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팬 뉴스 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팬 뉴스 네트워크(JNN)는 1959년 8월 1일 TBS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16개 방송국이 참여하여 설립된 일본 최초의 전국 상업 텔레비전 네트워크이다. 뉴스 소재 교환을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 28개의 전일제 방송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JNN은 TBS와 회원사 간의 뉴스 정보 공유, TBS 프로그램의 전국 방송, 지역 뉴스 제공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JNN 협정을 맺고 배타성을 유지해왔다. 1971년 JNN 네트워크 협의회가 발족되었고, 1975년에는 아사히 방송이 탈퇴하고 마이니치 방송이 가맹하는 등 변화를 겪었다. JNN은 뉴스 프로그램, 특별 프로그램, 블록넷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며, 해외 지국을 운영하며, 디지털 방송에서 자사 로고를 표시하는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뉴스 네트워크 - 후지 뉴스 네트워크
후지 뉴스 네트워크(FNN)는 1966년 후지 TV를 중심으로 출범한 일본의 뉴스 네트워크로, 2024년 기준 26개의 정회원을 보유하며, 뉴스 콘텐츠를 제공하고 주요 뉴스 프로그램과 선거 개표 속보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일본의 뉴스 네트워크 - 올 닛폰 뉴스 네트워크
TV 아사히를 키 방송국으로 하는 올 닛폰 뉴스 네트워크(ANN)는 1970년 발족하여 1974년 정식 뉴스 네트워크로 출범, 현재 24개의 풀 네트워크 가맹국을 두고 아침, 낮, 저녁, 심야 시간대에 다양한 뉴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아사히 신문과의 협력을 통해 선거 개표 속보 등 특별 프로그램에서 강점을 보이고 가맹국이 없는 지역에는 지국을 운영하며 해외에도 지국을 두어 국제 뉴스 취재망을 구축하고 있다. - 일본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후지 뉴스 네트워크
후지 뉴스 네트워크(FNN)는 1966년 후지 TV를 중심으로 출범한 일본의 뉴스 네트워크로, 2024년 기준 26개의 정회원을 보유하며, 뉴스 콘텐츠를 제공하고 주요 뉴스 프로그램과 선거 개표 속보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일본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신일본 프로레슬링 월드
신일본 프로레슬링 월드는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TV 아사히가 공동 운영하는 프로레슬링 스트리밍 서비스로, 생중계, 자체 제작 프로그램, 제휴 단체 프로그램, 아카이브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일본어와 영어 중계를 지원한다. - 재팬 뉴스 네트워크 - TV 야마구치
TV 야마구치는 1970년 개국한 야마구치현의 TBS 계열 방송국으로, 과거 트리플 크로스 네트워크 체제에서 TBS 완전 가맹국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는 야마구치현 민영 방송 3국 체제를 이루고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 - 재팬 뉴스 네트워크 - 호쿠리쿠 방송
호쿠리쿠 방송(MRO)은 호쿠리쿠 지방 최초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일본해 측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도 개국하는 등 지역 방송 역사를 이끌어왔으며, JNN, JRN, NRN에 가맹하여 이시카와현을 중심으로 지역 사회에 밀착한 보도 및 정보 제공에 힘쓰고 있지만, 과거 논란 속에서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재팬 뉴스 네트워크 | |
---|---|
방송 네트워크 정보 | |
이름 | 재팬 뉴스 네트워크 |
종류 |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네트워크 |
국가 | 일본 |
소유주 | TBS 텔레비전 |
설립일 | 1959년 8월 1일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JNN은 도쿄 방송(TBS)의 전신인 라디오 도쿄(KRT)가 NHK에 대항하고 지방 뉴스를 확보하기 위해 구상한 뉴스 네트워크이다. 1958년 6월 1일 KRT와 홋카이도 방송 (HBC), 주부닛폰 방송 (CBC), 오사카 텔레비전 방송 (OTV, 현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 라디오 규슈(RKB, 현 RKB 마이니치 방송) 4개 사가 체결한 "텔레비전 뉴스에 관한 네트워크 협정"이 그 시초로 여겨진다.[13][14] 1959년 4월 10일 거행된 아키히토 황태자(현 상황)와 미치코 황태자비(현 상황후)의 결혼식 중계 방송은 네트워크 결성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59년 8월 1일, KRT의 요청에 응한 16개 방송국이 참여하여 재팬 뉴스 네트워크(JNN) 협정이 체결되면서 정식으로 발족했다.[38] JNN 협정은 초기부터 "다른 네트워크 계열 방송국 혹은 그 관련 회사와의 사이에 뉴스 소재의 교환을 하거나,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를 하지 않는 것"이라는 배타 조항을 포함했으며, 이는 JNN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로 인해 JNN 가맹국 중에는 크로스 넷 방송국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1960년에는 KRT, CBC, 아사히 방송(OTV 합병 후), RKB가 4사 연맹을 결성하고, 곧이어 HBC가 합류하여 5사 연맹 체제를 갖추며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맡게 되었다.[44]
1971년에는 가맹 방송국 23개사로 'JNN 네트워크 협의회'가 발족했으며[48], 1975년 3월 31일에는 긴키 광역권에서 아사히 신문과 마이니치 신문의 자본 관계 명확화 등을 이유로 대규모 네트워크 재편(넷 체인지)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아사히 방송이 JNN과 5사 연맹에서 탈퇴하고 ANN으로 이적했으며, 대신 마이니치 방송이 JNN과 5사 연맹에 가맹했다.[50] 이 시기를 기점으로 초기에는 방송국마다 달랐던 뉴스 프로그램 제목이 전국적으로 통일되었다.
이후 여러 방송국의 신설 및 가맹, 일부 방송국의 탈퇴와 네트워크 변경(예: 1983년 후쿠시마 TV 탈퇴 및 TV-U 후쿠시마 가맹[52])을 거쳐 1992년 10월 1일 아이 TV의 가맹으로 현재의 28개 방송국 체제가 완성되었다. 현재 JNN은 아키타현, 후쿠이현, 도쿠시마현, 사가현을 제외한 43개 도도부현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하고 있다. 1996년에는 일본 최초로 인터넷 뉴스 동영상 전달 서비스 "JNN News i"를 시작하는 등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해왔다.
JNN은 네트워크 뉴스가 된 시점부터 JNN 기금에서 취재비를 보조하며, 뉴스 속보는 기본적으로 "JNN 뉴스 속보"로 표시되지만, 가맹 각 국 방송 구역 내에서 발생한 뉴스나 기상·교통 정보 등은 가맹국 이름으로 속보를 내보내기도 한다.
2. 1. 네트워크 형성 과정
1955년 4월 1일, 라디오 도쿄(KRT, 현재의 TBS 텔레비전)가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을 때는 네트워크에 속한 방송국이 없었다. 이후 1956년 12월 1일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한 주부닛폰 방송(CBC, 현재의 CBC 텔레비전) 및 오사카 텔레비전 방송(OTV, 이후 아사히 방송에 합병, 현재의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과 네트워크를 결성했다.[29] 1957년 4월 1일에는 홋카이도 방송(HBC)이[30], 1958년 3월 1일에는 라디오 규슈(RKB, 현재의 RKB 마이니치 방송)가[31][32] 네트워크에 참여했다.1956년, 일본에 상업 텔레비전 방송국이 니혼 텔레비전, 라디오 도쿄(KRT), 오사카 텔레비전 방송(OTV), 주부닛폰 방송(CBC) 단 4개뿐이었을 때,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매우 느슨한 형태였다. 도쿄의 니혼 텔레비전과 KRT는 제작비 회수와 광고주 요구 충족을 위해 도쿄 외 방송국(OTV, CBC)에 프로그램을 판매해야 했고, 이는 두 방송국이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했다.[3][4] 1956년 11월 15일, 4개 상업 방송국은 프로그램 신디케이션 관련 사항을 규정한 '4개 회사 간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교환에 관한 양해각서'에 서명했다.[4] 이후 홋카이도 방송(HBC)과 RKB 마이니치 방송(RKB)이 참여하여 6사 협정으로 확대되었으나, 협정 내용에 큰 변화는 없었다.[4]
이후 산요 방송(RSK), 니시니혼 방송(RNC), 요미우리 TV(YTV), 텔레비전 니시니혼(TNC)이 참여하며 10개 회원 방송국으로 확대되었고, 협정 내용도 변경되었다.[4] 1957년 10월, 총무성이 전국 34개 상업 TV 방송국에 예비 면허를 발급하면서 상업 방송국이 급증했고, 이는 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높였다.[4] 당시에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가 제한되어 후발 방송국의 제휴 선택 폭이 좁았다.[4]
1958년 6월 1일, KRT는 HBC, CBC, OTV, RKB 4개사와 뉴스 소재 교환에 관한 협정인 "텔레비전 뉴스에 관한 네트워크 협정"을 체결했다. 이는 JNN의 기초가 되었다.[13][14] 이는 스포츠 중계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확장하려던 니혼 TV와 달리, KRT가 뉴스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려 한 시도였다. 지방 방송국은 도쿄 뉴스의 영상 확보를, KRT는 지방 사건 취재를 위해 서로의 협력이 필요했다.[4] 같은 날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한 산요 방송(RSK)도 네트워크에 참여했다.[33]
1959년 4월 10일 거행된 아키히토 황태자(현 상황)와 미치코 황태자비(현 상황후)의 결혼식 중계는 JNN 결성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중계는 민영 방송 최초의 전국 생중계였으며, KRT 계열은 뉴스 협정을 맺은 5개사와 도호쿠 방송(TBC), 니가타 방송(BSN), 신에쓰 방송(SBC), 시즈오카 방송(SBS), 호쿠리쿠 방송(MRO), 라디오 산요(RSK), 주고쿠 방송(RCC), 나가사키 방송(NBC), 구마모토 방송(RKK), 미나미니혼 방송(MBC) 등 총 15개 방송국이 참여했다.[4]
1959년 8월 1일, KRT의 요청에 응한 16개 방송국(결혼식 중계 참여 방송국 중 일본 교육 텔레비전(NET, 현 TV 아사히)과 마이니치 방송(MBS)을 제외하고 니혼카이 텔레비전 방송(NKT)을 더함) 간에 "재팬 뉴스 네트워크 협정"(JNN 협정)이 체결되어 JNN이 정식 발족했다.[4] 창립 멤버는 KRT(현 TBS 텔레비전), HBC, TBC, SBS, SBC, BSN, MRO, CBC, OTV(현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 NKT, RSK, RCC, RKB, NBC, RKK, MBC였다.[4] 설립 당시 16개 방송국은 일본 인구의 약 80%를 커버했다.[4] JNN 협정은 네트워크 각국의 뉴스 공동 제작, 동시 중계 원칙, 뉴스 소재 제공 의무 등을 규정했다.[4] 특히, KRT는 가맹 각국과 "다른 네트워크 계열국...과 뉴스 소재를 교환하거나,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를 하지 않을 것을 약속한다"는 각서를 체결하여 JNN의 배타적 성격을 명확히 했다.[4]
1959년 12월 15일, 니혼카이 텔레비전 방송이 탈퇴하고, 같은 날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한 라디오 산인(BSS, 현재의 산인 방송)이 JNN에 가맹했다.[40][42]
1960년 2월 1일, KRT, CBC, 아사히 방송(OTV 합병 후), RKB가 4사 연맹을 결성하여 JNN의 간사 방송국 역할을 맡게 되었고, 완전 네트워크 체제가 고정되었다. 3월 1일에는 HBC가 합류하여 5사 연맹이 되었다.[44] 이 5개 방송국은 현재까지 JNN 간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66년 4월 1일, 방송 업계 불황 등을 배경으로 "JNN 뉴스 협정"이 개정되었다. TBS(KRT에서 사명 변경)를 키 스테이션으로 명시하고, TBS가 네트워크 뉴스 제작 및 편집의 주체가 되도록 했다. 또한, "JNN 가맹 각사는 뉴스 소재를 JNN 계열국 이외에 제공하지 않는다", "JNN 가맹 각사는 JNN 계열 이외로부터의 뉴스 제공을 받지 않는다"는 조항을 명문화하여 배타성을 더욱 강화했다.[4]
1971년 1월 19일, 가맹 23개사로 "JNN 네트워크 협의회"가 발족했다.[48]
1975년 3월 31일, 아사히 신문과 마이니치 신문의 자본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넷 체인지가 단행되었다. 긴키 광역권의 아사히 방송(ABC)이 JNN과 5사 연맹에서 탈퇴하고 ANN으로 이적했으며, 대신 마이니치 방송(MBS)이 NET 테레비(현 TV 아사히) 계열에서 JNN과 5사 연맹에 가맹했다.[50] 이와 함께, 이전까지 일부 방송국에서 허용되었던 뉴스 프로그램 제목 변경이 폐지되고, 모든 JNN 뉴스 프로그램의 제목이 전국적으로 통일되었다.[4]

이후 여러 방송국의 가맹과 탈퇴, 네트워크 변경이 이어졌다. 1983년 4월 1일, 후쿠시마현의 후쿠시마 TV(FTV)가 JNN을 탈퇴하고 FNN에 가맹했으며, 같은 해 12월 4일 개국한 TV-U 후쿠시마(TUF)가 JNN에 가맹했다.[52] 1992년 10월 1일 에히메현의 아이 TV(ITV, 당시 이요 TV)가 개국과 동시에 가맹하면서 현재의 28개 방송국 체제가 완성되었다. 현재 아키타현, 후쿠이현, 도쿠시마현, 사가현에는 JNN 계열 방송국이 없다.
