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제일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세계제일버스(New World First Bus Services Limited, NWFB)는 1998년 홍콩에서 중화버스(CMB)의 노선 운영권을 인수하여 설립된 버스 회사이다. 1924년 설립된 중화버스를 전신으로 하며, 1998년 퍼스트그룹이 사업권을 획득하여 운행을 시작했다. 2020년 시티버스와 함께 브라보 트랜스포트 컨소시엄에 매각되었고, 2023년 7월 1일 시티버스와 합병되어 '시티버스'로 운영을 시작했다. 신세계제일버스는 2023년 6월 30일까지 168개의 노선을 운영했으며, 다양한 버스 차량을 보유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해체된 교통 기업 - 산천어운수
산천어운수는 1980년 태평운수로 설립되어 사명 변경을 거쳐 2023년 폐업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업체였다. - 2023년 해체된 교통 기업 - 성원여객 (서울)
성원여객(서울)은 1994년 대성운수 계열사로 설립되어 서울 시내버스를 운행하다 2023년 도원교통에 인수된 후 폐업한 회사로, 간선 및 지선 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했었다. - 199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199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제부여객
제부여객은 경기도 화성시의 시내버스 회사로, 화성여객에서 사명이 변경되었고 용남고속을 거쳐 현재는 사모펀드 MC 파트너스에 인수되어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1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과거 삼성여객에서 유래되어 현재는 대원여객의 계열사이다. - 홍콩의 버스 회사 - 롱윈 버스
롱윈 버스는 1997년 5월 22일 운행을 시작하여 홍콩 국제공항, 퉁충, 홍콩 디즈니랜드 등을 연결하는 42개 노선을 운영하는 홍콩의 버스 회사로, 냉방 저상 2층 버스와 냉방 1층 전기 버스를 포함한 총 257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홍콩의 버스 회사 - MTR 버스
MTR 버스는 홍콩 MTR이 운영하며 툰문구와 위안랑구 지역을 중심으로 둔마선, 경전철과 연계하여 환승 시스템을 제공하는 버스 노선으로, 한국의 광역버스 및 마을버스 시스템과 유사하다.
신세계제일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신세계제일버스 |
원어명 (중국어 번체) | 新世界第一巴士服務有限公司 |
병음 | Sān shìjiè dì yī bāshì fúwù yǒuxiàn gōngsī |
로마자 표기 | San sai gaai daih yat baa sih fuhk mouh yauh haahn gung si |
슬로건 |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모회사 | 브라보 트랜스포트 |
설립일 | 1998년 9월 1일 |
해체일 | 2023년 7월 1일 (시티버스에 합병) |
본사 위치 |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서비스 지역 | 홍콩 |
서비스 유형 | 버스 서비스 |
제휴 | 시티버스 |
노선 수 | 51 |
차고지 수 | 4 |
차량 대수 (2022년 7월 기준) | 650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489,000명 |
CEO | (제공된 문서에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신세계제일버스 공식 웹사이트 |
이미지 | |
![]() | |
![]() |
2. 역사
신세계제일버스는 1998년 9월 1일, 서비스 문제로 노선 면허 갱신이 불발된 중화버스의 홍콩 섬 노선 운영권을 공개 입찰을 통해 승계하며 설립되었다.[18] 초기에는 영국의 퍼스트그룹(FirstGroup)과 NWS 홀딩스의 합작으로 시작되었다.
2000년 NWS 홀딩스가 퍼스트그룹 지분을 인수하여 완전 자회사가 되었고, 2003년에는 경쟁사였던 시티버스까지 인수하며 홍콩 섬 버스 노선 대부분을 운영하게 되었다. 이후 2020년 NWS 홀딩스는 두 버스 회사를 브라보 트랜스포트(Bravo Transport) 컨소시엄에 매각했다.
합병 직전까지 신세계제일버스는 약 700대의 버스를 운용하며 홍콩 섬을 중심으로 주룽 반도, 신제 등지로 노선을 확장했다.
2022년 7월, 홍콩 정부는 브라보 트랜스포트의 계획에 따라 신세계제일버스와 시티버스의 합병을 승인했다.[19] 결국 신세계제일버스는 2023년 6월 30일을 마지막으로 운행을 종료하고, 7월 1일부로 시티버스 브랜드로 통합되었다.
