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적 촉매 환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택적 촉매 환원(SCR)은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질소산화물(NOx)을 질소와 물로 환원시키는 기술로,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정화에 주로 사용된다. 2004년 닛산 디젤이 트럭에 처음 적용한 이후, 유럽, 일본, 미국 등 각국의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자동차 분야로 확대 적용되었다. SCR은 NOx 저감 효율이 높고 연비 악화가 적지만, 요소수 보충의 번거로움, 시스템 복잡성과 비용, 저온에서의 촉매 활성 저하, 촉매 피독 물질에 대한 민감성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요소수 부족 문제는 2021년 중국의 수출 규제로 인해 한국에서 발생했으며, 자동차 제조사들은 SCR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SCR 기술은 발전소, 선박, 건설 기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경 기술 - 아로마테라피
아로마테라피는 식물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의 향기를 이용하여 심신의 건강을 증진하는 요법으로, 프랑스에서 유래되었으며 후각 자극과 피부 흡수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 - 환경 기술 - 환경기술
환경기술은 환경 보전, 환경 문제 대응,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주변 기술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분야로, 환경 부하를 줄이는 에너지 절약 및 재활용 기술과 발생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정화 기술을 포함하며, 최근에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과 폐기물 관리 등의 새로운 접근 방식이 중요해지고 있다. - 대기 오염 - 질소 산화물
질소 산화물은 질소와 산소의 화합물로, 주로 일산화 질소와 이산화 질소를 지칭하며, 고온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여 대기 환경 오염 및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아산화 질소는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알려져 질소 산화물 배출량 감축을 위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 대기 오염 - 먼지
먼지는 0.001~1000μm 크기의 다양한 고체 입자로, 총먼지, 초미세먼지 등으로 나뉘며 무기, 유기, 혼합분진으로 분류되고, 발생원에 따라 건강과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집먼지진드기, 우주 먼지 등도 포함된다. - 화학 반응 - 촉매
촉매는 화학 반응에서 자신은 소모되지 않으면서 반응 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새로운 반응 경로를 제공하여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며, 균일계, 불균일계, 생체 촉매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화학 반응 - 축합 반응
축합 반응은 두 작용기가 결합하며 작은 분자를 생성하고 제거되어 새로운 작용기를 형성하는 화학 반응으로, 중축합이나 탈수 축합으로 응용되며 에스터화, 아미드화, 알돌 축합 반응 등이 대표적이다.
선택적 촉매 환원 | |
---|---|
반응 | |
반응식 | 4 NO + 4 NH3 + O2 → 4 N2 + 6 H2O |
또는 | 2 NO + 4 NH3 + O2 → 3 N2 + 6 H2O |
또는 | NO + NO2 + 2 NH3 → 2 N2 + 3 H2O |
최적 온도 | 200–450 °C |
촉매 | 다양한 금속 산화물 (예: 바나듐, 텅스텐, 티타늄 기반) 제올라이트 (특히 철 또는 구리 이온 교환) |
개요 | |
유형 | 배기가스 후처리 기술 |
목표 | 질소 산화물 (NOx) 감소 |
사용 | 디젤 엔진 발전소 기타 산업 시설 |
작동 원리 | 촉매를 사용하여 질소 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환원시킴 |
환원제 | 암모니아 (NH3) 요소 (CO(NH2)2), 요소는 물에 용해되어 암모니아로 전환됨. |
결과 | 질소 (N2)와 물 (H2O) |
암모니아 슬립 | |
정의 | 미반응 암모니아가 배출되는 현상 |
원인 | 과도한 암모니아 주입 낮은 반응 온도 촉매 활성 저하 |
문제점 | 환경 오염 인체 건강에 유해 추가적인 배출 가스 규제 필요 |
해결책 | 암모니아 주입량 최적화 촉매 성능 개선 암모니아 슬립 촉매 (ASC) 사용 |
요소 SCR 시스템 (Urea-SCR System) | |
정의 | 요소 수용액을 사용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 |
작동 방식 | 요소 수용액 분사: 배기 가스 라인에 요소 수용액 (AdBlue)을 분사 가수 분해: 고온의 배기 가스에서 요소가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분해됨 SCR 반응: 암모니아와 질소 산화물이 촉매 상에서 반응하여 질소와 물로 전환됨 |
요소 수용액 | AdBlue (32.5% 요소, 67.5% 물) |
장점 | 높은 NOx 저감 효율 비교적 안전한 요소 사용 |
단점 | 요소 수용액 보충 필요 저온 환경에서 요소 동결 가능성 시스템 복잡성 증가 |
촉매 종류별 특징 | |
바나듐 기반 촉매 | 장점: 높은 SO2 내성 단점: 비교적 낮은 온도 범위에서 활성 |
텅스텐 기반 촉매 | 장점: 넓은 온도 범위에서 활성 단점: SO2에 민감 |
티타늄 기반 촉매 | 장점: 높은 내열성 단점: NOx 저감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음 |
제올라이트 촉매 | 장점: 높은 NOx 저감 효율, 넓은 온도 범위에서 활성 단점: SO2 및 탄화수소에 민감 |
관련 법규 및 규제 | |
유럽 | 유로 배출 기준 (유럽 자동차 제조 협회 (ACEA) 참조) |
미국 | Tier 2/3 배출 기준 (미국 환경 보호국 (EPA) 참조) |
대한민국 |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
주의사항 (면책 조항) |
2. 역사
SCR은 일본에서 닛산디젤(UD Trucks)이 트럭에 적용하였고, 최초의 실용적인 제품인 "닛산디젤 퀀(Nissan Diesel Quon)"이 2004년에 출시되었다.[9]
