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개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개재는 낙동정맥이 통과하는 분수령으로, 봉화군 석포면과 삼척시 가곡면의 경계에 위치한다. 이곳은 고생대 퇴적암 지층인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의 다양한 지층을 관찰할 수 있는 곳으로, 묘봉층, 풍촌 석회암층, 세송층, 화절층, 동점층, 두무골층, 막골층 등이 드러나 있다. 석개재는 국내에서 한 개의 누층군 지층이 모두 드러난 거의 유일한 곳으로 지질학적 중요성을 가지며, 38편의 학술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문화재 지정이나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화군의 지리 - 태백산
태백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으로, 2,637종의 야생 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자연환경을 자랑하고 천제단과 망경사 등의 관광 자원이 있다. - 봉화군의 지리 - 송정리천
- 삼척시의 지리 - 금대봉
금대봉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상함백산의 봉우리로, 한강의 발원지인 골지천이 발원하고 잣나무 수림과 고산 식물 군락을 이루며 산양 등이 서식한다. - 삼척시의 지리 - 함백산
함백산은 태백산맥 중앙에 위치한 해발 1,573m의 산으로, 천연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주목이 자생하며, 과거에는 대박산 등으로 불렸고, 정상에서 백두대간과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다. - 경상북도의 지리 - 경산시의 지질
경산시의 지질은 경상 분지 동남부에 위치한 경산시의 지질학적 특징으로, 백악기 지층이 넓게 분포하며 대구층, 자인층, 채약산 화산암층,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주산안산암질암 등의 지층과 적제 단층, 고은 단층이 존재하고 보국 코발트 광산과 흥남광산 등의 자원이 있다. - 경상북도의 지리 - 영덕군의 지질
영덕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암석, 트라이아스기 화성암, 쥐라기 화성암, 경상 누층군, 영해 분지, 단층, 광산 등으로 구성된다.
석개재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석개재 |
원어표기 | (표기 없음) |
![]() | |
해발고도 | (정보 없음) |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
산맥 | 태백산맥, 낙동정맥 |
교통로 | 지방도 제910호선 청옥로 |
위치 지도 | (정보 없음) |
위도 | 북위 37도 04분 56.9초 |
경도 | 동경 129도 07분 56.8초 |
꼬리말 |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의 단면 |
지형도 | (정보 없음) |
지질학 | |
단면 |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 |
2. 지리
석개재는 낙동정맥이 통과하는 분수령이다. 석개재 남서측인 봉화군 석포면 방향은 경사가 완만하지만 북동측인 삼척시 가곡면 방향은 경사가 급하다. 석개재 정상에는 정자와 작은 주차장이 있고 이곳에서 묘봉 및 반야계곡으로 이어지는 산림관리용 및 낙동정맥 트레일의 일부인 1차선 임도가 분기된다. 이 임도를 따라 고생대의 퇴적암 지층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의 지층을 관찰할 수 있다.
석개재 일대는 고원생대 기반암 위에 조선 누층군 태백층군의 면산층, 묘봉층, 풍촌 석회암층, 세송층, 화절층, 동점 규암층, 두무골층, 막골층, 두위봉층 등이 분포한다.[2] 이곳은 한 개 누층군(Supergroup)의 지층이 모두 드러난 국내 유일의 장소로, 지질학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2] 이 지역은 국내외에서 총 38편의 학술 논문이 발표되었고, 세계적인 학자들이 직접 방문하기도 할 정도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2]
3. 조선 누층군
임도 구간에는 고원생대 기반암에서 면산층, 묘봉층, 풍촌 석회암층, 세송층, 화절층, 동점 규암층, 두무골층, 막골층 중부까지 드러나 있다. 지방도 제910호선 도로 구간에는 막골층에서 두위봉층까지 드러나 있지만, 현재 낙석 방지를 위해 일부 노두는 피복되어 관찰할 수 없다.[2] 노두가 최근 드러났고 지층의 변형이 거의 없어 각 지층의 암상은 물론 대부분의 지층 경계도 관찰 가능하다.[2]
그러나 이러한 지질학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석개재는 문화재 지정 논의가 없었고, 최근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된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에도 포함되지 않았다.[2]
3. 1. 묘봉층
묘봉층은 엽리상 이암, 엽리상 사암, 암회색 이암, (괴상) 사암 등으로 구성되며 하부에 박층의 조립사암이 협재된다. 석개재 단면에 약 120m 두께로 드러나 있으며, 이 단면에서 묘봉층 하한은 암회색 이암의 첫 출현이며 상한은 풍촌 석회암층의 온코이드 입자암(oncoidal grainstone) 직하부이다.[1]
3. 2. 풍촌 석회암층 (대기층)
