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마스는 리투아니아의 입법 기관으로, 14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4년이다. 세이마스는 헌법과 법률을 제정하고, 정부 예산을 승인하며, 대외 관계에서 국제 조약을 비준하는 등의 권한을 행사한다. 세이마스는 소선거구와 비례대표제를 혼합하여 의원을 선출하며, 대통령이 지명한 총리 후보자를 승인하고 정부를 감시한다. 세이마스 의장은 회의를 주재하고, 대통령 유고 시 그 직무를 대행하며, 현재 의장은 사울리우스 스크베르넬리스이다. 세이마스 궁전은 빌뉴스에 위치하며,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이 이루어진 역사적인 장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이마스 - [의회]에 관한 문서 | |
---|---|
세이마스 | |
입법부 | 제14대 세이마스 |
회의실 | LR_Seimas_by_Augustas_Didzgalvis.jpg |
의회 유형 | 단원제 |
설립 | 1445년 (역사적) |
해산 | 1940–1991년 |
의장 | 사울리우스 스크베르넬리스 |
의장 소속 정당 | DSVL |
의장 선거 | 2024년 11월 14일 |
제1 부의장 | 유오자스 올레카스 |
제1 부의장 소속 정당 | LSDP |
제1 부의장 선거 | 2024년 11월 14일 |
기타 부의장 | 라사 부드베르기테 |
기타 부의장 소속 정당 | LSDP |
기타 부의장 선거 | 2024년 11월 14일 |
기타 부의장 | 오린타 레이푸테 |
기타 부의장 소속 정당 | LSDP |
기타 부의장 선거 | 2024년 11월 14일 |
기타 부의장 | 아그네 시린스키에네 |
기타 부의장 소속 정당 | PPNA |
기타 부의장 선거 | 2024년 11월 14일 |
기타 부의장 | 라드빌레 모르쿠나이테-미쿨레니에네 |
기타 부의장 소속 정당 | TS-LKD |
기타 부의장 선거 | 2024년 11월 14일 |
기타 부의장 | 빅토리아 치밀리테-닐센 |
기타 부의장 소속 정당 | LS |
기타 부의장 선거 | 2024년 11월 14일 |
야당 대표 | 공석 |
의원 수 | 141 |
정치 그룹 | |
투표 제도 | 병립형 투표제; 70석은 정당명부식으로 5% 임계치 (연합은 7%), 71석은 결선투표제 |
마지막 선거 | 2024년 10월 13일 및 27일 |
다음 선거 | 2028년 10월 이전 |
선거구 재획정 | 4년마다 |
회의 장소 | 세이마스 궁전, 빌뉴스 |
웹사이트 | 세이마스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
한자 표기 | セイマス |
로마자 표기 | Seimas |
이전 의회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회의 |
회의 장소 | , 빌뉴스 세이마스 의사당 |
2. 역사
세이마스(리투아니아 의회)의 기원은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절 귀족 회의인 세이마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398년 살리나스 조약 협상에서 대규모 귀족 회의의 초기 흔적을 찾아볼 수 있지만, 최초의 세이마스는 1445년 흐로드나에서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와 귀족 평의회 간의 회담 도중 소집된 것으로 여겨진다.[3] 당시 세이마스는 입법권이 없었고, 외교, 내정, 세금, 전쟁, 재정에 대해 논의했다.[3] 16세기 초, 세이마스는 일부 입법권을 얻어 대공에게 특정 법률 통과를 청원할 수 있게 되었다.[3]
1569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 결성 이후에는 연합 세임(Sejm)에 통합되었다.
1918년 독립 이후, 리투아니아 입헌의회가 구성되어 1922년 리투아니아 헌법을 채택하면서 현대적인 의회로 재탄생했다. 이 헌법에 따라 설치된 세이마스는 3년 임기의 의원들로 구성되었으며, 장관회의를 선출하고 대통령을 선출하는 권한을 가졌다.[1] 그러나 1926년 1926년 리투아니아 쿠데타로 안타나스 스메토나의 권위주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세이마스는 제 기능을 잃었다.
