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 현 월드 애슬레틱스)이 주최하는 육상 경기 대회로, 1983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1913년 IAAF는 올림픽을 육상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로 간주했으나, 1976년 별도의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초기에는 4년 주기로 개최되었으나, 1991년 이후 격년으로 변경되었다. 1983년 154개국 1,300여 명의 선수가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대회 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2023년에는 202개국 2,187명이 참가했다. 주요 종목 변화와 함께, 2023년까지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1991년 김완기의 동메달, 2011년 김현섭의 동메달, 2022년 우상혁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전 세계적으로 미디어를 통해 중계되며, 일본에서는 TBS 텔레비전이, 한국에서는 KBS가 중계 방송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OFC 여자 네이션스컵
OFC 여자 네이션스컵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관의 여자 축구 국가대항전으로, 1983년 첫 대회 이후 뉴질랜드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을 겸하기도 했다. - 198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코파 데 라 리가
FC 바르셀로나 회장의 제안으로 창설된 코파 데 라 리가는 스페인의 축구 컵 대회로 구단 재정 수입 증대를 목표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1986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
---|---|
기본 정보 | |
![]() | |
종목 | 육상 경기 월드 챔피언십 |
시작 | 1983년 헬싱키 |
빈도 | 2년 |
주최 | 월드 애슬레틱스 |
웹사이트 | https://worldathletics.org/ |
최근 대회 | |
이전 대회 | 2023년 부다페스트 |
다음 대회 | 2025년 도쿄 |
차기 대회 | 2026 |
2. 역사
육상에도 세계 선수권 대회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1983년 첫 대회가 열리기 훨씬 전부터 있어 왔다. 1913년 IAAF는 올림픽이 육상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결정했다.[6][7] 이러한 생각은 50여년 동안은 기대에 부응했지만, 1960년대 후반부터 IAAF 위원들 사이에 자체적인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갖고 싶어하는 열망이 자라기 시작했다. 결국 1976년 푸에르토리코에서 열린 IAAF 총회에서 올림픽과 별개로 육상 세계 선수권 대회를 여는 안이 승인되었다.[6][7]
이후 개최지 신청을 받은 결과 서독의 슈투트가르트와 핀란드의 헬싱키가 유치를 신청했고, IAAF는 1952년 하계 올림픽을 열었던 헬싱키를 1983년 첫대회 개최 도시로 선정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의 서방 국가들의 보이콧 문제(1979년 12월에 발생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의 영향)를 계기로 신설되어, 1983년에 헬싱키에서 제1회 대회를 개최했다. 1991년 도쿄 대회까지는 4의 배수년의 전년(묘년·미년·해년)에 개최되었으나, 1993년 슈투트가르트 대회 이후부터는 격년(홀수 해) 개최가 되고 있다.
해가 거듭되면서 대회의 규모도 커져갔다. 1983년 대회에는 154개국 약 1,300명의 선수가 참가했지만, 2011년 대구 대회에는 참가 선수가 202개국 1,945명으로 늘었다.[34]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선수권 대회는 카타르 국민 은행(Qatar National Bank)의 후원을 받았으며,[9] 이는 카타르의 소프트 파워 정책의 일부로 묘사되었다.[10]
대회 종목에도 몇몇 변화가 있었다. 여자 경기에 새로운 종목들이 추가된 것이다. 2005년 대회부터는 남자와 여자 종목이 거의 똑같아 졌다. 남자 경기에 50km 경보 종목이 하나 더 포함되어 있고, 여자 선수들은 110m 허들과 10종경기 대신 100m 허들과 7종경기를 한다는 점만 차이가 날뿐이다.
'''1987'''년, 여자 10,000m와 10km 경보가 추가되었다.
'''1993'''년, 여자 세단뛰기가 추가되었다.
'''1995'''년, 여자 3,000m가 5000m로 대체되었다.
'''1999'''년, 여자 장대높이뛰기와 해머던지기가 추가되었고, 여자 20km 경보가 10km 경보를 대체했다.
'''2005'''년, 여자 3000미터 장애물 경주가 추가되었다.
'''2017'''년, 여자 50km 경보가 추가되었다.
