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깁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섹깁메이는 홍콩에 위치한 지역으로, 1953년 대화재 이후 홍콩 공공주택 건설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1953년 12월 대화재로 인해 많은 이재민이 발생하였고, 홍콩 정부는 이들을 위해 공공주택 건설 계획을 시작했다. 섹깁메이 저가 주택단지는 이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재개발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주택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 지역은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의 유도와 스쿼시 경기가 열린 곳이기도 하며, 현재는 조키 클럽 창작 예술 센터와 같은 문화 시설도 위치해 있다. 1979년 홍콩 지하철 섹깁메이 역이 개통되었고, 도로 교통과 버스 노선도 잘 갖춰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화재 -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부산에서 발생한 부산역전 대화재는 한국 전쟁 직후 피난민 판자촌에서 시작되어 부산역 일대를 파괴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으며, 부산시장 사퇴와 부산역 위치 이전 등 도시 구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삼서이보구 - 홍콩 성시 대학
홍콩 성시 대학은 1984년에 설립된 홍콩의 공립 연구 대학으로, 가우룽통에 위치한 15.6 헥타르 규모의 캠퍼스에서 10개의 단과 대학 및 학교를 통해 150개 이상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국내외 대학 평가 기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다양한 국제 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 삼서이보구 - 훙함역
훙함역은 홍콩 주룽 지구에 있는 MTR 철도역으로, 동철선과 툰마선의 환승역이며, 한때 중국 본토로 가는 직통 열차도 운행했던 교통 요지이다. - 산가우룽 - 홍콩 영토 확장 조약
홍콩 영토 확장 조약은 1898년 영국과 청나라 간에 체결되어 홍콩의 방위를 강화하고자 신계를 99년간 영국에 조차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1997년 홍콩의 모든 영토가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는 결과를 낳았다. - 산가우룽 - 가우룽완
가우룽완은 카이탁 공항 서쪽 만과 동쪽 매립지, 가우룽완역 서쪽 지역을 아우르는 곳으로, 과거 물류 창고와 공장이 많았으나 공항 폐쇄 후 정부 기관, 운동장, 공원 등이 들어섰고 국제 박람회장과 메가박스 쇼핑몰이 위치해 활기를 띠는 지역이다.
섹깁메이 | |
---|---|
지도 | |
일반 정보 | |
간체자 | 石硖尾 |
병음 | Shíxiáwěi |
광둥어 예일 | Sek6 gip3 mei5 |
표준 중국어 발음 | shíxiáwěi |
광둥어 발음 | sɛ̀ːkkɪ̄pme̬i |
원래 이름 | 석갑미 |
영어 이름 | Shek Kap Mei |
의미 | 협곡 끝 |
![]() |
2. 역사
1953년 12월 25일 섹깁메이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중국 본토에서 홍콩으로 망명하여 온 이주민들이 살고 있던 판자촌을 휩쓸었고, 53,0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1]
화재 이후, 알렉산더 그랜텀 홍콩 총독은 이재민들을 위해 '다층 빌딩'을 짓는다는 공공주택 건설 계획에 착수했다. 그 결과 통일된 모양의 주택과 아파트들이 새롭게 지어졌고, 취약한 환경에 처한 오두막 거주민들에게 화재와 홍수로부터 안전한 보금자리를 제공했다. 이 계획을 통해 화재 피해를 입지 않은 판자집들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섹깁메이 저가 주택단지를 조성했다.