1940년 소련 점령으로 제4세이마스가 해산되고, 조작된 선거를 통해 인민 세이마스가 선출되었다. 인민 세이마스는 리투아니아를 소련에 합병하는 절차를 진행했다.[1] 이후 인민 세이마스는 리투아니아 SSR 최고 소비에트(Liaudies Seimas|리아우디에스 세이마스lt)로 개칭되었으며, 실질적인 권한은 없었다.
1990년 3월 11일, 리투아니아 SSR 최고회의는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리투아니아 공화국 최고회의(최고회의-재건 세이마스)로 이름을 바꾸었다.[4] 1992년 10월 25일 국민투표를 통해 리투아니아 헌법이 승인되면서,[4] 현재의 세이마스가 구성되었다.
세이마스는 단원제 의회이며, 의원 임기는 4년이다. 의원 정수는 141명이며, 71명은 소선거구 2회 투표제로, 70명은 전국구 비례대표제로 선출된다.
2. 1. 기원
대규모 귀족 회의의 초기 흔적은 1398년 살리나스 조약 협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최초의 세이마스는 1445년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와 귀족 평의회 간의 회담 도중 흐로드나에서 소집된 것으로 여겨진다.[3] 모스크바-리투아니아 전쟁이 격렬하게 진행됨에 따라 대공은 군대를 충당하기 위해 더 많은 세수입이 필요했고, 더 자주 세이마스를 소집해야 했다.[3] 세금 증가에 대한 대가로 귀족들은 세이마스 강화를 포함한 다양한 특권을 요구했다.초기 세이마스는 입법권이 없었다. 외교 및 내정, 세금, 전쟁, 재정에 대해 논의했다. 당시 세이마스 소집 빈도, 참여 자격, 회의 진행 방식, 세이마스의 기능 등을 규정하는 규칙은 없었다. 16세기 초 세이마스는 일부 입법권을 얻어 대공에게 특정 법률 통과를 청원할 수 있게 되었고, 대공은 대개 귀족의 지원과 세금 및 전쟁 문제에 대한 협조에 대한 대가로 이를 승인했다.[3]
2. 2. 간전기 (1918년-1940년)
1918년 2월 16일 독립 선언 후, 리투아니아 입헌의회가 구성되어 1922년 리투아니아 헌법을 채택했다. 이 헌법에 따라 세이마스(Seimas)가 설치되었으며, 3년 임기의 의원들이 선출되었다.[1] 세이마스는 장관회의를 선출하고 대통령을 선출하는 권한을 가졌다.[1]리투아니아 제1세이마스는 1922년 헌법에 따라 선출된 최초의 의회였다. 1922년 10월 선거가 실시되었으나, 안정적인 연정 구성 실패로 1923년 3월 해산되었다.[1]
리투아니아 제2세이마스는 간전기 동안 3년 임기를 완수한 유일한 정규 세이마스였다. 리투아니아 기독교 민주당이 근소한 다수당이 되었으나, 여러 단명 정부를 거치면서 정치적 안정에는 실패했다.[1]

리투아니아 제3세이마스는 1926년 5월 선출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1926년 리투아니아 쿠데타로 중단되었다. 안타나스 스메토나의 권위주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제3세이마스는 1927년 3월 해산되었다.[1]
리투아니아 제4세이마스는 1936년 선거를 통해 구성되었으며, 5년 임기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야당 참여가 금지된 상황에서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자 연맹이 다수 의석을 차지했다.[1] 1938년 새 헌법이 채택되어 대통령에게 더 많은 권한이 부여되었다.[1]
1940년 소련의 점령으로 제4세이마스는 해산되고, 조작된 선거를 통해 인민 세이마스가 선출되었다. 인민 세이마스는 리투아니아를 소련에 합병하는 절차를 진행했다.[1]
의회 | 의석 수 | 임기 | 총리 |
---|---|---|---|