2. 1. 중화버스 시대 (1924-1998)
신세계제일버스의 전신은 1924년에 설립된 중화버스(中華巴士, China Motor Bus, CMB)이다.[18] 중화버스는 1933년 홍콩 섬에서의 버스 노선 운영권을 획득하여, 주룽 반도와 신제를 중심으로 운행하던 주룽 버스와 함께 홍콩의 주요 대중교통 사업자로 자리 잡았다.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화버스의 서비스 수준이 크게 저하되어 시민들의 불만이 높아졌다. 이에 홍콩 정부는 버스 서비스 경쟁 체제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1991년과 1995년 사이에 중화버스가 운영하던 40개 이상의 노선을 신규 사업자인 시티버스에게 넘겨주었다.[1] 하지만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중화버스의 서비스는 눈에 띄게 개선되지 않았다.
결국 1998년 2월, 홍콩 정부는 중화버스가 운영하던 140개 노선 전체에 대한 면허를 같은 해 8월 31일부로 만료시키고 더 이상 갱신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2][3] 이에 따라 88개 노선은 공개 입찰에 부쳐졌고, 12개 노선은 시티버스에게 직접 이관되었으며, 빅토리아 항을 건너는 1개 노선은 주룽 버스가 맡게 되었다. 나머지 노선들은 폐지되었다.[2][3]
공개 입찰에는 총 6개 회사가 참여했다.[4][5]
제안된 이름 | 주요 주주 | 비고 |
---|---|---|
애플루언트 드래곤 아일랜드 리미티드 | 중화자동차유한공사 (50%), 스테이지코치 그룹 (50%) | |
아르고스 버스 | 아르고스 엔터프라이즈 (50%), HKR 인터내셔널 (50%) | |
홍콩 퍼블릭 버스 유한회사 | 대중행 (70%), 관중 버스 홀딩스 (30%) | 이후 관중 버스 관련 |
홍콩 유나이티드 버스 유한회사 | 시티버스 그룹 (35%), CK 인프라스트럭처 홀딩스 (35%), 중국 여행 국제 투자 홍콩 (25%), CNT 그룹 (5%) | 이후 브라보 트랜스포트 관련 |
홍콩 모터 버스 | 구룡 모터 버스 홀딩스 | 이후 트랜스포트 인터내셔널 관련 |
신세계제일버스 | NWS 홀딩스 (74%), 퍼스트그룹 (26%) | 이후 브라보 트랜스포트 관련, 최종 낙찰 |
당시 지역 버스 운영 경험이 없던 NWS 홀딩스가 주도하는 신세계제일버스(NWFB) 컨소시엄은 다소 의외의 후보로 여겨졌으나, 새로운 시설 투자, 서비스 기준 개선, 기존 중화버스 직원의 고용 승계 등을 약속하며 1998년 3월 최종 사업자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1998년 중반 인수인계 과정에서 중화버스 측의 비협조로 인해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정부의 중재를 통해 1998년 9월 1일 자정을 기점으로 신세계제일버스가 공식적으로 운행을 시작하게 되었지만, 일부 노선은 중화버스가 자정 이후 운행을 거부함에 따라 예정보다 조금 일찍 운행을 개시하기도 했다.[6][7] 이로써 65년간 이어져 온 중화버스의 홍콩 섬 버스 운영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2. 신세계제일버스 설립과 운영 (1998-2023)
신세계제일버스의 직접적인 전신은 1924년에 영업을 시작한 중화버스(CMB, 中華汽車_(香港)|중화 버스중국어)이다. 중화버스는 1933년부터 홍콩 섬에서 버스 노선 면허를 받아 운행해왔으나, 1990년대 초부터 서비스 수준 저하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었다. 홍콩 정부는 경쟁 체제 도입을 위해 1991년부터 시티버스에게 중화버스의 노선 일부를 넘겨주었지만[1], 중화버스의 서비스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결국 1998년 2월, 홍콩 정부는 중화버스가 운영하던 140개 노선 전체에 대한 면허를 같은 해 8월 31일 자로 만료시키고 갱신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중 88개 노선은 공개 입찰에 부쳐졌고, 12개 노선은 시티버스에 직접 이관되었으며, 해저 터널 노선 1개는 주룽 버스로 넘어갔고 나머지는 폐지되었다.[2][3]