2007년,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은 유해 배기가스 배출량을 크게 줄이기 위한 규정을 제정했다. 이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커민스(Cummins) 등 디젤 엔진 제조업체들은 디젤 매연 필터(DPF)를 포함하는 후처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DPF는 저황 디젤 연료로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2007년 EPA 배출 기준을 준수하는 디젤 엔진은 초저황 디젤 연료(ULSD)를 필요로 했다. 짧은 전환 기간 후, ULSD 연료는 미국과 캐나다의 주유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2007년 EPA 규정은 2010년 EPA 규정에 대비하기 위한 임시적인 해결책이었다.[10]
2. 1. 개발 배경
닛산디젤(UD Trucks)은 2004년에 세계 최초로 실용적인 SCR 시스템을 적용한 트럭 "닛산디젤 퀀(Nissan Diesel Quon)"을 출시했다.[9]디젤 엔진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PM)은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다. 즉, 연소 온도를 낮추면 NOx는 감소하지만 PM이 증가하고, 연소 온도를 높이면 PM은 감소하지만 NOx가 증가한다. 닛산디젤이 개발한 “FLENDS”는 연소 온도를 높여 PM을 줄이고, 증가한 NOx를 요소 SCR로 제거하는 방식이다.[16]
“FLENDS”는 SCR 촉매, 요소수 첨가 장치, 해동 보온 장치가 장착된 요소수 탱크와 배관, 요소수의 품질·수위 센서 등 구성 부품에도 세계 최초의 기술이 다수 사용되었다. 이 기술력은 2005년에 자동차기술회 기술 개발상을 수상하며 높이 평가받았다.[16]
닛산디젤의 “FLENDS” 개발을 계기로 일본의 다른 대형차 제조사들도 요소 SCR 시스템을 도입했다. 2010년까지 일본에서 생산되는 모든 대형차 제조사들은 요소 SCR과 디젤 미립자 필터(DPF)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2007년,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은 유해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규정을 제정했다. 이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커민스(Cummins) 등 디젤 엔진 제조업체들은 디젤 매연 필터(DPF)를 포함하는 후처리 시스템을 개발했다. 2007년 EPA 규정은 NOx 수준을 더욱 낮춘 2010년 EPA 규정에 대비하기 위한 임시적인 해결책이었다.[10]
유럽의 자동차 제조사에서도 트럭·버스 등 대형 상용차에 SCR 시스템이 채택되고 있으며, 디젤 승용차용으로도 독일차를 중심으로 채택이 늘고 있다.
요소 SCR 시스템 전용 고품질 요소수는 "'''AdBlue'''"(アドブルー)라는 등록상표로 불리지만,[18] 일본이나 유럽 이외에서는 디젤 배기액(Diesel exhaust fluid, DEF)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2. 2. 자동차 분야 적용
닛산디젤(UD Trucks)은 2004년에 세계 최초로 트럭에 SCR 기술을 적용한 닛산디젤 퀀(Nissan Diesel Quon)을 출시하였다.[9] 닛산 디젤이 개발한 “FLENDS”는 요소 SCR과 고압 연료 분사를 결합한 기술로, 질소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PM)을 동시에 줄이는 데 성공했다.[16]이후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의 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따라 커민스(Cummins), 디트로이트 디젤(Detroit Diesel), 퍼카(Paccar), 볼보/맥 등 주요 디젤 엔진 제조사들이 SCR 기술을 채택했다.[13] BMW,[14][15] 다임러(Daimler AG)(블루텍(BlueTEC)으로서), 폭스바겐(Volkswagen)도 일부 디젤 승용차에 SCR 기술을 적용했다.

일본에서는 닛산 디젤의 “FLENDS” 개발을 계기로 대형차 제조사들이 요소 SCR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2010년까지는 모든 제조사가 요소 SCR과 디젤 미립자 필터(DPF)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유럽의 자동차 제조사들도 트럭, 버스 등 대형 상용차뿐만 아니라 독일차를 중심으로 디젤 승용차에도 SCR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2021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수출 규제로 인한 요소수 부족 사태를 겪었다.[21][22] 미중 무역 전쟁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미국 측에 동참하자, 중국은 보복 조치로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 수입을 중단했다.[21] 이로 인해 암모니아 생산량이 급감하여 요소수 수출 규제가 강화되었고,[21] 중국산 요소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대한민국은 큰 혼란을 겪었다.[22] 대한민국 국방부는 비축해 두었던 요소수의 절반을 민간에 제공하기도 했다.[23][24] 한국은 2011년에 수익성 문제로 요소수 국내 생산을 중단한 상태였다.[25]
3. 원리
선택적 촉매 환원(SCR) 반응은 기체가 촉매 반응기를 통과하면서 암모니아 또는 요소와 같은 환원제를 주입하여 기체와 혼합하면서 일어난다. 이상적인 반응은 630~720 K(357~447 °C)의 최적 온도 범위를 가지지만, 더 긴 체류 시간으로 500 K(227 °C)까지 작동할 수 있다. 최소 유효 온도는 다양한 연료, 가스 성분 및 촉매 기하학에 따라 달라진다. 다른 가능한 환원제로는 시안산과 황산암모늄이 있다.[3]
질소산화물(NOx)을 질소(N2)와 물(H2O)로 환원시키기 위해 암모니아(NH3)를 이용하는 원리는 화력발전소나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에서 착안되었다. 하지만 차량에는 암모니아를 직접 싣는 것이 위험하므로, 요소수를 탱크에 담아 배기 중에 분사하여 고온에서 가수분해시켜 암모니아 가스를 얻는다.
3. 1. 화학 반응
SCR 시스템은 촉매를 사용하여 질소산화물(NOx)을 질소(N₂)와 물(H₂O)로 환원시키는 화학 반응을 이용한다. 환원제로는 주로 암모니아(NH₃)가 사용되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차량에서는 요소수(AdBlue, DEF) 형태로 사용된다. 요소수는 배기 가스에 분사되어 고온에서 가수분해를 통해 암모니아로 분해된 후 NOx와 반응한다.[7]주요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3]
: (일산화질소의 환원)
: (이산화질소의 환원)
:
요소((NH₂)₂CO)가 사용될 경우, 요소는 물과 반응하여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 (요소수(AdBlue)에 포함된 요소로부터 암모니아 생성)
이 외에도 다양한 부반응이 존재한다.
