구분 | 개황 원년 | 구분 | 대업 3년 | ||||||
---|---|---|---|---|---|---|---|---|---|
주 | 서주 | 인주 | 추주 | 초주 | 군 | 팽성군 | |||
군 | 팽성군 | 난릉군 | 영창군 | 기성군 | 곡양군 | 추남군 | 용항군 | 현 | 팽성현 패현 소현 난릉현 등현 풍현 기현 곡양현 부리현 류현 방여현 |
현 | 팽성현 패현 승고현 려현 | 승현 번현 | 풍현 | 기현 | 고창현 임회현 | 부리현 죽읍현 | 용항현 |
621년, 당이 왕세충을 평정하자 팽성군은 서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서주는 팽성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팽성군은 서주의 칭호로 되돌아갔다. 서주는 하남도에 속했으며, 팽성, 패, 소, 등, 풍, 숙천, 하비의 7현을 관할했다[11]。
송나라 때 서주는 경동서로에 속했으며, 팽성, 패, 소, 등, 풍 5개 현을 관할했다.[12] 원나라 때는 귀덕부에 속했으며, 소현(蕭県) 1현을 관할했다.[13] 1348년 이후 "쉬저우로"(徐州路)라는 행정 구역이 되었으며, 수도는 펑청이었다.[3][6]
명나라 홍무제 통치 기간 동안 "쉬저우"라는 이름이 복원되었으며, 이 행정 구역은 장쑤성의 페이현과 펑현, 안후이성의 당산현과 샤오현을 관할했다.[3][6] 1381년, 명에 의해 서주는 직예주로 승격되었다. 서주 직예주는 남직례에 속했으며, 소(蕭)·패(沛)·풍(豊)·탕산의 4개 현을 관할했다.[14]
청나라 옹정제 통치 기간 동안 "쉬저우부" (徐州府)가 되었으며, 현대의 쉬저우시와 쑤첸시 (이상 장쑤성), 쑤저우, 샤오현, 당산현 (이상 안후이성)을 관할했다. 1733년, 청에 의해 서주 직예주는 서주부로 승격되었다. 서주부는 강소성에 속했으며, 동산·소·패·풍·탕산·숙천(宿遷)·수녕·비주의 1주 7현을 관할했다.[15]
1913년, 부제 폐지에 따라 서주부는 폐지되었고, 그 부 치소가 있던 곳에 동산현이 설치되었다. 서주 회전에서 일본군에 의해 함락된 후, 왕징웨이 정권이 동산현에 서주시를 설치하면서 서주의 이름이 부활했다.[15]
2. 1. 선진 시대
우공 [''우의 조공'']에는 "바다, 태산(태산의 고대 명칭), 그리고 회수가 서주의 경계를 이루었다."라는 기록이 있다.[1][2] 이아에서는 서주에 대해 "기수의 동쪽에 위치한다"고 더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에 따르면, 고대 서주는 현대 산둥성 남동부(태산 남쪽)와 장쑤성 북부(장강 이북, 회수 북쪽) 지역에 대략 해당되는 지역을 포괄했다.[3][4]2. 2. 한나라 시대
기원전 106년 (전한 무제) 전국을 13개 주(州)로 나누고 각 주에 자사를 설치하면서, 현재의 장쑤성 (양쯔강 북쪽)과 산둥성 남동부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에 서주(徐州)가 설치되었다.[3][4] 후한 시대에는 서주의 수도가 담(; 현재 산둥성 린이시 탄청현)에 설치되었다.[3][4]후한대에 들어서면서 담현(현재의 산둥성 탄청현)을 주치(州治)로 삼았다. 삼국 시대 조위는 주치를 팽성(현재의 장쑤성 쉬저우시)으로 이전했다.
영가의 난으로 서진이 멸망하고 강남을 중심으로 동진이 성립되면서, 동진은 회하 이북의 땅을 상실하여 서주 북반부가 상실되었고, 주치는 남쪽으로 이전되었다. 411년 (의희 7년)에는 주치가 경구(현재의 장쑤성 전장시)까지 남하했다. 남조 송은 421년 (영초 2년)에 서주를 남서주로 개칭하고, 북서주를 서주로 개칭했다.
한편, 동진과 회하를 사이에 두고 대립한 오호 십육국과 남조와 대립한 북조 제국에서도 서주가 설치되었다. 4세기 말부터 5세기 초에 걸쳐서는 십육국의 각 정권이 각각 서주를 설치했다.