=== 주요 연혁 ===
- 1955년 4월 1일: 라디오 도쿄(KRT, 현 TBS 텔레비전) 텔레비전 방송 개시.
- 1956년 12월 1일: 주부닛폰 방송(CBC, 현 CBC 텔레비전)과 오사카 텔레비전 방송(OTV, 현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과 네트워크 결성.[29]
- 1957년 4월 1일: 홋카이도 방송(HBC)과 네트워크 결성.[30]
- 1958년
- 3월 1일: 라디오 규슈(RKB, 현 RKB 마이니치 방송)와 네트워크 결성.[31][32]
- 6월 1일: KRT, HBC, CBC, OTV, RKB 5개 방송국이 뉴스 네트워크 협정 조인 (JNN의 토대 마련).[13][14] 산요 방송(RSK, 현 RSK 산요 방송)과 네트워크 결성.[33]
- 1959년
- 8월 1일: 16개 방송국으로 뉴스 네트워크 JNN 정식 결성.[38]
- 9월 1일: IBC 이와테 방송 가맹.
- 10월 1일: 오이타 방송(OBS) 가맹.
- 12월 15일: 산인 방송(BSS) 가맹, 니혼카이 텔레비전 방송(NKT) 탈퇴.[40][42]
- 1960년
- 2월 1일: KRT, CBC, 아사히 방송(OTV 합병), RKB가 4사 연맹 결성 (JNN 간부 방송국).[43]
- 3월 1일: HBC가 5사 연맹에 가맹.[44]
- 10월 1일: 미야자키 방송(MRT) 가맹.[45]
- 11월 29일: 키국 라디오 도쿄가 도쿄 방송(TBS)으로 사명 변경.
- 1969년 12월 1일: 아오모리 텔레비전(ATV)이 프로그램 판매 형태로 JNN 참가.[47]
- 1970년 4월 1일: TV 야마나시(UTY), TV 야마구치(tys), TV 고치(KUTV) 가맹.
- 1971년
- 1월 19일: 가맹 23개사로 「JNN 네트워크 협의회」 발족.[48]
- 6월 1일: 후쿠시마 TV(FTV) 가맹.
- 1972년 5월 15일: 오키나와현의 일본 복귀로 류큐 방송(RBC) 정식 가맹.[49]
- 1975년 3월 31일:
- 긴키 광역권에서 아사히 방송(ABC)이 JNN·5사 연맹 탈퇴, 마이니치 방송(MBS)이 JNN·5사 연맹 가맹 (넷 체인지).[50]
- 아오모리 텔레비전(ATV) 정식 가맹 (ANN 크로스 네트워크 해소).
- JNN 뉴스 프로그램 제목 전국 통일.
- 1983년
- 4월 1일: 후쿠시마 TV(FTV) 탈퇴 (FNN 가맹).
- 12월 4일: TV-U 후쿠시마(TUF) 개국과 동시에 가맹 (실질적 가맹은 10월 1일).[52]
- 1989년 10월 1일: TV-U 야마가타(TUY) 개국과 동시에 가맹.
- 1990년 10월 1일: 튤립 TV(TUT) 개국과 동시에 가맹.
- 1992년 10월 1일: 아이 TV(ITV) 개국과 동시에 가맹 (JNN 28개국 체제 완성).
- 2009년 4월 1일: TBS의 방송 지주회사 전환으로 키국이 TBS 텔레비전으로 변경.
- 2014년 4월 1일: CBC의 방송 지주회사 전환으로 네트워크 참여 방송국이 CBC 텔레비전으로 변경.
- 2016년 4월 1일: RKB의 방송 지주회사 전환으로 네트워크 참여 방송국이 신 RKB 마이니치 방송으로 변경.
- 2017년 4월 1일: MBS의 방송 지주회사 전환으로 네트워크 참여 방송국이 신 마이니치 방송으로 변경.
- 2019년 4월 1일: RSK의 방송 지주회사 전환으로 네트워크 참여 방송국이 신 RSK 산요 방송으로 변경.
- 2023년 6월 1일: BSN의 방송 지주회사 전환으로 네트워크 참여 방송국이 신 니가타 방송으로 변경.
2. 2. JNN 협정과 배타성
1958년 6월 1일, 당시 라디오 도쿄(KRT, 현 TBS 홀딩스)는 프로그램 공급 관계에 있던 홋카이도 방송(HBC), 주부닛폰 방송(CBC, 현 CBC 텔레비전), 오사카 텔레비전 방송(OTV, 현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 라디오 규슈(RKB, 현 RKB 마이니치 방송) 4개사와 뉴스 소재 교환을 위한 "텔레비전 뉴스에 관한 네트워크 협정"을 체결했다. 이는 JNN의 시초로 여겨진다.[13][14] 당시 민영 방송 선두 주자였던 니혼 TV가 스포츠 중계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확장을 꾀한 것과 달리, KRT는 뉴스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구축을 시도했다. 이는 도쿄의 뉴스 영상을 필요로 했던 지방 방송국과 지방 뉴스 취재 협력이 필요했던 KRT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였다.1957년 다나카 가쿠에이 당시 우정대신이 텔레비전 방송 보급을 위해 전국 34개사에 예비 면허를 교부하면서 네트워크 구축 경쟁이 본격화되었다. KRT는 5사 협정 직후, 텔레비전 방송 개국을 준비하던 각 방송국에 JNN 가맹을 요청하는 문서를 보냈다. 이 문서에는 KRT·HBC·CBC·OTV·RKB 5개사 중심의 뉴스 네트워크가 가장 강력하다고 자부하며, 가맹 시 뉴스 제작비 무료, 덴츠를 통한 스폰서 알선 등의 조건을 제시했다. 특히 중요한 내용은 "이 네트워크 뉴스는 타 계열 방송국에 뉴스를 일절 제공하지 않으며,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국은 타 계열의 국과 뉴스를 네트워크하지 않는다"는 배타 조항이었다.
1959년 4월 10일 거행된 아키히토 황태자(후의 제125대 천황, 현 상황)와 미치코 황태자비(현 상황후)의 결혼식 중계는 JNN 협정 체결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4] 이 중계는 민영 방송 최초의 전국 생중계였으며, 당시 마이크로 회선 사정상 NHK, 라디오 도쿄 계열, 니혼 TV 계열의 3개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라디오 도쿄 계열에는 기존 5사 외에 도호쿠 방송, 니가타 방송, 신에쓰 방송, 시즈오카 방송, 호쿠리쿠 방송, RSK 산요 방송, 주고쿠 방송, 나가사키 방송, 구마모토 방송, 미나미니혼 방송과 일본 교육 텔레비전(NET, 현 TV 아사히), 마이니치 방송까지 총 17개 방송국이 참여했다.
이 결혼식 중계를 통해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1959년 8월 1일, KRT의 요청에 응한 16개사(결혼식 중계 참여 방송국 중 NET와 마이니치 방송을 제외하고 니혼카이 TV를 더한 16개사) 간에 "재팬 뉴스 네트워크 협정"(JNN 협정)이 정식으로 체결되어 JNN이 발족했다.[4] 창립 멤버는 KRT(현 TBS 텔레비전), 홋카이도 방송, 도호쿠 방송, 시즈오카 방송, 신에쓰 방송, 니가타 방송 시스템, 호쿠리쿠 방송, 주부닛폰 방송, 오사카 텔레비전 방송(후에 아사히 방송과 합병), 니혼카이 텔레캐스팅, 산요 방송, RCC 방송, RKB 마이니치 방송, 나가사키 방송, 구마모토 방송, 미나미니혼 방송이었다.[4] 설립 당시 이미 16개 방송국을 보유하여 당시 일본 인구의 약 80%를 커버했다.[4]
JNN 협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네트워크 명칭은 "재팬 뉴스 네트워크"(JNN)로 하며, 뉴스는 네트워크 각국의 공동 제작임을 전제로 한다(전문).
- JNN 뉴스는 동시 중계를 원칙으로 한다(제1조).
- 네트워크 각국은 자국 취재 책임 범위 내의 뉴스 소재를 JNN에 제공할 의무를 가진다(제4조).
- 취재 경비는 각 사 부담이 원칙이나, 대규모 뉴스 발생 시 특별 경비는 협의 후 분담할 수 있다(제5조).
- 뉴스 타이틀은 스폰서 표기 외에는 원칙적으로 각 사 자유로 정할 수 있었다(제6조). (단, 1975년 3월 31일 네트워크 교환 이후 뉴스 프로그램 제목 통일[4])
- 배타 조항: "다른 네트워크 계열 방송국 혹은 그 관련 회사와의 사이에 뉴스 소재의 교환을 하거나,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를 하지 않는 것"을 명시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배타성을 규정했다. 이 조항으로 인해 JNN 가맹국 중에는 크로스 넷 방송국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 배타 조항은 JNN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다만, TBS 제작 뉴스 프로그램 중 일부 가맹국에서 방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JNN" 명칭을 사용하지 않으며, 자사 위성 채널인 TBS 뉴스 버드의 오리지널 프로그램에는 JNN 협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JNN 계열국이 없던 지역의 JRN(라디오 네트워크) 가맹 방송국(아키타 방송, 난카이 방송, 고치 방송 등, 이들 방송국의 텔레비전 부문은 모두 니혼TV 계열)이나, ANN 단독 가맹이었던 아오모리 TV에 JNN 뉴스를 프로그램 판매 형태로 방송한 사례가 있었다. 이는 완성된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것은 소재 제공 금지 조항과 다르다는 해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오모리 TV는 ANN 가맹 시절에도 예외적으로 JNN 뉴스 취재 및 전달 참여가 인정되기도 했다.
