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셰어하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셰어하우스는 여러 사람이 주택을 공유하며 생활하는 주거 형태를 의미한다. 1930년대 영국에서 시작되어, 1990년대부터 북유럽, 미국, 러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2010년대 후반에는 코리빙이라는 현대적인 형태가 등장했다. 셰어하우스는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대안으로 부상했으며, 비용 절감, 공동체 형성, 편리성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높은 가격, 배타성, 운영상의 문제점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외국인 유학생 등을 위한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디자이너 셰어하우스' 등이 등장하며 발전했다. 셰어하우스는 청년층, 1인 가구, 고령층 등 다양한 계층의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으며, 코하우징, 하숙, 공유 경제 등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택 - 식당
    식당은 음식을 먹기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중세 유럽에서 시작되어 현대에는 주방과 통합되거나 다용도로 활용되며,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주택 - 초가
    초가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한국의 전통적인 주거 형태로, 볏짚 지붕과 토담 등을 사용하며 자연 친화적인 생활 방식을 반영하지만, 근대화 과정에서 쇠퇴하여 보존 및 계승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셰어하우스
개요
싱가포르의 코리빙 공간
싱가포르의 코리빙 공간
유형주거 모델
특징공유 공간, 커뮤니티 중심
정의
설명코리빙은 공유 주거의 한 형태로, 개인적인 공간과 공유 공간을 함께 제공하며, 커뮤니티 형성을 강조하는 주거 모델이다.
목표경제적 이점
사회적 연결
편의성 증대
관련 용어공유 주택
플렉스 리빙
특징
구성 요소개인 침실 또는 스튜디오
공유 주방
라운지
작업 공간
야외 공간
강조점커뮤니티 이벤트
공동 활동
장점
경제적 이점임대료, 공과금 절감
사회적 이점외로움 감소
네트워킹 기회
편의성가구 완비
청소 서비스
Wi-Fi 제공
단점
사생활 침해개인 공간 부족
규칙 및 규정엄격한 규칙으로 인한 불편
소음다른 거주자로부터의 소음 발생 가능성
지속 가능성
환경적 이점자원 공유
에너지 효율적인 설계
비판
고급화 및 배제높은 임대료로 인한 접근성 문제
커뮤니티 강요커뮤니티 활동 참여 강요에 대한 반감
개인주의 사회개인주의적 성향과의 충돌 가능성
역사
기원1960년대 덴마크의 코하우징에서 유래
발전기술 발전과 도시화로 인해 2000년대 이후 성장
현재전 세계 주요 도시로 확산
유형
목적 기반특정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 (예: 기업가, 예술가)
라이프스타일 기반특정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들 (예: 디지털 유목민, 건강 중시)
연령 기반특정 연령대의 사람들 (예: 학생, 은퇴자)
미래 전망
성장 가능성주택 부족과 사회적 연결에 대한 요구 증가로 인해 성장 전망
과제규제 문제
확장성 문제
커뮤니티 관리 문제

2. 역사

공동 주거는 현대에 갑자기 등장한 개념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1930년대 초 웰스 코츠가 북런던에 설계한 '아이소콘(Isokon)'은 공용 공간, 작업 공간, 세탁 공간 등을 제공하는 공유 생활 공간이었다.[19]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사이 현대 건축 연구 그룹(MARS)의 모더니스트 담론 발전 노력의 일환이었다.[19] 1937년에는 맥스웰 프라이와 엘리자베스 덴비가 켄살 하우스(Kensal House)를 설립했다.[19]

일본에서 셰어하우스의 기원은 1980년대~1990년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기숙사 형태의 '게스트하우스', '외국인 하우스'였다. 당시에는 배낭여행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이 많아 게스트하우스와 같은 개방적인 분위기였다.

2000년대 셰어하우스가 인기를 얻으며, 저렴함을 강조하거나 도미토리 타입 위주의 사업자가 증가했다. 이에 2005년 [https://www.hituji.jp 히츠지 부동산], 2006년 일본 게스트하우스 연맹(현 [http://japansharehouseorganization.com 일본 셰어하우스 연맹])이 발족하여 셰어하우스 규약 제정 및 시장 정보 발신에 힘썼다. 이 무렵, 인테리어에 신경 쓰고 사업자 주도의 커뮤니티 관리에 힘쓴 디자이너 셰어하우스가 등장, 현재 셰어하우스 대기업으로 성장하는 사업자들이 나타났다.