3. 2. 주요 화학 반응식
선택적 촉매 환원(SCR) 반응은 기체가 촉매 반응기를 통과하면서 암모니아 또는 요소와 같은 환원제가 주입되어 일어난다. 무수 암모니아 또는 수용액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경우와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3]- '''암모니아 사용 시'''
:
:
:
- '''요소 사용 시'''
:
:
요소수를 탱크에 담아 배기 중에 분사하여 고온에서 가수분해시켜 암모니아 가스를 얻는다. 이 암모니아를 이용하여 NOx를 환원시켜 질소(N2)와 물(H2O)를 얻는다.[3]
: (요소로부터 암모니아 생성)
:
4. 구성 요소
FLENDS는 닛산디젤공업(현 UD트럭스)이 세계 최초로 트럭 및 버스용으로 실용화한 시스템으로, 요소 SCR 촉매, 고압 연료 분사 시스템, 고정밀 냉각 배기가스 재순환(EGR)을 조합한 디젤 엔진용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PM과 NOx를 대폭 감소시키고 배출되는 CO₂를 줄였다.
- 커먼레일식 연료 분사 시스템: 분사 전 연료를 각 기통 공통의 축압기(커먼레일)에서 고압으로 유지하고, 분사 연료의 고압 미세화를 통해 PM을 억제한다. 또한, 분사 시기·분사 횟수·분사량을 엔진 제어 장치(ECU)로 제어하여 NOx 발생을 억제한다.
- 고정밀 냉각 EGR: 배기가스의 일부를 연소실에 재순환시키는 시스템이다.
- AdBlue(애드블루): 독일 자동차 공업 협회의 등록상표로, 요소 SCR 시스템 전용의 고품위 요소수이다. 32.5% 수용액으로, 닛산화학공업 등 여러 화학 메이커에서 제조한다.
4. 1. 촉매
SCR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는 NOx 환원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이다. 다양한 종류의 촉매가 사용되며, 각각 장단점이 있다. 촉매는 일반적으로 벌집형 또는 평판형 구조를 가진다.[4]- 염기 금속 촉매: 바나듐, 몰리브덴, 텅스텐 등의 산화물, 제올라이트, 또는 다양한 귀금속이 활성 촉매 성분으로 사용된다.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다공성 세라믹 재료가 지지체로 사용된다. 저온에서 NOx 제거에 적용 가능한 활성탄 기반 촉매도 개발되었다.[4]
- 바나듐-텅스텐 촉매: 고온 내구성은 부족하지만 비용이 저렴하고 산업 및 발전소 보일러 응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온도 범위에서 잘 작동한다. 강제 재생을 사용하는 디젤 미립자 필터를 통합하는 자동차 SCR 응용 분야에서는 열 내구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산화황(SO₂)을 삼산화황(SO₃)으로 산화시키는 촉매 잠재력이 높아 산성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5]
- 제올라이트 촉매: 염기 금속 촉매보다 훨씬 높은 온도(최대 900K(627°C), 일시적으로 최대 1120K(847°C))에서 작동 가능하다. SO₂ 산화 가능성이 낮아 부식 위험이 적다.[5]
- 철 및 구리 이온 교환 제올라이트 촉매: 총 NOx 중 NO₂ 비율이 20%~50%인 경우 바나듐-요소 SCR과 거의 동등한 성능을 보인다.[6]
촉매 형태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촉매 형상은 벌집형과 평판형이다.
유형 | 특징 | 장점 | 단점 |
---|---|---|---|
벌집형 | 운반체 전체에 균질하게 적용되거나 기판에 코팅된 압출 세라믹 | 크기가 작음 | 압력 강하가 높고 쉽게 막힘 |
평판형 | 압력 강하가 낮고 플러깅 및 파울링에 덜 민감 | 크기가 크고 비쌈 |
골판형 촉매는 발전소 응용 분야에서 약 10% 정도 사용된다.[1]
4. 2. 환원제 (요소수)
요소는 암모니아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공급하기 위한 수용액 형태의 환원제이다. 일반적으로 32.5%의 요소 농도를 가진다.[7] 독일 자동차 공업 협회의 등록 상표인 AdBlue(애드블루)는 요소 SCR 시스템 전용의 고품위 요소수이다.4. 3. 요소수 분사 시스템
요소 SCR 시스템에 사용되는 고품위 요소수는 독일 자동차 공업 협회의 등록 상표인 AdBlue(애드블루)로, 32.5% 수용액이다. 닛산화학공업, 일본화성, 미쓰이화학, 신일본화성 등의 화학 회사에서 제조한다. 요소수는 트럭 스테이션, 일본 내 대형 트럭 취급 딜러(전사), AdBlue 판매처 또는 대형 트럭 대응 주유소에서 보충할 수 있다. 운영 사업자의 거점에 전용 계량기를 설치하거나, 거점 공장 내에 드럼통이나 백 인 박스 형태로 비치하기도 한다. 요소수 고갈에 대비하여 차량 탑재용 소형 파우치도 있다.5. 종류
SCR 촉매는 다양한 다공성 세라믹 재료를 지지체로 사용하여 제조되며, 활성 촉매 성분은 일반적으로 염기 금속(바나듐, 몰리브덴, 텅스텐 등)의 산화물, 제올라이트, 또는 다양한 귀금속이다. 저온에서 NOx 제거에 적용 가능한 활성탄 기반 촉매도 개발되었다.[4] 각 촉매 성분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 염기 금속 촉매: 바나듐과 텅스텐과 같은 염기 금속 촉매는 고온 내구성이 부족하지만 비용이 저렴하고 산업 및 발전소 보일러 응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온도 범위에서 매우 잘 작동한다. 열 내구성은 강제 재생을 사용하는 디젤 미립자 필터를 통합하는 자동차 SCR 응용 분야에 특히 중요하다. 또한 이산화황(SO₂)을 삼산화황(SO₃)으로 산화시키는 높은 촉매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데, 삼산화황은 산성 특성으로 인해 매우 해로울 수 있다.[5]
- 제올라이트 촉매: 제올라이트 촉매는 염기 금속 촉매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900 K(627 °C)의 장시간 작동과 최대 1120 K(847 °C)의 일시적인 조건을 견딜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또한 SO₂ 산화 가능성이 낮아 관련 부식 위험을 감소시킨다.[5] 철 및 구리 이온 교환 제올라이트 요소 SCR은 총 NOx 중 NO₂ 비율이 20%~50%인 경우 바나듐-요소 SCR과 거의 동등한 성능을 발휘한다.[6]