2. 3. 네트워크 변화 및 확대
1959년 8월 1일, 라디오 도쿄(KRT, 현 TBS 텔레비전)를 중심으로 홋카이도 방송(HBC), 주부닛폰 방송(CBC), 아사히 방송(ABC), RKB 마이니치 방송(RKB) 등 5개사의 뉴스 네트워크 협정을 기반으로, 총 16개 방송사가 참여하여 뉴스 네트워크 JNN이 결성되었다.[38] 이는 1959년 4월 10일 아키히토 황태자(후의 제125대 천황, 현 상황)의 결혼 퍼레이드 중계를 위해 KRT 계열 방송국들이 협력했던 경험이 바탕이 되었다.JNN 협정은 초창기부터 다른 네트워크와의 뉴스 교류를 금지하는 배타적인 조항을 포함했으며, 이는 이후 네트워크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59년 12월 14일: 니혼카이 TV (당시 돗토리현만 방송)가 탈퇴하고, 12월 15일 라디오 산인(현 산인 방송)이 가맹하여 산인지역을 담당하게 되었다.[40][41][42]
- 1960년 2월 1일: 라디오 도쿄, 주부니혼 방송, 아사히 방송, RKB 마이니치 방송이 4사 연맹을 결성하여 JNN의 중심 방송국 역할을 맡게 되었고, 한 달 뒤 홋카이도 방송이 합류하여 5사 연맹이 되었다. 이들 방송국은 JNN의 완전가맹국이 되었다.[44]
- 1970년 4월 1일: TV 야마나시, TV 야마구치, TV 고치가 JNN에 새로 가맹했다.
- 1971년: 가맹 방송국 23개사로 구성된 'JNN 네트워크 협의회'가 발족했다.[48]
- 1972년 5월 15일: 오키나와현의 일본 반환에 따라 류큐 방송이 정식으로 JNN에 가맹했다.[49]
- 1975년 3월 31일: 긴키 광역권에서 네트워크 재편(이른바 '장 꼬임 해소')이 이루어졌다. 아사히 신문과 마이니치 신문의 자본 관계를 명확히 하려는 의도에 따라, 아사히 방송이 JNN과 5사 연맹에서 탈퇴하고 ANN으로 완전 이전했으며, 대신 마이니치 방송이 TBS의 요청으로 JNN과 5사 연맹에 가맹했다.[50] 이 날부터 뉴스 프로그램 제목도 전국적으로 통일되었다.
- 1983년: 후쿠시마현의 JNN 가맹국이 변경되었다. 4월 1일 후쿠시마 TV가 탈퇴하고 FNN으로 이적했으며, 같은 해 12월 1일 텔레비전 유 후쿠시마가 개국과 동시에 JNN에 가맹했다.[52] (후쿠시마 TV 탈퇴 후 텔레비전 유 후쿠시마 개국 전까지는 TBS 후쿠시마 지국이 취재를 담당했다.)
- 1989년 10월 1일: 텔레비전 유 야마가타가 개국과 동시에 JNN에 가맹했다.
- 1990년 10월 1일: 튤립 텔레비전(개국 당시 TV-U 도야마)이 개국과 동시에 JNN에 가맹했다.
- 1992년 10월 1일: 아이 TV(개국 당시 이요 TV)가 개국하면서 JNN에 가맹했다. 이로써 JNN은 아키타현, 후쿠이현, 도쿠시마현, 사가현을 제외한 43개 도도부현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하는 28개 방송국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 1996년: 일본 최초의 인터넷 뉴스 동영상 서비스인 "JNN News i"를 시작했다.
이후 주요 방송국들이 방송 지주 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네트워크의 키국 및 중심 방송국의 운영 주체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 2009년 4월 1일: 도쿄 방송이 지주회사 TBS 홀딩스로 전환함에 따라, JNN 키국은 텔레비전 방송 사업을 승계한 TBS 텔레비전으로 변경되었다.
- 2014년 4월 1일: 주부닛폰 방송이 지주회사로 전환하면서, 텔레비전 방송 사업을 승계한 CBC 텔레비전으로 변경되었다.
- 2016년 4월 1일: RKB 마이니치 방송이 지주회사 RKB 마이니치 홀딩스로 전환하면서, 방송 사업을 승계한 신설 법인 RKB 마이니치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4월 1일: 마이니치 방송이 지주회사 MBS 미디어 홀딩스로 전환하면서, 방송 사업을 승계한 신설 법인 마이니치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4월 1일: 산요 방송이 지주회사 RSK 홀딩스로 전환하면서, 방송 사업을 승계한 신설 법인 RSK 산요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 2023년 6월 1일: 니가타 방송이 지주회사 BSN 미디어 홀딩스로 전환하면서, 방송 사업을 승계한 신설 법인 니가타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3. 가맹국
JNN은 1959년 8월 1일에 발족한 일본의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이다.[38] 발족 당시에는 라디오 도쿄 텔레비전(KRT, 현 TBS)을 포함한 16개 방송국으로 시작했으며, 이후 네트워크 변경이나 신규 개국을 거쳐 1992년 이후로는 아키타현, 후쿠이현, 도쿠시마현, 사가현을 제외한 43개 도도부현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하는 28개 방송국이 가맹하고 있다.
JNN 협정은 다른 네트워크 계열과의 뉴스 소재 교환이나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 구성을 금지하는 배타적인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1966년 개정된 "JNN 뉴스 협정"에서 명문화되었으며[15], 이에 따라 JNN 가맹국 중에는 크로스넷 방송국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JNN 가맹국은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가진다.
- 라테 겸영 방송국: 네트워크 발족 당시 지방 신문사와 관련된 AM 라디오 방송국이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며 가맹한 경우가 많아, 초기 가맹국의 다수가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을 겸영하는 라테 겸영 방송국이다.[24] 반면, 1970년대 이후 설립된 가맹국은 텔레비전 단영 방송국이 많으며, TBS 홀딩스가 자본 참여한 경우가 많다.
- 워터마크 표시: 디지털 방송에서는 CM 시간을 제외하고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자사 로고(워터마크)를 표시한다. 이는 민영 방송 5계열 중 JNN이 가장 먼저 시작했다.
- G 가이드 호스트국: 모든 가맹국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서비스인 G 가이드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배포하는 호스트국 역할을 한다.[16][17]
- 방송 지주회사화: TBS 홀딩스(TBS), 주부닛폰 방송(CBC), RKB 마이니치 홀딩스(RKB), MBS 미디어 홀딩스(MBS), RSK 홀딩스(RSK), BSN 미디어 홀딩스(BSN) 등 인정 방송 지주회사 체제로 이행한 가맹국이 많다.[18]
현재 가맹국, 과거 가맹국, 가맹국이 없는 현의 취재 담당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할 수 있다.
3. 1. 현재 가맹국
※ 이 표는 일본 북쪽 지역에서 남쪽 지역 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 - 중파 라디오 방송국 겸영(TV·라디오 겸영). '00방송'이라는 이름의 방송국은 모두 겸영방송국이며, TBS와 RBC는 제외된다.
- ■ - 지역 뉴스 동영상 전달 실시국
- ▲ - 민관공동투자를 통해 설립된 방송국
디지털 방송에서는 모든 계열국이 영상 권리 보호 관점에서 CM 송출 시를 제외한 방송 중 화면 우측 상단에 자사 로고(워터마크)를 표시하고 있다. 일부 계열국에서는 원세그 방송에서는 로고를 삽입하지 않는다. JNN 계열국은 모두 G가이드라는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16][17]
방송구역 | 약칭/ID | 회사명 | 호출 부호 | 개국일 | 제휴일 | 비고 | 기호 |
---|---|---|---|---|---|---|---|
홋카이도 | HBC 1 | 홋카이도 방송 | JOHR-DTV | 1957년 4월 1일 | 1959년 8월 1일 | 핵심 방송국. 원세그 방송은 자사 로고 삽입 안 함. | ★■ |
아오모리현 | ATV 6 | 아오모리 TV | JOAI-DTV | 1969년 12월 1일 | 1975년 3월 31일 | 1975년 4월부터 정식 가맹. 개국 당시부터 1975년 3월까지 간접적으로 뉴스 방송(일부만)과 보도 취재에 참가(예외적 특례 조치). 원세그 방송은 자사 로고 삽입 안 함. | ■ |
이와테현 | IBC 6 | IBC 이와테 방송 | JODF-DTV | 1959년 9월 1일 | 1959년 9월 1일 | 1995년 6월 22일까지 정식 명칭은 이와테 방송. | ★■ |
미야기현 | TBC 1 | 도호쿠 방송 | JOIR-DTV | 1959년 4월 1일 | 1959년 8월 1일 | 네트워크 중심국이지만 5사 연맹에는 가맹 안 함. | ★■ |
아키타현 | 없음 | ||||||
야마가타현 | TUY 6 | TV-U 야마가타 | JOWI-DTV | 1989년 10월 1일 | 1989년 10월 1일 | ■ | |
후쿠시마현 | TUF 6 | TV-U 후쿠시마 | JOKI-DTV | 1983년 12월 4일 | 1983년 10월 1일 | 1971년 10월부터 1983년 3월까지 후쿠시마 TV가 가맹했었음. | ■ |
간토 광역권 | TBS 6 | TBS TV | JORX-DTV | 1955년 4월 1일 | 1959년 8월 1일 | 동부 플래그십 방송국, 핵심 방송국. 1960년 11월 29일까지 정식 명칭은 라디오 도쿄(KRT). | ■ |
야마나시현 | UTY 6 | TV 야마나시 | JOGI-DTV | 1970년 4월 1일 | 1970년 4월 1일 | ■ | |
나가노현 | SBC 6 | 신에쓰 방송 | JOSR-DTV | 1958년 10월 25일 | 1959년 8월 1일 | 1952년 4월 30일까지 정식 명칭은 시나노 방송. 약칭은 그대로 사용. | ★■ |
니가타현 | BSN 6 | 니가타 방송 | JODR-DTV | 1958년 12월 24일 | 1959년 8월 1일 | 1961년 3월 1일까지 정식 명칭은 라디오 니가타(RNK). | ★■ |
시즈오카현 | SBS 6 | 시즈오카 방송 | JOVR-DTV | 1958년 11월 1일 | 1959년 8월 1일 | ★■ | |
주쿄 광역권 (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 | CBC 5 | CBC TV | JOGX-DTV | 1956년 12월 1일 | 1959년 8월 1일 | 핵심 방송국. 텔레비전 방송 개시 시기는 TBS 다음으로 빠름. 원세그 방송은 자사 로고 삽입 안 함. | ★■ |
도야마현 | TUT 6 | 튤립 TV | JOJH-DTV | 1990년 10월 1일 | 1990년 10월 1일 | 개국 당시 정식 명칭은 테레비유도야마. | ■ |
이시카와현 | MRO 6 | 호쿠리쿠 방송 | JOMR-DTV | 1958년 12월 1일 | 1959년 8월 1일 | 튤립 TV 개국 전에는 도야마 현도 취재 대상 지역. CM 미방송 문제로 1997년부터 1년간 보도 취재 이외 회원 활동 정지 처분을 받음. | ★■ |
후쿠이현 | 없음 | ||||||
긴키 광역권 (미에현 제외) | MBS 4 | MBS TV | JOOY-DTV | 1959년 3월 1일 | 1975년 3월 31일 | 서부 플래그십 방송국, 핵심 방송국. 1975년 3월 가맹. JNN 발족 당시부터 1975년 3월까지 ABC가 가맹했었음. 준교육방송국으로 TV 방송 개시. 당시 네트워크 중심국은 NET. 원세그 방송은 자사 로고 삽입 안 함. | ★■ |