2008년에는 긱 하우스나 시부야와 같이 공통점을 가진 젊은이들을 위한 셰어하우스가 증가했다. 2013년 인터넷 카페 대기업 만보의 셰어하우스에서 법령 위반, '탈법 하우스' 문제가 발생했다. 2014년 셰어하우스 규제 완화 방향성이 제시, 2019년 규제 완화로 이어졌다. 2019년에는 '호박 마차' 사건으로 셰어하우스 시장에 큰 혼란이 발생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일본 셰어하우스는 2000년대 전반 연간 30%씩 증가했다. 2019년 4867건, 약 6만 세대가 셰어하우스에 거주하며, 간토권을 중심으로 지방에서도 물건 수가 매년 늘고 있다. 1물건당 평균 세대 수는 12세대를 초과한다.

2010년대 중반부터 공통 취미를 가진 입주자를 모집하거나, 사업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셉 셰어하우스가 등장했다. "차", "요리", "영어 회화", "원예" 등 배움이나 체험을 중시하는 셰어하우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싱글맘끼리 돕는 셰어하우스나, 패밀리용 셰어하우스 등 다세대 주택도 등장하고 있다.

2. 1. 한국

한국의 셰어하우스는 1980년대~1990년대 외국인 유학생 및 노동자를 위한 '게스트하우스', '외국인 하우스'에서 기원했다. 2000년대 이후 셰어하우스가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2013년 '탈법 하우스' 문제, 2019년 '호박 마차' 사건 등 셰어하우스 관련 문제점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2010년대 후반부터는 코리빙(Co-living) 개념이 도입되어, 더욱 발전된 형태의 공동 주거 공간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2. 2. 세계

1933년에서 1934년 사이, 웰스 코츠에 의해 북런던에 '아이소콘(Isokon)'이라는 공유 생활 공간이 설계되었다. 이곳은 공용 공간, 작업 공간, 세탁 공간과 같은 편의 시설을 제공했다.[19]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전간기에 현대 건축 연구 그룹(MARS)이 영국에서 모더니스트 담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여겨졌다.[19] 1937년에는 맥스웰 프라이(MARS의 창립 멤버)와 엘리자베스 덴비가 이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켄살 하우스(Kensal House)를 설립했다.[19]

북유럽에서는 콜렉티브 하우스, 미국에서는 코하우징, 러시아에서는 코뮤날카라는 셰어하는 주거 방식이 1990년대부터 존재했다.[52] 2010년대 후반부터는, 코리빙(Co-living)이라는 주거 방식이 구미에서 등장하여, 일본의 셰어하우스와 비슷한 형태가 해외에서도 전개되기 시작했다.[53]

3. 유형

현대적인 셰어하우스는 공동 생활의 한 형태이지만, 전 세계 사람들은 다양한 유형의 셰어하우스를 발전시켜 왔다.[17] 셰어하우스 커뮤니티는 체류 기간, 건물 유형, 커뮤니티 규모, 거주자 인구 통계 등 다양한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도시형 셰어하우스는 100명 이상의 거주자를 수용하고, 젊은 전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며, 6개월 이상 장기 임대만 제공한다. 반면, 시골 셰어하우스는 방 5개짜리 주택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디지털 노마드 사이에서 인기가 높고, 거주자가 매달 렌트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셰어하우스는 비용 절감형, 물리적 공간 형태, 철학적/커뮤니티 기반 등으로 유형을 나눌 수 있다.

3. 1. 비용 절감형

비용 절감을 중시하는 셰어하우스는 대도시의 높은 주거 비용으로 어려움을 겪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다. 미국 시장의 80%에서 주택 가격이 임금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대도시 내에서 저렴한 주거 옵션을 찾고 있다.[18] 많은 셰어하우스 운영 업체들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거 경험을 제공할 기회를 잡았다. 로스앤젤레스의 Haven 셰어하우스, 뉴욕의 Outpost-Club, 유럽의 The Student Hotel과 같은 운영 업체들은 2~4명의 거주자가 같은 방을 사용하는 셰어룸(싱글룸과 함께)을 제공한다. 셰어룸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예비 거주자들은 같은 도시의 스튜디오를 임대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3. 2. 물리적 공간 형태

코리빙은 거주자들에게 공유 부동산 내의 개별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싱글 룸 점유(SRO)와 유사하다. 일부는 전용 욕실이 딸린 개인실을 갖추고 있지만, 공유 욕실도 드물지 않으며, 더 저렴한 가격으로 호스텔과 같은 방식으로 기숙사를 갖춘 공간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개별 공간을 동시에 여러 개 제공하여 다양한 예산과 유형의 거주자를 수용할 수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코리빙 공간이 플랫 셰어와 마찬가지로 최소한 공유 주방과 거실을 제공한다는 점인데, 일반적으로 개별 공간보다 공유 시설에 더 중점을 두기 때문에 더 크고 더 잘 갖춰져 있다.