'''2019'''년, 혼성 4 × 400미터 릴레이가 추가되었다.
'''2022'''년, 남자 및 여자 35km 경보가 50km 경보를 대체했다.
2. 1. 주요 종목 변화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여자 10,000m와 10km 경보가 추가되었다. 1993년에는 여자 세단뛰기가 추가되었다. 1995년에는 여자 3,000m가 폐지되고 5,000m가 추가되었다. 1999년에는 여자 장대높이뛰기, 해머던지기, 20km 경보가 추가되었고, 10km 경보는 폐지되었다. 2005년에는 여자 3,000m 장애물 경주가 추가되었다. 2017년에는 여자 50km 경보가 추가되었다. 2019년에는 혼성 4x400m 계주가 추가되었다. 2022년에는 남녀 35km 경보가 추가되었고, 남녀 50km 경보는 폐지되었다.3. 역대 대회
회차 | 연도 | 개최 도시 | 개최국 | 날짜 | 경기장 | 수용 인원 | 종목 수 | 참가국 | 선수 수 | 메달 순위 1위 |
---|---|---|---|---|---|---|---|---|---|---|
– | 1976 | 말뫼 | 9월 18일 | 말뫼 스타디온 | 30,000 | 1 | 20 | 42 | ||
– | 1980 | 시타르트 | 8월 14일 – 16일 | 데 반데르트 | 22,000 | 2 | 22 | 42 | ||
1회 | 1983 | 헬싱키 | 8월 7일 – 14일 | 올림픽 스타디온 | 50,000 | 41 | 153 | 1,333 | ||
2회 | 1987 | 로마 | 8월 28일 – 9월 6일 | 스타디오 올림피코 | 60,000 | 43 | 156 | 1,419 | ||
3회 | 1991 | 도쿄 | 8월 23일 – 9월 1일 | 국립 경기장 | 48,000 | 43 | 162 | 1,491 | ||
4회 | 1993 | 슈투트가르트 | 8월 13일 – 22일 | 네카어스타디온 | 70,000 | 44 | 187 | 1,630 | ||
5회 | 1995 | 예테보리 | 8월 5일 – 13일 | 울레비 | 42,000 | 44 | 190 | 1,755 | ||
6회 | 1997 | 아테네 | 8월 1일 – 10일 | 올림피아코 스타디오 | 75,000 | 44 | 197 | 1,785 | ||
7회 | 1999 | 세비야 | 8월 20일 – 29일 | 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 | 70,000 | 46 | 200 | 1,750 | ||
8회 | 2001 | 에드먼턴 | 8월 3일 – 12일 | 커먼웰스 스타디움 | 60,000 | 46 | 189 | 1,602 | ||
9회 | 2003 | 파리 | 8월 23일 – 31일 | 스타드 드 프랑스 | 78,000 | 46 | 198 | 1,679 | ||
10회 | 2005 | 헬싱키 | 8월 6일 – 14일 | 올림픽 스타디온 | 45,000 | 47 | 191 | 1,687 | ||
11회 | 2007 | 오사카 | 8월 24일 – 9월 2일 | 나가이 스타디움 | 45,000 | 47 | 197 | 1,800 | ||
12회 | 2009 | 베를린 | 8월 15일 – 23일 | 올림픽 스타디온 | 74,000 | 47 | 200 | 1,895 | ||
13회 | 2011 | 대구 | 8월 27일 – 9월 4일 | 대구 스타디움 | 65,000 | 47 | 199 | 1,742 | ||
14회 | 2013 | 모스크바 | 8월 10일 – 18일 | 루즈니키 스타디움 | 78,000 | 47 | 203 | 1,784 | ||
15회 | 2015 | 베이징 | 8월 22일 – 30일 | 베이징 국립경기장 | 80,000 | 47 | 205 | 1,761 | ||
16회 | 2017 | 런던 | 8월 4일 – 13일 | 런던 스타디움 | 60,000 | 48 | 199 | 1,857 | ||
17회 | 2019 | 도하 | 9월 27일 – 10월 6일 | 칼리파 국제경기장 | 48,000 | 49 | 206 | 1,775 | ||
18회 | 2022 | 유진 | 7월 15일 – 24일 | 헤이워드 필드 | 25,000 | 49 | 180 | 1,705 | ||
19회 | 2023 | 부다페스트 | 8월 19일 – 27일 | 국립 육상 경기장 | 36,000 | 49 | 202 | 2,187 | ||
20회 | 2025 | 도쿄 | 9월 13일 – 21일 | 일본 국립 경기장 | 68,000 | |||||
21회 | 2027 | 베이징 | 9월 11일 – 19일 | 베이징 국립경기장 | 80,000 |