입헌의회 | 150 | 1920–1922 | 카지스 그리니우스 |
제1세이마스 | 78 | 1922–1923 |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 |
제2세이마스 | 78 | 1923–1926 |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 안타나스 투메나스, 비타우타스 페트룰리스, 레오나스 비스트라스 |
제3세이마스 | 85 | 1926–1927 | 미콜라스 슬레제비치우스,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제4세이마스 | 49 | 1936–1940 | 유오자스 투벨리스, 블라다스 미로나스, 요나스 체르니우스, 안타나스 메르키스 |
2. 3. 소련 점령기 (1940년-1990년)
1940년 소련 점령 이후, 형식적인 인민 세이마스(Liaudies Seimas|리아우디에스 세이마스lt)가 선출되었고,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인민 세이마스는 리투아니아 SSR 최고 소비에트(Lietuvos TSR Aukščiausioji Taryba)로 개칭되었으며, 실질적인 권한은 없었다.2. 4. 독립 회복 이후 (1990년-현재)
1990년 3월 11일, 리투아니아 SSR 최고회의는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리투아니아 공화국 최고회의(최고회의-재건 세이마스)로 이름을 바꾸었다.[4] 이 최고회의는 임시 헌법 역할을 하는 임시 기본법을 채택하고, 1992년 10월 25일 국민투표를 통해 리투아니아 헌법을 승인했다.[4]
이후 헌법에 따라 여러 차례 세이마스 선거가 실시되었다.
세이마스 | 선거 | 집권 여당 | 주요 사건 및 특징 |
---|---|---|---|
제6세이마스 (1992-1996) | 1992년 선거 | 리투아니아 민주노동당 | 알기르다스 브라자우스카스 대통령 직무대행, 체슬로바스 유르셰나스 세이마스 의장. 경제난과 금융 스캔들 발생.[5][6][29] |
제7세이마스 (1996-2000) | 1996년 선거 | 조국동맹-리투아니아 보수당 | 1998년 러시아 금융 위기로 인한 경제 위기, 마제이키우 나프타 정유소 민영화. 비타우타스 란츠베르기스 세이마스 의장 역임.[6][7] |
제8세이마스 (2000-2004) | 2000년 선거 | 리투아니아 자유연합 (초반), 이후 알기르다스 브라자우스카스의 사회민주당 중심 정부 | NATO와 유럽 연합 가입. 롤란다스 팍사스 탄핵, 아르투라스 파울라우스카스 대통령 직무대행.[7][8][9] |
제9세이마스 (2004-2008) | 2004년 선거 | 사회민주당 중심 연정 | 독립 이후 처음으로 집권 정부가 선거를 넘어 생존. 아르투라스 파울라우스카스, 빅토르 무니티아나스, 체슬로바스 유르셰나스 세이마스 의장 역임.[10][11] |
제10세이마스 (2008-2012) | 2008년 선거 | 조국동맹 | 아루나스 발린스카스, 이레나 데구티에네 (최초 여성 세이마스 의장) 세이마스 의장 역임. 경제 위기, 긴축 정책, 시위 발생.[13][14][15][16] |
제11세이마스 (2012-2016) | 2012년 선거 | 사회민주당 | 리투아니아 폴란드인 선거 행동의 연정 탈퇴(2014년).[17] |
제12세이마스 (2016-2020) | 2016년 선거 | 리투아니아 농민 및 녹색 연합 | [18] |
제13세이마스 (2020-2024) | 2020년 선거 | 조국동맹 | 시모니테 내각 구성.[19] |
제14세이마스 (2024-) | 2024년 선거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 팔루카스 내각 구성.[20][21] |
세이마스의 권한은 헌법과 리투아니아 법률에 의해 정의된다.[23] 주요 권한은 다음과 같다.
