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켐케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켐케트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재위 기간은 6년에서 7년 사이로 추정된다. 그는 조세르의 피라미드 남서쪽에 미완성된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나, 피라미드 내부의 석관에서 유해가 발견되지 않았다. 세켐케트는 와디 마가레에서 구리와 터키석 채굴 활동을 벌였으며, 엘레판티네 섬에서 발견된 점토 인장을 통해 호루스 이름과 넵티 이름을 알 수 있다. 그의 아내는 제세레트네브티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들과 딸이 있었으나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1951년 사카리아 고네임에 의해 미완성 계단 피라미드가 발굴되었으며, 21개의 금 팔찌와 조개 모양 용기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 - 조세르
조세르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이며, 사카라에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이집트 피라미드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시나이 반도 원정과 재상 임호텝의 지휘 아래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이집트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했다. -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 - 후니
후니는 이집트 제3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추정되며,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24년간 통치했다고 기록되어 있고, 건축 사업을 활발히 추진했으며, 그의 매장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기원전 27세기 파라오 - 조세르
조세르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의 파라오이며, 사카라에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이집트 피라미드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시나이 반도 원정과 재상 임호텝의 지휘 아래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이집트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했다. - 기원전 27세기 파라오 - 후니
후니는 이집트 제3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추정되며, 토리노 파피루스에는 24년간 통치했다고 기록되어 있고, 건축 사업을 활발히 추진했으며, 그의 매장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세켐케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할 | 파라오 |
통치 기간 | 기원전 2650년경 |
왕조 | 이집트 제3왕조 |
선대 파라오 | 조세르 |
후대 파라오 | 사나크트(가장 유력) 또는 카바 |
이름 | |
호루스 이름 | 호르-세켐케트 |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 |
네브티 이름 | 네브티-헤테프렌 |
네브티 이름 (히에로글리프) | |
아비도스 왕 목록 | 테티 |
아비도스 왕 목록 (히에로글리프) | |
사카라 석판 | 조세르테티 |
사카라 석판 (히에로글리프) | |
투린 왕 목록 | 조세르티 |
투린 왕 목록 (히에로글리프) |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제세레트네브티 ? |
아버지 | 카세켐위 ? |
어머니 | 니마아트합 ? |
기타 정보 | |
매장지 | 묻힌 피라미드 |
2. 재위
세켐케트의 재위 기간은 6년에서 7년 사이로 추정된다. 토리노 파피루스는 세켐케트가 6년간 통치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5] 이는 미리암 위사가 세켐케트의 미완성 피라미드를 근거로 제시한 추정치와 일치한다.[6] 반면, 토비 윌킨슨은 팔레르모 석의 제5왕조 부분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팔레르모 석의 일부인 카이로 단편 I(Cairo Fragment I)의 등록 V에 보존된 연간 기록 수를 근거로 세켐케트의 재위 기간을 7년으로 보았다.[7] 윌킨슨은 왕의 호칭이 재위 변경을 나타내는 구분선 바로 뒤에 시작되기 때문에 이 수치가 상당히 확실하다고 언급했다.[8] 마네토 역시 세켐케트를 '티레이스'라는 이름으로 기록하며 7년간 통치했다고 전한다. 나빌 스웰림은 마네토가 언급한 '토세르타시스'가 세켐케트일 수 있다고 보고 19년의 재위 기간을 주장했으나,[9] 이는 피라미드가 미완성 상태인 점과 모순되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세켐케트의 짧은 통치 기간은 그의 피라미드가 완성되지 못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세켐케트의 아내는 제세레트네브티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이름은 여왕의 칭호 없이 나타나며, 이집트학자들은 이 이름의 정확한 의미와 판독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12] 이 이름은 "제세르-티"로 읽힐 수도 있으며, 사카라 왕 목록에서 조세르의 직계 후계자로 기록된 카르투슈 이름 "제세르-테티"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도 제기된다.[13] 세켐케트에게는 아들과 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의 이름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세켐케트의 무덤은 사카라에 위치하며, "매장된 피라미드"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진 미완성 계단식 피라미드이다. 1951년 이집트의 고고학자 자카리아 고네임이 조세르의 피라미드 남서쪽에서 발견했으며, 이전까지는 자연 언덕으로 여겨졌다. 1952년부터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었다.
