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벌목 (곤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벌목(Hymenoptera)은 곤충의 한 목으로, 막질 날개와 뒷날개가 앞날개에 갈고리로 연결된 특징을 가진다. 트라이아스기에 기원했으며,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 중 가장 먼저 분화된 그룹으로 알려져 있다. 잎벌아목과 벌아목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섭식 습성과 사회성을 보인다. 많은 종이 기생 생활을 하며, 반수배수성을 통한 성 결정 방식을 통해 사회성을 발달시키기도 한다. 서식지 감소로 인해 종의 풍부성이 감소하는 위협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생대의 곤충 - 양좀
    몸길이 약 1cm의 작은 곤충인 양좀은 은색 비늘로 덮여 금속성 광택을 띠고 3개의 꼬리를 가졌으며, 덱스트린, 녹말, 셀룰로스 등 다양한 유기물을 섭취하여 책, 종이, 의류 등을 갉아먹는 가정 해충으로 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불완전 변태를 한다.
  • 신생대의 곤충 - 양좀
    몸길이 약 1cm의 작은 곤충인 양좀은 은색 비늘로 덮여 금속성 광택을 띠고 3개의 꼬리를 가졌으며, 덱스트린, 녹말, 셀룰로스 등 다양한 유기물을 섭취하여 책, 종이, 의류 등을 갉아먹는 가정 해충으로 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불완전 변태를 한다.
  • 신생대의 곤충 - 가위벌과
    가위벌과는 잎이나 꽃잎을 잘라 둥지를 짓는 벌의 일종으로, 둥지를 짓는 습성에 따라 비기생성과 기생성으로 구분되며 농업 및 원예 수분에 기여한다.
  • 트라이아스기의 곤충 - 잠자리
    잠자리는 전 세계에 약 5,000종이 서식하는, 큰 날개와 긴 몸체를 가진 육식 곤충으로, 'Odonata'라는 학명을 가지며, 뛰어난 비행 능력과 수질 지표생물로서의 역할, 그리고 곤충 진화 연구에 중요한 대상이 되는 오랜 역사와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 곤충이다.
  • 트라이아스기의 곤충 - 파리목
    파리목은 앞날개 한 쌍과 뒷날개 한 쌍을 가진 곤충으로, 모기, 등에, 파리 등이 속하며 전 세계에 분포하고, 유충은 수생 또는 습한 환경에, 성충은 액체 먹이를 섭취하며, 일부는 흡혈이나 질병을 매개하기도 하지만 꽃가루받이나 해충 구제에 기여하기도 하고 모델 생물로도 활용된다.
벌목 (곤충)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양한 벌목 곤충들; 위쪽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붉은불개미 (Formicidae), 말벌 (Vespidae), Tenthredopsis sordida (Tenthredinidae), 서양꿀벌 (Apidae)
다양한 벌목 곤충들; 위쪽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붉은불개미 (Formicidae), 말벌 (Vespidae), Tenthredopsis sordida (Tenthredinidae), 서양꿀벌 (Apidae)
학명Hymenoptera
명명자Linnaeus, 1758
계급
아목하바치아목(광요아목) Symphyta
침벌아목(세요아목) Apocrita
분류
아목하바치아목 (Symphyta) (측계통)
침벌아목 (Apocrita) (벌, 말벌, 개미)
시간 척도
화석 범위트라이아스기–홀세 (현재)

2. 어원

Hymenoptera라는 이름은 곤충의 날개를 지칭하지만, 원래 어원은 불분명하다.[5] 모든 참고 자료는 어원이 날개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πτερόν (pteron)과 관련이 있다는 데 동의한다.[6] 막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ὑμήν (hymen)은 이 목에 속하는 종들이 막질 날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용어에 대한 타당한 어원을 제공한다.[6] 그러나 이 목의 주요 특징은 뒷날개가 일련의 갈고리로 앞날개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또 다른 타당한 어원은 결혼의 고대 그리스 신인 히멘이며, 이 곤충들이 비행 중 날개를 결합했기 때문이다.

