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막은 성경에 등장하는 이동식 신전으로, '만남의 장막'이라고도 불리며, 히브리어로 '미슈칸'이라고 한다. 이는 '거처'라는 의미로, 하나님이 거하는 곳으로 여겨졌다. 성막은 모세의 지시에 따라 브살렐이 제작했으며, 솔로몬 왕이 예루살렘 성전을 건설하기 전까지 이스라엘 백성에게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 이스라엘 방위군
이스라엘 방위군은 1948년 창설되어 유대인 준군사 조직을 통합, 이스라엘의 안보와 국토를 수호하며 중동 전쟁과 분쟁에 참여해 온 육군, 공군, 해군으로 구성된 국군으로, 높은 전투력을 유지하나 전쟁범죄 논란과 인권 침해 비판도 존재한다. - 이스라엘 - 하이파
하이파는 이스라엘 북부 지중해 연안의 항구 도시로, 오랜 역사를 거쳐 18세기 이후 성장하여 시오니즘 운동과 이스라엘 건국 후 유대인 이민으로 크게 발전, 현재는 이스라엘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자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며, 바하이교의 세계 중심지로서 다문화 도시의 특징을 갖는다. - 교회당 - 바실리카
바실리카는 고대 로마 시대에 법정이나 상업 건물로 사용되다가 기독교 교회 건축 양식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가톨릭교회에서 특별한 특권을 가진 교회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 교회당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출애굽기 - 시은좌
시은좌는 기독교 예배에서 신성한 임재와 은혜를 구하는 특별한 의자 또는 공간으로, 구약성경의 언약궤 덮개에서 유래되었으며, 부흥 운동을 통해 널리 퍼져 신앙적인 결심을 촉구하고 기도를 이끄는 역할을 하며 설교 묵상과 공동체 의식 강화에 기여한다. - 출애굽기 - 시나이산
시나이산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장소로 여겨지는, 알칼리성 화강암과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북쪽에는 성 카타리나 수도원이, 정상에는 모스크와 예배당이 있다.
성막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성소 회막 증거막 |
유형 | 이동식 성전 |
종교 | 유대교, 기독교 |
역사적 배경 | |
건축 시기 | 기원전 1445년경 (출애굽기 기준) |
위치 | 시나이 반도 광야 (이동 중) |
건축 목적 | 하느님의 임재 상징, 예배 장소 |
건축 지시 | 하느님의 명령 (출애굽기 25-31장) |
제작자 | 브살렐과 오홀리압 |
구조 및 구성 요소 | |
전체 구조 | 울타리, 성소 (거룩한 곳), 지성소 (가장 거룩한 곳) |
주요 구성 요소 | 언약궤 덮개판 그룹 등잔대 떡상 분향단 번제단 물두멍 휘장 |
재료 | 금 은 구리 실 염소 털 아마포 나무 기름 향료 |
상징적 의미 | |
하느님의 임재 | 하느님이 백성 가운데 거하심을 상징 |
죄의 속죄 | 희생 제사를 통해 죄를 속죄하는 장소 |
예수 그리스도 | 신약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으로 해석됨 |
성막의 이동 | |
이동 방법 | 레위인들이 운반 |
이동 기간 | 출애굽 후 광야 생활 40년 동안 |
최종 위치 | 가나안 땅 실로 |
관련 성경 구절 | |
주요 구절 | 출애굽기 25-40장 레위기 전체 민수기 히브리서 9장 |
참고 문헌 | |
관련 서적 | 다양한 신학 서적 및 성경 주석 참조 |
2. 명칭과 의미
영어 단어 "tabernacle"은 라틴어의 ''tabernāculum'' (뜻: "천막" 또는 "오두막")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로마 종교에서 의식용 구조물을 의미했다.[2][3][4] 히브리어 단어 ''mishkan''은 "거주하다", "쉬다" 또는 "살다"를 의미한다.[5][6] 고대 그리스어에서, 칠십인역을 포함하여, 히브리어는 σκηνή (''skēnē'')로 번역되었으며, 이는 "천막"을 의미하는 셈어 차용어이다.[7]
성막은 모세가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설계에 따라 만들어진 이동식 성전이다. 성막은 크게 성막 뜰, 성소, 지성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애굽기 25-27장과 35-40장에 자세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성막(מִשְׁכַּן|미슈칸he)은 성경에 등장하는 이동식 신전이다. '''만남의 장막'''이라고도 불린다. 다만, 과거 성경 번역에서는 성막과 장막(오헬)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아 번역 간 표기의 차이가 있다.
