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석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숭은 서진 시대의 인물로, 사도 석포의 아들이자 형주 자사를 역임했다. 그는 상인을 위협하여 재산을 강탈하는 등 부도덕한 방법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했으며, 금곡원을 짓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다. 가남풍과 가깝게 지냈으며 문인으로서 명성도 높았다. 사마륜이 권력을 잡자 반란을 꾀하다가 애첩 녹주가 죽고, 자신도 처형되었다. 이후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왕개와의 부를 겨루는 일화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49년 출생 - 사마륜
    사마륜은 서진의 황족으로, 조카인 진 혜제를 폐위하고 황제에 올랐으나 3개월 만에 반란으로 체포되어 자결하며 서진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 300년 사망 - 반악
    반악은 서진 시대의 문인으로, 빼어난 문학적 재능과 외모로 명성을 얻었지만 사마륜의 쿠데타로 처형되었으며, 슬픔과 비애를 섬세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태강문학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다.
  • 300년 사망 - 가남풍
    가남풍은 서진 혜제의 황후로서 권력을 장악하여 정치를 농단하고 팔왕의 난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이다.
석숭

2. 생애

석숭은 사도 석포(石苞)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총명함과 용맹함을 보였다.[6] 석포는 석숭이 스스로 부를 쌓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그에게는 재산을 물려주지 않았다.[6]

이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초기 관직 생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섹션을 참고.
  • '''형주자사 시절과 재산 축적''':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섹션을 참고.
  • '''가씨 일파와의 결탁과 사치''':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섹션을 참고.
  • '''몰락과 죽음''':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섹션을 참고.

2. 1. 초기 관직 생활

무제 때 수무으로 관직을 시작해 성양 태수 등을 지냈고, 진나라의 오나라 정복에 참여한 공로로 안양향후(安陽鄕侯)에 봉해졌다.[6] 이후 시중(황궁에서 시중을 들며 자문하는 관직)의 자리에 올랐다.[6]

2. 2. 형주자사 시절과 재산 축적

혜제 즉위 후 양준이 섭정이 되자 이에 불만을 품고 형주자사로 부임했다.[1] 형주자사 시절, 항해와 무역으로 큰 부자가 되었는데, <진서>에는 "멀리 가는 상인과 상인을 위협하여 치부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6] 즉, 형주자사의 직위에 있으면서 강도질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는데, 종종 재산을 노리고 지나가는 상인들을 살해했다는 것이다.[1]

2. 3. 가씨 일파와의 결탁과 사치

가남풍이 권력을 잡자, 그의 조카 가밀과 가까이 지내며 '24명의 벗(二十四友)' 중 하나로 불렸다.[6] 학문과 시에도 능통하여 문인으로서의 명성도 높았으며, 6권의 문집과 '사귀인(思歸引)', '사귀탄(思歸歎)' 등의 시가 전해진다.[6] 낙양 서쪽에 금곡원(金谷園)을 짓고 호화로운 생활을 했으며, 왕개와 부를 다투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6] 그는 금곡원(金谷園)에서 관리와 문인들을 초대하여 주연(酒宴)을 자주 열었는데, 주연에서 시를 짓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벌로 세 말의 술을 마시게 하였다.[6] 여기서 '금곡주수(金谷酒數)'라는 고사성어가 유래했다.[6]

2. 4. 몰락과 죽음

300년, 사마륜가후(賈后) 세력을 제거하고 전권을 장악하자, 석숭은 황문랑(黃門郞) 반악과 함께 회남왕 사마윤과 제왕 사마경 등과 연합해 사마륜을 제거하려 했다. 사마륜의 측근이었던 손수는 녹주의 미색을 탐하여 석숭에게 녹주를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이에 앙심을 품은 손수는 석숭을 모함하여 대군을 이끌고 금곡원(金谷園)을 포위했다.[6]