세이마스는 단원제 의회이며, 의원 임기는 4년이다. 의원 정수는 141명이며, 71명은 소선거구 2회 투표제로, 70명은 전국구 비례대표제로 선출된다. 세이마스는 해산될 수 있지만, 임기 만료 6개월 이내 또는 임기 만료 전 국회의원 선거 후 6개월 이내에는 해산할 수 없다.
3. 권한
세이마스 의원은 법적 면책 특권을 가지며, 세이마스 동의 없이는 체포 또는 구금될 수 없다.[26]
세이마스는 입법권 외에도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갖는다.
권한 |
---|
대통령이 추천한 총리의 승인 여부 결정 |
총리 또는 장관에 대한 불신임 |
헌법재판소장, 대법원장, 감사원장 및 리투아니아 중앙은행 이사회 의장 임명 |
예산 승인 및 예산 집행 감시 |
조약의 비준 및 파기 |
사면 승인 |
대통령 선거 및 지방 정부 선거 공고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구성 |
:출처: 「리투아니아 공화국 헌법」『외국의 입법』238호. 120, 132쪽
4. 구성
세이마스는 단원제 의회로, 총 14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4년이다.[3] 71명은 소선거구 2회 투표제로, 70명은 비례대표제로 선출된다. 비례대표 선거는 전국을 단일 선거구로 하여 치러지며, 헤어-니마이어 방식을 따른다.[3]
15일 이내에 결선투표가 치러지며, 봉쇄 조항은 정당 5%, 정당 연합 7%이다. 투표권은 18세 이상 남녀에게 주어지며, 선거는 10월 둘째 주 일요일에 치러진다.[3] 세이마스는 해산 제도가 있지만, 임기가 6개월 이내에 만료되거나 임기 만료 전 국회의원 선거로부터 6개월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해산할 수 없다.
{| class="wikitable"
|-
! 연도 !! 정당별 의석 분포
|-
| 1992
|
73 | 8 | 2 | 1 | 30 | 4 | 2 | 14 | 4 | 3 |
|-
| 1996
|
12 | 12 | 1 | 1 | 4 | 4 | 4 | 1 | 1 | 13 | 70 | 16 | 1 | 1 |
|-
| 2000
|
26 | 19 | 28 | 3 | 4 | 4 | 3 | 1 | 33 | 2 | 8 | 2 | 3 | 3 | 2 |
|-
| 2004
|
20 | 11 | 39 | 10 | 6 | 18 | 25 | 2 | 10 |
|-
| 2008
|
25 | 1 | 10 | 3 | 4 | 8 | 11 | 16 | 45 | 3 | 15 |
|-
| 2012
|
38 | 29 | 1 | 7 | 3 | 1 | 10 | 33 | 8 | 11 |
|-
| 2016
|
17 | 2 | 54 | 3 | 4 | 14 | 31 | 8 | 8 |
|-
| 2020
|
13 | 3 | 10 | 11 | 32 | 2 | 4 | 13 | 50 | 3 |
|}
4. 1. 최근 선거 결과 (2024년)
2024년 10월 13일과 27일에 총선이 실시되었다.[1]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였으며, '리투아니아를 위한 민주주의자 연합', '네무나스의 여명'과 함께 중도좌파 연립 정부를 구성하였다.[2]총 141석의 의석 중 70석은 비례대표, 71석은 소선거구에서 선출되었다. 15일 이내에 결선투표가 치러졌으며, 봉쇄 조항은 정당 5%, 정당 연합 7%였다. 선거는 10월 둘째 주 일요일에 치러졌고, 18세 이상 남녀에게 투표권이 주어졌다.[3]
정당 | 비례대표 | 지역구 | 합계 | +/– | |||||||||
---|---|---|---|---|---|---|---|---|---|---|---|---|---|
1차 투표 | 2차 투표 | ||||||||||||
득표 | % | 의석 | 득표수 | % | 의석 | 득표수 | % | 의석 | |||||
style="background-color:#3359A3" | | 조국연합-기독교민주당 | 292,068 | 25.77 | 23 | 267,976 | 24.21 | 1 | 352,566 | 40.21 | 26 | 50 | +19 | |
style="background-color:#009035" | |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 | 204,780 | 18.07 | 16 | 169,551 | 15.32 | 0 | 209,714 | 23.92 | 16 | 32 | −22 | |
style="background-color:#001978" | | 노동당 | 110,780 | 9.77 | 9 | 88,083 | 7.96 | 0 | 8,077 | 0.92 | 1 | 10 | +8 | |