3. 진화

분자 분석 결과, 벌목(Hymenoptera)은 완전변태 곤충 중에서 가장 초기에 분화된 그룹으로 밝혀졌다.[7] 벌목은 트라이아스기에 기원했으며, 가장 오래된 화석은 Xyelidae과에 속한다. 사회성을 가진 벌목은 백악기에 나타났다.[8]

2008년 연구에 따르면, 벌목은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가장 초기에 분화하여 진화했다.[27] 초기 벌은 잎벌과 같이 식물을 먹고 살았다고 생각된다. 잎벌아목은 벌아목의 특징인 배의 잘록함이 없고, 더 원시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이 중에서 식물이 아닌 다른 곤충의 몸에 알을 낳는 기생벌이 진화했다. 이 기생벌들은 먹이에 산란하기 위한 긴 산란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후에 독침으로 진화하게 된다. 또한 허리에[28] 잘록함이 생겨 배의 움직임의 자유도가 증가하면서, 움직이는 먹이에도 보다 안전하게 산란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땅벌이나 말벌과 같은 사냥벌은 기생벌로부터 진화했다. 원래 기생충인 유충기는 부속지나 감각기, 구기까지 퇴화가 현저하여 생활력이 전혀 없기 때문에, 번식 행동을 위한 형태였던 성충기의 활동력을 이용하여 유충을 돌보게 되었고, 여기에서 사회성을 발달시켜 나간 것으로 보인다.

진사회성을 얻은 꿀벌이나 말벌일벌불임이 되는 것은 개체로 생각하면 비합리적이다. 이 점은 생물은 자신의 유전자를 남기는 것이라는 자연선택설에 반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논란이 되었지만, 자매를 늘리는 것이 결과적으로 자신과 비슷한 유전자를 늘린다는 혈연선택설이 하나의 이유라고도 생각된다.

벌목은 을 피우는 피자식물이 다양화를 진행하면서 분포를 확대하는 것에 맞춰 백악기 중기인 1억 년 전부터 번성하기 시작했고, 5천만 년 전에는 현재 볼 수 있는 벌목의 주요 과가 갖춰진 것으로 보인다.

이 그룹의 진화는 알렉스 라스니친(Alex Rasnitsyn), 마이클 S. 엥겔(Michael S. Engel) 등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9] 벌목 내의 계통 발생 관계는 2000년 이후 형태학적 데이터와 분자 데이터를 모두 기반으로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10] 2023년, 초보존 요소(ultra-conserved elements) 분석에 기반한 분자 연구[10]는 이전의 많은 연구 결과를 확인했으며, 전체 목에 대한 비교적 강력한 계통 발생을 도출했다.

다음은 벌목의 진화를 나타낸 분기도이다. Apocrita가 제외되면서 잎벌류(빨간색 막대)는 측계통군이 된다.

{{cladogram|title=벌목|caption=벌목의 진화, Apocrita가 제외되면서 잎벌류(빨간색 막대)는 측계통군이 된다.|align=left

|clades=

{{Barlabel|labelwidth=5|size=7|at=3.5|label=잎벌아목|colour=red

|cladogram=

{{clade | style=font-size:100%; line-height:100%; width:50em;

|label1='''벌목'''

|sublabel1=250mya

|1={{clade

|1=Tenthredinoidea

|barbegin1=red

|2={{clade

|1=Xyeloidea (트라이아스기-현재)
|bar1=red

|2={{clade

|1=Pamphilioidea
|bar1=red

|label2=Unicalcarida

|2={{clade

|1={{clade

|1=송곳벌상과 (뿔벌 또는 나무벌)
|bar1=red

|2=Xiphydrioidea (나무벌)
|bar2=red

}}

|2={{clade

|1=Cephoidea (줄기 잎벌)
|bar1=red

|label2=''기생''

|2={{clade

|1=Orussoidea (기생(parasitic) 나무벌)
|barend1=red

|label2= "허리"

|sublabel2=200mya

|2=Apocrita (개미, 꿀벌, 말벌)


}}

}}

}}

}}

}}

}}

}}

}}

4. 해부학적 특징

벌목 곤충은 크기가 매우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하며, 보통 두 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다. 씹는 데 적합한 입을 가지고 있으며, 잘 발달된 턱을 가지고 있다(외악형 입). 많은 종은 입이 긴 proboscis로 발달하여 꿀과 같은 액체를 마실 수 있다. 큰 겹눈과 보통 세 개의 홑눈(ocelli)을 가지고 있다.

