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 현 월드 애슬레틱스)이 주최하는 육상 경기 대회로, 1983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1913년 IAAF는 올림픽을 육상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로 간주했으나, 1976년 별도의 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초기에는 4년 주기로 개최되었으나, 1991년 이후 격년으로 변경되었다. 1983년 154개국 1,300여 명의 선수가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대회 규모가 점차 확대되어 2023년에는 202개국 2,187명이 참가했다. 주요 종목 변화와 함께, 2023년까지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1991년 김완기의 동메달, 2011년 김현섭의 동메달, 2022년 우상혁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전 세계적으로 미디어를 통해 중계되며, 일본에서는 TBS 텔레비전이, 한국에서는 KBS가 중계 방송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OFC 여자 네이션스컵
    OFC 여자 네이션스컵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관의 여자 축구 국가대항전으로, 1983년 첫 대회 이후 뉴질랜드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FIFA 여자 월드컵 예선을 겸하기도 했다.
  • 198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코파 데 라 리가
    FC 바르셀로나 회장의 제안으로 창설된 코파 데 라 리가는 스페인의 축구 컵 대회로 구단 재정 수입 증대를 목표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1986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기본 정보
월드 애슬레틱스 챔피언십 로고
종목육상 경기 월드 챔피언십
시작1983년 헬싱키
빈도2년
주최월드 애슬레틱스
웹사이트https://worldathletics.org/
최근 대회
이전 대회2023년 부다페스트
다음 대회2025년 도쿄
차기 대회2026

2. 역사

육상에도 세계 선수권 대회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1983년 첫 대회가 열리기 훨씬 전부터 있어 왔다. 1913년 IAAF는 올림픽이 육상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결정했다.[6][7] 이러한 생각은 50여년 동안은 기대에 부응했지만, 1960년대 후반부터 IAAF 위원들 사이에 자체적인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갖고 싶어하는 열망이 자라기 시작했다. 결국 1976년 푸에르토리코에서 열린 IAAF 총회에서 올림픽과 별개로 육상 세계 선수권 대회를 여는 안이 승인되었다.[6][7]

이후 개최지 신청을 받은 결과 서독슈투트가르트핀란드헬싱키가 유치를 신청했고, IAAF는 1952년 하계 올림픽을 열었던 헬싱키를 1983년 첫대회 개최 도시로 선정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의 서방 국가들의 보이콧 문제(1979년 12월에 발생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의 영향)를 계기로 신설되어, 1983년헬싱키에서 제1회 대회를 개최했다. 1991년 도쿄 대회까지는 4의 배수년의 전년(묘년·미년·해년)에 개최되었으나, 1993년 슈투트가르트 대회 이후부터는 격년(홀수 해) 개최가 되고 있다.

해가 거듭되면서 대회의 규모도 커져갔다. 1983년 대회에는 154개국 약 1,300명의 선수가 참가했지만, 2011년 대구 대회에는 참가 선수가 202개국 1,945명으로 늘었다.[34]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선수권 대회는 카타르 국민 은행(Qatar National Bank)의 후원을 받았으며,[9] 이는 카타르의 소프트 파워 정책의 일부로 묘사되었다.[10]

대회 종목에도 몇몇 변화가 있었다. 여자 경기에 새로운 종목들이 추가된 것이다. 2005년 대회부터는 남자와 여자 종목이 거의 똑같아 졌다. 남자 경기에 50km 경보 종목이 하나 더 포함되어 있고, 여자 선수들은 110m 허들과 10종경기 대신 100m 허들과 7종경기를 한다는 점만 차이가 날뿐이다.

'''1987'''년, 여자 10,000m와 10km 경보가 추가되었다.

'''1993'''년, 여자 세단뛰기가 추가되었다.

'''1995'''년, 여자 3,000m가 5000m로 대체되었다.

'''1999'''년, 여자 장대높이뛰기해머던지기가 추가되었고, 여자 20km 경보가 10km 경보를 대체했다.

