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 배드민턴 연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은 배드민턴의 국제적인 보급과 발전을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BWF는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 5개의 지역 연합과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194개 회원국을 두고 있다. BWF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 투어 등 다양한 등급의 국제 대회를 주관하며, 선수들의 랭킹 시스템을 운영한다. 또한 배드민턴 발전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에 대한 시상을 진행하고, 로고를 변경해왔다. 과거 복장 규정 논란이 있었으며, 간행물을 발행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드민턴 단체 - 대한배드민턴협회
    대한배드민턴협회는 1957년 창립되어 국내외 경기 개최, 기술 연구, 대중 홍보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운영 단체이며, 코리아 오픈, 코리아 마스터스, 코리아 DB 배드민턴 리그 등의 주요 대회를 개최하고 요넥스가 장비 파트너로 활동한다.
  • 1934년 설립된 단체 - 연방 통신 위원회
    연방 통신 위원회는 1934년 통신법에 따라 설립된 미국 정부의 독립 기관으로, 라디오, 텔레비전, 유선, 위성 및 케이블을 포함한 미국의 주간 및 국제 통신을 규제하며, 통신 사업자 면허 발급, 주파수 할당, 통신망 중립성 유지, 소비자 보호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1934년 설립된 단체 -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소
  • 국제 하계 올림픽 종목 협의회 -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은 야구와 소프트볼의 올림픽 복귀를 목표로 국제야구연맹(IBAF)과 국제소프트볼연맹(ISF)이 합병하여 2013년 설립된 국제 스포츠 연맹으로, 베이스볼5를 국제적으로 관리하며 세계 랭킹 시스템 운영 및 국제 대회를 주관하고, 198개 국가 협회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 국제 하계 올림픽 종목 협의회 - 국제 축구 연맹
    국제축구연맹(FIFA)은 1904년 설립된 국제 축구 행정 기구로서, 월드컵 등 국제 대회를 주관하며 축구 발전에 기여하지만, 동시에 여러 논란 속에서 윤리 및 투명성 강화를 위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 배드민턴 연맹
일반 정보
명칭세계 배드민턴 연맹
영어 명칭Badminton World Federation
약칭BWF
유형스포츠 연맹
설립일1934년 7월 5일
설립 장소첼트넘, 영국
본부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회원201개 회원 협회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조직
회장폴에릭 호이어 라르센
재정
수익US$2579만
수익 연도2019년
지출US$2827만
지출 연도2019년
로고
로고

2. 지역 연합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은 전 세계적인 배드민턴의 보급과 발전을 위해 각 대륙별 연맹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6] BWF 산하의 5개 대륙별 연맹은 다음과 같다.

지역연맹회원 수
아시아배드민턴 아시아 연맹(BA)43
유럽배드민턴 유럽(BE)54
아메리카배드민턴 범아메리카(BPA)37
아프리카아프리카 배드민턴 연맹(BCA)44
오세아니아배드민턴 오세아니아(BO)16
합계194


2. 1. 아시아 배드민턴 연합 (BA)

배드민턴 아시아 연맹(BA)은 아시아 지역의 배드민턴을 관할하는 기구이다.[6] 총 43개의 회원국이 가입되어 있다.[6] 대한민국 역시 아시아 배드민턴 연맹의 회원국으로서, 아시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지역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2. 2. 유럽 배드민턴 연맹 (BE)

유럽 지역의 배드민턴을 관할하는 기구로,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 산하 5개 대륙 연맹 중 하나이다.[6] 정식 명칭은 배드민턴 유럽(Badminton Europe)이며, 약칭은 BE이다. 현재 54개의 회원국이 가입되어 있다.[6]

2. 3. 팬암 배드민턴 연맹 (BPA)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의 5개 대륙별 연합 중 하나로, 아메리카 대륙의 배드민턴 종목을 총괄하는 기구이다.[6] 정식 명칭은 배드민턴 범아메리카Badminton Pan Ameng(BPA)이며, 총 37개의 회원국이 가입되어 있다.[6]

2. 4. 아프리카 배드민턴 연맹 (BCA)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 산하 5개 대륙 연맹 중 하나로, 아프리카 지역의 배드민턴 관련 업무를 총괄한다. 정식 명칭은 Badminton Confederation of Africaeng(BCA)이며, 44개의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6]

2. 5. 오세아니아 배드민턴 연맹 (BO)

오세아니아 지역의 배드민턴을 총괄하는 기구로,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 산하 5개 대륙 연맹 중 하나이다. 정식 명칭은 배드민턴 오세아니아(Badminton Oceaniaeng)이며, 약칭은 BO이다. 현재 16개 회원국이 가입되어 있다.[6]