3. 1. 제1회 ~ 제10회 대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1983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된 것을 시작으로, 초기에는 4년 주기로 열리다가 1991년 제3회 도쿄 대회부터 2년 주기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회차 | 연도 | 개최 도시 | 개최국 | 날짜 | 경기장 | 참가 선수(명) |
---|---|---|---|---|---|---|
제1회 | 1983 | 헬싱키 | 8월 7일 - 8월 14일 |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 | 1,333 | |
제2회 | 1987 | 로마 | 8월 28일 - 9월 6일 | 스타디오 올림피코 | 1,419 | |
제3회 | 1991 | 도쿄 | 8월 23일 - 9월 1일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1,491 | |
제4회 | 1993 | 슈투트가르트 | 8월 13일 - 8월 22일 | 고틀리프 다임러 슈타디온 | 1,630 | |
제5회 | 1995 | 예테보리 | 8월 5일 - 8월 13일 | 울레비 | 1,755 | |
제6회 | 1997 | 아테네 | 8월 1일 - 8월 10일 |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 | 1,785 | |
제7회 | 1999 | 세비야 | 8월 20일 - 8월 29일 |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 1,750 | |
제8회 | 2001 | 에드먼턴 | 8월 3일 - 8월 12일 | 커먼웰스 스타디움 | 1,602 | |
제9회 | 2003 | 생드니 | 8월 23일 - 8월 31일 | 스타드 드 프랑스 | 1,679 | |
제10회 | 2005 | 헬싱키 | 8월 6일 - 8월 14일 |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 | 1,687 |
제1회 헬싱키 대회에는 153개국 1,333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제2회 로마 대회에는 156개국 1,419명, 제3회 도쿄 대회에는 162개국 1,491명이 참가했다. 제4회 슈투트가르트 대회에는 187개국 1,630명, 제5회 예테보리 대회에는 190개국 1,755명, 제6회 아테네 대회에는 197개국 1,785명이 참가하여 참가국과 선수 수가 점차 증가했다. 제7회 세비야 대회에는 200개국 1,750명, 제8회 에드먼턴 대회에는 189개국 1,602명, 제9회 파리 대회에는 198개국 1,679명이 참가했다. 제10회 헬싱키 대회는 191개국 1,687명이 참가하여 핀란드에서 두 번째로 개최된 대회가 되었다.
3. 2. 제11회 ~ 제20회 대회
2007년 8월 25일부터 9월 2일까지 일본 오사카시에서 나가이 육상 경기장을 무대로 제11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는 197개국에서 1,800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2009년 8월 15일부터 8월 23일까지 독일 베를린의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제12회 대회가 열렸다. 200개국 1,89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11년 8월 27일부터 9월 4일까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구 스타디움에서 제13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는 202개국에서 1,945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2013년 8월 10일부터 8월 18일까지 러시아 모스크바의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제14회 대회가 열렸으며, 203개국 1,784명이 참가했다.
2015년 8월 22일부터 8월 30일까지 중국 베이징의 베이징 국가체육장에서 제15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205개국에서 1,771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17년 8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영국 런던의 런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제16회 대회가 열렸으며, 199개국 1,857명이 참가했다.