style="background-color:#FF101A" |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 108,641 | 9.59 | 8 | 130,559 | 11.79 | 0 | 75,560 | 8.62 | 5 | 13 | −4 | |
style="background-color:#E3006B;" | | 자유당 | 107,057 | 9.45 | 8 | 69,740 | 6.30 | 0 | 68,630 | 7.83 | 3 | 11 | New | |
style="background-color:#F29402" | | 자유운동 | 79,742 | 7.04 | 6 | 102,586 | 9.27 | 0 | 57,671 | 6.58 | 7 | 13 | −1 | |
style="background-color:#781020" | | 폴란드인 선거행동 | 56,382 | 4.97 | 0 | 52,905 | 4.78 | 2 | 14,835 | 1.69 | 1 | 3 | −5 | |
style="background-color:#C1272D" |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노동당 | 37,198 | 3.28 | 0 | 51,229 | 4.63 | 0 | 26,198 | 2.99 | 3 | 3 | New | |
style="background-color:#009C3D;" | | 중앙당-민족주의자들 | 26,767 | 2.36 | 0 | 20,474 | 1.85 | 0 | 5,405 | 0.62 | 0 | 0 | −1 | |
style="background-color:#AD2C30;" | | 국민협회 | 25,092 | 2.21 | 0 | 14,938 | 1.35 | 0 | – | – | – | 0 | New | |
style="background-color:#FBBA00" | | 자유와 정의 | 23,350 | 2.06 | 0 | 28,568 | 2.58 | 0 | 9,631 | 1.10 | 1 | 1 | New | |
style="background-color:#80BD00" | | 리투아니아 녹색당 | 19,307 | 1.70 | 0 | 35,174 | 3.18 | 0 | 6,648 | 0.76 | 1 | 1 | ±0 | |
style="background-color: #4D226A;" | | 용기의 길 | 13,337 | 1.18 | 0 | 2,573 | 0.23 | 0 | – | – | – | 0 | ±0 | |
style="background-color: #0FC65E;" | | 리투아니아-모두를 위해 | 11,351 | 1.00 | 0 | 7,692 | 0.69 | 0 | – | – | – | 0 | New | |
style="background-color: #445C64;" | | 기독교 연합 | 8,833 | 0.78 | 0 | 17,360 | 1.57 | 0 | – | – | – | 0 | New | |
style="background-color: #004714;" | | 세대간 결속 연합 | 5,807 | 0.51 | 0 | 2,753 | 0.23 | 0 | – | – | – | 0 | New | |
style="background-color: #E6AD1E;" | | 리투아니아 인민당 | 2,950 | 0.26 | 0 | 1,087 | 0.10 | 0 | – | – | – | 0 | ±0 | |
style="background-color:#808080;" | | 무소속 | – | – | – | 43,756 | 3.95 | 0 | 41,936 | 4.78 | 4 | 4 | ±0 | |
무효/기권 | 41,401 | – | – | 61,585 | – | – | 36,535 | – | – | – | – | ||
합계 | 1,174,843 | 100 | 70 | 1,168,350 | 100 | 3 | 917,720 | 100 | 68 | 141 | ±0 | ||
등록 유권자/투표율 | 2,457,722 | 47.80 | – | 2,457,722 | 47.54 | – | 2,355,726 | 38.96 | – | – | – | ||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4] |
5. 입법 절차
입법 발의권은 세이마스 의원, 대통령, 정부에 속한다.[32] 리투아니아 시민도 법률을 제안할 수 있는데, 최소 5만 명의 유권자 지지를 받은 제안은 세이마스에서 심의해야 한다.[32]
제안된 법률에 대한 입법 절차는 세이마스 규정에 따라 규율된다.[32] 세이마스에 제출된 모든 법률안과 제안, 그리고 이전에 제출된 제안에 대한 모든 변경 또는 보충 사항은 세이마스 회의 사무국에 등록되어야 한다. 그 후 세이마스 법률부는 법률안을 검토하여 기존 법률 및 법 제정의 기술적 규칙을 준수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론을 발표한다.