섹깁메이 저가 주택단지의 아파트들은 매우 작아서, 한 세대당 면적이 28m2(8.5평)에 불과했고 최대 다섯 명까지 살 수 있었으며 한 빌딩마다 2,500명의 주민이 모여 살았다고 전해진다.[2] 월세는 1제곱피트(0.09m2, 0.03평)당 17홍콩달러였고, 1층 상점 자리는 100홍콩달러였다. 아파트 단지를 찾아온 외국인 관광객들은 이곳을 "감옥"같다고 묘사했다. 이후에도 수차례 재개발이 이뤄졌고, 가장 최근에는 2012년에 '신 섹깁메이 주택단지'가 조성되기도 했다. 한편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홍콩의 공공주택 역사에서 이 화재가 큰 역할을 한 것처럼 정부가 과장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3]
섹깁메이 북쪽의 인단 산을 따라 위치한 다이워핑(大窩坪zh-Hant-HK)은 1950년대부터 작은 집들이 모여있던 동네였지만, 1970년대에 공공주택 단지인 작온 주택단지(澤安邨zh-Hant-HK)와 사유 주택단지인 베이컨 단지(畢架山花園zh-Hant-HK) 및 다이깅 단지(帝景峰zh-Hant-HK)로 바뀌었다.[4][5]
2009년에는 홍콩 전역에서 개최된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의 유도와 스쿼시 종목이 섹깁메이에 있는 섹깁메이 공원 스포츠센터에서 열렸다.
2. 1. 1953년 섹깁메이 대화재와 공공주택의 시작
1953년 12월 25일 섹깁메이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중국 본토에서 홍콩으로 망명하여 온 이주민들이 살고 있던 판자촌을 휩쓸었고, 53,0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1]화재 이후, 알렉산더 그랜텀 홍콩 총독은 이재민들을 위해 '다층 빌딩'을 짓는다는 공공주택 건설 계획에 착수했다. 그 결과 통일된 모양의 주택과 아파트들이 새롭게 지어졌고, 취약한 환경에 처한 오두막 거주민들에게 화재와 홍수로부터 안전한 보금자리를 제공했다. 이 계획을 통해 화재 피해를 입지 않은 판자집들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섹깁메이 저가 주택단지를 조성했다.
섹깁메이 저가 주택단지의 아파트들은 매우 작아서, 한 세대당 면적이 28m2(8.5평)에 불과했고 최대 다섯 명까지 살 수 있었으며 한 빌딩마다 2,500명의 주민이 모여 살았다고 전해진다.[7][2] 월세는 1제곱피트(0.09m2, 0.03평)당 17홍콩달러였고, 1층 상점 자리는 100홍콩달러였다. 아파트 단지를 찾아온 외국인 관광객들은 이곳을 "감옥"같다고 묘사했다. 이후에도 수차례 재개발이 이뤄졌고, 가장 최근에는 2012년에 '신 섹깁메이 주택단지'가 조성되기도 했다. 한편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홍콩의 공공주택 역사에서 이 화재가 큰 역할을 한 것처럼 정부가 과장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8][3]
2. 2. 이후의 발전
1953년 12월 25일, 섹깁메이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중국 본토에서 홍콩으로 망명한 이주민들이 살던 판자촌이 휩쓸려 53,0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7]화재 이후, 알렉산더 그랜텀 홍콩 총독은 이재민들을 위해 '다층 빌딩'을 짓는 공공주택 건설 계획을 시작했다.[7] 이 계획을 통해 통일된 모양의 주택과 아파트들이 건설되어, 취약한 환경에 처했던 판자촌 거주민들에게 화재와 홍수로부터 안전한 보금자리를 제공했다. 또한, 화재 피해를 입지 않은 판자집들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섹깁메이 저가 주택단지를 조성했다.[7]
섹깁메이 저가 주택단지의 아파트들은 매우 작아서 한 세대당 면적이 28m2(8.5평)에 불과했고, 최대 다섯 명까지 거주할 수 있었다. 각 빌딩에는 2,500명의 주민이 거주했다고 전해진다.[7] 월세는 1제곱피트(0.09m2, 0.03평)당 17홍콩달러였고, 1층 상점 자리는 100홍콩달러였다. 이러한 환경 때문에 아파트 단지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은 이곳을 "감옥"같다고 묘사하기도 했다.[7] 이후 수차례 재개발이 이루어졌으며, 가장 최근에는 2012년에 '신 섹깁메이 주택단지'가 조성되었다.[7]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홍콩의 공공주택 역사에서 이 화재가 큰 역할을 한 것처럼 정부가 과장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8][3]
섹깁메이 북쪽의 인단 산을 따라 위치한 다이워핑(大窩坪)은 1950년대부터 작은 집들이 모여있던 동네였지만, 1970년대에 공공주택 단지인 작온 주택단지(澤安邨)와 사유 주택단지인 베이컨 단지(畢架山花園) 및 다이깅 단지(帝景峰)로 바뀌었다.[9][10][4][5]
2009년에는 홍콩 전역에서 개최된 2009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의 유도와 스쿼시 종목이 섹깁메이에 있는 섹깁메이 공원 스포츠센터에서 열렸다.
|thumb|조키 클럽 창작 예술 센터(JCCAC)는 석킵메이 내의 주요 예술 스튜디오이자 갤러리이다.]]