현재 사용되는 주요 촉매 형상은 벌집형, 평판형, 골판형이다. 벌집형은 운반체 전체에 균질하게 적용되거나 기판에 코팅된 압출 세라믹으로 구성된다. 평판형은 압력 강하가 낮고 플러깅 및 파울링에 대한 감수성이 낮지만 크기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든다. 벌집형은 크기가 작지만 압력 강하가 높고 쉽게 막힌다. 골판형은 발전소 응용 분야에서 약 10% 정도 차지한다.[1]
5. 1. 요소 SCR (Urea-SCR)
요소 SCR은 가장 일반적인 SCR 시스템으로, 요소수를 환원제로 사용한다.[7] SCR 공정에는 무수 암모니아(무수 암모니아), 암모니아수, 또는 용해된 요소를 포함한 여러 가지 질소 함유 환원제가 사용된다.[7] 이 세 가지 환원제는 모두 대량으로 널리 이용 가능하다.무수 암모니아는 강철 탱크에 약 10 bar의 압력으로 액체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흡입 위험 물질로 분류되지만, 잘 정비된 규정 및 표준을 준수하면 안전하게 저장 및 취급할 수 있다. 장점은 SCR 내에서 작동하기 위해 추가적인 전환이 필요 없다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대규모 산업용 SCR 운영자들이 선호한다. 암모니아수는 사용하기 위해 먼저 기화시켜야 하지만, 무수 암모니아보다 저장 및 운송이 훨씬 안전하다. 요소는 저장이 가장 안전하지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분해를 통해 암모니아로 전환해야 한다.[7]
“FLENDS(프렌즈)”는 “'''F'''inal '''L'''ow '''E'''mission '''N'''ew '''D'''iesel '''S'''ystem”의 약자로, 닛산디젤공업(현 UD트럭스)이 세계 최초로 트럭 및 버스용으로 실용화에 성공한 시스템이다. 요소 SCR 촉매, 고압 연료 분사 시스템(유닛 인젝터식·커먼레일식), 고정밀 냉각 EGR을 조합한 디젤 엔진용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으로, PM과 NOx를 대폭 감소시키고 배출되는 CO₂를 줄였다.
- 커먼레일식 연료 분사 시스템: 분사 전 연료를 각 기통 공통의 축압기(커먼레일)에서 고압으로 유지하고, 분사 연료의 고압 미세화에 의해 PM을 억제하며, 분사 시기·분사 횟수·분사량을 ECU로 제어함으로써 NOx 발생을 억제하는 시스템이다.
- 고정밀 냉각 EGR: 배기가스의 일부를 연소실에 재순환시키는 시스템이다.
- AdBlue(아드블루): 독일 자동차 공업 협회의 등록상표. 요소 SCR 시스템 전용의 고품위 요소수. 요소 32.5%의 수용액이다. 닛산화학공업, 일본화성, 미쓰이화학, 신일본화성 등의 화학 메이커가 제조한다.
5. 2. HC-SCR (Hydrocarbon-SCR)
HC-SCR(Hydro Carbons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은 HC-SCR 촉매라고도 불리며, 요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요소 SCR과 달리, 디젤 연료(경유)에서 분해 생성된 탄화수소(HC)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요소수 탱크가 필요 없어 경제적이고 공간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요소 SCR 시스템 자체가 크기 때문에 탑재가 불가능했던 쓰레기 수거차나 소방차에도 HC-SCR이라면 탑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히노자동차에서 개발되어 '''신 DPR'''이라고 명명되었다.[19] 이 신기술은 2014년(헤이세이 26년)에 경제산업대신상 등을 수상했다.[19]2020년(레이와 2년) 북미에서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정한 배기가스 인증 시험을 HC-SCR 시스템을 채택한 히노 600(A05C형)이 통과하지 못한 것을 계기로,[20] 2022년(레이와 4년) 3월에 발각된 히노자동차 엔진 부정 문제에서는 이 HC-SCR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 모두가 환경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이 확인되었다. 모든 차종의 인증이 취소된 결과, 히노자동차는 판매할 차량이 전혀 없는 위기적 상황에 처해 있다.[20]
6. 장단점
선택적 촉매 환원(SCR) 촉매는 다양한 다공성 세라믹 재료를 지지체로 사용하며, 활성 촉매 성분으로는 염기 금속(바나듐, 몰리브덴, 텅스텐 등)의 산화물, 제올라이트, 또는 다양한 귀금속이 사용된다. 활성탄 기반 촉매도 저온 NOx 제거에 적용 가능하다.[4] 각 촉매 성분은 장단점을 가진다.
- 염기 금속 촉매: 바나듐과 텅스텐과 같은 염기 금속 촉매는 고온 내구성이 부족하지만 비용이 저렴하고, 산업 및 발전소 보일러에서 주로 사용되는 온도 범위에서 잘 작동한다. 열 내구성은 강제 재생을 사용하는 디젤 미립자 필터를 통합하는 자동차 SCR 응용 분야에 특히 중요하며, 이산화황(SO₂)을 삼산화황(SO₃)으로 산화시키는 높은 촉매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5]
- 제올라이트 촉매: 염기 금속 촉매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작동 가능하며, 900 K(627 °C)의 장시간 작동과 최대 1120 K(847 °C)의 일시적인 조건을 견딜 수 있다. SO₂ 산화 가능성이 낮아 부식 위험을 줄인다.[5] 철 및 구리 이온 교환 제올라이트 요소 SCR은 총 NOx 중 NO₂ 비율이 20%~50%인 경우 바나듐-요소 SCR과 거의 동등한 성능을 발휘한다.[6]
SCR에 사용되는 촉매의 형상은 주로 벌집형과 평판형이 사용된다.
촉매 형상 | 장점 | 단점 |
---|---|---|
벌집형 | 크기가 작다. | 압력 강하가 높고, 막히기 쉽다. |
평판형 | 압력 강하가 낮고, 막힘 및 파울링에 대한 감수성이 낮다. | 크기가 크고, 비용이 비싸다. |
골판형 촉매는 발전소 응용 분야에서 시장의 약 10%를 차지한다.[1]
6. 1. 장점
선택적 촉매 환원(SCR, SCR영어)은 NOx 저감 효율이 높아 다른 배기가스 저감 기술(DPF 등)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연료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도 장점이다.- 연비 악화 요인이 적기 때문에 연료비와 요소수 비용을 합산해도 기존 차량과 비교하여 운영비 상승은 거의 없거나 동등하다.