돗토리현 및 시마네현 | BSS 6 | 산인 방송 | JOHF-DTV | 1959년 12월 15일 | 1959년 12월 15일 | TV 방송 개시 당시부터 가맹. 개국 전 1959년 12월까지 니혼카이 TV가 가맹. 개국 당시부터 1972년 9월까지 TV 방송 구역은 시마네 현만 해당. | ★■▲ |
오카야마현 및 가가와현 | RSK 6 | RSK 산요 방송 | JOYR-DTV | 1958년 6월 1일 | 1959년 8월 1일 | 1983년 3월까지 TV 방송은 오카야마 현만 방송 구역. | ★■▲ |
히로시마현 | RCC 3 | 주고쿠 방송 | JOER-DTV | 1959년 4월 1일 | 1959년 8월 1일 | 1967년 3월 31일까지 정식 명칭은 라디오 주고쿠. | ★■▲ |
야마구치현 | tys 3 | TV 야마구치 | JOLI-DTV | 1970년 4월 1일 | 1970년 4월 1일 | 개국 당시부터 1978년 9월까지 TV 아사히 (ANN에는 미가맹)/FNS와 트리플 크로스넷. 1978년 10월~1987년 9월까지 FNS와 크로스넷 관계. | ■▲ |
도쿠시마현 | 없음 | ||||||
에히메현 | ITV 6 | 아이 TV | JOEH-DTV | 1992년 10월 1일 | 1992년 10월 1일 | 개국 당시 정식 명칭은 이요 TV. 개국 전까지 난카이 방송이 간접적으로 참가했으며, 난카이 방송은 아이 TV 개국 후에도 일부 JNN 계열 프로그램을 방송. | ■ |
고치현 | KUTV 6 | TV 고치 | JORI-DTV | 1970년 4월 1일 | 1970년 4월 1일 | TV 고치 개국 전까지 고치 방송이 간접적으로 참가. | ■ |
후쿠오카현 | rkb 4 | RKB 마이니치 방송 | JOFR-DTV | 1958년 3월 1일 | 1959년 8월 1일 | 핵심 방송국. 개국 당시 정식 명칭은 라디오 규슈(RKB). | ★■ |
사가현 | 없음 | ||||||
나가사키현 | NBC 3 | 나가사키 방송 | JOUR-DTV | 1959년 1월 1일 | 1959년 8월 1일 | 1991년 3월까지 사실상 크로스넷에 가까운 프리 네트워크로 운영. | ★■ |
구마모토현 | RKK 3 | 구마모토 방송 | JOBF-DTV | 1959년 4월 1일 | 1959년 8월 1일 | 1961년 5월까지 정식 명칭은 라디오 구마모토. | ★■ |
오이타현 | OBS 3 | 오이타 방송 | JOGF-DTV | 1959년 10월 1일 | 1959년 10월 1일 | 1961년 3월까지 정식 명칭은 라디오 오이타. | ★■▲ |
미야자키현 | MRT 6 | 미야자키 방송 | JONF-DTV | 1960년 10월 1일 | 1960년 10월 1일 | 1962년 7월까지 정식 명칭은 라디오 미야자키(RMK). | ★■ |
가고시마현 | MBC 1 | 미나미니혼 방송 | JOCF-DTV | 1959년 4월 1일 | 1959년 8월 1일 | 1961년 10월 1일까지 정식 명칭은 라디오 미나미니혼. | ★■ |
오키나와현 | RBC 3 | 류큐 방송 | JORR-DTV | 1960년 6월 1일 | 1972년 5월 15일 | 1972년 5월 15일 정식 가맹. | ■ |
=== JNN 가맹국이 없는 현의 취재 담당 ===
JNN 가맹국이 없는 아키타현, 후쿠이현, 도쿠시마현, 사가현의 뉴스 취재는 인접 현의 가맹국이 담당한다.
현 | 지방 | 인접 현의 방송국 | 뉴스 취재 담당 |
---|---|---|---|
아키타현 | 도호쿠 | IBC(이와테현), ATV(아오모리현), TUY(야마가타현), tbc(미야기현) | ATV(오다테시), TUY(니카호시에서 오가시까지), IBC(아키타현 나머지 지역) 및 tbc(특정 대형 행사) |
후쿠이현 | 주부 | MRO(이시카와현), MBS(긴키 지방), CBC(주쿄권) | MRO(레이호쿠 지방 및 쓰루가시; 특정 상황에서는 CBC에서도 담당) 및 MBS(레이난 지방 (쓰루가시 제외)) |
도쿠시마현 | 시코쿠 | MBS(긴키 지방), RSK(오카야마현 및 가가와현) | MBS 도쿠시마 지국 |
사가현 | 규슈 | RKB(후쿠오카현) | RKB |
3. 2. 과거 가맹국
방송 지역 | 방송국 | 약칭 | 호출 부호 | 채널 | 제휴 기간 | 현재 제휴 | 현재 JNN 제휴사 | 비고 |
---|---|---|---|---|---|---|---|---|
후쿠시마현 | 후쿠시마 TV | FTV | JOPX-TV | 11 | 1971년 6월 1일 ~ 1983년 3월 31일 | FNN/FNS | TUF | 1971년 6월 1일부터 1983년 3월 31일까지 JNN과 제휴했다. 네트워크 정책 변경으로 FNN/FNS로 이관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TUF가 개국하면서 후쿠시마현 내 JNN 프로그램 방송이 재개되었다.[5] |
간사이 광역권 (미에현 제외) | 아사히 방송 | ABC | JONR-TV | 6 | 1959년 8월 1일 ~ 1975년 3월 30일 | ANN | MBS | 1959년 8월 1일부터 1975년 3월 30일까지 JNN과 제휴했다. 신문사 자본 관계 정리 및 네트워크 정책(넷 체인지)에 따라 당시 ANN 계열이던 MBS와 네트워크를 교환하였다.[6] |
돗토리현·시마네현 | 니혼카이 TV | NKT | JOJX-TV | 1 | 1959년 8월 1일 ~ 1959년 12월 14일 | NNN/NNS | BSS | 1959년 8월 1일부터 1959년 12월 14일까지 JNN과 제휴했다. BSS 개국 후 TBS 계열 프로그램 편성을 넘겨주면서 NTV 계열(NNN/NNS)로 변경하였다.[7] |
3. 3. 가맹 의사가 있었으나 포기한 방송국
아래는 JNN 가맹 의사가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가맹하지 않은 방송국 목록이다. 주로 NNN/NNS 계열을 선택했으며, 각 방송국의 사정이나 기술적인 문제 등이 이유가 되었다.방송 구역 | 방송사 | 포기 이유 | 현재 계열 |
---|---|---|---|
아오모리현 | RAB | 사업상의 이유 | NNN/NNS |
아키타현 | ABS | 마이크로파 회로의 기술적인 이유 | NNN/NNS |
도야마현 | KNB | 초기에는 TBS 텔레비전과 제휴가 예상되었으나, 방송 판매 실적 및 프로 야구 중계 계약 등의 요인으로 닛폰 TV와의 제휴를 우선 결정 | NNN/NNS |
후쿠이현 | FBC | 인접한 JNN 계열국인 호쿠리쿠 방송과의 갈등을 피하기 위함 | NNN/NNS/ANN |
에히메현 | RNB | 마이크로파 회로의 기술적인 이유 및 인접 방송국(주고쿠 방송, 오이타 방송)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함 | NNN/NNS |
고치현 | RKC | 개국 당시 닛폰 TV의 인기가 더 높았고 기술적 문제도 있어 NNN/NNS와 제휴. 이후 TV 고치 개국 시 JNN 전환을 고려했으나, TV 고치가 JNN에 가맹하면서 불필요해짐 | NNN/NNS |
사가현 | sts | FNN/FNS 계열로 개국했으나, 1970년대 초 나가사키 방송의 도움을 받아 JNN으로의 네트워크 변경을 계획했으나 실현되지 못함 | FNN/FNS |
4. 특징
1958년 6월 1일, 당시 라디오 도쿄(KRT, 현 TBS 텔레비전)가 홋카이도 방송(HBC), 주부닛폰 방송(CBC, 현 CBC 텔레비전), 오사카 텔레비전 방송(OTV, 현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 라디오 규슈(RKB, 현 RKB 마이니치 방송) 4개사와 맺은 "텔레비전 뉴스에 관한 네트워크 협정"이 JNN의 시초이다.[13][14] 이 협정은 뉴스 소재 교환을 목적으로 했다. 1959년에는 이 5개 방송사를 포함하여 KRT가 참가를 요청한 16개 방송사가 모여 최초의 "재팬 뉴스 네트워크 협정"(JNN 협정)을 체결하며 JNN이 공식적으로 발족했다.
이후 네트워크 변경과 신규 방송국 개국을 거쳐, 1992년부터는 아키타현, 후쿠이현, 도쿠시마현, 사가현을 제외한 43개 도도부현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하는 28개 방송국이 JNN에 가맹하고 있다.
JNN 로고 마크의 색상은 원칙적으로 녹색이며 '''JNN'''으로 표기되지만, 2017년 10월 이후 정시 뉴스 등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독자적인 로고를 사용하기도 한다.[15] 2022년 4월부터 시작된 "TBS NEWS DIG Powered by JNN" 서비스의 JNN 로고 역시 독자적인 디자인이다. 또한, JNN 계열 프로그램에서는 뉴스 제공 방송국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다.
JNN 협정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배타성이다. 협정에는 다른 네트워크 계열 방송국과의 뉴스 소재 교환 및 네트워크 구성을 금지하는 조항이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타성 조항으로 인해 JNN 가맹국 중 크로스넷 방송국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가맹국의 구성에서도 특징을 보인다. 초기에는 각 지역의 지방 신문사가 설립에 관여한 라테 겸영 (라디오-텔레비전 겸영) 방송국이 많았다. 반면, 1970년대 이후 설립된 JNN 가맹국들은 대부분 처음부터 JNN 가맹을 염두에 두고 설립된 텔레비전 단독 방송국이며, TBS가 회사 설립 단계부터 대주주로 참여한 경우가 많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모든 가맹국이 방송 중 화면 오른쪽 상단에 워터마크 형태로 자사 로고를 표시한다. 이는 방송 콘텐츠의 권리 보호 등을 위한 조치로, 일본 민영 방송 5개 네트워크 중 JNN이 가장 먼저 전면적으로 시행했다.
또한, JNN 가맹국들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서비스인 G 가이드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배포하는 호스트 역할을 맡고 있다.[16][17]
방송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는 경향도 두드러진다. TBS 홀딩스를 시작으로 주부닛폰 방송, RKB 마이니치 홀딩스, MBS 미디어 홀딩스, RSK 홀딩스, BSN 미디어 홀딩스 등이 지주회사 체제로 이행했으며, 이 중 일부는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다.[18]
프로그램 중 시각 표시에 있어서도 독자적인 정책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방송의 송출 지연 문제 등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시각을 제공한다"는 원칙 아래, 전국적으로 통일된 시각 표시를 네트워크 차원에서 송출하지 않는다.[19][20] 대신 각 방송국이 자체 마스터에서 지역별로 시각 표시를 송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4. 1. JNN 협정의 배타성
JNN 협정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그 배타성이다. 이 협정은 가맹 방송국이 JNN 외의 다른 뉴스 네트워크에 뉴스 소재를 제공하거나, 다른 텔레비전 뉴스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이러한 배타 조항은 JNN 결성 이전부터 논의되었다. 1958년 6월 1일 뉴스 협정을 맺은 KRT(현 TBS 텔레비전)는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다른 방송국들에 보낸 요청 문서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명시했다.