2019년 9월 27일부터 10월 6일까지 카타르 도하의 칼리파 국제경기장에서 제17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206개국 1,77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22년 7월 15일부터 7월 24일까지 미국 유진의 헤이워드 필드에서 제18회 대회가 열렸다. 180개국 1,70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23년 8월 19일부터 8월 27일까지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국립 육상 경기장에서 제19회 대회가 열렸다. 202개국 2,187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25년 9월 13일부터 9월 21일까지 일본 도쿄의 일본 국립 경기장에서 제20회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4. 종목
wikitable
valign=top width=25%| | valign=top width=25%| | valign=top width=25%| | valign=top width=12%| | valign=top width=25%| |
4. 1. 트랙 경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트랙 경기는 100m 달리기, 200m 달리기, 400m 달리기, 800m 달리기, 1500m 달리기, 5000m 달리기, 10000m 달리기 등이 있다. 남자 110m 허들과 여자 100m 허들, 400m 허들, 3000m 장애물 경주도 트랙 경기에 포함된다. 또한, 4x100m 계주와 4x400m 계주, 4x400m 혼성 계주도 트랙 경기의 주요 종목이다.남자 100m 세계 기록은 우사인 볼트(자메이카)가 2009년 베를린 대회에서 세운 9초 58이다. 같은 대회에서 우사인 볼트는 200m 세계 기록 19초 19도 세웠다. 마이클 존슨(미국)은 1999년 세비야 대회에서 400m 세계 기록 43초 18을 기록했다.
여자 100m 세계 기록은 S. 리처드슨(미국)이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에서 세운 10초 65이다. 셰리카 잭슨(자메이카)은 같은 대회에서 200m 세계 기록 21초 41을 기록했다. 야르밀라 크라토흐빌로바는 1983년 헬싱키 대회에서 400m (47초 99)와 800m (1분 54초 68) 세계 기록을 세웠다.
4. 2. 필드 경기
필드 경기는 높이뛰기, 장대높이뛰기, 멀리뛰기, 세단뛰기,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창던지기로 구성된다.
- '''높이뛰기'''는 남자 2m 41 (보단 본다렌코, 2013년 모스크바 대회), 여자 2m09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 1987년 로마 대회)가 최고 기록이다.
- '''장대높이뛰기'''는 남자 6m 21 (아르망 뒤플랑티스, 2022년 유진 대회), 여자 5m01 (옐레나 이신바예바, 2005년 헬싱키 대회)이 최고 기록이다.
- '''멀리뛰기'''는 남자 8m 95 (마이크 파월, 1991년 도쿄 대회), 여자 7m36 (재키 조이너-커시, 1987년 로마 대회)이 최고 기록이다.
- '''세단뛰기'''는 남자 18m 29 (조너선 에드워즈, 1995년 예테보리 대회), 여자 15m50 (이네사 크라베츠, 1995년 예테보리 대회)이 최고 기록이다.
- '''포환던지기'''는 남자 23m 51 (라이언 크라우저,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 여자 21m24 (나탈리아 리소프스카야, 1987년 로마 대회, 밸러리 아담스, 2011년 대구 대회)가 최고 기록이다.
- '''원반던지기'''는 남자 71m 46 (다니엘 스토르,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 여자 71m62 (마르티나 헬만, 1987년 로마 대회)가 최고 기록이다.
- '''해머던지기'''는 남자 83m 63 (이반 티혼, 2007년 오사카 대회), 여자 80m85 (아니타 볼다르치크, 2015년 베이징 대회)가 최고 기록이다.
- '''창던지기'''는 남자 92m 80 (얀 젤레즈니, 2001년 에드먼턴 대회), 여자 71m99 (마리아 아바쿠모바, 2011년 대구 대회)가 최고 기록이다.
4. 3. 도로 경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도로 경기는 마라톤, 20km 경보, 35km 경보로 구성된다.마라톤은 42.195km의 거리를 달리는 경기로, 남자부 최고 기록은 2022년 유진 대회에서 타밀랏 트라(타밀랏 톨라/Tamirat Tola영어)가 세운 2시간 05분 36초이다. 여자부 최고 기록은 2022년 오리건 대회에서 고티톰 게브레실라시에(Gotytom Gebreslase)가 세운 2시간 18분 11초이다.
20km 경보는 20km 거리를 걷는 경기로, 남자부 최고 기록은 2003년 파리 대회에서 제퍼슨 페레스가 세운 1시간 17분 21초이다. 여자부 최고 기록은 2005년 헬싱키 대회에서 올림피아다 이바노바(Olimpiada Ivanova)가 세운 1시간 25분 41초이다.