긴 proboscis를 사용하여 꿀을 마시는 ''Bombus muscorum''


뒷날개 앞쪽 가장자리에는 앞날개에 걸리는 여러 개의 갈고리 모양 털인 "hamuli"가 있어 날개를 함께 고정한다. 작은 종은 각 측면에 두세 개의 hamuli만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말벌은 상당히 많은 수를 가지고 있어 날개를 특히 단단하게 잡고 있다. 벌목 곤충의 날개는 다른 많은 곤충, 특히 작은 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혈관이 적다.

더 원시적인 벌목 곤충의 산란관은 칼날 모양이며, 식물 조직을 자르는 데 사용하도록 진화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산란관은 뚫는 용도로 변형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몸 길이의 여러 배가 된다. 일부 종에서는 산란관이 으로 변형되었으며, 알은 구조 끝이 아닌 기저부에서 낳아지며, 침은 을 주입하는 데 사용된다. 침은 보통 먹이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데 사용되지만, 일부 말벌과 꿀벌에서는 방어에 사용될 수 있다.[8]

벌목 곤충의 유충은 전형적으로 뚜렷한 머리 부위, 세 개의 흉부 분절, 그리고 보통 아홉 개 또는 열 개의 복부 분절을 가지고 있다. Symphyta 아목의 eruciform 유충은 외형상 애벌레와 유사하며, 그들과 마찬가지로 보통 잎을 먹고 산다. 큰 씹는 턱, 세 쌍의 흉부 다리,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여섯 개 또는 여덟 개의 복부 가짜 다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애벌레와 달리, 가짜 다리에는 잡는 가시가 없고, 촉수는 단지 토막으로 줄어들었다. 나무를 파거나 줄기를 파는 Symphytan 유충은 복부 다리가 없고 흉부 다리는 비파는 유충보다 작다.

예외를 제외하고, Apocrita 아목의 유충은 다리가 없고 구더기와 같은 형태이며, 보호된 환경에서의 삶에 적응한다. 이것은 숙주 유기체의 몸 또는 성충이 유충을 돌볼 둥지의 세포일 수 있다. 기생 형태에서는 머리가 종종 크게 줄어들고 가슴 앞부분(흉부의 앞쪽 부분)으로 부분적으로 철회된다. 감각 기관은 홑눈이 없고, 매우 작거나 없는 촉수, 이빨 모양, 낫 모양 또는 가시 모양의 턱을 가지고 있어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불완전한 소화관(맹낭)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성충이 될 때까지 배변을 할 수 없다.[8] 자극성 형태(Aculeata)의 유충은 보통 10쌍의 기문 또는 호흡 구멍을 가지고 있는 반면, 기생 형태는 보통 9쌍의 기문이 있다.[11]

5. 생식

벌목 곤충은 반수배수성 성결정계를 따른다. 수정되지 않은 알은 반수체(n) 수컷이 되고, 수정란은 배수체(2n) 암컷이 된다.[1] 대부분의 벌목 곤충에서 성별은 염색체 수에 의해 결정된다.[12] 암컷은 수정 여부를 조절하여 자손의 성별을 통제할 수 있다.[8]

실제 유전적 메커니즘은 염색체 수보다 복잡할 수 있다. 많은 벌목 곤충의 성별은 단일 유전자좌의 여러 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12] 이형 접합성을 가진 2배체는 암컷, 반수체는 수컷이지만, 동형 접합성을 가진 2배체는 수컷으로 발달할 수 있다. 이는 근친 교배 시 발생 가능성이 높다.[13]

반수배수성으로 인해 암컷은 딸보다 자매와 더 많은 유전자를 공유한다. 이는 친족 암컷 간의 협력을 유리하게 만들어 진사회성 발달에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14]