'''2005'''년, 여자 3000미터 장애물 경주가 추가되었다.

'''2017'''년, 여자 50km 경보가 추가되었다.

'''2019'''년, 혼성 4 × 400미터 릴레이가 추가되었다.

'''2022'''년, 남자 및 여자 35km 경보가 50km 경보를 대체했다.

2. 1. 주요 종목 변화

198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여자 10,000m와 10km 경보가 추가되었다. 1993년에는 여자 세단뛰기가 추가되었다. 1995년에는 여자 3,000m가 폐지되고 5,000m가 추가되었다. 1999년에는 여자 장대높이뛰기, 해머던지기, 20km 경보가 추가되었고, 10km 경보는 폐지되었다. 2005년에는 여자 3,000m 장애물 경주가 추가되었다. 2017년에는 여자 50km 경보가 추가되었다. 2019년에는 혼성 4x400m 계주가 추가되었다. 2022년에는 남녀 35km 경보가 추가되었고, 남녀 50km 경보는 폐지되었다.

3. 역대 대회

회차연도개최 도시개최국날짜경기장수용 인원종목 수참가국선수 수메달 순위 1위
1976말뫼9월 18일말뫼 스타디온30,00012042
1980시타르트8월 14일 – 16일데 반데르트22,00022242
1회1983헬싱키8월 7일 – 14일올림픽 스타디온50,000411531,333
2회1987로마8월 28일 – 9월 6일스타디오 올림피코60,000431561,419
3회1991도쿄8월 23일 – 9월 1일국립 경기장48,000431621,491
4회1993슈투트가르트8월 13일 – 22일네카어스타디온70,000441871,630
5회1995예테보리8월 5일 – 13일울레비42,000441901,755
6회1997아테네8월 1일 – 10일올림피아코 스타디오75,000441971,785
7회1999세비야8월 20일 – 29일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70,000462001,750
8회2001에드먼턴8월 3일 – 12일커먼웰스 스타디움60,000461891,602
9회2003파리8월 23일 – 31일스타드 드 프랑스78,000461981,679
10회2005헬싱키8월 6일 – 14일올림픽 스타디온45,000471911,687
11회2007오사카8월 24일 – 9월 2일나가이 스타디움45,000471971,800
12회2009베를린8월 15일 – 23일올림픽 스타디온74,000472001,895
13회2011대구8월 27일 – 9월 4일대구 스타디움65,000471991,742
14회2013모스크바8월 10일 – 18일루즈니키 스타디움78,000472031,784
15회2015베이징8월 22일 – 30일베이징 국립경기장80,000472051,761
16회2017런던8월 4일 – 13일런던 스타디움60,000481991,857
17회2019도하9월 27일 – 10월 6일칼리파 국제경기장48,000492061,775
18회2022유진7월 15일 – 24일헤이워드 필드25,000491801,705
19회2023부다페스트8월 19일 – 27일국립 육상 경기장36,000492022,187
20회2025도쿄9월 13일 – 21일일본 국립 경기장68,000
21회2027베이징9월 11일 – 19일베이징 국립경기장80,000


3. 1. 제1회 ~ 제10회 대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1983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된 것을 시작으로, 초기에는 4년 주기로 열리다가 1991년 제3회 도쿄 대회부터 2년 주기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회차연도개최 도시개최국날짜경기장참가 선수(명)
제1회1983헬싱키8월 7일 - 8월 14일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1,333
제2회1987로마8월 28일 - 9월 6일스타디오 올림피코1,419
제3회1991도쿄8월 23일 - 9월 1일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1,491
제4회1993슈투트가르트8월 13일 - 8월 22일고틀리프 다임러 슈타디온1,630
제5회1995예테보리8월 5일 - 8월 13일울레비1,755
제6회1997아테네8월 1일 - 8월 10일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1,785
제7회1999세비야8월 20일 - 8월 29일에스타디오 올림피코1,750
제8회2001에드먼턴8월 3일 - 8월 12일커먼웰스 스타디움1,602
제9회2003생드니8월 23일 - 8월 31일스타드 드 프랑스1,679
제10회2005헬싱키8월 6일 - 8월 14일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1,687