일부는 온라인 작업을 위한 책상을 제공하거나, 그림이나 목공과 같은 특정 거주자를 위한 스튜디오를 제공하는 등 별도의 작업 공간을 갖추고 있을 수 있다. 더 정교하고 더 넓은 공간에는 카페, 체육관, 영화관 및 기타 편의 시설이 있을 수도 있다.[19]

3. 3. 철학적/커뮤니티 기반

의도적인 공동체의 한 측면은 특히 소규모 독립적인 코리빙 공간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거주자들 간의 공유된 가치, 관심사 또는 삶의 목적이다.[33] 이러한 셰어하우스는 종종 이러한 가치에 맞춰 거주자를 큐레이션하여 강력한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며, 이는 완전히 독립적인 주택 단위에서 자주 발견되는 사회적 고립을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

공동 생활 환경 내 "커뮤니티 유형" 개념은 개인의 생활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사한 관심사, 가치관 및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개인을 일치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스타트업, 다이버, 댄서 또는 원격 근무자를 위한 공동 생활과 같이 공동 생활 공간을 뚜렷한 커뮤니티 유형으로 분류함으로써, 거주자는 더 깊은 수준에서 연결할 수 있는 같은 생각을 가진 개인을 찾을 가능성이 더 크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거주자 간의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길러주고 개인적 및 직업적 성장에 크게 기여한다. 특정 커뮤니티 유형의 선택은 공유 생활 환경이 공유된 열정, 협업 프로젝트 및 상호 지원을 위한 공간이 될 수 있을 때 가장 풍요로워진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4. 장점

셰어하우스는 자원 공유를 통해 지속 가능한 생활 방식을 가능하게 하고, 공동체 형성을 통해 사회적 연결을 강화하며, 편리하고 비용 효율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닌다.


  • 지속 가능성: 셰어하우스는 개인의 에너지, 물, 공간 소비를 줄여 환경 부담을 줄인다. 코합스와 같은 코리빙 기업들은 B Corp 인증을 획득하는 등 지속 가능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6][7][8]

  • 공동체 형성: 셰어하우스는 고독 문제를 겪는 현대인들에게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연구에 따르면, 공동 주거 환경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건강 증진 및 수명 연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9][10][13] Venn과 같은 셰어하우스 운영업체는 입주민들의 고독감 감소 및 사회적 유대감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14]

  • 편리성: 셰어하우스는 단기 임대, 보증금 면제 등 유연한 계약 조건과 가구 완비, 룸메이트 매칭, 공과금 통합 납부 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입주자의 만족도를 높인다.[15]

  • 비용 절감: 셰어하우스는 각종 서비스 통합 제공 및 고밀도 공간 디자인을 통해 기존 주거 형태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16]

4. 1. 지속 가능성

공동 주거는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각 개인이 더 적은 에너지, 물, 공간을 소비하게 하여, 더욱 지속 가능한 생활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6] 더 많은 공용 공간과 개인당 더 적은 공간은 난방 및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줄인다. 1인당 더 적은 바닥 면적은 건물 건설에 필요한 자재의 양을 제한하여 탄소 배출량을 줄인다.[7]

코합스와 같은 여러 코리빙 기업들은 운영에서 지속 가능성을 우선시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환경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상당한 조치를 취했으며, 일부 기업은 B Corp 인증을 획득하여 사회적 및 환경적 성과, 책임성 및 투명성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고 있다.[8]

4. 2. 공동체 형성

공동 주거 회사들은 전 세계적으로 거주자에게 제공하는 가장 큰 혜택으로 https://www.artof.co/coliving-community-facilitation-handbook-artofco 커뮤니티를 꼽는다.[9] 이들은 거주자들에게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게 해주는 사려 깊고, 커뮤니티 중심의 생활 경험을 약속한다. 커뮤니티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킨 트렌드 중 하나는 전 세계 여러 국가의 연구원들이 확인한 고독 유행이다.[10] 연구에 따르면 "고독은 하루 15개비의 담배를 피우는 것만큼 치명적"이며, "고독한 사람들은 건강한 사회적 관계를 가진 사람들보다 조기에 사망할 확률이 50% 더 높다."[11][12]