총 6개 회사가 88개 노선 운영권 입찰에 참여했다.[4][5]
제안된 이름 | 주요 주주 | 현재 상태 |
---|---|---|
애플루언트 드래곤 아일랜드 리미티드 | 중화자동차유한공사 (50%) | - |
스테이지코치 그룹 (50%) | ||
아르고스 버스 | 아르고스 엔터프라이즈(홀딩스) (50%) | - |
HKR 인터내셔널 (50%) | ||
홍콩 퍼블릭 버스 유한회사 | 대중행 (70%) | 관중 버스 |
관중 버스 홀딩스 (30%) | ||
홍콩 유나이티드 버스 유한회사 | 시티버스 그룹 (35%) | 브라보 트랜스포트 |
청쿵 인프라스트럭처 홀딩스 (35%) | ||
중국 여행 국제 투자 홍콩 (25%) | ||
CNT 그룹 (5%) | ||
홍콩 모터 버스 | 구룡 모터 버스 홀딩스 (현재 트랜스포트 인터내셔널) | 트랜스포트 인터내셔널 |
신세계제일버스 | NWS 홀딩스 (74%) | 브라보 트랜스포트 |
퍼스트그룹 (26%) |
당시 NWS 홀딩스는 홍콩 내 버스 운영 경험이 없어 유력 후보로 여겨지지 않았으나, 새로운 시설 투자, 서비스 개선, 기존 중화버스 직원 고용 승계 등을 약속하며 1998년 3월 사업권을 따냈다. 인수 과정에서 중화버스의 비협조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정부의 중재와 협상을 통해 1998년 9월 1일 자정부터 공식적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다만 중화버스가 자정 이후 운행을 거부함에 따라, 일부 노선은 자정 이전에 운행을 개시하기도 했다.[6][7]
신세계제일버스는 운행 시작 당시 약 50대의 신규 버스와 중화버스로부터 인수한 약 710대의 중고 버스로 운영을 시작했다. 인수된 버스에는 중화버스 로고 위에 신세계제일버스 로고를 덧붙여 운행했으며, 대대적인 내부 개조 작업에 착수했다. 바닥재, 손잡이, 조명 등을 교체하고 좌석 배치를 기존 3+2 배열에서 2+2 배열로 변경하여 승객 편의성을 높였다. 이 개조 작업으로 인해 버스당 수용 승객 수는 10명 정도 줄었다.[7] 이후 노후 버스를 꾸준히 교체하여 2016년 1월에는 모든 버스를 저상버스로 교체 완료했다.
2000년 5월, 합작 파트너였던 퍼스트그룹이 보유 지분 전량을 NWS 홀딩스에 매각하면서 신세계제일버스는 NWS 홀딩스의 100% 자회사가 되었다.[8]
2003년 6월, NWS 홀딩스는 경쟁사였던 시티버스를 인수했다. 이로써 홍콩 섬의 버스 노선 대부분이 다시 단일 기업 집단의 관리하에 놓이게 되었다. 인수 이후 두 회사는 중복 노선을 정리하고 노선망을 효율적으로 재편했으며, 옥토퍼스 카드를 이용한 양사 간 환승 할인 제도를 도입했다.[8]
2004년 1월에는 중국 본토로 사업을 확장하여, 윈난성 쿤밍 시 정부와 합작 투자 회사인 '쿤밍 신세계 제일 버스'(昆明新世界第一巴士중국어)를 설립하고 지분 51%를 확보했다. 이 회사는 쿤밍 시내에서 39개 노선, 700여 대의 버스를 운행하게 되었다.[8]
2020년 8월, NWS 홀딩스는 신세계제일버스와 시티버스를 사모펀드 템플워터 브라보(Templewater Bravo), 상장 투자 지주회사 한스 에너지(Hans Energy), 어센달 그룹(Ascendal Group)으로 구성된 브라보 트랜스포트 컨소시엄에 매각했다.[9][10][11][12]
2022년 7월, 브라보 트랜스포트는 2023년 7월 1일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버스 운영권 계약에 맞춰 신세계제일버스 브랜드를 폐지하고 모든 노선과 운영을 시티버스로 통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3][14] 발표대로 2023년 6월 30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신세계제일버스 브랜드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며, 7월 1일부터는 통합된 시티버스가 모든 노선을 운영하게 되었다.[15][19]
2. 3. 시티버스와의 합병 (2023)