석개재 단면에 180 m 두께로 드러난 풍촌 석회암층은 온콜라이트와 어란상 입자암, 괴상 입자암, 와케스톤~입자암, 석회암-셰일 교호 (녹회색) 이암 등으로 구성된다. 상부 경계는 세송층 최하부의 셰일 또는 실트스톤이다. 이곳의 대기층은 다양한 암상으로 구성된 두께 45 m의 하부층과 탄산염암이 우세한 두께 130 m의 상부층으로 나누어진다. 이 층에서 삼엽충 화석 ''Ammagnostus'', ''Peronopsis'', ''Dorypyge'', ''Amphoton'', ''Crepicephalina'', ''Cyclolorenzella'', ''Liostracina'', ''Metanomocarella''가 발견되었다. 중기~후기 캄브리아기를 지시하는 이 화석군은 북중국의 Zhangxia, Gushan층과 비슷하다.[1]
3. 3. 세송층
세송층은 녹회색 이암, 평행 엽층리 이암, 세립-중립질 사암, 괴상 사암, 석회암역암 등으로 구성된다.[1] 석개재 단면에서 40m 두께로 나타난다. 세송층 최상부는 석개재 단면에서 드러나지 않는다.[1]
3. 4. 화절층
석개재 단면에서 60 m 두께로 드러난 화절층은 셰일과 탄산염암이 우세한 부분이 순환한다. 화절층에서는 상부 캄브리아기의 ''Quadraticephalus'' 그리고 ''Mictosaukia'' 삼엽충 화석군이 인지된다.[1]
3. 5. 동점층
동점층은 엽리상 사암, 괴상 사암, 석회질사암, 암회색 이암, 괴상 입자암 등으로 구성되며 동점 규암층 하부에서는 삼엽충 화석이 상대적으로 풍부하게 산출된다.[1] 화절층에서 이어지는 ''Mictosaukia'' 화석군은 동점 규암층의 최하부를 차지한다.[1]
3. 6. 두무골층
석개재 단면에서 두무골층은 임도를 따라 남동 방향으로 드러나 있다. 이 지역에서 두무골층의 두께는 200 m이며, 암상(巖相)은 셰일과 탄산염암이 각각 우위를 점한 부분이 반복적으로 순환하여 나타난다.[1] 이 층은 하부의 동점 규암층과의 경계로부터 상부로 약 73 m 까지는 풍화로 인해 지층의 노두가 불량하다. 지층의 구성 암석에 따라 3개 층원으로 구분되는데, 하부층원은 하부 73 m 까지로 셰일이 우세하며, 두께 60 m의 중부층원은 탄산염암이 우세한 암상과 셰일이 우세한 암상이 순환적으로 교호(交互)하며, 두께 70 m의 상부층원은 탄산염암이 우세하다. 삼엽충 화석은 하부층원에서 ''Dikelokephalina''와 ''Apatokephalus''가 풍부하게 산출되며, 상부 층원에서 ''Kayseraspis''와 ''Asaphopsoides''가 산출된다.[1]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산 1-189 석개재 지역의 두무골층 중부층원 내 수 m 규모의 두꺼운 셰일 지층 사이에 위치한 석회암에 발달한 너뱅이동굴이 있다. 전체 연장 335 m의 너뱅이동굴은 9 m 두께의 석회암 지층을 따라 북북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통로가 30~50°로 가파르게 기울어 있으며 통로의 폭은 0.5~8.0 m, 높이는 1~12 m이다. 너뱅이동굴의 입구는 약 10 cm의 변위를 가지는 역단층면을 따라 발달하는데 상반은 습곡이 발달하고 하반 층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62° 및 북서 33°이며 동굴 내 두무골층의 지층도 이와 거의 비슷한 주향과 경사를 가진다.[3]
3. 7. 막골층
석개재에서 막골층은 약 250 m 두께로 나타나며 임도를 따라 나타난 노두는 최하부와 하부로, 지방도를 따라 나타난 노두를 중부와 상부로 구분한다. 두께 45 m의 최하부는 암회색의 괴상(塊狀) 돌로마이트와 생교란(bioturbated) 와케스톤~입자암(Grainstone), 석회암역암으로 구성된다. 두께 80 m의 하부는 생교란 와케스톤~입자암,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나타나는 석회질이암, 괴상 입자암, 돌로마이트질 석회이암과 괴상 돌로마이트, 석회암역암, 돌로마이트 각력암 등으로 구성된다. 두께 85 m의 중부는 생교란된(bioturbated) 와케스톤~입자암, 암회색과 담회색의 괴상 돌로마이트 등으로 구성된다. 두께 60 m의 상부는 암석학적으로 하부와 유사하며 생교란 와케스톤~그레인스톤, 돌로마이트질 석회질이암, 담회색과 암회색의 괴상 돌로마이트, 돌로마이트 각력암 등으로 구성된다. 탄산염암 퇴적상이 나타난다. 석개재 지역 하부 막골층 탄산염암을 대상으로 광물조성, 미세구조 및 지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막동층 최하부는 고염분의 대규모 퇴적수의 영향으로 마그네슘(Mg) 성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가운데 돌로마이트가 형성되었고, 하부는 담수와 해수의 혼합수 환경에서 속성 유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4][1]
참조
[1]
저널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in the Seokgaejae section, Taebaeksan Basin: a refined lower Paleozoic stratigraphy in Korea
https://www.proquest[...]
2004-06
[2]
저널
석개재 전기 고생대 퇴적층 단면의 지질유산적 가치와 보전 및 활용방안
https://koreascience[...]
2017
[3]
저널
Speleogenesis of Neobaeng-i cave, Seokpo-myeon, Bonghwa-gu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소재 너뱅이동굴의 형성과정)
https://www.dbpia.co[...]
2023-09
[4]
웹인용
석개재 지역 하부 막골층 탄산염암의 광물조성, 미세구조 및 지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Micro-textur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arbonate Rocks of theLower Makgol Formation in Seokgaejae section )
http://www.riss.kr/s[...]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