연구에 따르면 공동 주거 커뮤니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매일의 사회적 상호 작용은 실제로 "건강을 개선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13] 공동 주거 운영자들의 초기 증거는 커뮤니티의 이점을 강조한다. 이스라엘, 독일, 미국에 지점을 둔 이스라엘 공동 주거 운영업체인 Venn은 "Venn에 합류한 지 6개월 만에 고독 수준이 50% 감소"했으며 "구성원 100%가 사회적으로 지원받고 있다고 느낀다"는 것을 발견했다.[14]

4. 3. 편리성

셰어하우스는 유연한 임대 조건과 고객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편리함을 제공한다. 많은 셰어하우스 운영업체는 12개월 임대 계약 대신, 입주자의 역동적인 라이프스타일에 더 잘 맞는 3개월 또는 6개월의 단기 임대 계약을 제공한다. 실제로, 점점 더 많은 셰어하우스에서 매달 계약을 갱신하는 임대 계약과 보증금 면제 옵션을 제공하기 시작했다.[15]

셰어하우스 운영업체는 가구 구매 및 이동, 룸메이트 찾기, 별도의 공과금 납부 등 기존 주거 생활의 여러 불편함을 제거하는 것을 차별화 전략으로 삼는다. 완비된 가구, 룸메이트 매칭 서비스 제공, 단일 임대료에 공과금 포함을 통해, 셰어하우스 운영업체는 "도착해서는 가방만 풀면 되는" 편리한 생활 환경을 조성한다.[15]

4. 4. 비용 절감

셰어하우스의 또 다른 잠재적 이점은 동일 지역의 기존 주거 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이다. 셰어하우스 운영자는 다음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입주자의 비용을 절감한다.[16]

첫째, 많은 셰어하우스 운영자는 하나의 포괄적인 가격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묶는다. 공과금, 가구, 와이파이, 체육관 이용, 청소 서비스 및 편의 시설(예: 종이 타월, 침구 또는 커피)에 대한 별도의 청구서를 지불하는 대신, 셰어하우스 거주자는 모든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지불하는 것에 비해 할인된 가격으로 매달 하나의 청구서를 지불한다.[16]

둘째, 많은 셰어하우스 운영자는 각 거주자가 지불하는 임대료를 줄이기 위해 고밀도 공간 디자인 모델을 사용한다. 스튜디오 또는 2베드룸 유닛 대신 4베드룸 또는 6베드룸 유닛을 운영함으로써 "셰어하우스 유닛의 평방 피트당 임대료는 기존 다세대 유닛보다 훨씬 높을 것"이다.[16]

5. 비판 및 문제점

2013년, 인터넷 카페 대기업 만보가 도쿄도 내에서 셰어하우스라고 칭하며 운영하던 렌탈 오피스가 여러 법령을 위반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 셰어하우스의 일부는 소방법 및 도쿄도 건축 안전 조례 등 법률 및 조례에 규정된 공동 주택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고, "셰어하우스라는 이름뿐인 ''''탈법 하우스''''"라고 문제시되었다.[1] 당시 국토교통상은 "셰어하우스는 건축 기준법상 기숙사에 해당한다"는 공식 견해를 발표하여, 기존 소규모 셰어하우스의 존속이 위협받기도 했다.

2019년에는 사기 전과가 있는 인물이 스루가 은행을 비롯한 여러 관계자를 끌어들여 대규모 사기 사건인 "호박 마차" 사건을 일으켰다.[1] 이 사건으로 인해 셰어하우스의 실제 수요와 맞지 않는 물건이 다수 신축되었다.