2020년 8월, 신세계제일버스는 시티버스와 함께 사모 펀드 회사인 템플워터 브라보, 홍콩 상장 투자 지주 회사인 한스 에너지, 그리고 어센달 그룹으로 구성된 브라보 트랜스포트 컨소시엄에 매각되었다.[9][10][11][12]2022년 7월, 브라보 트랜스포트는 2023년 7월 1일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버스 운행 프랜차이즈에 맞춰 신세계제일버스 브랜드를 폐지하고, 모든 운영을 시티버스와 통합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으며[13][14], 같은 달 12일 홍콩 행정 회의는 이러한 합병 방침을 승인했다.[19]
이에 따라 신세계제일버스는 2023년 6월 30일을 마지막으로 운행을 종료했으며, 다음 날인 7월 1일부터 시티버스와 합병되어 단일 '시티버스' 브랜드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이로써 신세계제일버스 브랜드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15]
3. 차량
2022년 7월 기준으로 신세계제일버스는 650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16] 회사는 헝파춘, 웡척항, 쩡관오, 서구룡 네 곳에 차고를 운영하고 있다.[17]
3. 1. 차고
1998년 영업 개시 당시에는 중화버스에서 인수한 차량 502대와 새로 구입한 202대의 버스로 운행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중화버스의 도색이 남아있는 차량도 있었으나 점차 신세계제일버스의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중화버스에서 인수한 차량 중에는 1974년에 제조된 차량을 포함한 노후 비냉방 차량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1999년부터 대량으로 신차를 구입하여 비냉방 차량을 교체하기 시작했고, 2002년 8월 17일에는 모든 보유 차량의 냉방화를 완료했다. 이 외에도 홍콩 국제 공항의 에어 카고 터미널 회사로부터 양도받은 차량도 운행했다.보유 차량은 2층 버스를 중심으로 볼보 (구 레이랜드 버스), 네오플란, 알렉산더 데니스 (구 데니스) 등 유럽 제조사의 차량이 주를 이루었지만, 중화버스 시절에 구입했던 냉방 차량도 일부 남아 있었다.
일부 홍콩 네티즌들은 신세계제일버스를 '냉방만 되는 중화버스'(冷氣中巴중국어)라고 비판하기도 했는데, 이는 중화버스에서 운영 주체가 바뀐 후에도 서비스 개선이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신세계제일버스가 보유한 차량은 총 715대이다.
차종 | 보유 대수 |
---|---|
논스텝 2층 버스 | 698대 |
논스텝 1층 버스 | 17대 |
3. 2. 과거 차량



1998년 영업 개시 당시, 신세계제일버스는 중화버스(CMB)로부터 인수한 차량 502대와 새로 구입한 202대의 버스로 운행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중화버스의 도색이 그대로 남아있는 차량도 있었으나 점차 신세계제일버스의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중화버스에서 인수한 차량 중에는 1974년에 제조된 차량을 포함하여 오래되고 냉방 시설이 없는 버스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신세계제일버스는 1999년부터 새로운 버스를 대량으로 구입하여 비냉방 차량을 점차 퇴출시켰고, 2002년 8월 17일에는 모든 보유 버스의 냉방화를 완료했다. 이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마지막까지 운행된 비냉방 버스는 데니스 콘도르 모델이었다.[16] 또한, 홍콩 국제 공항의 에어 카고 터미널 회사로부터 중고 버스를 양도받아 운행하기도 했다.
과거 보유했던 차량은 2층 버스가 중심이었으며, 볼보(과거 레이랜드 포함), 네오플란, 알렉산더 데니스(과거 데니스) 등 유럽 제조사의 차량이 주를 이루었다. 중화버스 시절에 구입했던 냉방 차량도 계속 운행되었다.
일부 홍콩 네티즌들은 신세계제일버스가 중화버스로부터 노선을 인수한 후에도 서비스 개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들어 "냉방(만 된) 중화버스"(번체자: 冷氣中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아래는 과거 신세계제일버스가 운행했던 주요 차종들의 목록이다.