3. 역대 회장

순서재임 기간이름국가
11934년–1955년조지 앨런 토머스영국
21955년–1957년존 플럼켓-딜론아일랜드
31957년–1959년브루스 헤이영국
41959년–1961년A. C. J. 판포선네덜란드
51961년–1963년존 맥컬럼아일랜드
61963년–1965년닐스 페더 크리스텐센덴마크
71965년–1969년데이비드 블루머영국
81969년–1971년험프리 칠턴영국
91971년–1974년페리 손네빌인도네시아
101974년–1976년스튜어트 와이어트영국
111976년–1981년스텔란 모흘린스웨덴
121981년–1984년크레이그 리디영국
131984년–1986년폴-에릭 닐센덴마크
141986년–1990년이안 팔머뉴질랜드
151990년–1993년아서 존스영국
161993년–2001년루 성롱중국
172001년–2005년콘 다바란시태국
182005년–2013년강영중대한민국
192013년–현재폴-에릭 호이어 라르센덴마크


3. 1. 1대 (1934-1955): 조지 앨런 토머스 (영국)

조지 앨런 토머스는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의 전신인 국제 배드민턴 연맹(IBF) 창립을 주도하였으며, 1934년부터 1955년까지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영국 출신이다.

3. 2. 2대 (1955-1957): J. 플렁킷딜런 (아일랜드)

제2대 회장인 존 플럼켓-딜론은 아일랜드 출신으로,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재임하였다.

3. 3. 3대 (1957-1959): R. 브루스 헤이 (영국)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의 3대 회장은 영국의 준장 브루스 헤이(Bruce Hay)이다. 그의 임기는 1957년부터 1959년까지였다.

3. 4. 4대 (1959-1961): A. C. J. 판포선 (네덜란드)

제4대 회장은 네덜란드인 A. C. J. 반포선이며, 재임 기간은 1959년부터 1961년까지였다.

3. 5. 5대 (1961-1963): J. D. M. 매캘럼 (아일랜드)

제5대 세계 배드민턴 연맹 회장은 아일랜드의 존 맥컬럼(J. D. M. MacCallum)이다. 임기는 1961년부터 1963년까지였다.

3. 6. 6대 (1963-1965): N. P. 크리스텐센 (덴마크)

덴마크 출신의 닐스 페더 크리스텐센이 1963년부터 1965년까지 제6대 회장직을 역임하였다.

3. 7. 7대 (1965-1969): D. L. 블루머 (영국)

7대 회장은 1965년부터 1969년까지 영국의 데이비드 블루머가 역임하였다.

3. 8. 8대 (1969-1971): H. F. 칠턴 (영국)

세계 배드민턴 연맹의 제8대 회장은 영국 출신의 험프리 칠턴이다. 그의 임기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였다.

3. 9. 9대 (1971-1974): 페리 A. 소너빌 (인도네시아)

제9대 회장은 인도네시아의 페리 A. 소너빌이며, 임기는 1971년부터 1974년까지였다.

3. 10. 10대 (1974-1976): S. 와이엇 (영국)

세계 배드민턴 연맹의 제10대 회장은 영국의 스튜어트 와이어트이다. 재임 기간은 1974년부터 1976년까지였다.

3. 11. 11대 (1976-1981): S. 몰린 (스웨덴)

스웨덴 출신의 스텔란 모흘린은 1976년부터 1981년까지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의 제11대 회장을 역임했다.

3. 12. 12대 (1981-1984): C. C. 리디 (영국)

제12대 세계 배드민턴 연맹 회장은 영국의 크레이그 리디이며, 임기는 1981년부터 1984년까지였다.

3. 13. 13대 (1984-1986): P. E. 닐센 (덴마크)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의 제13대 회장은 덴마크 출신의 폴-에릭 닐센이다. 그의 임기는 1984년부터 1986년까지였다.

3. 14. 14대 (1986-1990): I. D. 파머 (뉴질랜드)

1986년부터 1990년까지 뉴질랜드의 이안 팔머가 제14대 회장을 역임했다.

3. 15. 15대 (1990-1993): A. E. 존스 (영국)

15대 세계 배드민턴 연맹 회장은 영국의 아서 존스이다. 임기는 1990년부터 1993년까지였다.

3. 16. 16대 (1993-2001): 루성룽 (중국)

제16대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 회장은 중국의 루성룽이다. 임기는 1993년부터 2001년까지였다.

3. 17. 17대 (2001-2005): 꼰 다바란시 (태국)

제17대 회장은 태국의 콘 다바란시이다. 임기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였다.

3. 18. 18대 (2005-2013): 강영중 (대한민국)

대한민국 출신의 강영중은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의 제18대 회장직을 수행했다. 그는 대한배드민턴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배드민턴 종목 심판위원장을 맡은 경력이 있다. 강영중 회장은 BWF 회장으로서 활동하며 국제 스포츠계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3. 19. 19대 (2013-): 폴 에릭 호이어 라르센 (덴마크)

덴마크 국적의 폴-에릭 호이어 라르센이 2013년부터 현재까지 제19대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 회장을 맡고 있다.