- NOx저장환원촉매와 디젤 매연입자 필터(DPF)와 비교하여 배기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도 정화 능력이 있으며 내구성도 높다.
- 백금 등의 귀금속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요소수 SCR 단독이라면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복합식이라면 각각의 단독식보다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2. 단점
선택적 촉매 환원(SCR) 기술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요소수 보충: SCR 시스템은 질소산화물(NOx)을 줄이기 위해 요소수를 사용하는데, 이 요소수는 주기적으로 보충해 주어야 한다. 이는 운전자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다.[47]
- 비용 문제: SCR 시스템은 복잡하고, 백금과 같은 귀금속을 사용하지 않아도 요소수 탱크 및 분사 시스템, 산화 촉매 등을 추가로 장착해야 하므로 초기 설치 비용이 높다. 또한, 요소수 자체의 비용도 발생하며, 시스템 고장 시 수리 비용이 100만 엔에 달하는 경우도 있어 유지 보수 비용도 높은 편이다.[46]
- 무게 증가: SCR 시스템은 요소수 탱크 및 분사 시스템, 산화 촉매를 추가로 장착해야 하므로 차량의 무게가 증가한다. 이는 특히 화물차의 경우 적재량 감소로 이어져 운송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43]
- 촉매 성능 저하: SCR 시스템의 촉매는 황 화합물, 알칼리 금속, 중금속 등 특정 물질(피독 물질)에 의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낮은 온도에서는 촉매의 활성이 떨어져 질소산화물 저감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45]
- 암모니아 슬립: SCR 시스템에서 암모니아가 과도하게 주입되거나, 온도가 너무 낮거나, 촉매가 피독된 경우, 반응하지 않은 암모니아가 배출되는 '암모니아 슬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대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44]
- 침전물: 요소와 배기가스의 연소 생성물에 의해 머플러 내부에 침전물이 쌓이거나 인젝터(분사 노즐) 막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44]
- 기타 문제:
- 제조사에서 지정하지 않은 요소수를 사용하면 NOx 정화율 저하, 필터 막힘, 요소수 동결 시 경고등 점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45]
- 일반 차량은 주행 중 요소수가 부족해도 계속 주행은 가능하지만, 시동 후 재시동은 불가능하다.[46]
- 시스템에 도장이나 유지류를 도포하면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기능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47]
- 요소수를 실수로 차체나 다른 부품에 흘리면 금속 부식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46]
7. 요소수 부족 문제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조치[21]로 인해, 그 거의 전량을 중국에 의존하던 대한민국은 요소수 품귀 현상으로 혼란에 빠졌다.[22] 미중 무역 전쟁에서 중국에 대한 경제 제재에 오스트레일리아가 동참하자, 중화인민공화국은 보복 조치로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 수입을 중단했다. 중국은 석탄의 절반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고, 국내 채굴도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 등의 영향으로 중국 내 석탄 부족이 심화되어 요소의 주원료인 암모니아 생산량이 급감했다. 이는 한국의 높은 중국 의존도를 보여주는 사례로, 공급망 다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국은 수익성 문제로 2011년 자국 내 요소수 생산을 중단했다.[25]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 국방부는 군용으로 비축해 두었던 요소수의 절반을 민간에 공급했다.[23][24]
7. 1. 개요
닛산디젤(당시)이 개발한 “FLENDS”는 요소 SCR과 고압 연료 분사를 결합한 것이다.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과 입자상 물질(PM)은 연소 온도를 낮추면 NOx는 감소하는 대신 PM이 증가하고, 반대로 연소 온도를 높이면 PM이 감소하는 대신 NOx가 증가하는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지만, “FLENDS”는 연소 온도를 높여 완전 연소시켜 PM을 저감하고, 그에 따라 증가한 NOx를 요소 SCR로 제거하는 메커니즘이다.[16]“FLENDS”는 SCR 촉매, 요소수 첨가 장치, 해동 보온 장치가 장착된 요소수 탱크와 배관, 요소수의 품질·수위 센서 등 구성 부품에도 세계 최초의 기술이 다수 사용된 것으로, 그 기술력이 높이 평가되어 2005년(헤이세이 17년)에 자동차기술회 기술 개발상을 수상했다.[16]
당시 세계에서 가장 엄격하다고 여겨졌던 일본의 2005년 배기가스 규제를 1년 가까이 앞당겨 충족시킨 것으로 화제를 모았다. 닛산디젤의 “FLENDS” 개발을 계기로 일본 국내에서도 대형차 제조사 각사가 요소 SCR 시스템을 도입했다.
유럽의 자동차 제조사에서도 트럭·버스 등 대형 상용차에 채택되고 있으며, 디젤 승용차용으로도 독일차를 중심으로 채택이 진행되고 있다.