세켐케트의 재위 중 활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증거는 시나이 반도의 와디 마가레에서 발견된 두 개의 암석 비문이다. 첫 번째 비문에는 세켐케트가 상이집트의 헤제트 왕관과 하이집트의 데셰레트 왕관을 각각 쓰고 있는 모습이 두 번 묘사되어 있다. 두 번째 비문은 세켐케트가 적의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의례용 홀로 내려치려는 자세를 취한, 이른바 "적을 타격하는" 전통적인 장면을 보여준다. 와디 마가레에서 이러한 부조들이 발견된 것은 세켐케트 시대에 이 지역의 구리와 터키석 광산이 개발되었음을 시사한다.[10][11] 이 광산들은 조세르와 사나크트의 부조 역시 와디 마가레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초기 이집트 제3왕조 시기 전반에 걸쳐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엘레판티네 섬 동쪽 발굴지에서는 세켐케트의 호루스 이름과 함께 독특한 넵티 이름이 새겨진 여러 점토 인장이 발견되었다. 장 피에르 패츠니크는 이 넵티 이름을 Ren nebty|렌 넵티egy로 읽었는데, 이는 '두 여신(네크베트와 와제트)이 그의 이름을 기뻐한다'는 의미이다. 다만 이것이 실제로 세켐케트의 넵티 이름인지, 아니면 아직 알려지지 않은 왕비의 이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11]
3. 가족
일부 학자들은 세켐케트가 제2왕조의 마지막 왕인 카세켐위의 아들이며 조세르의 형제일 것으로 추정한다. 만약 이 가설이 맞다면, 그의 어머니는 니마아탑일 것이다.[14][15]
4. 무덤
이 피라미드는 계획대로 완성되었다면 높이 약 70m에 달해 조세르의 피라미드보다 더 컸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세켐케트의 짧은 통치 기간(약 6년)으로 인해 미완성 상태로 남았다.
발굴 과정에서 피라미드 내부는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었고, 1954년에는 황금 유물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지하에서는 봉인된 설화 석고 석관이 발견되었으나, 개봉 결과 내부는 비어 있었다. 석관이 비어 있는 이유와 실제 세켐케트의 매장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존재한다.
4. 1. 피라미드
1951년 이집트의 고고학자 자카리아 고네임이 사카라에 있는 조세르의 피라미드 남서쪽에서 이전까지 자연 언덕으로 여겨졌던 구조물을 발굴하면서 세켐케트의 미완성 계단식 피라미드가 발견되었다. 이 피라미드는 "매장된 피라미드"라고도 불린다.
세켐케트의 피라미드는 처음부터 계단식 피라미드로 계획되었다. 기저부는 약 115.21m x 약 115.21m (220 x 220 큐빗) 크기의 정사각형이었다. 만약 계획대로 완성되었다면 6~7개의 계단을 가졌을 것이며, 최종 높이는 70m (약 73.30m 또는 140 큐빗)에 달해 조세르의 피라미드보다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비율은 메이둠의 피라미드나 기자 대피라미드와 동일한 51˚50'의 경사각을 가졌을 것이다. 조세르의 피라미드처럼 세켐케트의 피라미드도 석회암 블록으로 지어졌다.
그러나 세켐케트가 6년이라는 짧은 기간만 통치하고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피라미드는 미완성 상태로 남게 되었다. 현재는 피라미드의 첫 번째 계단만 완성되어 거대한 사각형 마스타바 형태를 하고 있다.
피라미드 내부에서는 도굴꾼의 흔적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1954년 3월 재조사를 통해 21개의 황금 팔찌와 조개 모양의 금 세공품 등 여러 유물이 발견되었다. 또한 피라미드 아래에서는 밀봉된 석관이 발견되었으나, 같은 해 4월 개봉했을 때 석관 내부는 비어 있었다. 현실(묘실) 자체가 미완성 상태였던 점을 고려할 때, 실제 왕의 시신이 안치된 묘실은 다른 곳에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4. 2. 지하 구조
세켐케트의 피라미드는 "매장된 피라미드"라고도 불리며, 1952년 이집트 고고학자 자카리아 고네임에 의해 처음 발굴되었다. 피라미드 아래에서 밀봉된 석관이 발견되었지만, 개봉했을 때는 비어 있었다.
매장 입구는 피라미드의 북쪽에 있다. 입구를 통해 열린 통로가 약 60.96m 아래로 이어진다. 통로 중간 지점에서는 위에서 내려오는 수직 갱도와 만난다. 이 갱도는 지표면에서 시작되며, 만약 피라미드가 계획대로 완성되었다면 피라미드의 두 번째 계단에 입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통로와 갱도가 만나는 지점에서 또 다른 통로가 지하로 이어져 U자형 갤러리로 연결된다. 이 갤러리에는 최소 120개의 창고가 있으며, 전체적인 모습은 거대한 빗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매장실에 거의 도달하기 직전에 주 통로는 다시 두 개의 추가 창고 갤러리로 나뉘어 "U"자 형태로 매장실을 둘러싸지만, 이 갤러리들은 결코 완성되지 못했다.