> '''이 네트워크 뉴스는 타 계열 방송국에 뉴스를 일절 제공하지 않으며,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국은 타 계열의 국과 뉴스를 네트워크하지 않는다'''.
이 조건은 1959년 8월 1일 체결된 JNN 협정에도 반영되어, "다른 뉴스 네트워크에 JNN의 뉴스 소재를 제공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강력한 배타성 조항 때문에 JNN 계열 방송국 중에는 니혼 TV 계열의 NNN이나 후지 TV 계열의 FNN 등 다른 뉴스 네트워크에도 동시에 가맹하는 크로스넷 방송국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JNN이 뉴스 네트워크로서의 정체성과 결속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다른 네트워크와의 교류를 제한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4. 2. 신문사와의 관계
JNN은 창설 계기가 된 '5사 협정' 당시부터 각 방송국과 제휴 관계에 있는 신문사 (블록지)의 뉴스 정보를 공유하려는 목적[13][14]이 있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특정 신문 계열과의 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다. JNN 설립 당시 가맹한 16개 방송국 중 12개 방송국은 지방 신문과의 관련이 깊은 방송국이었다[24]。한편, JNN 발족 당시의 키국이었던 라디오 도쿄(KRT, 현 TBS 텔레비전)는 마이니치 신문사를 중심으로 아사히 신문사, 요미우리 신문사 등과 관계를 맺고 있었으나, 이후 자본 관계 정리를 통해 마이니치 신문사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그러나 마이니치 신문사의 경영 악화 문제로 마이니치 신문사가 보유 주식을 매각하면서 TBS는 완전한 독립 관계가 되었다. 마이니치 방송(MBS) 역시 비슷한 시기에 마이니치 신문사가 보유 주식 대부분을 매각하여 자본적으로는 독립했지만, 사명에 '마이니치'를 유지하고 오사카 본사와 뉴스 제공 협력 관계는 지속하고 있다.
다만, 현재에도 마이니치 신문사와 TBS(TBS 홀딩스·TBS 텔레비전·TBS 라디오) 및 마이니치 방송(MBS 미디어 홀딩스·마이니치 방송·MBS 라디오)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RKB 마이니치 방송의 경우, 마이니치 신문사(서부 본사)가 지주회사인 RKB 마이니치 홀딩스의 제2대 주주로서 자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이들 방송국의 보도·정보 프로그램에는 마이니치 신문 소속 기자나 논설위원 등이 출연하는 경우가 많아, JNN이 마이니치 신문사와 비교적 친밀한 관계에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4. 3. 리모컨 키 ID
키 방송국인 TBS 텔레비전과 TBS 계열의 BS 방송국인 BS-TBS의 리모컨 키 ID는 "'''6'''"이다. TBS 이외의 계열국에서 키 방송국과 같은 리모컨 키 ID를 사용하는 방송국(지도상에서 파란색으로 칠해진 지역의 방송국)은 15국, "6" 이외는 12국[25]이 있다. 다른 민영 방송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통일된 비율이 낮으며, 특히 도카이(나고야) 이서의 서일본 지역에서 "6" 이외의 리모컨 ID를 사용하는 방송국이 많다[26]. 이는 가맹국의 대부분이 해당 지역의 선발 방송국이며, 아날로그 방송 주 방송국과 같은 채널 번호를 리모컨 ID로 채택한 방송국이 많은 것과 히로시마 이서의 지역에서 NHK 종합·E 텔레비전에 이어 젊은 번호인 "3"을 리모컨 ID로 채택한 방송국이 많은 것[27]이 원인으로 여겨진다. 리모컨 키 ID로 6ch를 사용하는 계열국 중 TBS 텔레비전 외에는 IBC 이와테 방송 및 호쿠리쿠 방송도 아날로그 방송의 주 방송국 채널 번호를 이어받았다.아날로그 주 방송국 '''5ch'''를 사용하던 니가타 방송은 디지털 방송에서 "6"을 할당하고 있다[28].
5. 해외 지국
JNN은 국제 뉴스 취재를 위해 전 세계 주요 도시에 해외 지국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지국들은 JNN 가맹 방송사들이 공동 출자하는 'JNN 기금'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주요 방송사(기간국)가 비용의 일부를 부담하여 개설 및 운영한다.[112] TBS 텔레비전 외 다른 JNN 가맹국 소속 기자가 해외 지국에서 활동할 때는 소속 방송국과 함께 TBS 텔레비전의 명의도 사용한다.[112] 해외 지국 기자가 취재한 내용은 JRN의 뉴스를 통해서도 방송되는 경우가 있다.[116] 국제 정세 변화 등에 따라 지국 네트워크는 유동적으로 조정되며, 필요에 따라 통폐합되기도 한다.[112] 2018년 4월 기준으로 11개의 해외 지국이 운영되고 있다.
5. 1. 개요
2018년 4월 기준으로, JNN은 11개의 해외 지국을 운영하고 있다. 이 지국들은 JNN 가맹 각국이 분담하여 운영하는 "JNN 기금"을 바탕으로 하며, 기간국(基幹局,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는 주요 방송국)이 각각 비용의 일부를 부담하는 형태로 개설 및 운영된다. TBS 텔레비전 외 JNN 가맹국 소속 기자가 해외 지국에서 활동할 경우, 해당 기자는 소속 방송국과 함께 TBS 텔레비전의 이름도 같이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TBS는 개설국과 TBS 텔레비전 양쪽의 로고가 인쇄된 특수 명함을 각 기자에게 지급하여 활동하도록 지원한다.
JNN의 네트워크는 국제 정세 변화 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된다. 가맹국이 독자적으로 지국을 개설하는 경우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지국의 통폐합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기자의 파견은 지국을 개설하고 운영하는 방송국 외의 다른 가맹국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112] 일본 국내에서 열리는 대형 스포츠 행사 시에는 해당 지역 근처에 JNN 가맹국 공동 취재 거점을 임시로 설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의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리는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나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기간 동안 공동 취재 거점이 운영될 수 있다.[113]
JNN 해외 기자가 취재한 리포트는 재팬 라디오 네트워크(JRN)의 뉴스를 통해서도 녹음 방송된다. 이 때문에 일부 JNN 해외 기자 리포트는 JRN을 통해 니혼 TV (NNN) 계열의 라디오·텔레비전 겸영 방송국[114], 같은 형태의 겸영 방송국인 후쿠이 방송[115], 그리고 중파 방송(AM)만 운영하는 라디오 후쿠시마나 와카야마 방송 등 다른 네트워크 소속 방송국에서도 방송되는 경우가 있다.[116]
5. 2. 지국 일람
2018년 4월 기준으로 JNN은 11개의 해외 지국을 운영하고 있다. 이 지국들은 JNN 가맹 방송사들이 공동 출자하는 "JNN 기금"을 기반으로, 주요 방송사(기간국)가 비용을 일부 부담하여 개설 및 운영한다. TBS 텔레비전 외 JNN 가맹국 소속 기자는 해당 지국 개설 방송사에 소속되면서 TBS 텔레비전 명의로도 활동하며, 이를 위해 TBS는 개설 방송사와 TBS 로고가 함께 인쇄된 특수 명함을 각 기자에게 지급한다. 지국 네트워크는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되며 통폐합되기도 한다. 기자 파견 역시 개설 및 운영 방송사 외 다른 가맹국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112]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의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리는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나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와 같이 일본 내 대규모 스포츠 행사 시에는 행사 개최지 인근에 JNN 가맹국 공동 취재 거점을 임시로 설치하기도 한다.[113]해외 지국 기자의 리포트는 JRN 뉴스 프로그램에서도 녹음 방송된다. 이 때문에 일부 JNN 해외 기자 리포트는 JRN을 통해 니혼 TV (NNN) 계열 라디오·텔레비전 겸영 방송국[114], 후쿠이 방송[115], 그리고 AM 라디오 단독 방송국인 라디오 후쿠시마, 와카야마 방송 등에서도 방송된다.[116]
지역 | 해외 지국명 | 설치·운영 가맹국 | 지국장 | 비고 |
---|---|---|---|---|
미국 | JNN 뉴욕 지국 | TBS 텔레비전 | 하기와라 유타카[117] | 시즈오카 방송에서 기자를 파견했던 시기가 있다.[118] |
JNN 워싱턴 D.C. 지국 | 카시모토 테루유키[119] | |||
JNN 로스앤젤레스 지국 | CBC 텔레비전 | 오제키 쥰야[120] | TBS 텔레비전에서도 기자를 파견한다. 과거에는 마이니치 방송이 지국을 개설했었다. | |
유럽 구소련 아프리카 | JNN 런던 지국 | TBS 텔레비전 | 규바 세이지[121] | |
JNN 모스크바 지국 | 오노 신지로[122] | 홋카이도 방송에서도 기자를 파견한다.[123] | ||
JNN 파리 지국 | 마이니치 방송 | 토미나가 타카시 | 1969년 아사히 방송(당시)이 개설했으나[124], 1975년 네트워크 체인지로 조직 전체가 ANN 파리 지국으로 이관되자 TBS가 다시 개설했다. 이후 일시 폐쇄되었다가 2017년 10월부터 마이니치 방송 운영으로 업무를 재개했다.[125] 재개설 전까지 운영했던 베를린 지국 시절부터 구 소련 지역(모스크바 지국 관할), 영국 및 북유럽 국가(런던 지국 관할)를 제외한 유럽 전역의 취재를 담당한다. | |
아시아 | JNN 중동 지국 | TBS 텔레비전 | 2012년 3월 산요 방송이 운영하던 "JNN 카이로 지국"을 폐쇄한 후, 같은 해 7월부터 개설했다.[126] | |
JNN 베이징 지국 | 홋카이도 방송 | 타테야마 메이코[127] | TBS 텔레비전에서도 기자를 파견한다. | |
JNN 상하이 지국 | 마이니치 방송 | 테라시마 무네키[128] | 1992년부터 2000년까지 주고쿠 방송이 운영했다. | |
JNN 서울 지국 | TBS 텔레비전 | 와타나베 히데오[129] | 서울 지국은 1969년 RKB 마이니치 방송이 개설했고[130], 방콕 지국은 1977년 TBS가 개설했다. 1996년 7월 1일 두 지국의 담당을 교체한 후, TBS와 RKB는 양 지국에 기자를 상호 파견하고 있다. | |
JNN 방콕 지국 | RKB 마이니치 방송 | 오히라 히로키[131] |
위 지국 외에도,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TBS 텔레비전이 "JNN 시드니 지국"(초기 명칭 "JNN 시드니 올림픽 지국")을 설치했다. 현지 거주 프리 저널리스트 이이지마 히로키가 "JNN 시드니 통신원" 직함으로 오세아니아 지역 취재를 담당하고 있다.[132] 1992년 여름에는 자위대 PKO 활동 현지 취재 거점으로 TBS가 프놈펜에 임시 지국을 설치하기도 했다.[133]
과거에 존재했던 해외 지국으로는 마이니치 방송이 설치·운영했던 "JNN 마닐라 지국"과 "JNN 베를린 지국"(2017년 9월 폐쇄)[125], CBC 텔레비전(주부닛폰 방송 시절)이 주니치 신문과 공동 운영했던 "JNN 로마 지국"(1974년 개설, 1990년 폐쇄) 및 자체 운영했던 "JNN 비엔나 지국"(1990년 개설, 2010년 9월 폐쇄)[135][136], 산요 방송이 운영했던 중동 지역 지국(1973년 개설, 초기 베이루트, 이후 카이로로 이전하여 "JNN 카이로 지국" 운영, 2012년 폐쇄)[134][126] 등이 있다. 그 외에도 TBS가 개설했던 홍콩 지국(1992~1999), 사이공 지국(1971~1974, 이후 싱가포르로 이전), 싱가포르 지국(1974~1977), 자카르타 지국(1998~2000), 요하네스버그 지국(1987~1991), 본 지국, 홋카이도 방송이 개설했던 상파울루 지국(1980~1993), 러시아 극동 지국(사할린 1993~1995, 블라디보스토크 1995~2001) 등이 있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JNN 계열 방송국이 없는 지역의 취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지국이 운영되거나 운영된 바 있다.