6.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셰어하우스, 코리빙 등은 청년층, 1인 가구, 고령층 등 다양한 계층의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주거비 절감, 사회적 연결망 형성, 지속 가능한 생활 방식 추구 등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1] 더불어민주당은 주거 복지 확대 및 주거 취약 계층 지원을 위해 공동 주거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지원 방안 마련에 힘쓰고 있다.[1]

7. 관련 개념


  • 코하우징: 공동 주거와 비슷하지만, 자가 소유 및 공동 관리를 강조하는 주거 형태이다. 1990년대부터 북유럽의 콜렉티브 하우스, 미국의 코하우징, 러시아의 코뮤날카 등 셰어하는 주거 방식이 존재했다. 일본에서도 콜렉티브 하우스가 소수 전개되고 있지만, 셰어하우스와 달리 각 가구에서 수세 시설을 소유하기 때문에 가격대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좀처럼 늘어나지 않고 있다.[52]
  • 하숙: 한국의 전통적인 공동 주거 형태로, 개인 공간과 식사를 제공한다. 여러 세대가 한 채의 집을 공유하는 것은 일본에서도 하숙 등으로 불리며 오래전부터 있었다.
  • 두 지역 거주: 도시와 지방 등 두 지역에 거주지를 마련하는 생활 방식이다. 최근에는 두 지역 거주, 지역의 빈집 활용 및 마을 부흥의 맥락에서 셰어하우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54]
  • 공유 경제: 물품, 서비스, 공간 등을 공유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경제 모델이다. 공유 경제, 기프트 이코노미, 지속 가능한 주거 방식의 관점에서 셰어하우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55]
  • 나가야: 우물 등을 공유하는 에도 시대의 집합 주택으로 셰어하우스와 유사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 그룹 리빙, 서비스형 고령자 주택: 고령자용 커뮤니티를 소구점으로 한 주거 형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Coliving? Part 1/4: The Basic Definition https://www.artof.co[...] 2024-09-28
[2] 논문 The re-emergence of self-managed co-housing in Europe: A critical review of co-housing research http://journals.sage[...] 2016-08-01
[3] 간행물 Significance of Territoriality in Spatial Organization of Co-living Communities https://scindeks.ceo[...]
[4] 웹사이트 Sustainable Coliving Blueprint {{!}} Artof.Co https://www.artof.co[...] 2024-11-16
[5] 웹사이트 Difference between Coliving, Flex Living, and Shared Living https://www.artof.co[...] 2024-11-16
[6] 논문 Collective Residential Spaces in Sustainability Development: Turkish Housing Units within Co-Living Understanding https://iopscience.i[...] 2019-07-01
[7] 웹사이트 Emissions Gap Report 2022 http://www.unep.org/[...] 2023-06-17
[8] 웹사이트 Cohabs - Certified B Corporation - B Lab Global https://www.bcorpora[...] 2024-03-08
[9] 웹사이트 Community Facilitation Handbook: Strategies, Tools & More https://www.artof.co[...] 2024-11-16
[10] 웹사이트 Millennials And The Loneliness Epidemic https://www.forbes.c[...] 2020-11-03
[11] 웹사이트 Loneliness Is as Lethal As Smoking 15 Cigarettes Per Day. Here's What You Can Do About It https://www.inc.com/[...] 2020-11-03
[12] 논문 Social Relationships and Mortality Risk: A Meta-analytic Review https://doi.org/10.1[...] 2010-07-27
[13] 웹사이트 The health benefits of strong relationships https://www.health.h[...] 2010-11-22
[14] 웹사이트 Venn Impact Report 2019 https://global.venn.[...] 2020-11-03
[15] 웹사이트 All Inclusive Coliving - NY, CA, PA, MA https://ollie.co/ 2020-11-03
[16] 논문 Co-Living as an Emerging Market: An Assessment of Co-Living's Long-Term Resiliency https://dspace.mit.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9-09-01
[17] 웹사이트 Stonup - Stonup au Coliving Summit https://stonup.com/b[...] 2020-11-03
[18] 웹사이트 Home prices are rising faster than wages in 80% of U.S. markets https://www.housingw[...] 2020-11-02
[19] 웹사이트 The Collective is Not a New Way of Living – It's an Old One, Commodified https://failedarchit[...] 2016-12-02
[20] 웹사이트 Community types https://coliving.com[...]