35km 경보 남자부 최고 기록은 2022년 유진 대회에서 마시모 스타노가 세운 2시간 23분 14초이다.
4. 4. 혼성 경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10종 경기와 여자 7종 경기가 혼성 경기로 치러진다.5. 역대 메달 집계
202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까지의 역대 메달 집계에서 미국이 총 443개(금 195, 은 134, 동 114)의 메달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케냐(금65, 은58, 동48), 러시아(금42, 은52, 동48), 자메이카(금40, 은61, 동48), 독일(금39, 은36, 동48)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15]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 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1983년 헬싱키 대회부터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까지 19번의 대회에서 총 874개의 경기가 치러졌으며, 총 2642개의 메달이 수여되었다.[15] 미국은 금메달 195개를 포함하여 총 443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케냐는 금메달 65개, 은메달 58개, 동메달 48개로 2위를 기록하고 있다.[15] 러시아는 금메달 42개, 은메달 52개, 동메달 48개로 3위를 차지했다.[15]
순위 | 국가 | ]]}} !! }]]}} !! }]]}} !! 4 !! 5 !! 6 !! 7 !! 8 !! 메달 !! 점수 |- | 1 || align=left| || 183 || 125+1= || 103+2= || 77+5= || 90+3= || 84+3= || 74+2= || 80+4= || 414 || 4240.5 |- | 2 || align=left| #REDIRECT || 63 || 61 || 65+2= || 78+2= || 66+2= || 61+2= || 53+5= || 45+1= || 191 || 2347.5 |- | 3 || align=left| }}} || 45 || 54+6= || 47+2= || 56+2= || 39+3= || 43+2= || 35+1= || 40+1= || 154 || 1771.5 |- | 4 || align=left| || 62 || 55 || 44 || 48 || 40 || 28 || 47 || 21 || 161 || 1744 |- | 5 || align=left| || 37 || 56 || 43+1= || 34 || 31 || 29 || 31 || 24 || 137 || 1418.5 |- | 6 || align=left| 영국 및 북아일랜드 || 31 || 37 || 43 || 43+2= || 50+1= || 34+1= || 31+1= || 21 || 111 || 1381 |- | 7 || align=left| }}} || 33 || 34 || 28 || 26 || 21 || 18 || 20 || 20 || 95 || 998 |- | 8 || align=left| || 22 || 25+1= || 25 || 20 || 34+1= || 21+1= || 21 || 24+1= || 73 || 879 |- | 9 || align=left| || 14 || 18 || 21+2= || 27 || 28+2= || 31+1= || 24+1= || 32+1= || 55 || 804.1 |- | 10 || align=left| || 20 || 17+1= || 21+4= || 23+1= || 24 || 22+2= || 27 || 21+2= || 63 || 794.8 |- | 11 || align=left| '''' || 23 || 25+2= || 28 || 21+1= || 17 || 12 || 11 || 17+1= || 78 || 793 |- | 12 || align=left| || 22 || 23+1= || 13+1= || 33 || 10+2= || 17+1= || 23 || 19 || 60 || 757.5 |- | 13 || align=left| || 12 || 15+1= || 19 || 15 || 17+2= || 24+1= || 32+2= || 30+2= || 47 || 642.5 |- | 14 || align=left| || 7 || 17+1= || 15+1 || 19 || 20 || 24 || 18 || 20 || 41 || 580 |- | 15 || align=left| || 11 || 12+2= || 16 || 19 || 21 || 16+1= || 21+1= || 9 || 41 || 561.6 |}
총 44명의 선수(남자 18명, 여자 26명)가 최소 6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했다.[13] 일본은 2023년 대회까지 금메달 8개, 은메달 9개, 동메달 18개로 총 3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6. 한국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은 1983년 제1회 헬싱키 대회부터 꾸준히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왔다. 1991년 도쿄 대회 남자 마라톤에서 김완기가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2011년 대구 대회 남자 경보 20km에서 김현섭이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육상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특히, 2011년 대회는 대한민국 대구에서 개최되어, 국내 육상 팬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김현섭의 동메달은 대한민국 육상의 밝은 미래를 보여주는 신호탄이었다.