일부 벌목 곤충은 단성생식을 활용하는데, 이는 수정 없이 배아가 생성되는 것이다. 자성생식은 암컷 배아가 수정 없이 생성되는 단성생식의 특별한 형태이다. 벌목에서 자성생식은 두 개의 반수체 산물이 융합하여 이배체 접합자를 형성하는 자동 혼합 방식이다. 이는 사막 개미 ''Cataglyphis cursor'',[17] 복제 침입 개미 ''Cerapachys biroi'',[18] 포식 개미 ''Platythyrea punctata'',[19] 전기 개미 ''Wasmannia auropunctata'',[20] 케이프 꿀벌 ''Apis mellifera capensis''[21] 등에서 발견된다.

난모세포는 중앙 융합을 통해 자동 혼합을 겪으며, 교차 재조합 속도가 감소하여 이형접합성을 유지하고 근친 교배 우울증을 피한다. ''Platythyrea punctata'',[19] ''Wasmannia auropunctata'',[20] 케이프 꿀벌 ''Apis mellifera capensis''[21] 등이 이에 해당한다. ''A. m. capensis''는 재조합 속도가 10배 이상,[21] ''W. auropunctata''는 45배 감소한다.[20]

좁은 머리 개미 ''Formica exsecta''의 단일 여왕 군집은 동형접합성이 높아질수록 군집 생존율이 감소한다.[22]

5. 1. 진사회성 (Eusociality)

벌목 곤충은 암컷을 중심으로 하는[26] 가족 사회를 구성하는 종류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암컷 중 한두 마리가 여왕벌(개미)로서 산란을 담당하고, 그 외 다수의 암컷은 일벌(개미)로서 둥지 짓기, 먹이 모으기 등을 담당하는 분업을 한다. 일벌은 통상적으로 스스로 번식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번식하지 않는 개체가 있는 생물의 성질을 진사회성이라고 부른다.

이 벌목에서 많이 보이는 성질은 염색체의 반수성에 기인한다. 자신의 유전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남기려는 성질은 진화 과정에서 발달해 간다. 그러나 반수성 성 결정 시스템을 가진 벌목의 경우, 자신의 친자를 남기는 것보다 자매나 조카, 질녀를 남기는 것이 자신의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일벌(개미)은 자신의 자매나 조카, 질녀가 자손을 남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행동을 한다. 이 집단 생활의 단위를 콜로니라고 부른다. 콜로니를 그것 하나만으로 다른 생물의 개체와 동등한 것으로 간주하여 "초개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다만, 진사회성의 종뿐만 아니라, 자식이 부모의 육아를 돕는 정도의 전사회성인 것도 알려져 있다. 또한 종수로는 단독 생활을 하는 것이 훨씬 많다.

6. 섭식

벌목은 다양한 섭식 습성을 보인다. 가장 원시적인 형태는 전형적으로 식물성으로, 꽃, 꽃가루, 잎 또는 줄기를 먹고 산다. 침벌은 포식자이며, 유충에게 움직이지 못하게 한 먹이를 제공하는 반면, 벌은 꿀과 꽃가루를 먹고 산다.

매우 많은 종이 유충으로서 기생생물이다. 성충은 숙주에 알을 주입하고, 부화 후 숙주를 먹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인 ''파필리오 호메루스''의 알은 주로 벌목 종에 의해 77%의 비율로 기생한다.[23] 일부 종은 심지어 초기생생물이기도 하며, 숙주 자체가 다른 기생 곤충이다. 초식성 및 기생 형태의 중간 습성은 다른 곤충의 벌레혹이나 둥지에 서식하며 음식을 훔치고 결국 점유자를 죽이고 먹는 일부 벌목류에서 나타난다.[8]

7. 분류

녹색으로 칠해진 범주를 서양 언어권에서는 달리 와스프라고 한다.