정권 | 설치 시기 | 주치(州治) 위치 | 관할 범위 및 변동 |
---|---|---|---|
후연 | 황건고(현재의 산둥성 지난시 장추구) → 여양(현재의 허난성 준현 동쪽) → 권성(현재의 산둥성 권청현 북쪽) → 폐지 | ||
남연 | 거성(현재의 산둥성 쥐현) | 현재의 산둥성 린취현에 솟아 있는 이산 동남에서 황해 연안의 빈해 일대 | |
후진 | 항현(현재의 허난성 선추현 남쪽) → 폐지 | 현재의 허난성 상추시·타이캉현·상수이현 이동 지구, 안후이성 보저우시·워양현·멍청현 주변 | |
북위 | 433년 (연화 2년) | 제양현(현재의 허난성 란카오현 동북) → 황흥 연간 초두에 폐지 |
2. 3. 삼국 시대 및 서진 시대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기준으로 담현에 중심지를 두었다. 후한말 복양 전투 이후 서주를 점령한 여포가 하비에 주둔하면서 서주의 중심지가 하비로 옮겨졌다. 조조의 서주 침공 당시 조조군이 벌인 학살로 인해 수많은 서주의 주민들이 동오, 촉한 등으로 이주했다.[16]삼국 시대 (220–280) 동안, 서주는 조위 (220–265)의 영토였으며 수도는 팽성(彭城, 현재의 쑤저우 시, 장쑤성)으로 옮겨졌다.[4] 서주의 면적은 손오와의 남쪽 국경으로 인해 약간 축소되었다.[3] 주의 중심지가 팽성으로 옮겨졌다.
서진 대 서주는 7군 61현 81,021호를 거느렸다. 진 혜제 이후 난릉군, 동안군, 회릉군, 당읍군이 신설되었다.
다음은 삼국 시대 및 서진 시대 당시 서주에 속했던 군, 현 목록이다.
삼국 시대 | 서진 시대 |
---|---|
2. 4. 동진, 남북조 시대
영가의 난 이후 회수 이북 지역이 후조에게 점령당하고, 회수 이남에 있던 광릉군, 당읍군 일대에 회수 이북 서주를 포함한 중국 화북 지역 주민들이 정착하면서 서주의 치소가 광릉(현재의 장쑤성 양저우시)으로 옮겨졌다. 이렇게 교치된 서주는 남서주 문서를 참조할 것.[17]이후 비수대전에서 승리한 동진은 411년(진 안제 의희 7년) 북벌로 얻은 회수 이북의 서주 지역을 수복했고 그 자리에 '''북서주(北徐州)'''를 두었다. 이 북서주는 421년(유송 무제 영초 2년) 서주로 개명되었다. 본래 중심지는 팽성에 두었으나 유송 명제 태시 연간 북위의 공격으로 송나라가 회수 이북 전역을 상실하며 관할지의 거의 전부를 상실했다. 북위의 침공 이후 중심지는 종리(鍾離, 현재의 안후이성 추저우시 펑양현 임회관진(臨淮關鎭))에 두었다. 472년(유송 명제 태예 원년) 중심지가 구현(朐縣, 현재의 장쑤성 롄윈강시)으로 옮겨졌다. 473년(유송 후폐제 원휘 원년) 일부 지역이 북서주로 분리되었다. 북위의 침공 이전까지 서주는 12군 34현 23,485호 175,967명을 거느렸다. 침공 이후 3군 9현만을 통치하게 되었다.[18][19]
군명 |
---|
팽성군(彭城郡) |
패군(沛郡) |
하비군(下邳郡) |
난릉군(蘭陵郡) |
동해군(東海郡) |
동완군(東莞郡) |
동안군(東安郡) |
낭야군(琅邪郡) |
회양군(淮陽郡) |
양평군(陽平郡) |
제음군(濟陰郡) |
북제음군(北濟陰郡) |
종리군(鍾離郡) |
마두군(馬頭郡) |
신창군(新昌郡) |
일부 지역이 525년(북위 효명제 효창 원년) 동서주, 527년(북위 효장제 영안 2년), 북서주 등으로 분리되며 주역이 축소되었다. 동위 시기 서주는 7군 24현 37,812호 108,787명을 거느렸다. 중심지는 팽성에 두었다.[20]
군명 |
---|
팽성군(彭城郡) |
남양평군(南陽平郡) |
번군(蕃郡) |
패군(沛郡) |
난릉군(蘭陵郡) |
북제음군(北濟陰郡) |
탕군(碭郡) |
오호 십육국 시대 동안, 서주는 다양한 국가들 사이에서 분할되거나 그들의 통치를 받았다.[3][4]
- 후연 (384–409)은 서주의 수도를 황금고(黃巾固, 현재의 장구시, 산둥성)에 두고, 이후 리양 (黎陽, 현재의 쉰현, 허난성 동쪽)으로 옮겼으며, 나중에는 거쳉 (鄄城, 현재의 거청현 북쪽)으로 옮겼다.
- 남연 (398–410)은 서주의 수도를 거성(莒城, 현재의 쥐현, 산둥성)에 두어 산둥성 남동부 일부를 관할했다.
- 후진 (384–417)은 서주의 수도를 항(項, 현재의 선추현, 허난성 남쪽)에 두어, 현재의 상추시, 타이캉현, 상수이현 동쪽 지역, 그리고 보저우, 우양현, 멍청현 (안후이성)을 관할했다.