6. 1. 한국 선수단의 성적대한민국은 1983년 제1회 헬싱키 대회부터 꾸준히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왔다. 1991년 도쿄 대회 남자 마라톤에서 김완기가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2011년 대구 대회 남자 경보 20km에서 김현섭이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육상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2022년 유진 대회에서는 남자 높이뛰기에서 우상혁이 은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선수 최초로 필드 경기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다.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에서 우상혁은 4위를 기록하며 아쉽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세계 정상급 기량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6. 2. 2011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6. 3. 한국 육상의 과제와 전망7. 미디어 중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전 세계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는 스포츠 이벤트로,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중계된다.[31] 1997년부터 일본의 TBS→TBS 텔레비전이 월드 애슬레틱스의 공식 방송사로 선정되어, 일본 국내 민영 방송에서는 TBS 계열(JNN)을 통해 독점 방송되고 있다.[32] TBS의 방영권 취득 후, 2022년 제18회 오리건 대회까지 25년간 13개 대회에 걸쳐 오다 유지·나카이 미호가 진행 역할을 맡았다.[33]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rack and Field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eBook)
20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5. 9. 23. 오후 8:38:00 출처: JTBC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9. 22. 오후 7:42:36 [포토] 우상혁의 포효!…2025 세계육상선수권 명장면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9. 22. 오후 8:52:00 ‘포켓 로켓’ 프레이저 프라이스 , 25번째 메달 따고 트랙 떠난다출처: 경향 신문 ( 한국 / 한국어 ) 2025. 9. 22. 오후 9:10:00 '3관왕 신성' 뜨고…'전설의 3관왕' 은빛 피날레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9. 16. 오후 11:09:00 ‘스마일 점퍼’ 우상혁, 한국 선수 최초 세계육상선수권 두개 메달 ‘새역사’출처: 경향 신문 ( 한국 / 한국어 ) 2025. 9. 22. 오후 7:42:36 ‘스마일 점퍼’ 우상혁, 도쿄세계선수권 은메달…2m34 넘었다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8. 13. 오후 8:01:00 6m29를 날아올랐다…'인간새' 듀플랜티스, 13번째 세계신기록출처: JTBC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8. 13. 오후 12:44:06 ‘인간새’ 더 날다…듀플랜티스, 개인 통산 13번째 세계 기록 경신 ‘6m29’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8. 13. 오전 11:09:00 남자 장대높이뛰기 듀플랜티스, 통산 13번째 세계 신기록…6m29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8. 11. 오전 6:03:00 높이뛰기 우상혁, 하일브론 대회 불참…가벼운 통증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28. 오후 9:37:00 400m 계주 '금빛 피날레'…희망의 바통 터치!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28. 오후 5:40:47 또래들의 ‘따로 또 같이’는 강했다…한국 남자 계주 400m 승승장구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22. 오후 8:14:00 “10초 벽 깬다”…질주하는 사자, 거칠 것 없다출처: 경향 신문 ( 한국 / 한국어 ) 2025. 7. 18. 오후 9:20:00 약속의 땅 도쿄에서…"사상 첫 금빛 점프를!"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12. 오후 8:38:00 '2m34' 시즌 세계 최고 기록으로 '7연승' 질주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12. 오후 12:42:00 [D리포트] '2m34' 우상혁, 시즌 세계 1위 기록으로 '7연승' 질주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7. 12. 오전 9:43:04 ‘7연승’ 우상혁 2m34 넘고 2025 기록 공동 1위…도쿄 정상이 보인다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7. 3. 오후 12:15:30 우상혁 ‘무패행진’ 이어갈까…12일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 출전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2025. 6. 29. 오전 10:43:00 자메이카의 톰프슨, 남자 100m 역대 6위 9초 75출처: SBS 뉴스 ( 한국 / 한국어 ) 2025. 6. 27. 오후 12:21:31 키프예곤, 육상 1마일 비공인 세계 신기록…“언젠가 4분 벽도 깨질 것”출처: 한겨레 ( 한국 / 한국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