- 호쿠리쿠 방송 후쿠이 지국 (후쿠이현): 후쿠이현 레이호쿠 지방 및 쓰루가시 취재 거점. (쓰루가시 제외 레이난 지방은 마이니치 방송 담당) 후쿠이역 앞에 JNN용 정보 카메라 설치.
- 마이니치 방송 도쿠시마 지국 (도쿠시마현): 도쿠시마현 내 취재 거점. (대부분 지역에서 마이니치 방송 시청 가능)
- TBS 후쿠시마 지국 (후쿠시마현): 1983년 3월 후쿠시마 TV의 JNN 탈퇴 후 같은 해 12월 TV-U 후쿠시마 개국 전까지 임시 운영.
- IBC 이와테 방송 아키타 지국 (아키타현): 1990년대 중반부터 2003년까지 운영. 폐쇄 후 보도 카메라맨 주재, 아키타항에 JNN용 정보 카메라 상설.
- JNN 산리쿠 임시 지국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동일본 대지진 피해 지역 장기 취재 거점으로 2011년 5월부터 2014년까지 운영. 이와테현~미야기현 산리쿠 해안 지역 담당. TBS 텔레비전[137] 중심 JNN 공동 운영. (초대 국장: 류자키 타카시, 2대 국장: 사사키 토모유키)
6. 프로그램
JNN은 다양한 시간대의 정규 뉴스 프로그램과 함께, 선거 개표 방송이나 재난 상황 발생 시 특별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또한, 일본 내 여러 지역 블록별로 공동 제작하는 블록넷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프로그램 목록과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뉴스 프로그램
- '''수시'''
- * JNN 뉴스: 1959년 8월 1일 ~ 2009년 3월 29일, 2010년 3월 29일 ~ 현재
- * THE NEWS: 2009년 3월 30일 ~ 2010년 3월 28일
- '''아침'''
- * 자세한 내용은 TBS 텔레비전 계열 아침 뉴스 시간대 문서를 참고할 것.
- '''낮'''
- * 자세한 내용은 TBS 텔레비전 계열 낮 뉴스 시간대 문서를 참고할 것.
- '''저녁'''
- * 자세한 내용은 TBS 텔레비전 계열 저녁 뉴스 시간대 문서를 참고할 것.
- '''저녁 8시 54분 ~ 9시''' (평일은 다른 시간대에 방송될 수 있음)
- * JNN 플래시 뉴스: 1962년 10월 ~ 현재
- '''심야 (최종판)'''
- * 자세한 내용은 TBS 텔레비전 계열 심야 뉴스 시간대 문서를 참고할 것.
6. 2. 특별 프로그램
선거, 태풍, 지진, 북한의 미사일 발사(전국순시경보시스템 발령 시 속보 포함) 등 중대한 사건이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특별 방송을 편성하여 방송한다.[138][139][140] 니가타 방송이나 미나미니혼 방송처럼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을 겸하며 모두 TBS 네트워크에 가맹한 방송국의 경우, 텔레비전 음성을 라디오로 동시에 송출하여 비상 상황 보도를 하기도 한다.특히 국정 선거 시에는 개표 상황을 전달하는 특별 방송을 편성하며, 출구 조사 등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이해하기 쉽게 정보를 전달한다. 역대 주요 선거 개표 특별 방송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선거 종류 | 방송 제목 |
---|---|---|
1971년 | 참의원 선거 | JNN 개표 속보 |
1972년 | 중의원 선거 | JNN 선거 속보 |
1974년 | 참의원 선거 | 참의원 선거 개표 속보 |
1976년 | 중의원 선거 | 중의원 선거 개표 속보 |
1977년 | 참의원 선거 | 참의원 선거 '77 |
1979년 | 중의원 선거 | 총선거 '79 |
1980년 | 중의원 선거・참의원 선거 | 선거・선거 '80 |
1983년 | 참의원 선거 | JNN 참의원 선거 '83 |
1983년 | 중의원 선거 | JNN 중의원 선거 '83 |
1986년 | 중의원 선거・참의원 선거 | 선거・선거 '86 |
1989년 | 참의원 선거 | 표결 '89 |
1990년 | 중의원 선거 | 쓰쿠시 테쓰야의 어떻게 될까 일본 세기말 결전 '90 |
1992년 | 참의원 선거 | 거천・쓰쿠시의 보도 스쿠프 선거판 '92 |
1993년 | 중의원 선거 | 쓰쿠시 테쓰야의 선거 '93 |
1995년 | 참의원 선거 | 선거 스타디움 '95 |
1996년 | 중의원 선거 | 총선거 라이브 넷 '96 |
1998년 ~ 2004년 | 참의원 선거 | 선거 개표 특별 방송 표결! 라이브 |
2005년 | 중의원 선거 | 난! 총선거 2005 |
2007년 | 참의원 선거 | 난! 참의원 선거 2007 |
2009년 | 중의원 선거 | 난! 총선거 2009 |
2010년 | 참의원 선거 | 난! 참의원 선거 2010 |
2012년 | 중의원 선거 | 난! 총선거 2012 |
2013년 | 참의원 선거 | 여름의 결전! 참의원 선거 2013 일본은 어디로 가는가! |
2014년 | 중의원 선거 | 난! 총선거 2014 |
2016년 | 참의원 선거 | 격돌! 선거 스타디움 2016 |
2017년 | 중의원 선거 | 격돌! 여야 대결전 선거 스타디움 2017 |
2019년 | 참의원 선거 | N 스타 × NEWS23 선거 스페셜 |
2021년 ~ | 중의원 선거 | 선거의 날 |
뉴스 속보, 교통 정보, 기상 정보, 지진 정보 등을 속보 자막으로 표시할 때는 JNN 계열 28개국, BS-TBS, TBS NEWS 공통으로 고음과 저음을 조합한 독특한 차임벨[141]을 사용하며, 뉴스 속보 시에는 'JNN 뉴스 속보'라고 표시한다. 전국 네트워크 프로그램 방송 중에는 TBS 텔레비전에서 송출하는 속보 자막이 모든 가맹국에 표시되지만[142][143][144], 가맹국이 자체 로컬 편성을 하는 시간대에는 해당 가맹국이 개별적으로 속보 자막을 송출한다 (이 경우 속보 자막 표시 타이밍은 TBS 텔레비전보다 약간 늦어질 수 있다[145]).
쓰나미 주의보나 경보가 발령되면 "JNN 쓰나미 정보 즉시 대피"라는 자막이 삽입되며, 광고 방송 중에도 문자 정보를 계속 내보내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는 가맹국별로 대응이 다를 수 있으며, 최근에는 광고 시작 시 자막을 일시적으로 삭제하는 경우도 있다. 기상 정보의 경우, 초기에는 차임벨 없이 자막만 표시되었으나, 2021년 6월 기상청이 현저한 폭우에 관한 정보 발표를 시작한 이후로는 차임벨을 울리고 있다. 토사 재해 경계 정보나 토네이도 주의 정보는 해당 지역에만 표시된다. 태풍 발생 시에는 각 방송국이 자체적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아, JNN 전체 네트워크 차원의 특별 프로그램 편성은 드물며, 주로 일반 뉴스나 정보 프로그램 내에서 태풍 관련 정보를 비중 있게 다룬다.
6. 3. 블록넷 프로그램
2022년3월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은 '''굵은 글씨'''로 표기한다.※니가타현도 포함한다.
- 아나나비 (계열 외의 아키타 TV(FNN 계열)에도 네트워크. 2004년 3월 종료)
- 이상한 문 (계열 외의 아키타 방송(NNN 계열)에도 네트워크. 제공은 도호쿠 전력. 월 1회 방송하였으나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중단)
- 또한, 부정기적으로 단발 블록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경우가 있다.
※ 원래 고신에쓰시즈 4개 방송국이었지만, 나중에 호쿠리쿠 2개 방송국도 참가하였다. 나고야에 소재하며 도카이 3현(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을 방송 구역으로 하는 CBC는 포함하지 않는다.
- 일본 한가운데! (2012년 이후 제작에서 SBS가 빠지면서 고신에쓰·호쿠리쿠 5개 방송국이 돌아가며 제작)
- 고신에쓰시즈 4개 방송국 공동 제작 특별 프로그램 (연 몇 회, 부정기 방송)
※오이타현도 포함.
- 서일본 8국 특집 (골든 위크 후반〈원칙적으로 5월 5일〉에 방송, 2015년에 종료)
- : 제작 간사국은 마이니치 방송으로, 주로 보도·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방송했다. 1990년대 전반까지는 연말〈원칙적으로 12월 30일〉에도 방송되었으며, 이때는 연말 지역 정보가 중심이었다.
- '''새로운 창을 열어 규슈''' (규슈 전력 그룹 단독 제공, 규슈 6개 방송국 한정)
- * 창을 열어 규슈 (규슈 전력 단독 제공, 2012년 3월 종료)
- '''JNN 규슈·오키나와 다큐멘터리 무브''' (TV 야마구치 제외)
- '''세계 제일의 규슈가 시작된다!''' (기린 맥주 단독 제공, 현재는 규슈 6개 방송국 한정, 류큐 방송은 도중 중단)
- 열차를 타고 (JR 규슈 단독 제공, 규슈 6개 방송국 한정, 2016년 3월 종료)
- 맛 기행 (JR 규슈 단독 제공, 규슈 6개 방송국 한정, 2013년 3월 종료)
- 모험 왕국 마음껏 톰 소여 (2001년 9월 종료, 규슈 6개 방송국 한정)
- 전격 흑조대 (아트네이처 단독 제공, 2002년 9월 종료)
- 규슈 유산 (TV 야마구치 제외, 2002년 9월 종료)
- 피시 EYE→피싱 내비 (종료, TV 야마구치 제외)
2009년은 JNN 발족 50주년이었기에, 다음과 같은 특별 기획(특별 프로그램)이 편성되었다.
- 3월 30일부터 1주일간, "하이퍼 버라이어티 위크"를 전개하였다.
- 8월 13일부터 10일간, 야마모토 타카히로가 10일 동안 "오사카-도쿄 간"을 마라톤으로 달리는 "한여름의 JNN 축제 '벽을 부수자! 불꽃의 240시간 마라톤'"을 전개하였다.
- * 제목에 "벽을 부수자"라고 있지만, 거의 같은 시기에 개최된 세계 육상 베를린 대회를 겨냥한 이벤트이기도 했다.
- 또한, 같은 해 가을 프로그램 개편에서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디지털 방송의 EPG 등에서, 프로그램명에 "''JNN 50주년 기념''"이라는 문구가 붙어 있었다.
※ 이 외에도 연 1~2회, "JNN 공동 제작 프로그램→'''JNN 기획 대상'''"을 JNN 각 방송국에서 방송한다.