손수가 보낸 군사들이 석숭이 연회에서 녹주와 함께 있던 누각에 들이닥쳤다. 석숭은 녹주에게 "나는 너 때문에 죄를 얻게 되었다."라고 말했고, 녹주는 "당신을 위해 죽겠습니다."라고 답하며 누각 아래로 몸을 던져 자살했다. 결국 석숭은 반악 등과 함께 사로잡혀 참수당했고, 그의 가족 또한 처형되었다.[6]

3. 평가

석숭은 부와 권력을 탐했으나, 결국 그로 인해 몰락한 인물로 평가된다. 그의 사치스러운 생활과 재산 축적 과정은 당시 서진 사회의 부패상을 반영한다.[1]

3. 1. 부정적 평가

석숭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부를 축적하고 권력에 아첨하는 모습으로 비판받는다. 특히 형주자사 시절 재산을 노리고 상인들을 약탈하고 살해한 행위는 용납될 수 없는 범죄 행위이다.[1] 지나친 사치와 향락은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한 지배층의 타락을 보여주는 것이다.

4. 기타

석숭은 복(福), 녹(祿), 수(壽)의 삼선(三仙) 가운데 녹(祿)을 상징하는 인물로 숭앙되었다.[1]

석숭과 왕개의 사치 경쟁은 <세설신어> 등에 기록되어 전해진다. 석숭은 외척인 왕개와 서로를 혐오했다.[3][4] 왕개 집안이 설탕물로 그릇과 냄비를 씻는다는 소식을 들은 석숭은 하인들에게 땔감 대신 촛불을 태우도록 명령했다. 왕개는 자신의 저택으로 가는 길가에 15km에 걸쳐 보라색 비단을 장식했는데, 석숭은 20km에 걸쳐 더 비싼 여러 가지 색깔의 비단을 덮었다. 진 무제는 왕개에게 높이가 50cm인 산호 나무(''Viburnum odoratissimum'')를 선물했는데, 석숭이 쇠로 된 여의로 그것을 부수고, 그 대신 높이가 90cm~120cm인 여러 그루의 산호 나무를 제공했다.[5]

4. 1. 부의 상징

석숭은 관직을 이용해 향료 무역 등을 독점하여 큰 부자가 되었는데, 백여 명의 처첩을 거느렸으며, 집안의 하인도 8백여 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중국은 물론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오랜 기간 동안 부자의 대명사처럼 여겨졌다. 중국에서 석숭은 복(福), 녹(祿), 수(壽)의 삼선(三仙) 가운데 녹(祿)을 상징하는 인물로 숭앙되었다.[1]

4. 2. 일화

석숭과 왕개의 사치 경쟁은 <세설신어> 등에 기록되어 전해진다.

석숭은 형주 자사로 있으면서 강도질로 막대한 부를 축적했는데, 재산을 노리고 지나가는 상인들을 살해하기도 했다.[1] 석숭은 외척인 왕개와 서로를 혐오했다.[3][4] 왕개의 집안이 설탕물로 그릇과 냄비를 씻는다는 소식을 들은 석숭은 하인들에게 땔감 대신 촛불을 태우도록 명령했다. 왕개는 자신의 저택으로 가는 길가에 40리(약 15km)에 걸쳐 보라색 비단을 장식했다. 이를 알게 된 석숭은 50리에 걸쳐 더 비싼 여러 가지 색깔의 비단을 덮었다. 진 무제는 한 번은 왕개에게 높이가 2척(약 50cm)인 산호 나무(''Viburnum odoratissimum'')를 선물했다. 석숭이 그를 방문하여 쇠로 된 여의로 그것을 부수고, 그 대신 높이가 3척~4척인 여러 그루의 산호 나무를 그에게 제공했다.[5]

참조

[1] 서적 晋书·石苞传
[2] 서적 晋书·潘岳传
[3] 문서 Wang Kai's elder sister was Wang Yuanji, mother of Emperor Wu of Jin.
[4] 서적 世说新语·仇隙篇
[5] 서적 世说新语·汰侈篇
[6]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석숭과 왕개가 부를 겨루다〉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