'''중화버스 인수 차량 (냉방)'''
제조사 | 모델 | 차체 | 대수 | 버스 번호 | 운행 기간 | 비고 |
---|---|---|---|---|---|---|
데니스 | 콘도르 (초대 A) | 듀플 메트섹 W | 12 | DA1~12 | 1990년~2004년 | 중화버스 인수. DA4, 6, 7는 영국 또는 두바이로 양도. |
콘도르 (초대 B) | 듀플 메트섹 W | 24 | DA13~36 | 1991년~2008년 | 중화버스 인수 | |
콘도르 (2대) | 듀플 메트섹 W | 20 | DA37~56 | 1993년~2011년 | 중화버스 인수 | |
콘도르 (3대) | 듀플 메트섹 W | 26 | DA57~82 | 1996년~ | 중화버스 인수 | |
콘도르 (4대) | 듀플 메트섹 W | 10 | DA83~92 | 1997년~ | 중화버스 인수 | |
레이랜드 | 올림피안 | 알렉산더 타입 RH | 25 | LA1~25 | 1991년~2010년 | 중화버스 인수 |
볼보 | 올림피안 (초대) | 알렉산더 타입 RH | 30 | VA1~30 | 1994년~2013년 | 중화버스 인수. 일부 차량은 MTR 버스에 임대된 적 있음. |
올림피안 (2대) | 알렉산더 타입 RH | 20 | VA31~50 | 1996년~ | 중화버스 인수 | |
올림피안 (3대) | 알렉산더 타입 RH | 11 | VA51~61, VA63 | 1998년~ | 중화버스 인수 |
'''기타 인수 차량 (홍콩 에어 카고 터미널)'''
제조사 | 모델 | 차체 | 대수 | 버스 번호 | 운행 기간 | 비고 |
---|---|---|---|---|---|---|
데니스 | 콘도르, 길이 12m | 듀플 메트섹 W | 4 | DA93~DA96 | 1996년~ | 홍콩 에어 카고 터미널 인수 |
볼보 | 올림피안, 길이 12m | 노던 카운티스 | 2 | VA65~VA66 | 1998년~ | 홍콩 에어 카고 터미널 인수 |
'''신규 도입 차량 (초기 모델 중심)'''
제조사 | 모델 | 차체 | 대수 | 버스 번호 | 도입 시작 연도 | 비고 |
---|---|---|---|---|---|---|
데니스 | 던디 SLF, 길이 10.7m | 플랙스톤 포인터 | 12 | 2022~2025, 2028, 2031~2035, 2038, 2042 | 1998년 | 1층 버스 |
던디 SLF, 길이 10.1m | 플랙스톤 포인터 | 24 | 2061~2065, 2076~2094 | 1999년 | 1층 버스 | |
트라이던트 3, 길이 12m | 알렉산더 ALX500, 듀플 메트섹 DM5000 | 264 | 1001~1190, 1210~1221, 3001~3062 | 1997년 | ||
트라이던트 3, 길이 10.6m | 알렉산더 ALX500 | 15 | 1624, 1639~1640, 1644~1646, 1648, 1653, 1655~1661 | 1999년 | ||
트라이던트 3, 길이 11.3m | 알렉산더 ALX500 | 24 | 1401~1415, 1422~1430 | 1999년 | ||
트라이던트 3, 길이 10.3m, 높이 4.17m | 듀플 메트섹 DM5000 | 60 | 3301~3360 | 1999년 | ||
트라이던트 3, 길이 10.6m | 듀플 메트섹 DM5000 | 1 | 3601 | 2000년 | ||
볼보 | 슈퍼 올림피안, 길이 12m | 알렉산더 ALX500 | 103 | 5001~5103 | 1999년 | |
네오플란 | 센트로라이너, 길이 12m | 차대와 일체화 | 30 | 6001~6030 | 2000년 |
'''중화버스 인수 차량 (비냉방)'''
제조사 | 모델 | 차체 | 대수 | 버스 번호 | 운행 기간 | 비고 |
---|---|---|---|---|---|---|
레이랜드 | 올림피안, 길이 11m | 알렉산더 타입 RH | 10 | LM1~LM10 | 1993년~2000년 | 중화버스 인수, 전 차량 비냉방 |
데니스 | 콘도르, 길이 11m | 듀플 메트섹 W | 28 | DM1~28 | 1990년~2008년 | 중화버스 인수, 냉방/비냉방 혼재. DM6는 오픈탑 버스로 개조 후 2008년 폐차. DM9, 12, 18, 22, 25는 시티버스로 양도 |