※ 로컬 와이드 뉴스(저녁)에 대해서는 JNN 저녁 로컬 뉴스 일람을 참조.
7. 각주
- 아키타현
- * 아키타 방송(ABS, 일본 TV 계열)
- * 아키타 TV(AKT, 후지 TV 계열)
- 후쿠이현
- * 후쿠이 방송(FBC, 일본 TV 계열〈주체〉・TV 아사히 계열의 크로스넷이지만, 프로그램 편성상으로는 일본 TV 계열 풀넷 방송국에 준하는 취급을 받는 경우도 있음)
- * 후쿠이 TV(FTB, 후지 TV 계열)
- 도쿠시마현
- * 시코쿠 방송(JRT, 일본 TV 계열)
JNN 협정의 영향으로 계열 외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은 몇 개 정도의 극소수이며, 재경 키국의 프로그램 판매 프로그램 중 가장 적다.
1980년대까지 지방 민영 텔레비전이 1~2개국이며 오픈 네트워크 상태였던 점도 있어, 위의 방송국(아키타 TV와 후쿠이 TV 제외)에서의 TBS 계열 프로그램의 방송 편수도 현재보다 많았으며, 일부 동시 네트워크 프로그램도 존재했다(롯데 노래 앨범, 영 720, 시사 방담→일요 방담 등).
참조
[1]
서적
TBS50年史.
http://worldcat.org/[...]
Tōkyō Broadcasting System
[2]
웹사이트
「TBS NEWS DIG Powered by JNN」がU-NEXTに登場。24時間365日「今を知る」サービスへ {{!}} U-NEXT コーポレート
https://www.unext.co[...]
2024-03-27
[3]
서적
大衆とともに25年
http://worldcat.org/[...]
Nippon Television
[4]
서적
日本の民放ネットワーク : JNNの軌跡
https://www.worldcat[...]
Tokyo Broadcasting System
[5]
서적
福島テレビ30年史
http://worldcat.org/[...]
Fukushima Television
[6]
서적
朝日放送の50年
http://worldcat.org/[...]
Asahi Broadcasting Corporation
[7]
서적
日本海テレビのあゆみ
http://worldcat.org/[...]
Nihonkai Television
[8]
문서
Aomori Broadcasting 25 Year History
[9]
간행물
"Northern Japan Broadcasting 10 Year History"
North Japan Broadcasting
1962-04-17
[10]
서적
高知放送三十年史
[11]
뉴스
Nobuo Shiga, Commercial Broadcasters, Transform!
https://dl.ndl.go.jp[...]
Dempa Shimbun
[12]
문서
2018年4月時点で、正式名称の「JAPAN NEWS NETWORK」が使われるのは「TBS NEWS」の各ページ最下段の著作権表記や、土曜夕方に放送「[[報道特集 (TBS)|報道特集]]」の番組タイトルと項目クレジットなど少数に留まっている。
[13]
서적
TBS50年史 資料編
株式会社東京放送
2002-01
[14]
서적
東京放送のあゆみ
東京放送
1965-05-10
[15]
문서
正式ロゴを使うのは、平日朝の「あさチャン」のみとなっている。
[16]
문서
BS-TBSも含む。
[17]
문서
JNN加盟局が存在しない[[秋田県]]・[[福井県]]・[[徳島県]]・[[佐賀県]]の4県のGガイドのホスト局については「[[Gガイド#JNN系列局が存在しない地域のホスト局]]」を参照。
[18]
문서
TBS(HD):[[東京証券取引所|東証]]プライム [http://charge.quote.yahoo.co.jp/q?s=9401&d=c&k=c3&h=on&z=m 9401]、CBC:[[名古屋証券取引所#プレミア市場|名証プレミア]] [http://charge.quote.yahoo.co.jp/q?s=9402&d=c&k=c3&h=on&z=m 9402]、RKB(HD):[[福岡証券取引所|福証]] [http://charge.quote.yahoo.co.jp/q?s=9407&d=c&k=c3&h=on&z=m 9407]、BSN:東証スタンダード [http://charge.quote.yahoo.co.jp/q?s=9408&d=c&k=c3&h=on&z=m 9408]。
[19]
문서
中継のロケ先にスタジオから発言した後にロケ先ではしばらく無言となるのもこのエンコード/デコードによる遅延が原因であり、やはり回避することは絶対にできない。
[20]
문서
[[フジテレビジョン|フジテレビ]]が『[[めざましテレビ]]』シリーズや『[[ノンストップ!]]』『[[ぽかぽか]]』『[[日曜報道 THE PRIME]]』『[[ワイドナショー]]』で時刻表示のネット送出を行っているのは、この対極といえる。天気ループはネット送出を行うと冗長になり各地域をカバーしきれなくなるため、同系列でも原則ローカル送出としている(ただし『[[報道プライムサンデー]]』では[[プライムニュース#特徴|事実上のネット送出]]が実施されており、この影響で主要都市のみのループとなっていた)。
[21]
문서
ブラウン管型の塗りつぶし枠に各局のロゴ(局によっては親局のチャンネル番号も)が描かれていた。
[22]
문서
1993年にはプロ野球中継のオープニングキャッチでも使われていたが、TBSテレビ(関東ローカル)や中国放送では同じデザインと音楽で独自にタイトルコールを加えて、それぞれ『TBS SPORTS』(ロゴはミクロコスモス時代のもの)『RCC SPORTS』としたものを使用していた(系列局には『JNN SPORTS』のオープニングキャッチを裏送り)。毎日放送・CBCテレビ・RKB毎日放送の対応は不明。
[23]
문서
[[政令指定都市]]及び[[日本プロ野球|プロ野球]][[セントラル・リーグ|セ]]・[[パシフィック・リーグ|パ]]各球団を持つ都道府県における先発ラテ兼営局の併設テレビは、TBSが首都圏2番目にテレビ放送を開始した関東地方を除き、全てJNN系列。
[24]
문서
[[北海道放送]]=[[北海道新聞社]]、[[東北放送]]=[[河北新報|河北新報社]]、[[新潟放送]]=[[新潟日報社]]、[[信越放送]]=[[信濃毎日新聞|信濃毎日新聞社]]、[[静岡放送]]=[[静岡新聞|静岡新聞社]]、[[CBCテレビ|中部日本放送(CBCテレビ)]]=[[中日新聞社]]、[[北陸放送]]=[[北國新聞|北國新聞社]]、[[RSK山陽放送|ラジオ山陽(RSK山陽放送)]]=[[山陽新聞社]]、[[中国放送|ラジオ中国(中国放送)]]=[[中国新聞社]]、[[長崎放送]]=[[長崎新聞|長崎新聞社]]、[[熊本放送|ラジオ熊本(熊本放送)]]=[[熊本日日新聞|熊本日日新聞社]]、[[南日本放送|ラジオ南日本(南日本放送)]]=[[南日本新聞|南日本新聞社]]。現在は離脱した[[日本海テレビジョン放送]]も旧・[[日本海新聞]]と関わりが深い。
[25]
문서
HBC・tbc・MBCは「1」、RCC・tys・NBC・RKK・OBS・RBCは「3」、MBS・RKBは「4」、CBCは「5」
[26]
문서
三大都市圏の3局は、3局とも異なるリモコンIDを使用している。
[27]
문서
大分県のリモコンキーIDは開局順に割り当てられている。
[28]
문서
新潟地区でのリモコンキーID「5」は、[[新潟テレビ21]](UX・テレビ朝日系列)に割り当て。
[29]
문서
どちらも日本テレビ放送網(以下日本テレビ)との[[クロスネット局|クロスネット]]であった。
[30]
문서
日本テレビとのクロスネットであった。
[31]
문서
ラジオ九州は同年[[8月1日]]西部毎日テレビ放送と合併してRKB毎日放送と改称した。
[32]
문서
日本テレビとのクロスネットであった。
[33]
문서
日本テレビとのクロスネットであった。
[34]
문서
讀賣テレビ・[[テレビ西日本]]が開局し両局が日本テレビステーション・ネット局を宣言したため。
[35]
문서
日本テレビクロスネットも同じであった。東海テレビ放送は翌年の3月1日以降フジテレビジョン(以下フジテレビ)・日本教育テレビ(現:[[テレビ朝日]]、以下NET)ともクロスネットを編成する。
[36]
문서
関西テレビ・大阪テレビと共に同年[[2月1日]]開局の日本教育テレビ(現:テレビ朝日)・同日開局のフジテレビとのクロスネットを共有していた。
[37]
문서
完了したのはこの年の大晦日。
[38]
문서
南海放送・高知放送における番組販売によるニュースネットはこの時点で継続される。
[39]
문서
『民間放送十年史』369頁「第2部各社史録 東京放送 年表」より。
[40]
문서
当時のテレビの放送エリアは島根県のみ
[41]
문서
当時の放送エリアは鳥取県のみ
[42]
문서
1959年[[12月14日]]付で脱退。
1959-12-14
[43]
문서
[[朝日放送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朝日放送]]が1959年3月1日に大阪テレビ放送を子会社化してから3か月後の同年[[6月1日]]に吸収合併し同社のテレビ局とした。
1959-06-01
[44]
문서
これにより4社連盟は5社連盟と改称。これ以降、この5局がJNNの幹事としての役割を果たしている。
[45]
서적
宮崎放送三十年史
宮崎放送
1984-12-20
[46]
문서
それまでの日本テレビ系列局であったテレビ西日本がフジテレビ系列に[[ネットチェンジ]]した、フジテレビ系列とNETテレビ系列のクロスネットだった[[九州朝日放送]]がNETテレビ系列に一本化したため。
[47]
문서
開局時から『JNNニュース』のネット受けを行い、報道取材活動にも協力していたが、番組編成がNETとのクロスネットで、[[全国ニュース]]の一部にも『[[朝日新聞ニュース#テレビ|NETニュース]]』〔後の『[[ANNニュース]]』〕が含まれていたためJNN協定との関係で当初は正式加盟できなかった。
[48]
문서
この年には、フジテレビ系列の「フジネットワーク業務協定」も成立している。
[49]
문서
復帰前ではまず1959年(昭和34年)[[11月1日]][[沖縄テレビ放送]]がテレビ番組のテープネットを開始し、1960年(昭和35年)6月1日テレビ放送開始の琉球放送と共有する事となる。そして琉球放送がJNN特派員配置局の位置付けとなりマイクロネット回線が開通した1964年(昭和39年)9月1日以降は琉球放送に集中していった。
1959-11-01
[50]
문서
ただし[[朝日放送ラジオ|併設ラジオ]]についてはテレビ系列がANNに変わってからも今日までJRNを脱退していないため、関西(近畿広域圏)は全国でも珍しい形態として、同一放送区域にJRN加盟局が2局存在する([[和歌山放送]](WBS)を含めると3局)。現在は全国ニュース番組が毎日放送経由(JRNニュース取材も毎日放送が担当)、それ以外の番組は朝日放送ラジオ経由となる事が多い。ただし近年は全国ニュース番組はCMのみネット受けして本編は自社制作としているので、JRN全国ニュースが毎日放送で流れることは報道特別番組などを除いて皆無に近い。
[51]
문서
フラッシュニュースのみテレビ朝日系移籍後もJNNをANNに変えたうえで1984年ごろまでTBS系時代のタイトル映像の使用が続けられた。2000年4月からは「ANN ABC(-TV) NEWS」名義で放送。
2000-04
[52]
서적
宮崎放送三十年史
宮崎放送
1984-12-20
[53]
문서
「スピーカーが風となり ブラウン管が光になる時 北海道とともに50年 HBC」(HBC社史)より
[54]
문서
伊予テレビ(現:あいテレビ)開局に伴い、JNNのネットワークを整理するため。[[秋田県]]の取材はこの時点前後で引き続きIBC岩手放送が受け持っている。
[55]
문서