제1회 헬싱키 대회에는 153개국 1,333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제2회 로마 대회에는 156개국 1,419명, 제3회 도쿄 대회에는 162개국 1,491명이 참가했다. 제4회 슈투트가르트 대회에는 187개국 1,630명, 제5회 예테보리 대회에는 190개국 1,755명, 제6회 아테네 대회에는 197개국 1,785명이 참가하여 참가국과 선수 수가 점차 증가했다. 제7회 세비야 대회에는 200개국 1,750명, 제8회 에드먼턴 대회에는 189개국 1,602명, 제9회 파리 대회에는 198개국 1,679명이 참가했다. 제10회 헬싱키 대회는 191개국 1,687명이 참가하여 핀란드에서 두 번째로 개최된 대회가 되었다.

3. 2. 제11회 ~ 제20회 대회

2007년 8월 25일부터 9월 2일까지 일본 오사카시에서 나가이 육상 경기장을 무대로 제11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는 197개국에서 1,800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2009년 8월 15일부터 8월 23일까지 독일 베를린의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제12회 대회가 열렸다. 200개국 1,89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11년 8월 27일부터 9월 4일까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구 스타디움에서 제13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는 202개국에서 1,945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2013년 8월 10일부터 8월 18일까지 러시아 모스크바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제14회 대회가 열렸으며, 203개국 1,784명이 참가했다.

2015년 8월 22일부터 8월 30일까지 중국 베이징의 베이징 국가체육장에서 제15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205개국에서 1,771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17년 8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영국 런던의 런던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제16회 대회가 열렸으며, 199개국 1,857명이 참가했다.

2019년 9월 27일부터 10월 6일까지 카타르 도하칼리파 국제경기장에서 제17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206개국 1,77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22년 7월 15일부터 7월 24일까지 미국 유진의 헤이워드 필드에서 제18회 대회가 열렸다. 180개국 1,70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23년 8월 19일부터 8월 27일까지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국립 육상 경기장에서 제19회 대회가 열렸다. 202개국 2,187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25년 9월 13일부터 9월 21일까지 일본 도쿄의 일본 국립 경기장에서 제20회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4. 종목

wikitable

valign=top width=25%|valign=top width=25%|valign=top width=25%|valign=top width=12%|valign=top width=25%|


4. 1. 트랙 경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트랙 경기는 100m 달리기, 200m 달리기, 400m 달리기, 800m 달리기, 1500m 달리기, 5000m 달리기, 10000m 달리기 등이 있다. 남자 110m 허들과 여자 100m 허들, 400m 허들, 3000m 장애물 경주도 트랙 경기에 포함된다. 또한, 4x100m 계주와 4x400m 계주, 4x400m 혼성 계주도 트랙 경기의 주요 종목이다.

남자 100m 세계 기록은 우사인 볼트(자메이카)가 2009년 베를린 대회에서 세운 9초 58이다. 같은 대회에서 우사인 볼트는 200m 세계 기록 19초 19도 세웠다. 마이클 존슨(미국)은 1999년 세비야 대회에서 400m 세계 기록 43초 18을 기록했다.

여자 100m 세계 기록은 S. 리처드슨(미국)이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에서 세운 10초 65이다. 셰리카 잭슨(자메이카)은 같은 대회에서 200m 세계 기록 21초 41을 기록했다. 야르밀라 크라토흐빌로바는 1983년 헬싱키 대회에서 400m (47초 99)와 800m (1분 54초 68) 세계 기록을 세웠다.

4. 2. 필드 경기



필드 경기는 높이뛰기, 장대높이뛰기, 멀리뛰기, 세단뛰기,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창던지기로 구성된다.

4. 3. 도로 경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도로 경기는 마라톤, 20km 경보, 35km 경보로 구성된다.