3. 현재
섹깁메이는 현재 팍틴 이스테이트와 같은 공공 아파트와 비콘 하이츠, 다이너스티 하이츠와 같은 사유 주택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주택이 있다. 현재 이 지역에서는 여러 쇼핑몰과 교회를 찾을 수 있다.
구 섹깁메이 공장 단지는 개조되어 현재 조키 클럽 크리에이티브 아트 센터로 사용되고 있다.
정부는 이 지역을 재개발하려던 계획을 철회했는데, 이는 이 지역이 홍콩 역사를 상징한다고 믿는 많은 사람들의 거센 반대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호스텔과 박물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조하는 대체 계획이 완료되었다. 박물관에는 복원된 방, 거주민들의 이야기와 사진, 공공 주택 단지의 역사에 대한 문서가 포함되어 있다.
4. 메이호 하우스
정부는 이 지역이 홍콩 역사를 상징한다고 믿는 많은 사람들의 거센 반대에 직면하여 재개발 계획을 철회했다. 호스텔과 박물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조하는 대체 계획이 완료되었다. 박물관에는 복원된 방, 거주민들의 이야기와 사진, 공공 주택 단지의 역사에 대한 문서가 포함되어 있다.
5. 교통
1979년 워자이 가와 와이지 가 부근에 홍콩 지하철의 섹깁메이 역이 문을 열었으며, 군통 선이 운행되고 있다.
7호 간선이 섹깁메이 북부를 지나가며 남청 가를 통해서 진입할 수 있다. KMB과 신세계제일버스가 이곳 지역에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5. 1. 지하철
1979년 워자이 가와 와이지 가 부근에 홍콩 지하철의 섹깁메이 역이 문을 열었으며, 군통 선이 운행되고 있다. 도로교통으로는 7호 간선이 섹깁메이 북부를 지나가며 남청 가를 통해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KMB과 신세계제일버스가 이곳 지역에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5. 2. 도로 교통
홍콩 지하철의 섹깁메이 역이 1979년 워자이 가와 와이지 가 부근에 문을 열었으며, 군통 선이 운행되고 있다. 7호 간선이 섹깁메이 북부를 지나가며 남청 가를 통해서 진입할 수 있다. KMB과 신세계제일버스가 이곳 지역에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6. 교육
석깁메이는 초등학교 입학 (POA) 학군 40에 속해 있다. 이 학군에는 여러 보조 학교(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정부 자금으로 운영)와 두 개의 정부 학교, 복영가 정부 초등학교와 이청욱 정부 초등학교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Traditional Life in the New Territories: The Evidence of the 1911 and 1921 Censuses
https://hkjo.lib.hku[...]
[2]
서적
Old Hong Kong – Volume Three
Text Form Asia books Ltd
2003
[3]
서적
The Shek Kip Mei Myth: Squatters, Fires And Colonial Rulers in Hong Kong, 1950–1963
2006
[4]
웹사이트
Tai Wo Ping Cottage Area
http://hkclweb.hkpl.[...]
[5]
웹사이트
Hong Kong in the Post War Years
http://www.aiahk.org[...]
[6]
웹사이트
POA School Net 40
https://www.edb.gov.[...]
Education Bureau
2022-09-12
[7]
서적
Old Hong Kong – Volume Three
Text Form Asia books Ltd
2003
[8]
서적
The Shek Kip Mei Myth: Squatters, Fires And Colonial Rulers in Hong Kong, 1950–1963
2006
[9]
웹인용
Tai Wo Ping Cottage Area
http://hkclweb.hkpl.[...]
2009-06-07
[10]
웹인용
Hong Kong in the Post War Years
http://www.aiahk.org[...]
2009-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