요소 SCR 시스템 전용의 고품위 요소수는 “'''AdBlue'''”(アドブルー)라는 등록상표가 붙어 있지만,[18] 일본이나 유럽 이외에서는 디젤 배기액(Diesel exhaust fluid, DEF)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미중 무역 전쟁에서 중국에 대한 경제 제재에 오스트레일리아가 동참함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은 보복 조치로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 수입을 중단했다. 중국은 석탄의 절반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 채굴도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 등의 영향으로 중국 내 석탄 부족이 심화됨에 따라 요소의 주원료인 암모니아 생산량이 급감했다. 이로 인해 2021년부터 시작된 수출 규제(강화)[21]로 인해, 그 거의 전량을 중국에 의존하던 대한민국은 혼란에 빠졌다.[22]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 국방부는 경전투차량 등에 사용하기 위해 비축해 두었던 요소수의 절반을 민간에 제공했다.[23][24] 참고로 한국은 수익성 문제로 2011년 자국 내 생산을 중단했다.[25]
7. 2. 대한민국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조치[21]로 인해, 그 거의 전량을 중국에 의존하던 대한민국은 요소수 품귀 현상으로 혼란에 빠졌다.[22] 이 문제는 한국의 높은 중국 의존도를 보여주는 사례로, 공급망 다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국은 수익성 문제로 2011년 자국 내 요소수 생산을 중단했다.[25]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 국방부는 군용으로 비축해 두었던 요소수의 절반을 민간에 공급했다.[23][24]
8. 자동차 제조사별 도입 현황
메르세데스-벤츠는 "BlueTEC"(블루텍)이라는 이름으로 SCR 시스템을 도입했다.[14][15] 2006년 북미에서 출시된 메르세데스-벤츠 E320 CDI는 "블루텍"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캘리포니아주와 뉴욕주를 포함한 5개 주의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지 못해 해당 주에서는 판매가 불가능했다. 일본에서는 2010년 V6 3리터 디젤 엔진을 탑재한 "E350 블루텍 아방가르드"를 출시했다. 2015년에는 직렬 4기통 2.2리터 엔진, 2016년 7월부터 직렬 4기통 2리터 엔진, 2018년 9월부터 직렬 6기통 3리터 엔진을 추가하여 주요 모델에 “○200d”, “○220d”, “○350d”, “○400d”라는 명칭을 붙여 판매하고 있다. 2019년에는 A200d와 B200d를 출시하여 유럽의 배기가스 규제 기준인 “유로 6d”를 충족한다. 상용차에서는 2007년 이후 일본에도 수입된 연결버스인 시타로 G가 유로 5 대응 “블루텍 5”를 장착했고, 2016년 이후 일본 시장용 신형 모델에는 유로 6 대응 “블루텍 6”을 장착하고 있다.
푸조 시트로엥 그룹(현 스텔란티스) 산하의 푸조, 시트로엥, DS Automobiles는 2013년 9월부터 "BlueHDi"라는 이름으로 SCR 시스템을 선보였다.[39] 일본에서는 2016년 7월에 푸조, 시트로엥, DS Automobiles 각 브랜드에서[40][41] 판매를 시작했다.
폭스바겐(Volkswagen)은 2015년 배기가스 규제 위반 소프트웨어가 지적됨에 따라 향후 모든 디젤 차종에 요소수 SCR 시스템을 장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2]
BMW,[14][15] 다임러(Daimler AG) 등도 SCR 기술을 일부 승용 디젤 자동차에 사용했다.
제조사 | 내용 |
---|---|
UD 트럭 (구 닛산 디젤) | 자체 개발한 "FLENDS" 시스템을 쿼온, 스페이스애로우, 스페이스러너RA에 탑재했다. 미쓰비시 후소 트럭 버스에 기술을 공급하여 슈퍼그레이트, 에어로스타, 에어로퀸 등에 도입되었다. 2010년에는 컨돌에 중형차 최초로 시스템을 도입했다. |
미쓰비시 후소 트럭 버스 | 초기에는 독자 개발을 진행했으나, 리콜 은폐 문제로 중단되었다. 이후 닛산 디젤의 "FLENDS" 공급을 받았다. 2010년부터 다임러 그룹의 메르세데스-벤츠와 같은 "BlueTec(블루텍)"을 도입하여 슈퍼 그레이트, 대형 버스, 캔터, 파이터, 로자, 에어로미디 MK에 탑재했다. |
히노 자동차 | 2010년 독자적인 클린 디젤 시스템 AIR LOOP(에어루프)를 개발하여 요소수 SCR과 디젤 미립자 필터(DPF)를 병용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프로피아, 렌저, 셀레가, 이스즈 가라, 셀레가 하이브리드, 멜파, 블루리본 하이브리드, 이스즈 가라미오, 이스즈 엘가 하이브리드, 폰쵸, 리에세 II에 탑재했다. |
이스즈 자동차 | 도쿄 모터쇼에 요소수 SCR 시스템 탑재차를 출품했지만, 요소수 공급 인프라 부족으로 시기상조라고 판단했다. 2010년 DPF 촉매와 요소수 SCR 병용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가, 포워드, 엘가, 히노 블루리본II, 엘가미오, 히노 레인보우, 엘프에 탑재했다. |
마쓰다 | 2009년부터 유럽 시장에서 판매되는 CX-7 디젤 모델에 요소수 SCR 시스템을 탑재했다.[38] 그러나 독자 기술 "SKYACTIV-D" 개발로 OEM 공급 차량 등에 한정되었다. |
토요타 자동차 | 2015년 GD형 엔진에 요소수 SCR 시스템을 탑재했다. 2019년에는 코스터에도 탑재되었으며, 엔진 공급원인 히노 자동차에도 공급하고 있다. |
미쓰비시 자동차 | 2019년 델리카 D:5와 에클립스 크로스 클린 디젤 차량에 요소수 SCR 시스템을 탑재했다. |
닛산 자동차 | 2022년 자체 디젤 엔진 개발을 중단하고, 캬라반에 미쓰비시 자동차로부터 4N16형 엔진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다. |
8. 1. 국내 제조사
닛산 디젤(UD Trucks)은 2004년에 닛산 디젤 퀀(Nissan Diesel Quon)을 출시하면서 SCR 기술을 트럭에 적용했다.[9] 닛산 디젤의 “FLENDS” 개발을 계기로 일본 내 대형차 제조사들이 요소 SCR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2010년까지 모든 제조사가 요소 SCR과 디젤 미립자 필터(DPF) 병용 방식을 채택하여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의 트렌드가 되었다.[16]제조사 | 내용 |
---|---|
UD 트럭 (구 닛산 디젤) | 자체 개발한 "FLENDS" 시스템을 쿼온, 스페이스애로우, 스페이스러너RA에 탑재했다. 미쓰비시 후소 트럭 버스에 기술을 공급하여 슈퍼그레이트, 에어로스타, 에어로퀸 등에 도입되었다. 2010년에는 컨돌에 중형차 최초로 시스템을 도입했다. |
미쓰비시 후소 트럭 버스 | 초기에는 독자 개발을 진행했으나, 리콜 은폐 문제로 중단되었다. 이후 닛산 디젤의 "FLENDS" 공급을 받았다. 2010년부터 다임러 그룹의 메르세데스-벤츠와 같은 "BlueTec(블루텍)"을 도입하여 슈퍼 그레이트, 대형 버스, 캔터, 파이터, 로자, 에어로미디 MK에 탑재했다. |