[21] 웹사이트 New real estate sectors reflect changing lifestyles in Asia https://www.business[...] 2018-12-15
[22] 웹사이트 All together now: The growing co-living scene in Singapore https://www.business[...] 2018-12-15
[23] 웹사이트 Co-Living Goes Affordable https://www.nytimes.[...] 2019-01-02
[24] 웹사이트 Over 70% millennial willing to consider co-living spaces in top cities: Survey https://realty.econo[...] 2018-12-30
[25] 웹사이트 The Strange, Unique Intimacy of the Roommate Relationship https://www.theatlan[...] 2019-01-02
[26] 웹사이트 The Generation Y and Millennial Response to Coliving https://web.archive.[...] 2019-01-02
[27] 웹사이트 To Keep Rents Down, Some In Big Cities Turn To 'Co-Living' https://www.npr.org/[...] 2018-12-27
[28] 웹사이트 Technologies predicted to be huge in 2019 https://homes.nine.c[...] 2019-01-02
[29] 웹사이트 What eight social trends told us about America's economy in 2018 https://www.bloomber[...] 2019-01-02
[30] 웹사이트 We'll soon co-live in apartments in much the same way we co-work https://qz.com/13836[...] 2018-12-30
[31] 웹사이트 Hotel Icon Ian Schrager Thinks Communal Living Is the Future https://www.nreionli[...] 2019-01-02
[32] 웹사이트 How co-living for old and young could ease Hong Kong's housing crisis and create a more caring community https://www.scmp.com[...] 2019-01-02
[33] 웹사이트 Tiny Rooms, Shared Kitchens: Co-Living on the Rise in Big Cities https://www.wsj.com/[...] 2018-12-27
[34] 웹사이트 About Cohousing https://cohousing.or[...] 2023-09-16
[35]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oliving and cohousing? https://coliving.com[...] 2023-11-21
[36] 웹사이트 【ホームズ】シェアハウスとは?シェアハウスの意味を調べる|不動産用語集 https://www.homes.co[...] 2020-11-19
[37] 웹사이트 シェアハウスの仕組み -シェアハウス入門|ひつじ不動産 https://www.hituji.j[...] 2020-11-19
[38] 웹사이트 第1項 シェア住居とは何か {{!}} シェア住居白書2008 https://www.hituji-r[...] 2020-11-19
[39] 웹사이트 ●ゲストハウス歴史探訪:株式会社日欧交遊企画 編 {{!}} ゲストハウス白書2008 https://www.hituji-r[...] 2020-11-19
[40] 웹사이트 ●ゲストハウス歴史探訪:株式会社オークハウス 編 {{!}} ゲストハウス白書2008 https://www.hituji-r[...] 2020-11-19
[41] 웹사이트 格安シェアハウスをお探しなら加瀬倉庫のシェアハウスにお任せ下さい https://sharehouse.k[...] 2020-11-19
[42] 웹사이트 東京・神奈川の大型シェアハウスならリビタのシェアプレイス https://www.share-pl[...] 2020-11-19
[43] 웹사이트 シェアハウスよりもソーシャルアパートメント|一人暮らしとシェアハウスのいいとこ取りをした新しいライフスタイル https://www.social-a[...] 2020-11-19
[44] 뉴스 脱法ハウス:国の実態調査 業者7割答えず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13-05-26
[45] 웹사이트 【シェアハウス|規制緩和|寄宿舎扱い→施行令・条例改正・告示】 https://www.mc-law.j[...] 2020-11-19
[46] 웹사이트 【最新版】建築基準法が改正ーシェアハウス規制の緩和について解説します https://sharehouse7.[...] 2020-11-19
[47] 웹사이트 スルガ銀行不正融資カボチャの馬車事件はどうなったのか最新情報 https://korekaranoji[...] Coloの部屋 2020-11-19
[48] 웹사이트 シェアハウス市場調査結果の販売開始 :: 全国賃貸住宅新聞 https://www.zenchin.[...] 2020-11-19
[49] 웹사이트 今話題のコンセプトシェアハウスとは?メリットや探し方のコツを大公開 https://www.chintai.[...] 2020-11-19
[50] 웹사이트 シングルマザー向けシェアハウスを探すならマザーポート。新しい暮らしのための家を見つけます https://motherport.n[...] 2020-11-19
[51] 웹사이트 ファミリー向けのシェアハウス|ひつじ不動産 https://www.hituji.j[...] 2020-11-19
[52] 웹사이트 NPO コレクティブハウス社 https://chc.or.jp/ NPO コレクティブハウス社 2020-11-17
[53] 웹사이트 新たなトレンド「コリビング(Co-living)」は生活と仕事の ... https://multiness.ne[...] mistiness.net 2020-11-17
[54] 웹사이트 地方の空き家活用の可能性に迫る、二地域居住のトライアル/NPO法人南房総リパブリック https://localnippon.[...] 2021-02-26
[55] 웹사이트 みんなで持ち寄って、暮らす。アーバンパーマカルチャー最前線、“ギフト”で成り立つシェアハウス「ウェル洋光台」 https://greenz.jp/20[...] グリーンズ 2021-02-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