TBSは[[2001年]][[10月1日]]からラジオ部門が子会社のTBSラジオ&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2016年]][[4月1日]]に社名を「[[TBSラジオ]]」に改称)に継承。CBCは[[2013年]][[4月1日]]からラジオ部門が子会社の[[CBCラジオ]]に継承。MBSは[[2021年]]4月1日からラジオ部門が関連会社の[[MBSラジオ]]に継承。
2001-10-01
[56]
뉴스
ニュース提供社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57]
문서
これよりJNN発足前の1957年4月1日からネット関係を結んでいた。
1957-04-01
[58]
문서
1969年12月1日開局 - [[1975年]][[3月30日]]の間は番販扱いでニュースネットと報道取材活動のみ参加(このような事例は青森テレビ以外にはない)。当時は番組編成が日本教育テレビ(NETテレビ〈NET〉、現在のテレビ朝日)とのクロスネットで、全国ニュースもJNNニュースとNETニュース→ANNニュースが併存しており、JNN協定との関係上、このような参加形態となった。
1969-12-01
[59]
문서
[[秋田港]]に常設されているJNN向け情報カメラの運用・管理業務も担当。
[60]
문서
取材エリアは大館市は青森テレビが、にかほ市から男鹿市はテレビユー山形が、それ以外の地域はIBC岩手放送が主に担当する。大事件の場合は東北放送が加わる場合がある。1960年4月1日~1992年9月30日は秋田放送が番販扱いでニュースネットをしていた。
1960-04-01
[61]
문서
現社名は[[TBSホールディングス]]。[[1960年]][[11月29日]]にラジオ東京(KRT)から東京放送に社名変更。
1960-11-29
[62]
문서
2001年10月1日にラジオ部門を分社化。分社化(子会社「[[TBSラジオ|TBSラジオ&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に継承)後は[[日本の放送局所の呼出符号|コールサイン]]をラテ別々にしている。ラジオは従前通りJOKRであるが、テレビはJORX-TV及びJORX-DTV。なお、ラジオ主幹送信所の保守管理は分社化後も業務委託の形で引き続きTBSテレビ(持株会社化されるまでは東京放送)が行っている。
2001-10-01
[63]
문서
北陸放送が担当できない場合、CBCテレビが担当する場合がある。
[64]
문서
[[敦賀市]]・[[三方郡]][[美浜町 (福井県)|美浜町]]は北陸放送が取材するケースがある。
[65]
문서
テレビ放送開始はTBSに続いて開局が早い。ただし、ラジオの開局は早く、日本で最初に開局した[[民間放送]]局でもある([[1951年]][[9月1日]]、日本で初めての民間放送ラジオ局として開局)。2013年4月1日にラジオ部門を分社化。分社化(子会社「[[CBCラジオ]]」に継承)後は[[日本の放送局所の呼出符号|コールサイン]]をラテ別々にしている。ラジオは従前通りJOARであるが、テレビはJOGX-DTV。
1951-09-01
[66]
문서
現・毎日放送の設立は[[2016年]][[7月28日]](旧商号は毎日放送分割準備株式会社)。旧・毎日放送である現在の[[MBSメディアホールディングス]](毎日放送の[[放送持株会社|持株会社]])の設立は[[1950年]][[12月27日]]。
2016-07-28
[67]
문서
RSK山陽放送の設立は[[2018年]][[5月25日]](旧商号は山陽放送分割準備株式会社)。旧山陽放送である現在の[[RSKホールディングス]](RSK山陽放送の持株会社)の設立は[[1953年]][[4月1日]]。
2018-05-25
[68]
문서
現社名は[[RSKホールディングス]]
[69]
문서
2019年4月1日より、放送事業とイベント事業をRSK山陽放送に承継。テレビとラジオの分社化は行わず、山陽放送で使用されていたコールサイン(JOYR、JOYR-DTV)もそのまま承継している。
2019-04-01
[70]
문서
1970年4月1日開局 - [[1978年]][[9月30日]]の間はJNN/テレビ朝日(一般番組のみの参加で、ニュースネット〔ANN〕はJNN協定の関係上、参加しなかった。)/FNSのクロスネット、1978年10月1日 - [[1987年]]9月30日の間はJNN・FNSのクロスネットだった。
1970-04-01
[71]
문서
[72]
문서
[73]
문서
[74]
문서
[75]
문서
[76]
서적
熊本放送50年史
熊本放送
2004
[77]
문서
[78]
문서
[79]
문서
[80]
서적
福島テレビ30年史
福島テレビ
1993
[81]
문서
[82]
간행물
月刊現代
講談社
2005-02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86]
문서
[87]
문서
[88]
문서
[89]
문서
[90]
문서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서적
放送うらおもて 地方民放の四十年
宝文堂
1994
[96]
문서
[97]
문서
[98]
서적
福島放送の二十年
福島放送
2001-10
[99]
문서
[100]
간행물
北日本放送十年史
http://dl.ndl.go.jp/[...]
北日本放送株式会社
1962-04-17
[101]
문서
[102]
문서
[103]
문서
[104]
문서
[105]
간행물
山口放送三十年史
山口放送株式会社
1987-06
[106]
서적
夢にはじまる:南海放送五十年史
南海放送
2005
[107]
서적
夢にはじまる:南海放送五十年史
南海放送
2005
[108]
뉴스
日本にも「ニュース砂漠」は生じるか 愛媛の港町で民放が打った奇策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3-09-02
[109]
서적
高知放送三十年史
株式会社高知放送
1984-03
[110]
서적
民放よ変身せよ!
電波新聞社
1975
[111]
문서
NTSC|アナログ放送時代から現在に至るまでRKB毎日放送が佐賀県も事実上の放送エリアとしているほか、アナログ放送時代は佐賀県内でも熊本放送の視聴者が多かった。
[112]
문서
一例として、静岡放送については人事交流の一環でニューヨーク支局へ記者を派遣していた時期がある。その派遣にかかる費用は静岡放送が負担し、一部をJNNが補助する形となっていた。
[113]
웹사이트
2020年甲子園高校野球交流試合 JNN各局への素材伝送でクラウドを活用
https://www.mbs.jp/k[...]
2020-07-30
[114]
문서
青森放送・秋田放送・山形放送・山梨放送・北日本放送・山口放送・四国放送・西日本放送ラジオ|西日本放送・南海放送・高知放送の10局。
[115]
문서
テレビは日本テレビ(NNN)系列主体でテレビ朝日(ANN)系列とのクロスネット局。
[116]
문서
全国ネットでは『ネットワークトゥデイ|ネットワークTODAY』(ただし、毎日放送・和歌山放送は本編自社製作)、『ウィークエンドネットワーク』(ただし、毎日放送は本編自社製作)。ローカルニュースでは『加藤雅章の夕刊ほっかいどう』、『河北新報ニュース#TBCラジオ|河北新報ニュース』、『中日新聞ニュース#中日新聞ニュース|中日新聞ニュース』、『MBSニュース#ラジオ|MBSニュース』、『RKBヘッドライン|RKBラジオニュース』。
[117]
뉴스
遺体は“1000人以上” 暴行、レイプ…先住民の子どもを大規模虐待~カナダ寄宿学校の闇〜
https://newsdig.tbs.[...]
TBSテレビ
2022-07-30
[118]
문서
毎日放送も、ネットチェンジ以前からJNN加盟後の1990年代前半まで、自社で独自に支局を開設。1963年には、特派員として赴任していたアナウンサー出身の前田治郎が、日本初のテレビ衛星中継を通じてケネディ大統領暗殺事件を伝えた。
[119]
뉴스
「日米豪印のクアッド首脳会合で何が?」「ロシア・プーチン政権によるウクライナ侵攻から3か月」
https://www.tbsradio[...]
TBSラジオ
2022-05-24
[120]
뉴스
「アメリカの不幸な現実」中絶問題で医療現場に葛藤 “中絶ピル”は解決策になるか
https://newsdig.tbs.[...]
TBSテレビ
2022-07-24
[121]
뉴스
エリザベス女王のひつぎ、埋葬。市民が最後の別れ【ニュース】出演:秌場聖治記者(TBSテレビロンドン支局長)
https://podcasts.app[...]
2022-09-20
[122]
뉴스
ウクライナ・キエフから生配信
https://newsdig.tbs.[...]
TBSテレビ
2022-02-04
[123]
문서
一時北海道放送が運営をしていた時期があるが、これは1990年代に北海道放送が極東地域に開設していた支局を統合したことの名残である。
[124]
서적
朝日放送の50年 3 資料集
2000
[125]
문서
「MBS NEWS」Facebook公式アカウント2017年10月19日付記事【報道カメラマンの世界#210 JNNパリ支局】
https://ja-jp.facebo[...]
[126]
웹사이트
人事、TBSテレビ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127]
뉴스
中国の人口減少で「台湾統一」が加速する? エマニュエル・トッド氏が予測する「中国の未来」
https://newsdig.tbs.[...]
TBSテレビ
2022-10-22
[128]
트윗
"...上海支局長の寺島宗樹記者に、上海ロックダウン中の家族5人の実録生活ルポを聞きます..."
2022-06-18
[129]
뉴스
9月7日から水際対策が緩和!入国がスムーズになって韓国では日本旅行の予約が2倍に!?
https://newsdig.tbs.[...]
TBSテレビ
2022-09-07
[130]
서적
放送この十年
RKB毎日放送
1981-12-15
[131]
트윗
"...きょうは微笑みの国タイ・バンコク支局の大平弘毅記者の出演です!…"
2022-05-07
[132]
문서
TBSシドニー通信員 飯島浩樹(Hiroki Iijima)
https://www.actusaus[...]
[133]
문서
青森放送40年表』(青森放送・平成6年3月31日発行)219頁「1992(平成4年)放送関係」より。これに『(1992年)8・- 在京テレビ各社、8~9月にかけてプノンペンに臨時支局を設け、自衛隊のPKO活動の現地取材』と記載あり。
[134]
문서
もともと、1973年に中東レバノンのベイルートにベイルート支局として開設されたが、レバノン情勢の悪化を機に閉鎖したうえで、1976年に支局をカイロへ移転した。
[135]
서적
中部日本放送50年のあゆみ
2000
[136]
웹사이트
沿革
https://hicbc.com/co[...]
中部日本放送
[137]
문서
支局長・SNG (放送)|SNG中継車などを派遣。
[138]
문서
要出典範囲|加盟局により、使用している機材のメーカーや製造年度、または性能が異なるため、チャイムは同一ながらその音程や音感に若干の差異が見受けられる。(例えばCBCテレビはチャイムの音程が他の加盟局に比べるとやや高音になっている。またBS-TBSはチャイムの音程がややシャープになっている。)
2024年12月
[139]
문서
要出典範囲|ただし北海道放送のニュース速報は他の加盟局と同じ『ポッポ、ポッポ』(音程はやや硬め)と鳴らすが、それ以外の速報テロップ表示時(地震情報、気象情報、交通情報)は、クリアな金属音に近づけた独自チャイムが鳴る。
2024年12月
[140]
문서
要出典範囲|TBC東北放送ではラジオでも同一の速報音を用いる。
2024年12月
[141]
요출처범위
2024-12
[142]
요출처범위
2024-12
[143]
요출처범위
2024-12
[144]
요출처범위
2024-12
[145]
요출처범위
2024-12
[146]
기타
[147]
기타
[148]
기타
[149]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