마라톤은 42.195km의 거리를 달리는 경기로, 남자부 최고 기록은 2022년 유진 대회에서 타밀랏 트라(타밀랏 톨라/Tamirat Tola영어)가 세운 2시간 05분 36초이다. 여자부 최고 기록은 2022년 오리건 대회에서 고티톰 게브레실라시에(Gotytom Gebreslase)가 세운 2시간 18분 11초이다.

20km 경보는 20km 거리를 걷는 경기로, 남자부 최고 기록은 2003년 파리 대회에서 제퍼슨 페레스가 세운 1시간 17분 21초이다. 여자부 최고 기록은 2005년 헬싱키 대회에서 올림피아다 이바노바(Olimpiada Ivanova)가 세운 1시간 25분 41초이다.

35km 경보 남자부 최고 기록은 2022년 유진 대회에서 마시모 스타노가 세운 2시간 23분 14초이다.

4. 4. 혼성 경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남자 10종 경기와 여자 7종 경기가 혼성 경기로 치러진다.

5. 역대 메달 집계

202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까지의 역대 메달 집계에서 미국이 총 443개(금 195, 은 134, 동 114)의 메달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케냐(금65, 은58, 동48), 러시아(금42, 은52, 동48), 자메이카(금40, 은61, 동48), 독일(금39, 은36, 동48)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15] 대한민국은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 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1983년 헬싱키 대회부터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까지 19번의 대회에서 총 874개의 경기가 치러졌으며, 총 2642개의 메달이 수여되었다.[15] 미국은 금메달 195개를 포함하여 총 443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케냐는 금메달 65개, 은메달 58개, 동메달 48개로 2위를 기록하고 있다.[15] 러시아는 금메달 42개, 은메달 52개, 동메달 48개로 3위를 차지했다.[15]

순위국가]]}} !! }]]}} !! }]]}} !! 4 !! 5 !! 6 !! 7 !! 8 !! 메달 !! 점수

|-

| 1 || align=left| || 183 || 125+1= || 103+2= || 77+5= || 90+3= || 84+3= || 74+2= || 80+4= || 414 || 4240.5

|-

| 2 || align=left| #REDIRECT || 63 || 61 || 65+2= || 78+2= || 66+2= || 61+2= || 53+5= || 45+1= || 191 || 2347.5

|-

| 3 || align=left| }}} || 45 || 54+6= || 47+2= || 56+2= || 39+3= || 43+2= || 35+1= || 40+1= || 154 || 1771.5

|-

| 4 || align=left| || 62 || 55 || 44 || 48 || 40 || 28 || 47 || 21 || 161 || 1744

|-

| 5 || align=left| || 37 || 56 || 43+1= || 34 || 31 || 29 || 31 || 24 || 137 || 1418.5

|-

| 6 || align=left| 영국 및 북아일랜드 || 31 || 37 || 43 || 43+2= || 50+1= || 34+1= || 31+1= || 21 || 111 || 1381

|-

| 7 || align=left| }}} || 33 || 34 || 28 || 26 || 21 || 18 || 20 || 20 || 95 || 998

|-

| 8 || align=left| || 22 || 25+1= || 25 || 20 || 34+1= || 21+1= || 21 || 24+1= || 73 || 879

|-

| 9 || align=left| || 14 || 18 || 21+2= || 27 || 28+2= || 31+1= || 24+1= || 32+1= || 55 || 804.1

|-

| 10 || align=left| || 20 || 17+1= || 21+4= || 23+1= || 24 || 22+2= || 27 || 21+2= || 63 || 794.8

|-

| 11 || align=left| '''' || 23 || 25+2= || 28 || 21+1= || 17 || 12 || 11 || 17+1= || 78 || 793

|-

| 12 || align=left| || 22 || 23+1= || 13+1= || 33 || 10+2= || 17+1= || 23 || 19 || 60 || 757.5