법률안은 세이마스에 제출되며, 세이마스는 법률안 심의 절차를 시작하거나, 연기하거나, 법률안을 거부하는 투표를 할 수 있다. 세이마스가 심의 절차를 시작하기로 결정하면 법률안을 심사할 주요 위원회와 추가 위원회를 임명한다.
세이마스 위원회는 법률안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수행하고, 관련 국가 기관 및 단체에 제출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상담하고 법률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다. 이해관계자는 이 단계에서 법률안에 대한 제안과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주요 위원회 및 기타 위원회의 보고서는 세이마스에서 청취되고 일반적인 토론이 열린다. 입법 발의권을 가진 모든 사람이 제안하고 발표할 수 있는 법률안 수정에 대한 투표가 실시된다. 마지막으로 세이마스는 세이마스 회의에서 채택된 수정안과 함께 위원회에서 확정된 법률안을 승인할지 여부에 대해 투표한다.
채택된 법률은 대통령에게 제출된다. 대통령은 법률을 세이마스로 반환하여 추가 심의를 하거나 서명할 수 있다. 세이마스는 대통령의 제안을 고려할 의무는 없지만 고려할 수 있으며, 단순 다수결 투표로 대통령이 반환한 법률을 승인할 수 있다. 대통령이 추가 심의 후 반환된 법률에 서명하지 않거나, 최초 제출 후 법률에 서명하거나 반환하지 않을 경우, 세이마스 의장이 법률에 서명할 수 있다.[27] 법률은 "관보"(Valstybės žinios)에 게재된 후 발효된다.
일반 법률안은 출석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가결되지만, 헌법적 법률은 전체 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필요하다. 헌법적 법률을 개정하는 경우에는 전체 의원 수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세이마스에서 가결된 법률안은 대통령 서명을 거쳐 법률로 공포된다. 대통령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제출된 법률에 대해 이유를 붙여 세이마스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경우, 일반 법률은 전체 의원 과반수의 찬성, 헌법적 법률은 전체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거부권을 번복할 수 있다.