데니스 | 콘도르, 길이 12m | 듀플 메트섹 W | 48 | DL1~48 | 1982년~1999년 | 중화버스 인수, 전 차량 비냉방. DL1, DL2는 폐차 후 개인이 보존. |
MCW | 메트로버스, 길이 9.7m | MCW 아폴로 | 10 | MC2~7, MC9~12 | 1978년~1999년 | 중화버스 인수, 전 차량 비냉방. MC6는 오스트레일리아로 수출. |
MCW | 메트로버스, 길이 11.45m | MCW 아폴로 | 39 | MB1~27, MB29~40 | 1979년~1999년 | 중화버스 인수, 전 차량 비냉방. MB5는 폐차 후 개인이 보존. |
MCW | 메트로버스, 길이 12m | MCW 아폴로 | 84 | ML1~84 | 1981년~2000년 | 중화버스 인수, 전 차량 비냉방. |
레이랜드 | 빅토리 Mk2 | 알렉산더 또는 듀플 메트섹 | 163 | LV1~6, LV8, LV9, LV11~56, LV58~167 | 1980년~2000년 | 중화버스 인수, 전 차량 비냉방. LV2, LV30, LV158는 폐차 후 개인이 보존. |
데니스 | 주빌런트 | 알렉산더 CB | 29 | DS1~13, DS15~30 | 1980년~1999년 | 중화버스 인수, 전 차량 비냉방. DS1는 폐차 후 개인이 보존. |
다임러 | 플리트라인 약 10.06m | 알렉산더 CB | 72 | LF13, 18, 21, 26~28 등 | 1974년~1999년 | 중화버스 인수, 전 차량 비냉방. LF26는 폐차 후 개인이 보존. 가장 오래된 인수 차량 포함. |
다임러 | 플리트라인 약 9.14m | 알렉산더 CB | 28 | SF3~26, SF28~31 | 1979년~2000년 | 중화버스 인수, 전 차량 비냉방. SF3, SF8는 폐차 후 개인이 보존. |
데니스 | 댄도 9.8m | 칼라일 | 20 | DC1~20 | 1991년~2002년 | 중화버스 인수, 1층 버스, 비냉방. |
4. 노선
시티버스와의 합병 직전, 신세계제일버스는 총 168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 중 5로 시작하는 세 자리 수 노선(5xx번대)은 본래 1990년대에 도입된 에어컨 장착 버스 노선을 의미했으나, 노선 조정을 거치며 현재는 511번, 592번, 595번 세 개 노선만 남아있다. 2009년 10월부터는 자회사인 릭샤 관광 버스(Rickshaw Sightseeing Bus)를 통해 관광 노선 운영도 시작했다.[17]
신세계제일버스는 1998년 9월 1일, 기존에 홍콩 섬 지역 노선 면허를 가지고 있던 중화 버스(China Motor Bus, CMB)의 노선과 차량 대부분을 인수하며 운행을 시작했다. 중화 버스는 1933년부터 홍콩 섬에서 버스를 운행해왔으나, 서비스 품질 저하 문제로 1998년 이후 면허 갱신에 실패했다.[18] 신세계제일버스는 출범 이후 홍콩 섬을 중심으로 구룡 반도와 신제 지역으로도 노선망을 확장했으며, 합병 전까지 약 700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었다.
2022년 7월 12일, 홍콩 행정 회의는 신세계제일버스와 시티버스의 합병을 승인했다.[19] 이에 따라 신세계제일버스는 2023년 6월 30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종료했으며, 7월 1일부터는 시티버스로 완전히 통합되어 새로운 시티버스(프랜차이즈명 기준)의 일부가 되었다.
자세한 노선 목록은 홍콩의 버스 노선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nwstbus.c[...]
[2]
뉴스
Daily Information Bulletin
http://www.info.gov.[...]
Information Services Department
1998-02-17
[3]
간행물
Panel on Transport (Minutes)
http://www.legco.gov[...]
Provisional Legislative Council
1998-02-21
[4]
뉴스
CKI Forms Consortium To Bid for Bus Tender
http://www.cki.com.h[...]