허리 없이 몸통이 굵은 벌목: 톱벌 ''Arge pagana''


잘록한 허리를 가진 벌목: 말벌 ''Vespula germanica''


벌목은 크게 허리가 없는 잎벌아목(Symphyta)과 잘록한 허리를 가진 벌아목(Apocrita)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4]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 제안 계통 분류[29]
분류1=내시류1={{분지군1={{분지군1={{분지군1=뱀잠자리목2=약대벌레목3=풀잠자리목2=딱정벌레목2=부채벌레목state2=dashed3={{분지군1={{분지군1={{분지군1=파리목2=밑들이목3=벼룩목2={{분지군1=날도래목2=나비목2=벌목



벌목(Hymenoptera) 하위 분류
잎벌아목(Symphyta)벌아목(Apocrita)


7. 1. 잎벌아목 (Symphyta)



벌목에서 잎벌아목은 잎벌, 나무벌, 기생 나무 말벌을 포함하며,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있다. 오러스과가 개미허리(Apocrita)가 발생한 그룹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4] 잎벌아목은 가슴과 배 사이의 연결 부위가 좁아지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잎벌아목 유충은 초식성이며, 자유 생활을 하는 애벌레 모양이다. 유충은 보통 세 쌍의 다리, 모든 마디에 있는 부속지(나비목에는 없음), 홑눈을 가진다. 나비목 유충과 달리 부속지 끝에 갈고리가 없다.[4] 식물 조직을 채굴하거나 구멍을 내는 유충과 팜필리과 유충은 다리와 부속지가 없거나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24]

7. 1. 1. 하위 분류


  • 벌아목(Apocrita)
  • * 꿀벌상과(Apoidea)
  • * 가는먹좀벌상과(Ceraphronoidea)
  • * 좀벌상과(Chalcidoidea)
  • * 청벌상과(Chrysidoidea)
  • * 혹벌상과(Cynipoidea)
  • * 호리벌상과(Evanioidea)
  • * 맵시벌상과(Ichneumonoidea)
  • * Megalyroidea
  • * Mymarommatoidea
  • * 납작먹좀벌상과(Platygastroidea)
  • * 먹좀벌상과(Proctotrupoidea)
  • * Stephanoidea
  • * 갈고리벌상과(Trigonaloidea)
  • * 말벌상과(Vespoidea)
  • 잎벌아목(Symphyta)
  • * 나무벌상과(Cephidea)
  • ** 나무벌과(Cephidae)
  • * 납작잎벌상과(Megalodontoidea)
  • ** 빗니수염잎벌과(Megalodontidae)
  • ** Megalodontesidae
  • ** 납작잎벌과(Pamphiliidae)
  • * 벌레살이송곳벌상과(Orussoidea)
  • ** 벌레살이송곳벌과(Orussidae)
  • * 송곳벌상과(Siricoidae)
  • ** 목대장송곳벌과(Xiphydriidae)
  • ** 송곳벌과(Siricidae)
  • ** Anaxyelidae
  • * 잎벌상과(Tenthredinoidea)
  • ** 등에잎벌과(Argidae)
  • ** 수중다리잎벌과(Cimbicidae)
  • ** 솔잎벌과(Diprionidae)
  • ** 잎벌과(Tenthredinidae)
  • ** Blasticotomidae
  • ** Pergidae
  • * 칼잎벌상과(Xyeloidea)
  • ** 칼잎벌과(Xyelidae)
  • ** Xiphydriidae
  • 톱밥벌상과
  • 목벌상과
  • 침나무벌상과
  • 줄기벌상과
  • 잎벌상과
  • 나기나타잎벌상과

7. 2. 벌아목 (Apocrita)

말벌, 꿀벌, 개미벌아목(Apocrita)을 구성하며, 첫 번째 및 두 번째 복부 마디 사이가 좁아지는 특징(말벌허리, 배자루)을 가진다. 또한 첫 번째 복부 마디가 가슴에 융합된다. 모든 벌아목 유충은 다리, 가짜 다리 또는 홑눈이 없다. 유충의 뒷창자는 발달 동안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배설물은 몸 안에 저장된다. 몇몇 꿀벌 유충의 경우 유충 항문이 발달 회귀를 통해 다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항문은 유충 성장이 완료될 때만 열린다.