히노 자동차 | 2010년 독자적인 클린 디젤 시스템 AIR LOOP(에어루프)를 개발하여 요소수 SCR과 DPF를 병용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프로피아, 렌저, 셀레가, 이스즈 가라, 셀레가 하이브리드, 멜파, 블루리본 하이브리드, 이스즈 가라미오, 이스즈 엘가 하이브리드, 폰쵸, 리에세 II에 탑재했다. |
이스즈 자동차 | 도쿄 모터쇼에 요소수 SCR 시스템 탑재차를 출품했지만, 요소수 공급 인프라 부족으로 시기상조라고 판단했다. 2010년 DPF 촉매와 요소수 SCR 병용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가, 포워드, 엘가, 히노 블루리본II, 엘가미오, 히노 레인보우, 엘프에 탑재했다. |
마쓰다 | 2009년부터 유럽 시장에서 판매되는 CX-7 디젤 모델에 요소수 SCR 시스템을 탑재했다.[38] 그러나 독자 기술 "SKYACTIV-D" 개발로 OEM 공급 차량 등에 한정되었다. |
토요타 자동차 | 2015년 GD형 엔진에 요소수 SCR 시스템을 탑재했다. 2019년에는 코스터에도 탑재되었으며, 엔진 공급원인 히노 자동차에도 공급하고 있다. |
미쓰비시 자동차 | 2019년 델리카 D:5와 에클립스 크로스 클린 디젤 차량에 요소수 SCR 시스템을 탑재했다. |
닛산 자동차 | 2022년 자체 디젤 엔진 개발을 중단하고, 캬라반에 미쓰비시 자동차로부터 4N16형 엔진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다. |
8. 2. 해외 제조사
메르세데스-벤츠는 "BlueTEC"(블루텍)이라는 이름으로 SCR 시스템을 도입했다.[14][15] -- 2006년 북미에서 출시된 메르세데스-벤츠 E320 CDI는 "블루텍"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캘리포니아주와 뉴욕주를 포함한 5개 주의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하지 못해 해당 주에서는 판매가 불가능했다. 일본에서는 2010년 V6 3리터 디젤 엔진을 탑재한 "E350 블루텍 아방가르드"를 출시했다. 2015년에는 직렬 4기통 2.2리터 엔진, 2016년 7월부터 직렬 4기통 2리터 엔진, 2018년 9월부터 직렬 6기통 3리터 엔진을 추가하여 주요 모델에 “○200d”, “○220d”, “○350d”, “○400d”라는 명칭을 붙여 판매하고 있다. 2019년에는 A200d와 B200d를 출시하여 유럽의 배기가스 규제 기준인 “유로 6d”를 충족한다. 상용차에서는 2007년 이후 일본에도 수입된 연결버스인 시타로 G가 유로 5 대응 “블루텍 5”를 장착했고, 2016년 이후 일본 시장용 신형 모델에는 유로 6 대응 “블루텍 6”을 장착하고 있다.푸조 시트로엥 그룹(현 스텔란티스) 산하의 푸조, 시트로엥, DS Automobiles는 2013년 9월부터 "BlueHDi"라는 이름으로 SCR 시스템을 선보였다.[39] 일본에서는 2016년 7월에 푸조, 시트로엥, DS Automobiles 각 브랜드에서[40][41] 판매를 시작했다.
폭스바겐(Volkswagen)은 2015년 배기가스 규제 위반 소프트웨어가 지적됨에 따라 향후 모든 디젤 차종에 요소수 SCR 시스템을 장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2]
BMW,[14][15] 다임러(Daimler AG) 등도 SCR 기술을 일부 승용 디젤 자동차에 사용했다.
9. 기타 응용 분야
트랙터나 휠로더 등 일반 도로를 주행하는 특수자동차에 요소수 SCR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얀마, 쿠보타, 이세키농기의 일부 트랙터 차종과 코마쓰제작소의 일부 휠로더 차종에도 요소수 SCR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9. 1. 발전소
화력 발전소 및 산업용 보일러 배기가스에서 질소산화물(NOx)을 제거하기 위해 SCR 기술이 사용된다. SCR 장치는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절탄기와 공기 예열기 사이에 위치하며, 암모니아 분사 그리드를 통해 암모니아가 촉매 반응기에 분사된다. 다른 SCR 응용 분야와 마찬가지로 작동 온도가 중요하다. 발전소 SCR 기술에서 미반응 암모니아(암모니아 슬립)는 문제가 되기도 한다.석탄 화력 보일러의 경우,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플라이 애시(fly ash)에 의해 촉매가 결합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오트블로어(sootblower), 초음파 혼(ultrasonic horn)을 사용하고, 배관 및 촉매 재료를 신중하게 설계해야 한다. SCR 촉매의 수명은 배기가스 조성에 따라 다르다.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는 약 16,000~40,000시간(1.8~4.5년), 가스 화력 발전소에서는 최대 80,000시간(9년) 정도이다.
촉매 피독, 황 화합물 및 플라이 애시는 SCR 시스템 앞에 세정기를 설치하여 제거할 수 있어 촉매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발전소와 선박 엔진에서는 SCR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시스템 뒤에 세정기를 설치한다.
9. 2. 기타 산업
트랙터나 휠로더 등 일반 도로를 주행하는 특수자동차에 요소수 SCR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얀마, 쿠보타, 이세키농기의 일부 트랙터 차종과 코마쓰제작소의 일부 휠로더 차종에도 요소수 SCR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참조
[1]
서적
Steam: Its Generation and Uses
Babcock & Wilcox
[2]
서적
Advanced Automotive Fault Diagnosis: Automotive Technology: Vehicle Maintenance and Repair
Routledge
[3]
간행물
Environmental Effects of Nitrogen Oxides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4]
웹사이트
CarbonCatalysts | CarboTech AC GMBH
http://carbotech.de/[...]
2015-11-27
[5]
웹사이트
DOE presentation
http://www1.eere.ene[...]
[6]
논문
Advanced Urea Scr Catalyst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http://www.sae.org/t[...]
2009-05-18
[7]
논문
Modeling of Urea Decomposition in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for Systems of Diesel Exhaust Gases Aftertreatment by Finite Volume Method
2020-07-01
[8]
웹사이트
Nox Reduction
https://www.emigreen[...]