6. 의장단 및 위원회
세이마스 의장단은 의장, 부의장, 야당 대표로 구성되며, 의장과 부의장은 재적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된다.[35] 세이마스 위원회는 세이마스 의원들 중에서 선출되며, 법률안 심사 및 기타 현안 논의를 담당한다.[23]
위원회는 새로 선출된 세이마스의 첫 회기 동안 구성되며, 7명에서 17명의 위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단, 유럽 문제 위원회는 최소 15명). 위원은 의회 그룹의 비례 대표를 기반으로 선출되며, 각 위원회는 세이마스의 승인을 받아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선출한다.[36]
세이마스 위원회 | |
---|---|
감사 | 예산 및 재정 |
문화 | 경제 |
교육과학 | 환경보호 |
유럽 문제 | 외교 |
미래 | 보건 |
인권 | 법무 |
국가 안보 및 방위 | 농촌 문제 |
사회복지 및 노동 | 국가 행정 및 지방 자치 |
6. 1. 의장단

세이마스 회의는 세이마스 의장 또는 부의장이 주재한다.[27] 세이마스 의장은 세이마스를 대표하고 그 활동을 지휘한다.[30]
세이마스 의장은 대통령이 해외에 있거나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대통령 직무를 임시로 대행하거나 대리할 수 있다.[27]
세이마스 의장과 부의장은 세이마스에 대해 그들의 활동에 대해 책임이 있으며, 의원들이 제출한 질문에 답변한다. 세이마스 규정에 따라 세이마스 의장은 선출 시 정당 가입을 중단한다.[31]
현재 세이마스 의장은 사울리우스 스크베르넬리스(Saulius Skvernelis)이다. 세이마스 의장단은 세이마스 의장, 부의장, 그리고 야당 대표로 구성된다. 의장과 부의장은 재적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된다.[35]
6. 2. 상임위원회
세이마스는 법률안 심사 및 기타 현안 논의를 위해 여러 상임위원회를 운영한다.[23] 상임위원회는 세이마스 의원들 중에서 선출되며, 새 세이마스의 첫 회기 동안 구성된다. 위원회는 7명에서 17명의 위원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유럽 문제 위원회는 최소 15명 이상이어야 한다. 위원은 의회 그룹의 비례 대표를 기반으로 선출되며, 각 위원회는 세이마스의 승인을 받아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선출한다.[36]세이마스 상임위원회 | |
---|---|
감사 | 예산 및 재정 |
문화 | 경제 |
교육과학 | 환경보호 |
유럽 문제 | 외교 |
미래 | 보건 |
인권 | 법무 |
국가 안보 및 방위 | 농촌 문제 |
사회복지 및 노동 | 국가 행정 및 지방 자치 |
7. 세이마스 궁전
Seimo Rūmailt는 세이마스의 의사당이다. 빌뉴스 중심부, 게디미나스 대로 끝에 세 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본관(제1 세이마스 궁전)은 건축가 알기만타스 나스비티스와 그의 형제 비타우타스 나스비티스가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궁전으로 설계했다.[37] 1976년 옛 경기장 자리에 공사가 시작되어 1980년에 완공되었다. 1990년 3월 11일, 이 건물 본회의장에서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이 선포되었다. 현재 '3월 11일 선언 회의장'으로 불리는 이 회의장은 2007년까지 세이마스 회의를 개최했으며, 현재는 특별한 행사에 사용된다.[38] 대부분의 국회의원 사무실도 이 건물에 있다.
나머지 두 건물은 같은 시기에 지어졌으며, 업무 공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독립 이후 본관과 연결되었다. 네리스 강 근처에 있는 제2 세이마스 궁전은 원래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재무부 청사였다. 2007년 재단장을 마친 후, 제2 세이마스 궁전 본회의장에서 세이마스 회의가 열리고 있다. 이 건물에는 세이마스 관저도 있다. 제3 세이마스 궁전은 원래 노동조합 중앙위원회가 사용했으며, 현재는 세이마스 위원회와 식당, 기타 행정 기능을 담당하는 부서가 사용하고 있다.
1991년 1월 사건을 기념하여 궁전 주변에는 바리케이드의 일부와 기념 표지가 남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2721 Lietuvos Respublikos Seimo rinkimų įstatymas
https://www.e-tar.lt[...]
[2]
뉴스
Social Democrats invite two parties to form Lithuania's ruling coalition
https://www.lrt.lt/e[...]
2024-11-07
[3]
웹사이트
Lietuvos Didžiosios Kunigaikštystės parlamentas (XV-XVIIIa.)
http://www3.lrs.lt/h[...]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4]
서적
Lithuania: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Federal Research Division of the Library of Congress
1995-00-00
[5]
웹사이트
Lietuvos Respublikos Seimo vakarinio posėdžio PROTOKOLAS Nr.2
http://www3.lrs.lt/p[...]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1992-11-25
[6]
웹사이트
Elections Held in 1996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7]
웹사이트
Elections Held in 2000
http://195.65.105.15[...]