히브리어의 미슈칸은 "거처"라는 의미이며, 하나님이 거하는 곳으로 여겨졌다.
3. 성막의 구조
성막은 부분적으로 이동식 텐트였고, 부분적으로는 푸른색 (''테켈렛'' תְּכֵלֶת), 자주색 (''’아르가만'' אַרְגָּמָן), 진홍색 (''샤니'' שָׁנִי) 천으로 덮인 나무 울타리였다. 직물, 기둥, 말뚝을 박은 끈으로 된 직사각형의 주변 울타리가 있었으며, 이스라엘 지파가 진을 칠 때마다 항상 동쪽을 향해 세워졌다.[14] 이 울타리 중앙에는 염소 털 커튼으로 덮인 직사각형 성소가 있었고, 지붕 덮개는 숫양 가죽으로 만들어졌다.[14]
전통적인 학자들은 이것이 모세 시대와 그 이후에 사용된 실제 성막을 묘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5] 이는 성경의 성막과 청동기 시대 말기 고대 이집트의 유사한 구조물 사이에 상당한 유사성이 있기 때문이다.[9]
성막 제작 관련 지시는 출애굽기 25-30장에 나와 있다.
아론의 가계 제사장들이 성막 해체를, 레위 지파가 운반을 담당했다고 전해진다(민수기 4장). 히브리어 미슈칸은 "거처"라는 의미로, 하느님이 거하는 곳으로 여겨졌으며, 솔로몬 왕이 예루살렘 성전을 건설하기 전까지 그 역할을 했다.
3. 1. 성막 뜰
성막은 길이가 약 45.6m(100규빗), 폭이 약 22.8m(50규빗)인 뜰 가운데 세워졌고, 뜰 사면은 휘장으로 가려져 있었다. 이 휘장은 청동으로 만든 기둥 60개로 지탱되었다.[34] 뜰 안에는 번제를 위한 큰 제단과[34] 제사장들이 제사를 위해 몸과 제물을 씻는 청동 물두멍이 있었다.[34] 뜰의 서쪽 끝에는 성막의 성소가 세워졌다.
제사장들이 씻을 수 있는 희생 제단과 놋대야를 포함하는 울타리가 이 방들을 둘러싸고 있었다.