|-

| 13 || align=left| || 12 || 15+1= || 19 || 15 || 17+2= || 24+1= || 32+2= || 30+2= || 47 || 642.5

|-

| 14 || align=left| || 7 || 17+1= || 15+1 || 19 || 20 || 24 || 18 || 20 || 41 || 580

|-

| 15 || align=left| || 11 || 12+2= || 16 || 19 || 21 || 16+1= || 21+1= || 9 || 41 || 561.6

|}

  • 동독 (510점)과 서독 (191.5점) 선수들이 1976년, 1980년, 1983년1987년 대회에서 획득한 점수 포함.
  • 공인 중립 선수 (103.5점)가 2017년2019년 대회에서 획득한 점수 포함.


총 44명의 선수(남자 18명, 여자 26명)가 최소 6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했다.[13]

일본은 2023년 대회까지 금메달 8개, 은메달 9개, 동메달 18개로 총 3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6. 한국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은 1983년 제1회 헬싱키 대회부터 꾸준히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왔다. 1991년 도쿄 대회 남자 마라톤에서 김완기가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2011년 대구 대회 남자 경보 20km에서 김현섭이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육상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특히, 2011년 대회는 대한민국 대구에서 개최되어, 국내 육상 팬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김현섭의 동메달은 대한민국 육상의 밝은 미래를 보여주는 신호탄이었다.

2022년 유진 대회에서는 남자 높이뛰기에서 우상혁이 은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선수 최초로 필드 경기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한국 육상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으로, 우상혁은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에서 우상혁은 4위를 기록하며 아쉽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세계 정상급 기량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6. 1. 한국 선수단의 성적

대한민국은 1983년 제1회 헬싱키 대회부터 꾸준히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왔다. 1991년 도쿄 대회 남자 마라톤에서 김완기가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2011년 대구 대회 남자 경보 20km에서 김현섭이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육상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2022년 유진 대회에서는 남자 높이뛰기에서 우상혁이 은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선수 최초로 필드 경기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다.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에서 우상혁은 4위를 기록하며 아쉽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세계 정상급 기량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6. 2. 2011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6. 3. 한국 육상의 과제와 전망

7. 미디어 중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전 세계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는 스포츠 이벤트로,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중계된다.[31] 1997년부터 일본의 TBS→TBS 텔레비전이 월드 애슬레틱스의 공식 방송사로 선정되어, 일본 국내 민영 방송에서는 TBS 계열(JNN)을 통해 독점 방송되고 있다.[32] TBS의 방영권 취득 후, 2022년 제18회 오리건 대회까지 25년간 13개 대회에 걸쳐 오다 유지·나카이 미호가 진행 역할을 맡았다.[33]

일본에서는 제1회 1983년TV 아사히, 제2회 1987년부터 제5회 1995년까지는 니혼 TV 방송망이 방영권을 획득했으며, 특히 도쿄에서 개최된 제3회 1991년 대회는 호스트 방송사(그 외 서브 라이선스로 NHK BS1)를 담당했다.