408년, 동진의 안제 (r. 397–419) 통치 기간 동안, 유유는 회하 북쪽의 이전 영토를 되찾았고, 서주는 411년에 북서주로 개명되었으며, 남쪽 경계는 회하와 접하고 수도는 펑청이었다.[3] 한편, 이주한 서주도 그대로 존재했다.
421년, 유송 (420–479)의 무제 (r. 420–422) 치세 동안, 북서주는 서주로 복원되었으며, 이전의 이주한 서주 대신 남서주가 상대적으로 존재했다.[5][6][7]
433년, 북위 (386–535)의 태무제 (r. 424–452) 치세 동안, 서주의 수도는 지양현(濟陽縣, 현재의 란카오 북동쪽)에 세워졌다.[3][4] 이 도시는 선문제 (r. 465–471) 통치 기간인 467년에 해체되었다.
473년, 원래 지역이 북위에 의해 점령당함에 따라, 유송은 새로운 서주를 세웠고, 그 수도는 옌현(燕縣, 현재의 펑양, 안후이성)에 위치했다.[3][8]
2. 5. 수나라, 당나라 시대
607년(대업(大業) 3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郡)이 설치되면서 서주는 '''팽성군'''(彭城郡)으로 개칭되었으며, 그 아래 11현을 관할했다[10]。구분 | 개황 원년 | 구분 | 대업 3년 | ||||||
---|---|---|---|---|---|---|---|---|---|
주 | 서주 | 인주 | 추주 | 초주 | 군 | 팽성군 | |||
군 | 팽성군 | 난릉군 | 영창군 | 기성군 | 곡양군 | 추남군 | 용항군 | 현 | 팽성현 패현 소현 난릉현 등현 풍현 기현 곡양현 부리현 류현 방여현 |
현 | 팽성현 패현 승고현 려현 | 승현 번현 | 풍현 | 기현 | 고창현 임회현 | 부리현 죽읍현 | 용항현 |
621년 (무덕 4년), 당이 왕세충을 평정하자 팽성군은 서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 원년), 서주는 팽성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 원년), 팽성군은 서주의 칭호로 되돌아갔다. 서주는 하남도에 속했으며, 팽성, 패, 소, 등, 풍, 숙천, 하비의 7현을 관할했다[11]。
2. 6. 송나라, 원나라 시대
송나라 때 서주는 경동서로에 속했으며, 팽성, 패, 소, 등, 풍 5개 현을 관할했다.[12] 원나라 때는 귀덕부에 속했으며, 소현(蕭県) 1현을 관할했다.[13] 1348년 이후 "쉬저우로"(徐州路)라는 행정 구역이 되었으며, 수도는 펑청이었다.[3][6]2. 7. 명나라, 청나라 시대
명나라 (1368–1644) 홍무제 (재위 1368–1398) 통치 기간 동안 "쉬저우"라는 이름이 복원되었으며, 이 행정 구역은 장쑤성의 페이현과 펑현, 안후이성의 당산현과 샤오현을 관할했다.[3][6] 1381년 (홍무 14년), 명에 의해 서주는 직예주로 승격되었다. 서주 직예주는 남직례에 속했으며, 소(蕭)·패(沛)·풍(豊)·탕산의 4개 현을 관할했다.[14]청나라 (1644–1912) 옹정제 (재위 1722–1735) 통치 기간 동안 "쉬저우부" (徐州府)가 되었으며, 현대의 쉬저우시와 쑤첸시 (이상 장쑤성), 쑤저우, 샤오현, 당산현 (이상 안후이성)을 관할했다. 1733년 (옹정 11년), 청에 의해 서주 직예주는 서주부로 승격되었다. 서주부는 강소성에 속했으며, 동산·소·패·풍·탕산·숙천(宿遷)·수녕·비주의 1주 7현을 관할했다.[15]
2. 8. 중화민국 시대
1913년(민국 2년), 부제 폐지에 따라 서주부는 폐지되었고, 그 부 치소가 있던 곳에 동산현이 설치되었다. 서주 회전에서 일본군에 의해 함락된 후, 왕징웨이 정권이 동산현에 서주시를 설치하면서 서주의 이름이 부활했다.[15]참조
[1]
서적
禹貢
[2]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
http://ctext.org/sha[...]
[3]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Vol. 25 (2nd edition, 中国大百科全书(第二版)第25册)
Encyclopedia of China Publishing House
[4]
서적
中国历史大辞典·历史地理卷
Shanghai Cishu Press
[5]
웹사이트
宋书·志第二十五
http://lib.jmu.edu.c[...]
[6]
웹사이트
江苏省志·地理志
http://www.jssdfz.co[...]
[7]
웹사이트
江苏省志·地名志
http://www.jssdfz.co[...]
[8]
웹사이트
南齐书·志第六
http://lib.jmu.edu.c[...]
[9]
간행물
徐和淮夷的遷留
[10]
서적
隋書
[11]
서적
旧唐書
[12]
서적
宋史
[13]
서적
元史
[14]
서적
明史
[15]
서적
清史稿
[16]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17]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8]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19]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20]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