4. BWF 랭킹

BWF 세계 랭킹과 BWF 세계 주니어 랭킹은 선수들의 실력을 평가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BWF 세계 랭킹은 BWF가 승인한 토너먼트의 출전 자격 및 시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4. 1. 랭킹 시스템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올림픽 배드민턴)12,00010,2008,4006,6004,8003,0001,20060024012060슈퍼시리즈 파이널
슈퍼시리즈 프리미어
11,0009,3507,7006,0504,3202,6601,060520슈퍼시리즈9,2007,8006,4205,0403,6002,2208804301708040그랑프리 골드7,0005,9504,9003,8502,7501,6706603201306030그랑프리5,5004,6803,8503,0302,1101,2905102401004530인터내셔널 챌린지4,0003,4002,8002,2001,520920360170703020인터내셔널 시리즈2,5002,1301,7501,370920550210100402010퓨처 시리즈1,7001,4201,1709206003501306020105

5. 대회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은 세계적인 배드민턴의 보급, 진흥,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등급의 국제 대회를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통괄한다. BWF가 주관하는 대회들은 세계 랭킹 포인트 배점, 상금 규모 등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나뉜다.

5. 1. Grade 1 (S-Tier)

배드민턴 세계 연맹(BWF)이 주관하는 대회 중 가장 높은 등급에 해당한다. 이 대회들은 세계 랭킹 포인트 배점과 상금 규모 면에서 최고 수준이며, 전 세계 정상급 선수들이 참가하여 경쟁하는 가장 권위 있는 무대이다.

5. 1. 1. 주요 대회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은 정기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국제 배드민턴 대회를 개최한다.

5. 1. 2. 기타 주요 대회

5. 1. 3. 중단된 대회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이 과거에 주관했으나 현재는 정기적으로 개최되지 않는 대회는 다음과 같다.

5. 2. Grade 2 (A-Tier)

2등급 토너먼트는 세계 배드민턴 연맹 월드 투어로 알려져 있으며, 획득하는 세계 랭킹 포인트에 따라 6개의 레벨로 분류된다.

BWF 월드 투어 레벨
레벨대회 명칭
레벨 1BWF 월드 투어 파이널
레벨 2BWF 월드 투어 슈퍼 1000
레벨 3BWF 월드 투어 슈퍼 750
레벨 4BWF 월드 투어 슈퍼 500
레벨 5BWF 월드 투어 슈퍼 300
레벨 6BWF 투어 슈퍼 100



2007년부터 2017년까지는 다음과 같은 대회들이 개최되었다.

5. 3. Grade 3 (B-Tier)

Grade 3 토너먼트는 대륙 서킷(Continental Circuit)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 랭킹 포인트를 부여하는 기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레벨로 나뉜다.

6. 수상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은 배드민턴 발전에 기여한 선수, 심판, 스폰서 등에게 다양한 상을 수여하며, 주요 상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9]

6. 1. 주요 상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은 배드민턴에서의 업적이나 배드민턴에 대한 기여를 기리기 위해 선수, 심판, 스폰서 및 기타 개인에게 특별한 영예를 수여한다.[9]

7. 로고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은 설립 이후 여러 차례 로고를 변경해왔다. 처음에는 국제 배드민턴 연맹(IBF) 시절의 로고를 사용했다. BWF로 명칭이 변경된 후, 2007년에 새로운 로고를 채택했다.[10] 이후 2012년에 현재 사용 중인 새롭고 간소화된 로고를 다시 채택했다.[11]

8. 기타

(내용 없음)

8. 1. 복장 규정 논란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은 옥타곤과 함께 여자 배드민턴 선수들이 "매력적인 모습을 보장하기 위해" 드레스나 치마를 착용해야 한다는 규칙을 만들었다. 이 규칙은 2011년 공식 규칙집에 포함되었지만, 2012년에 시행되기 전에 폐지되었다.[12][13]

8. 2. 간행물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은 다음 간행물을 발행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ho's in the money? EXCLUSIVE analysis of our survey of International Federation finances https://www.thesport[...] 2020-05-24
[2] 뉴스 Madrid Welcomes Badminton World Federation https://archive.toda[...] 2006-09-29
[3] 웹사이트 BWF Council / Executive Board https://web.archive.[...] BWF 2012-03-11
[4] 뉴스 Poul-Erik Hoyer Wins BWF Presidential Election https://web.archive.[...] 2013-05-18
[5] 웹사이트 BWF–Memberships https://corporate.bw[...] 2024-09-01
[6] 웹사이트 BWF Members by Continental Confederation https://web.archive.[...] BWF 2012-03-11
[7] 웹사이트 IBF/BWF Office Baerers (since 1934) http://bwfbadminton.[...] BWF 2012-03-11
[8] 웹사이트 World Senior Championships http://bwfcorporate.[...] 2017-02-23
[9] 웹사이트 Awards https://web.archive.[...] BWF 2012-03-11
[10] 뉴스 EXCLUSIVE – BWF Unveils New Logo Today https://web.archive.[...] 2007-06-15
[11] 뉴스 BWF rebrand and launch new logo: Modern, Strong, Efficient https://web.archive.[...] 2012-05-26
[12] 웹사이트 In Badminton, Pants Are Back https://www.huffpost[...] 2011-05-31
[13] 웹사이트 Badminton shelves rule requiring women wear skirts http://www.nbcnews.c[...] 2012-06-04
[14] 웹사이트 World Senior Championships http://bwfcorporate.[...] 2017-02-23
[15] 뉴스 New Name http://www.internati[...]
[16] 웹사이트 Member Associations http://www.internati[...] 2011-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