7. 2. 1. 하위 분류


  • 벌아목(Apocrita)
  • * 꿀벌상과(Apoidea)
  • * 가는먹좀벌상과(Ceraphronoidea)
  • * 좀벌상과(Chalcidoidea)
  • * 청벌상과(Chrysidoidea)
  • * 혹벌상과(Cynipoidea)
  • * 호리벌상과(Evanioidea)
  • * 맵시벌상과(Ichneumonoidea)
  • * Megalyroidea
  • * Mymarommatoidea
  • * 납작먹좀벌상과(Platygastroidea)
  • * 먹좀벌상과(Proctotrupoidea)
  • * Stephanoidea
  • * 갈고리벌상과(Trigonaloidea)
  • * 말벌상과(Vespoidea)
  • 잎벌아목(Symphyta)
  • * 나무벌상과(Cephidea)
  • ** 나무벌과(Cephidae)
  • * 납작잎벌상과(Megalodontoidea)
  • ** 빗니수염잎벌과(Megalodontidae)
  • ** Megalodontesidae
  • ** 납작잎벌과(Pamphiliidae)
  • * 벌레살이송곳벌상과(Orussoidea)
  • ** 벌레살이송곳벌과(Orussidae)
  • * 송곳벌상과(Siricoidae)
  • ** 목대장송곳벌과(Xiphydriidae)
  • ** 송곳벌과(Siricidae)
  • ** Anaxyelidae
  • * 잎벌상과(Tenthredinoidea)
  • ** 등에잎벌과(Argidae)
  • ** 수중다리잎벌과(Cimbicidae)
  • ** 솔잎벌과(Diprionidae)
  • ** 잎벌과(Tenthredinidae)
  • ** Blasticotomidae
  • ** Pergidae
  • * 칼잎벌상과(Xyeloidea)
  • ** 칼잎벌과(Xyelidae)
  • ** Xiphydriidae
  • * 혹벌상과(Cynipoidea)
  • ** 혹벌과(Cynipidae)
  • ** 애벌레혹벌과(Figitidae)
  • ** 넓적혹벌과(Ibaliidae)
  • ** 검은혹벌과(Liopteridae)
  • * 벼룩벌상과(Chalcidoidea)
  • ** 열매벼룩벌과(Agaonidae)
  • ** 애벌레벼룩벌과(Aphelinidae)
  • ** 넓적다리벼룩벌과(Chalcididae)
  • ** 긴꼬리벼룩벌과(Encyrtidae)
  • ** 애벌레기생벼룩벌과(Eucharitidae)
  • ** 꼬리좀벌과(Eulophidae)
  • ** 납작벼룩벌과(Eupelmidae)
  • ** 벼룩벌과(Eurytomidae)
  • ** 알벌과(Mymaridae)
  • ** 혹벼룩벌과(Ormyridae)
  • ** 둥근배벼룩벌과(Perilampidae)
  • ** 금좀벌과(Pteromalidae)
  • ** 검은벼룩벌과(Signiphoridae)
  • ** 콩벼룩벌과(Tanaostigmatidae)
  • ** 나비벼룩벌과(Torymidae)
  • ** 알벌과(Trichogrammatidae)
  • * 털침벌상과(Ceraphronoidea)
  • ** 털침벌과(Ceraphronidae)
  • ** 큰침벌과(Megaspilidae)
  • * 고생이벌상과(Evanioidea)
  • ** 날개고생이벌과(Aulacidae)
  • ** 배고생이벌과(Gasteruptiidae)
  • ** 고생이벌과(Evaniidae)
  • * 고치벌상과(Ichneumonoidea)
  • ** 고치벌과(Braconidae)
  • ** 넓적배벌과(Ichneumonidae)
  • * 미끌애벌레벌상과(Megalyroidea)
  • ** 미끌애벌레벌과(Megalyridae)
  • * 작은알벌상과(Mymarommatoidea)
  • ** 작은알벌과(Mymarommatidae)
  • * 납작배벌상과(Platygastroidea)
  • ** 납작배벌과(Platygastridae)
  • ** 알벌과(Scelionidae)
  • * 바구미벌상과(Diaprioidea)
  • ** 바구미벌과(Diapriidae)
  • * 검정벌상과(Proctotrupoidea)
  • ** 검정벌과(Proctotrupoidae)
  • ** 빗살수염벌과(Heloridae)
  • ** 배검정벌과(Proctotrupidae)
  • ** 이시하라검정벌과(Roproniidae)
  • ** 관검정벌과(Vanhorniidae)
  • * 뿔고생이벌상과(Stephanoidea)
  • ** 뿔고생이벌과(Stephanidae)
  • * 세모배벌상과(Trigonaloidea)
  • ** 세모배벌과(Trigonalidae)