Cheung Kong Infrastructure Holdings
1998-03-13
[5]
뉴스
Bus groups battle for Hong Kong tender
http://www.heraldsco[...]
The Herald
1998-03-14
[6]
뉴스
UK bus operator wins £55m franchise
https://web.archive.[...]
The Independent
1998-04-01
[7]
간행물
Panel on Transport (Papers)
http://www.legco.gov[...]
Legislative Council Panel on Transport
1998-07-31
[8]
웹사이트
Milestones 2000
http://www.nws.com.h[...]
NWS Holdings
[9]
뉴스
Private equity fund Templewater buys Citybus and New World First Bus in HK$3.2b deal
https://web.archive.[...]
The Standard
2020-08-21
[10]
간행물
Hong Kong sale saves jobs
Buses (magazine)
2020-10-01
[11]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nsortium acquires First Bus and Citybus
https://www.ascendal[...]
NWS Holdings & Templeman
2020-08-21
[12]
웹사이트
Disposal of the entire issued shared capital of NWS Transport Services Limited
https://www.nws.com.[...]
NWS Holdings
2020-08-01
[13]
웹사이트
Bravo Transport Announces the Merger of Citybus and NWFB Franchises into the Newly Created Citybus (Franchise for Urban and New Territories Network)
https://www.bravobus[...]
Bravo Transport
2022-07-12
[14]
뉴스
Citybus and New World First Bus merger plan approved by Executive Council
https://web.archive.[...]
The Standard
2022-07-12
[15]
웹사이트
Hong Kong’s New World First Bus drives into history as it merges with Citybus
https://www.scmp.com[...]
2023-07-01
[16]
뉴스
New World First Bus fans vow to take photos and many rides before colours change to Citybus’ yellow and red following merger
https://web.archive.[...]
South China Morning Post
2022-07-16
[17]
웹사이트
New World First Bus
http://www.td.gov.hk[...]
Hong Kong Transport Department
[18]
문서
中華バスは、路線バスの運行終了後も不動産会社として存続しており、バス路線についても、無料バスとして運行する1路線と、車両を数台所有して運行を続けている。
[19]
뉴스
"城巴合併新巴 港島獨家 恐加票價"
https://orientaldail[...]
香港東方日報
2022-07-13
[20]
문서
DA13、17、29、30は[[イギリス]]もしくは[[ドバイ]]へ譲渡された。
DA14、16、21~23、27、28は観光バス会社の[[ビッグ・バス・ルート・ツアー]]へ譲渡。それ以外の車両は解体済み。
[21]
문서
車内改造工事の後、ハノーバー(Hanover)社製の[[方向幕|電子方向幕]]に変更されている。DA69は車内改造工事に伴い、手すりの色がオレンジ色に変更されている。DA66は2007年12月に[[オープントップバス]]に改造され、[[2008年]][[1月25日]]より、老朽化した非冷房車から改造のDMにかわり、15C系統で走行している。
[22]
문서
10台は[[シティバス (香港)|シティバス]]へ譲渡されている。
[23]
문서
LA24(FJ1017)は路線表示器を装備していた。営業用車として最後の1両となった社番LA21は、[[2010年]][[10月18日]]に82X系統の最終バスとして使用後に廃車。またLA7・LA9・LA21は、営業路線からの引退後に訓練用バスに改造され、社番T11・T5・T14となった。
[24]
문서
2000年頃、定員増加のため、1階席の一部が撤去された。また一部車両は九広鉄道バス(現在のMTRバス)に貸与されていた。車内改造工事の後、ハノーバー(Hanover)社製の[[方向幕|電子方向幕]]に交換された。
[25]
문서
VA62及び64は2001年頃にシティバスへ譲渡され、社番1041・1042(のちに9041・9042へ再変更)となった。また一部車両は九広鉄道バスへ貸与された事がある。VA63は、1998年に[[啓徳空港|旧香港国際空港]]の建物に2階席をぶつける事故を起こし、復旧作業の際に窓ガラスや空調吹き出し口を変更した。VA51~VA55は、[[2009年]]7月にオープントップバスに改装され、[[2009年]][[10月18日]]より「[[人力車觀光巴士]]」「H1懷舊之旅」と「H2動感之旅」として観光路線のH1とH2を使用されているが、VA57は2010年に火事で廃車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