3. 2. 성소 (코데쉬, קֹדֶשׁ)
성소는 목재 구조로 길이 약 14m(너비 1규빗 반의 판자 20개), 너비 약 4m(1규빗 반 되는 판자 6개를 나란히 놓은 폭)였으며, 두꺼운 휘장으로 성소와 지성소를 구분하였다.[34] 성소 지붕은 제일 안쪽(덮개)에 청색, 자색, 홍색실로 그룹 모양의 자수를 놓은 휘장으로 덮여 있었고,[34] 그 바로 위에는 보온을 위해 염소털 휘장이,[34] 또 그 위에는 붉은 물들인 숫양 가죽이,[34] 그리고 제일 바깥에는 방수를 위해 해달의 가죽이 덮인[34] 4중 지붕 구조를 하고 있었다. 성소 내부에는 휘장 오른편에 진설병상, 휘장 왼편에 금등대, 그리고 휘장 바로 앞 가운데 분향단이 놓여 있었다.[34] 휘장 안으로 들어가면 지성소가 있는데 거기에는 오직 언약궤만 있었다.[34]
지성소는 언약궤가 보관되어 있는 내실이며, 외실에는 6개의 가지와 7개의 램프가 있는 성전 메노라, 진설병을 위한 상, 분향단이 있었다.[8]
3. 3. 지성소 (코데쉬 하코다쉼, קֹדֶשׁ הַקֳּדָשִׁים)
성막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출애굽기 25–27장과 35–40장에 나오는데, 여기에는 언약궤가 보관되어 있는 내실(성소)인 지성소가 언급된다.[8]
지성소는 정육면체 모양의 내실인 ''코데쉬 하케다쉼''으로 불렸다. 이 구역에는 언약궤가 있었는데, 그 안에는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가져온 십계명이 적힌 두 개의 돌판, 만나를 담은 금 항아리, 싹이 트고 익은 아몬드를 맺은 아론의 지팡이가 들어 있었다.[34]
4. 성막 건축과 제작
성막은 길이가 약 45.6m(100규빗), 폭이 약 22.8m(50규빗)인 뜰 가운데 세워졌고, 뜰 사면은 휘장으로 가려져 있었으며, 이 휘장은 청동으로 만든 기둥 60개로 지탱되었다.[34] 뜰 안에는 번제를 위한 큰 제단이 있었고, 제사장들이 제사를 위하여 자기 몸과 제물을 씻는 청동 물두멍이 있었다.[34] 뜰의 서쪽 끝에 세워진 성막의 성소는 목재 구조로 길이 약 14m(너비 1규빗 반의 판자 20개) 너비 약 4m(1규빗 반 되는 판자 6개를 나란히 놓은 폭)였으며, 두꺼운 휘장으로 성소와 지성소를 구분하였다.[34] 성소 지붕은 제일 안쪽(덮개)에 청색, 자색, 홍색실로 그룹 모양의 자수를 놓은 휘장으로 덮혀 있었고, 그 바로 위에는 보온을 위해 염소털 휘장이, 또 그 위에는 붉은 물들인 숫양 가죽이, 그리고 제일 바깥에는 방수를 위해 해달의 가죽이 덮힌 4중 지붕 구조를 하고 있었다.[34] 성소 내부에는 휘장 오른편에 진설병상, 휘장 왼편에 금등대, 그리고 휘장 바로 앞 가운데 분향단이 놓여 있었다.[34] 휘장 안으로 들어가면 지성소가 있는데 거기에는 오직 언약궤만 있었다.[34]
출애굽기 31장에서는 제사장 의복의 주요 건축가이자 제작자로 유다 지파의 훌의 아들 우리의 아들인 브살렐이 언급되었으며, 오홀리압과 여러 숙련된 장인들이 그를 도왔다.[14]
성막 제작과 관련된 지시는 다음과 같다(「출애굽기」 25-30장).
- 언약궤 및 성막 내에서 사용할 비품(25장)
- 성막, 성소와 지성소를 구분하는 휘장(26장)
- 제물을 바치는 제단, 뜰(27장)
- 제사장의 직무복(28장)
- 향을 피우는 제단(30장)
이동 시에는 아론의 가계 제사장들이 해체하고 레위 지파가 운반을 담당했다고 전해진다(민수기 4장).