[9]
웹사이트
尿素CSRシステム(FLENDS)
https://www.jsae.or.[...]
2021-11-28
[10]
웹사이트
2010 EPA Emissions Standards And Diesel Exhaust Fluid
https://familyrvingm[...]
2013-05-01
[11]
웹사이트
Hino Standardized SCR Unit
http://www.hinoscr.c[...]
Hino Motors
2014-07-30
[12]
웹사이트
The DPR Future
http://www.hino.com/[...]
Hino Motors
2014-07-30
[13]
뉴스
Caterpillar exits on-highway engine business
https://www.todaystr[...]
2008-06-13
[14]
웹사이트
BMW BluePerformance – AdBlue.
http://www.bmw.com/c[...]
2017-01-15
[15]
웹사이트
BMW maintenance: AdBlue.
http://www.bmw.com/c[...]
2017-01-15
[16]
웹사이트
日本の自動車技術330選 尿素SCRシステム(FLENDS)
http://www.jsae.or.j[...]
[17]
뉴스
日産ディーゼル工業/平成17年(新長期)排出ガス規制対応技術「FLENDS」実用化
https://lnews.jp/bac[...]
物流ニュース LNEWS
2004-10-11
[18]
뉴스
日産ディーゼル、世界的範囲での「AdBlue(アドブルー)」の 商標使用許諾契約をドイツ自動車工業会と締結
https://www.udtrucks[...]
日産ディーゼル工業(現:UDトラックス)ニュースリリース
2007-08-24
[19]
웹사이트
CSR 2014 - 日野自動車
https://www.hino.co.[...]
日野自動車
2022-08-22
[20]
웹사이트
尿素フリーに固執したことが遠因か? 排ガスレベル未達が誇り高きエンジニア達を狂わせた!! 【日野自動車不正問題】
https://bestcarweb.j[...]
ベストカー
2022-03-09
[21]
웹사이트
韓国“尿素水不足”で公共交通機関ストップ!?中国が輸出規制で大混乱
https://the-owner.jp[...]
THE OWNER
2021-12-11
[22]
웹사이트
韓国で尿素水が品薄に、物流が混乱する恐れ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
2021-11-09
[23]
웹사이트
韓国で尿素水が不足、物流や工業セクター混乱 中国が輸出制限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1-11-09
[24]
웹사이트
韓国国防長官「軍保有の尿素水445トンのうち210トンは民間支援可能」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21-11-09
[25]
웹사이트
尿素水不足、韓国は大騒ぎで日本が静かな理由
https://www.kedgloba[...]
韓国経済新聞
2021-11-05
[26]
웹사이트
アンモニアが“燃料”になる?!(前編)~身近だけど実は知らないアンモニアの利用先
https://www.enecho.m[...]
経済産業省
2021-01-05
[27]
웹사이트
「尿素水」原料の国内増産要請 経産省、中国輸出規制で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12-26
[28]
웹사이트
【農林水産省】ウクライナ情勢で高騰 肥料価格の抑制へ7割補助
https://www.zaikai.j[...]
財界
2022-08-16
[29]
웹사이트
韓国は対岸の火事ではない 日本でも尿素水不足で「物流が止まる」の声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Yahoo News
2021-12-07
[30]
웹사이트
ディーゼル車向け尿素水不足問題、1月中に正常化へ 経産省
https://response.jp/[...]
Response.
2021-12-27
[31]
뉴스
【三菱ふそう スーパーグレート 改良新型】尿素水の補給頻度
http://response.jp/i[...]
レスポンス
2007-08-13
[32]
뉴스
日野自動車「自動車技術展 人とくるまのテクノロジー展2010」に先進のクリーンディーゼルシステム「AIR LOOP」、先進安全テクノロジーなどを出展
http://www.hino.co.j[...]
日野自動車ニュースリリース
2010-05-14
[33]
뉴스
日野自動車、大型観光バス「日野セレガ ハイブリッド」を改良し平成21年(ポスト新長期)排出ガス規制に適合させ新発売
http://www.hino.co.j[...]
日野自動車ニュースリリース
2011-10-04
[34]
뉴스
日野自動車、中型バス「日野メルファ」を改良して新発売
https://www.hino.co.[...]
日野自動車
2017-07-04
[35]
뉴스
日野自動車、路線バスを改良して新発売
https://www.hino.co.[...]
日野自動車
2017-08-08
[36]
PDF
https://www.isuzu.co[...]
[37]
PDF
https://www.isuzu.co[...]
[38]
뉴스
マツダ、日本メーカー初の乗用車用尿素SCRシステムを開発
http://www.mazda.co.[...]
マツダ
2009-03-16
[39]
PDF
シトロエン、クリーンディーゼル搭載の「C4 FEEL BlueHDi」を発売
http://press.citroen[...]
プジョー・シトロエン・ジャポン
2016-07-12
[40]
PDF
プジョー、クリーンディーゼルモデル「BlueHDi」を発売
http://press.peugeot[...]
プジョー・シトロエン・ジャポン
2016-07-12
[41]
PDF
クリーンディーゼルを搭載した「DS 4 BlueHDi」「DS 4 CROSSBACK BlueHDi」を発売
http://dspress.citro[...]
プジョー・シトロエン・ジャポン
2016-07-12
[42]
뉴스
VWがディーゼルの環境対策を変更へ…尿素を使用
https://response.jp/[...]
レスポンス
2015-10-15
[43]
뉴스
NOx:「浄化」後も高濃度 装置劣化?ディーゼル大型車6万台
http://mainichi.jp/f[...]
毎日新聞
2012-11-26
[44]
웹사이트
株式会社オプティ アドブルーと同等品質の尿素水 低価格「エコツーライト」
https://opty.co.jp/s[...]
[45]
PDF
DPF(黒煙除去フィルタ)など後処理装置付き車の正しい使用のお願い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いすゞ自動車、日野自動車、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UDトラックス、全日本トラック協会
[46]
웹사이트
AdBlue(アドブルー)=尿素水について教えて。
https://faq.toyota.j[...]
トヨタ自動車
2022-11-01
[47]
PDF
尿素SCRシステムへの塗装及び油脂類塗布禁止について
http://www.hino.co.j[...]
日野自動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