매장실의 크기는 가로 약 8.84m, 세로 약 5.18m, 높이 약 4.57m이다. 이곳 역시 미완성 상태였지만, 놀랍게도 거의 완벽하게 정돈된 매장이 발견되었다. 방 중앙에 놓인 석관은 광택 처리된 설화 석고로 만들어졌으며 특이한 점이 있다. 석관의 입구가 앞쪽에 있으며 미닫이문 형태로 되어 있었고, 발견 당시에는 모르타르로 봉인되어 있었다. 하지만 1954년 4월 석관을 개봉했을 때 내부는 비어 있었다. 매장 후에 약탈당했는지, 아니면 세켐케트 왕이 다른 곳에 묻혔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매장실이 미완성 상태였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왕이 실제로 묻힌 곳은 다른 위치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1950년 이집트 고대 유물 관리국 발굴팀은 금으로 만든 조개 모양 용기를 발견했다.[16] 이 유물은 길이가 약 3.56cm이며 현재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의 4호실에 전시되어 있다.[17] 또한, 1954년 3월 재조사를 통해 세켐케트의 무덤에서 21개의 금 팔찌가 들어 있는 작은 보물이 발견되었다. 이 팔찌와 조개 모양 용기는 고대 이집트 무덤 도굴꾼들이 세켐케트의 무덤과 왕의 석관을 약탈했을 때 미처 발견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4. 3. 네크로폴리스
세켐케트의 피라미드는 "매장된 피라미드"라고도 불리며, 1952년 이집트 고고학자 자카리아 고네임에 의해 처음 발굴되었다. 피라미드 아래에서는 밀봉된 석관이 발견되었으나, 개봉했을 때는 비어 있었다.
세켐케트의 묘역 단지는 완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숭배 건물이 존재했었는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피라미드 안뜰은 북서쪽을 향하는 틈새가 있는 담으로 둘러싸여 있었는데, 그 길이는 약 563.88m, 폭은 약 185.01m, 높이는 약 10.06m에 달했다. 고고학적으로 보존된 유일한 숭배 건물은 남쪽 무덤으로, 기저 면적은 약 32.00m x 약 15.85m로 추정된다. 남쪽 무덤의 지하 구조에는 무덤 서쪽에서 시작하여 이중 방으로 이어지는 좁은 복도가 있었다. 1963년, 장-필리프 로어는 이 방에서 두 살배기 유아의 유골을 발굴했다. 이 아이의 정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세켐케트 왕 본인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세켐케트 왕은 항상 젊은 남성으로 묘사되었기 때문이다.
다른 숭배 건물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이집트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장제전이나 세르다브와 같은 건물이 원래 존재했으나 고대에 석재를 약탈당하면서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5. 발굴
1951년 이전까지 세켐케트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러나 1951년 이집트의 고고학자 사카리아 고네임이 사카라에서 세켐케트의 미완성된 계단 피라미드를 발견하면서 그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이 피라미드는 조세르의 피라미드 남서쪽에 위치하며, 발견 이전에는 단순한 자연 언덕으로 여겨졌다. 고네임의 발굴을 통해 그 실체가 드러났으며, 구조물의 기초 등을 볼 때 계획대로 완성되었다면 높이가 70m에 달해 조세르의 피라미드보다도 더 높은 건축물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피라미드는 "매장된 피라미드"라고도 불린다.
세켐케트의 미완성 피라미드에서는 도굴의 흔적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으며, 내부에는 여러 유물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1954년 3월, 재조사를 통해 도굴되지 않은 수직 갱도에서 21개의 황금 팔찌와 조개 모양의 금 세공품 등이 발굴되었다.
피라미드 내부 현실(玄室)에서는 하나의 바위를 가공해서 만든 미닫이식 석관이 발견되었다. 석관과 통로에서 도굴 흔적이 전혀 없어 파라오의 유해 발견이 기대되었으나, 같은 해 4월 개봉 결과 석관 내부는 완전히 비어 있었다. 현실 자체가 미완성 상태였다는 점 때문에, 실제 왕의 시신은 다른 곳에 안치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세켐케트의 통치 기간이 6~7년 정도로 짧았던 것이 피라미드가 미완성으로 남게 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참조
[1]
문서
Turin King List
[2]
문서
Wilkinson 2000 based on the Palermo Stone
[3]
문서
Manetho
[4]
서적
The Royal Canon of Turin
Griffith Institute, Oxford
1997
[5]
서적
The Royal Canon of Turin
Griffith Institute, Oxford
1997
[6]
논문
À propos du sarcophage de Sékhemkhet
Université Paul Valéry – Montpellier III, Montpellier
1997
[7]
서적
Royal Annals of Ancient Egypt: The Palermo Stone and Its Associated Fragments
Kegan Paul International, London
2000
[8]
서적
Royal Annals of Ancient Egypt: The Palermo Stone and Its Associated Fragments
Kegan Paul International, London
2000
[9]
간행물
Some Problems on the History of the Third Dynasty
Archaeological Society of Alexandria, Alexandria
1983
[10]
서적
Sinai. The site & the history. Essays. Photographs by Ayman Taher
New York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1998
[11]
논문
Die Abfolge der Horusnamen der 3. Dynastie
Archaeopress, Oxford
2005
[12]
서적
Untersuchungen zur Thinitenzeit
Harrassowitz, Wiesbaden
1987
[13]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New York
1999
[14]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
2001
[15]
서적
Die Königsmütter des Alten Ägypten von der Frühzeit bis zum Ende der 12. Dynastie
Harrassowitz, Wiesbaden
2001
[16]
서적
The Treasures of Ancient Egypt: From the Egyptian Museum in Cairo
Universe Publishing, a division of Ruzzoli Publications Inc.
2003
[17]
문서
Bongioanni & Cro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