5. 성막 관련 규례
성막에는 여러 가지 규례가 있었다. 제사장은 성막에서 포도주를 마시는 것이 금지되었고,[17] 나병 환자는 성막에 들어갈 수 없었다.[18] 성막에서는 매일 곡물 제물을 바치고, 속죄 제물과 화목 제물을 드렸으며, 제사장 서임 의식과 서임 후 팔일 동안의 절차가 수행되었다.[19]
제사장은 일 년에 한 번, 욤 키푸르 속죄일에 셋째 방에 들어갈 수 있었다.[19] 히브리 성경에는 성막 운반에 대한 엄격한 규칙이 기록되어 있는데, 계약의 성막과 그 기구, 설비는 레위인에게 맡겨졌고, 이들이 성막을 운반하고 관리하며 그 주변에 진을 쳐야 했다. 성막을 옮길 때는 레위인들이 해체하고 다시 세웠으며, 다른 사람이 성막에 가까이 가면 처형되었다.[19]
하루에 두 번, 제사장은 금으로 된 기도 제단 앞에서 향을 피웠다.[17] 이 외에도 간통 혐의자를 위한 쓴 물의 시련, 나실인 헌신, 붉은 암소의 재를 이용해 정결의 물 만들기 등의 규례가 있었다.[19]
나병에서 치유된 사람은 "만남의 성막 문"에서 제사장에게 확인받았고,[18] 오랫동안 월경이 멎었다가 치유된 여인은 "만남의 성막 문"에서 산비둘기 두 마리나 어린 비둘기 두 마리를 제물로 바쳤다.[19] 브올의 우상 숭배 사건 때는 백성들이 성막 문에서 슬피 울었다.[20]
6. 성막의 역사
가나안 정복 동안, 주요 이스라엘 진영은 길갈에 있었고(,) 성막은 아마도 그 진영 안에 세워졌을 것이다.
정복 이후 부족들 간에 땅을 분할한 후, 성막은 에브라임 지파 영토인 실로로 옮겨졌다.(; ; ; ) 그것은 사사 시대 대부분 동안 그곳에 남아 있었다.[21][22] 사사기 20:26-28의 가능한 번역에 따르면, 언약궤와 성막은 아론의 손자 비느하스가 살아있는 동안 벧엘에 있었다.
블레셋에게 언약궤가 포로로 잡힌 후, 성막의 후대 역사는 언약궤가 반환된 후에도 언약궤의 역사와 분리되었다. 사울 왕 시대에 성막은 결국 사울의 고향인 기브아 근처 놉으로 옮겨졌지만, 그가 그곳의 제사장들을 학살한 후() 기브온으로 옮겨졌다.[23] 다윗이 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기기 직전에, 궤는 기럇여아림에 있었다.()
언약궤는 결국 예루살렘으로 옮겨져 "다윗이 그것을 위해 친 장막 안에" 놓였다.(; ) 기브온에 남아 있던 성막이 아니라. 기브온에 있는 성막의 제단은 제사 예배에 사용되었고(; ; ), 솔로몬이 그 구조물과 가구를 예루살렘으로 가져와 성전을 짓고 봉헌할 때까지()였다.[24]
바빌로니아인들이 기원전 587년경에 예루살렘과 성전을 파괴한 후, 타나크에는 성막에 대한 언급이 없다.
성막(Tabernacle영어, מִשְׁכַּןhe, ''mishkan'')은 성경에 등장하는 이동식 신전이다. '''만남의 장막'''이라고도 불린다. 다만, 과거 성경 번역에서는 성막(המשכן|미슈칸he)과 장막(오헬)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아 번역 간 표기의 차이가 있다.
'''성막'''은 모세의 지시에 따라 בצלאל בן אורי|브살렐he이 제작했다.
이동 시에는 아론의 가계 제사장들이 해체하고 레위 지파가 운반을 담당했다고 전해진다.(민수기 4장). 히브리어의 미슈칸은 "거처"라는 의미이며, 하나님이 거하는 곳으로 여겨져, 후에 솔로몬 왕이 예루살렘 성전을 건설하기 전까지 그 역할을 했다.