Inter-Parliamentary Union
[8]
뉴스
Brazauskas returns as Lithuanian PM
http://news.bbc.co.u[...]
BBC
2001-07-03
[9]
뉴스
Lithuanian Parliament Removes Country's President After Casting Votes on Three Charges
https://www.nytimes.[...]
2004-04-07
[10]
웹사이트
Elections Held in 2004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11]
웹사이트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http://www3.lrs.lt/l[...]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12]
웹사이트
Seimas 2004–2008 m.: valdantieji rūbą keitė kelis kartus
http://vz.lt/archive[...]
Verslo Žinios
2015-11-30
[13]
웹사이트
Elections Held in 2008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15-07-31
[14]
웹사이트
I.Degutienė išrinkta Seimo pirmininke
http://www.delfi.lt/[...]
Delfi.lt
2015-11-30
[15]
웹사이트
X Seimas (2008–2012)
http://www3.lrs.lt/p[...]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30
[16]
웹사이트
2008–2012 metų Seimas: reformos ir chuliganai
http://www.15min.lt/[...]
15min.lt
2015-11-30
[17]
웹사이트
Vyriausybe apsivalė, V. Tomaševskio partija – už borto
http://www.lrytas.lt[...]
Lietuvos Rytas
2015-07-31
[18]
뉴스
Daliai socialdemokratų piktinantis R. Karbauskis ir A. Butkevičius pasirašė koalicijos susitarimą
http://www.delfi.lt/[...]
Delfi.lt
2016-11-09
[19]
뉴스
Lithuania's liberal and conservative parties sign coalition agreement
https://www.lrt.lt/e[...]
2020-11-09
[20]
뉴스
Landsbergis steps down as conservative leader, refuses Seimas seat
https://www.lrt.lt/e[...]
2024-10-28
[21]
뉴스
Lithuanian Social Democrats sign coalition agreement with controversial politician
https://www.lrt.lt/e[...]
2024-11-11
[22]
뉴스
Lithuanians protest as party leader accused of antisemitism prepares to join government
https://www.politico[...]
2024-11-15
[23]
웹사이트
Work of the Seimas
http://www3.lrs.lt/p[...]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24]
웹사이트
Lietuvos Seimo galios
http://vz.lt/archive[...]
Verslo Žinios
2004-10-25
[25]
서적
Lietuvos parlamento teisė
http://ebooks.mruni.[...]
Mykolo Riomerio Universitetas
2013
[26]
웹사이트
I-2721 Lietuvos Respublikos Seimo rinkimų įstatymas
https://www.e-tar.lt[...]
[27]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http://www3.lrs.lt/h[...]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28]
웹사이트
Law on Elections to the Seimas
http://www3.lrs.lt/p[...]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07-31
[29]
웹사이트
Elections Held in 1992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15-07-31
[30]
웹사이트
Powers of the Speaker of the Seimas
http://www3.lrs.lt/p[...]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31]
뉴스
Seimo pirmininku tapo R. Karbauskio kandidatas V. Pranckietis
http://www.delfi.lt/[...]
Delfi.lt
2016-11-14
[32]
웹사이트
Legislative Procedure
http://www3.lrs.lt/p[...]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33]
웹사이트
Plenary Sittings
http://www3.lrs.lt/p[...]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34]
웹사이트
TV transliacijos "Seimas – tiesiogiai"
http://www3.lrs.lt/p[...]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35]
웹사이트
Board of the Seimas
http://www3.lrs.lt/p[...]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36]
웹사이트
Committees
https://www.lrs.lt/s[...]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21-03-22
[37]
웹사이트
Parlamento rūmai
http://www3.lrs.lt/h[...]
Seimas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2015-11-25
[38]
웹사이트
Lietuvos Respublikos Seimas
http://www.ivilnius.[...]
iVilnius
2015-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