미국에서는 NBC 유니버설, 유럽에서는 유럽 방송 연합 가맹 각국(유로비전 네트워크), 한국에서는 KBS, 중국에서는 CCTV가 각각 방송을 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rack and Field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eBook) 2012
[2] 웹사이트 IAAF Statistics Book Moscow 2013 http://iaaf-ebooks.s[...] 2013-09-09
[3] 웹사이트 The formation of the World Athletics Championships https://worldathleti[...]
[4] 웹사이트 Two years from now, in 2025, the next heated battle will take place in Tokyo https://worldathleti[...] 2024-01-29
[5] 웹사이트 World Athletics Ultimate Championship: a new global championship for the sport https://worldathleti[...] 2024-08-14
[6] 웹사이트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http://www.gbrathlet[...] 2024-08-19
[7] IAAF Archive of Past Events http://www.iaaf.org/[...] 2013-09-08
[8] 뉴스 First World Outdoor Championships in Helsinki a landmark for track & field. http://www.legacy.us[...] Usatf.org 2012-07-23
[9] 웹사이트 QNB and IAAF sign worldwide sponsorship agreement in Qatar https://worldathleti[...] 2024-08-19
[10] 웹사이트 A global map of Qatar’s sponsorships in sports https://www.playtheg[...] 2024-01-29
[11] 웹사이트 IAAF World Championships London 2017 Medal Table https://www.worldath[...]
[12] 웹사이트 IAAF World Championships DOHA 2019 Medal Table https://www.worldath[...]
[13] 웹사이트 World Athletics Championships Budapest 23 – Statistical Booklet https://worldathleti[...] worldathletics.org 2023-08-10
[14] 웹사이트 Dates World Championships Oregon 2022 https://www.worldath[...] 2020-06-28
[15] 문서 同着などの理由により、授与メダル数は金メダル878個、銀メダル884個、銅メダル880個とばらつきがある。
[16] 웹사이트 IAAF World Championships London 2017 Medal Table https://www.worldath[...] 2023-12-05
[17] 웹사이트 IAAF World Championships DOHA 2019 Medal Table https://www.worldath[...] 2023-12-05
[18] 문서 "[[1992年バルセロナオリンピック]]までは参加標準記録は設けられていたものの、標準記録を突破していなくても各種目に1名は出場可能という規定があった。現在は本大会同様AとBのどちらかの参加標準記録突破が必要で、全種目で突破者がいない国は特例として全種目を通じて男女1名ずつの出場が認められる。"
[19] COMPETITIONS COMPETITIONS ENTRY STANDARDS https://www.iaaf.org[...]
[20] COMPETITIONS COMPETITIONS ENTRY STANDARDS 2017 https://www.iaaf.org[...]
[21] COMPETITIONS COMPETITIONS ENTRY STANDARDS-IAAF WORLD CHAMPIONSHIPS LONDON August 2017 pdf https://www.iaaf.org[...]
[22] IAAF IAAF World Championships London 2017 qualification system and entry standards pdf https://www.iaaf.org[...]
[23] 문서 2015年第15回大会から4人エントリー3人出場。
[24] 문서 "[[2007年世界陸上競技選手権大会|2007年第11回大会]]から2人以上出場する場合の規定が変更になり、それ以前はB標準突破者を出場させる場合にはその1名のみでA標準記録突破者と混ぜる事はできなかった(オリンピックではこの制度が採用され続けている)。"
[25] 문서 2013年第14回大会から男女いずれか片方のみ。
[26] 문서 2013年第14回大会から追加。
[27] IAAF IAAF news 2011年11月9日 http://www.iaaf.org/[...]
[28] 뉴스 New qualification system introduced for IAAF World Championships https://www.iaaf.org[...]
[29] 문서 第15回世界陸上競技選手権(2015/北京)参加標準記録・派遣設定記録pdf http://www.jaaf.or.j[...]
[30] 문서 陸連時報 ディベロップメントアスリート専任コーチ会議報告(2)2013年モスクワ世界選手権からの変更点pdf http://www.jaaf.or.j[...]
[31] IAAF IAAF and Tokyo Broadcasting System extend partnership http://www.iaaf.org/[...] IAAF 2012-04-06
[32] 문서 "[[TBSチャンネル]](2015年からはTBSチャンネル2)・[[BS-TBS]]を含む。BS・CSは翌日日中の[[遅れネット|ディレー放送]]が主。[[TBSニュースバード]]での放送実績はない。このため告知スポットでも必ず「TBS系列独占放送」との告知が表示されている。また、[[TBSラジオ]]は女子マラソンを中心に中継を行っている。"
[33] 뉴스 織田裕二&中井美穂の名コンビが“最後の世界陸上”へ TBS、7・16開幕「世界陸上」メインキャスター発表 - サンスポ https://www.sanspo.c[...] 2022-06-19
[34] IAAF IAAF Statistic book http://iaaf-ebooks.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