7. 성막의 신학적 의미
마이모니데스는 성막과 언약의 금궤, 금 메노라와 같은 부속품들이 금송아지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의 연약함과 물리적인 우상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대안"으로 의도되었다고 주장한다.[25] 나흐마니데스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고, 성막의 의미가 금송아지와 연관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이스라엘 자손에게 끊임없이 가까이 있음을 상징하는 더 높은 신비로운 교훈을 상징한다고 주장한다.[26]
8. 현대적 의의
지난 2천 년 동안의 회당 건축은 원래 성막의 윤곽을 따랐다.[27][28] 모든 회당에는 정면에 토라 두루마리를 담는 성궤, 즉 ''아론 코데쉬''가 있는데, 이는 십계명이 새겨진 석판을 담았던 언약궤에 비견될 수 있다. 이곳은 회당에서 가장 신성한 곳으로, 지성소에 해당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원래 메노라의 위치와 유사한 곳 근처에 항상 켜져 있는 등불, 즉 ''네르 타미드'' 또는 예배 중에 켜지는 촛대가 있다. 회당의 중앙에는 토라를 읽는 ''비마''로 알려진 넓고 높은 구역이 있다. 이는 성막의 제단과 동일하며, 이곳에서 향과 동물을 희생으로 바쳤다. 주요 명절에는 제사장들이 회당 앞에서 아론 이후 성막에서 사제 조상들이 했던 것처럼 회중에게 축복을 내린다.[29]
일부 기독교 교회는 사람들과 함께하는 하나님의 천막을 상징하기 위해 천막 형태로 지어지는데, 여기에는 상 마테우스 성당, 브라질, 성천사 교회(Zu den heiligen Engeln), 하노버, 독일, 그리고 판지 성당,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가 있다.[30]
참조
[1]
성경
Numbers 4:1-35
[2]
서적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oman People
1922
[3]
서적
An Introduction to Roman Religion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2003
[4]
뉴스
The Augural Law
1986
[5]
간행물
Tabernacle
http://www.newadvent[...]
[6]
뉴스
Mishkan
http://www.eliyah.co[...]
2018-10-11
[7]
뉴스
sken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0-24
[8]
뉴스
Tabernac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m. B. Eerdmans Publishing
[10]
서적
Exod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11]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2]
학술지
The Tent of Meeting
https://www.jstor.or[...]
1918
[13]
웹사이트
Tabernacle
http://www.jewishenc[...]
1906
[14]
백과사전
Tabernacle
http://www.jewishenc[...]
[15]
웹사이트
Parsha in depth: You shall make a covering ... of tachash skins
https://www.chabad.o[...]
[16]
웹사이트
What Was the Tachash Covering in the Tabernacle?
https://www.thetorah[...]
[17]
웹사이트
Exodus 30:7–10
http://www.mechon-ma[...]
[18]
성경
Leviticus 14:11
[19]
성경
Leviticus 15:29
[20]
성경
Numbers 25:6
[21]
서적
The New American Bible, Old Testament
Catholic Book Publishing Company
[22]
서적
Holm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Holman Bible Publishers
[23]
서적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http://archive.org/d[...]
Westminster Press
1961
[24]
학술
The Tent of Meeting in Samuel and Kings
https://www.academia[...]
[25]
기타
Delalatul Ha'yreen (Arabic), Moreh Nevukhim (Hebrew), Guide for the Perplexed
c. 1190
[26]
기타
Bi'ur, or Perush 'al ha-Torah, Commentary on the Torah, Exodus 25:1 and Exodus Rabbah 35a
c. 1242
[27]
간행물
Synagogue
http://www.newadvent[...]
[28]
웹사이트
Synagogues, Shuls and Temples – Judaism 101 (JewFAQ)
https://www.jewfaq.o[...]
2024-02-14
[29]
간행물
High Priest
http://www.newadvent[...]
[30]
서적
Neue Kirchen in der Diaspora
https://books.google[...]
Kassel University Press
[31]
서적
Shoshannat Yaakov.
https://books.google[...]
BRILL
2012-09-03
[32]
서적
The Mandaeans: ancient texts and modern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성경
Numbers 4:15
[34]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성막 [聖幕, tabernacle]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