8. 위협 요인

벌목은 서식지 감소에 매우 취약하여 종 풍부성이 크게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식물 수분 매개체로서의 핵심적인 역할 때문에 주요한 생태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25]

참조

[1] 논문 A Total-Evidence Approach to Dating with Fossils, Applied to the Early Radiation of the Hymenoptera 2012-12
[2] 논문 Why are there so many insect species? Perspectives from fossils and phylogenies
[3] 논문 The Hymenopteran Tree of Life: Evidence from Protein-Coding Genes and Objectively Aligned Ribosomal Data
[4] 논문 Order Hymenoptera Linnaeus, 1758. In: Zhang, Z.-Q. (Ed.)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Addenda 2013)
[5] 서적 Bees, Wasps, and Ants: The Indispensable Role of Hymenoptera in Gardens https://archive.org/[...] Timber Press
[6] 간행물
[7] 논문 Progress, pitfalls and parallel universes: a history of insect phylogenetics 2016
[8]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9]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the Hymenoptera 2017-04
[10] Q인용
[11] 서적 The Evolution of Social Wasp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7
[12] 논문 Functionally reproductive diploid and haploid males in an inbreeding hymenopteran with complementary sex determination 2004-07-13
[13] 논문 No Need to Discriminate? Reproductive Diploid Males in a Parasitoid with Complementary Sex Determination
[14] 논문 A unified model of Hymenopteran preadaptations that trigger the evolutionary transition to eusociality 2017-06
[15] 문서 An Introduction to Behavioral Ecology Wiley-Blackwell 2012
[16] 서적 Hymenoptera and biodiversity C.A.B. International 1993
[17] 논문 Conditional use of sex and parthenogenesis for worker and queen production in ants https://dipot.ulb.ac[...]
[18] 논문 The genome of the clonal raider ant Cerapachys biroi
[19] 논문 Mechanism of facultative parthenogenesis in the ant Platythyrea punctata
[20] 논문 Meiotic recombination dramatically decreased in thelytokous queens of the little fire ant and their sexually produced workers
[21] 논문 Whole-genome scan in thelytokous-laying workers of the Cape honeybee (Apis mellifera capensis): central fusion, reduced recombination rates and centromere mapping using half-tetrad analysis
[22] 논문 Fitness and the level of homozygosity in a social insect http://doc.rero.ch/r[...]
[23] 논문 Jamaica's Critically Endangered Butterfly: A Review of the Biology and Conservation Status of the Homerus Swallowtail (Papilio (Pterourus) homerus Fabricius) 2017-07-10
[24] 웹사이트 Biology and behavior https://idtools.org/[...] 2024-02-15
[25] 논문 Habitat loss alters the architecture of plant–pollinator interaction networks https://doi.org/10.1[...] 2013-12
[26] 웹사이트 가을은 스즈메바치에 주의, 왜 공격적일까? 쏘이지 않는 요령 3가지 선택 https://news.yahoo.c[...] yahoo뉴스 2023-02-23
[27] 문서 JT생명지연구관계통진화연구실・2008년도 활동보고서
[28] 문서 목은 복부 제1마디와 2마디 사이에 생겨 제1마디는 흉부와 합체하여 제2마디 이후가 외관상의 복부가 되었다.
[29] 웹사이트 Strepsiptera. Twisted-wing parasites. http://tolweb.org/St[...] 2002-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