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하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하숙은 개인 주택에서 방을 빌려 숙박하고, 식사 등 서비스를 제공받는 형태의 주거 방식이다. 19세기부터 1950년대까지 미국 도시에서 널리 퍼졌으며,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인구 이동, 사회적 변화와 관련이 깊다. 하숙집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이용했으며, 사회적 혼합을 촉진하는 역할도 했다. 그러나 도시 개혁과 주택 정책의 변화, 대중교통 발달, 주택 호황 등으로 인해 쇠퇴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택 종류 - 유르트
    유르트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이동식 주거 형태로, 나무 골조에 펠트 천을 덮어 만들며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유목 생활에 적합하고, 스키타이족 시대부터 사용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주택 종류 - 빌라
    빌라는 고대 로마 시대 상류층의 시골 저택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 시대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으며, 시대에 따라 의미와 형태가 변화하여 현대에는 단독주택, 고급 숙박 시설, 소규모 공동주택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하숙
숙박 시설 유형
유형임대 숙박 시설
설명
정의여러 사람이 함께 거주하는 형태의 숙박 시설
특징개인 방 제공
공용 공간 (예: 주방, 거실) 공유
관련 용어하숙
기숙사
고시원
일본 (下宿)
정의일본에서 학생 또는 노동자에게 방을 빌려주고 식사를 제공하는 숙박 형태
역사메이지 시대에 시작되어 다이쇼 시대에 번성
특징비교적 저렴한 가격
가족적인 분위기
현재핵가족화와 함께 감소 추세
관련 용어게스트하우스
한국 (하숙)
정의한국에서 학생들에게 방을 빌려주고 식사를 제공하는 숙박 형태
역사일제강점기부터 존재
특징대학가 주변에 많음
하숙집 주인과의 관계가 중요
현재원룸, 고시원 등 다른 숙박 형태의 등장으로 감소 추세

2. 역사

1917년경 퀸즐랜드주 마루치도르 기숙사


하숙집은 19세기부터 1950년대까지 대부분의 미국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3] 1830년대 보스턴에서는 집주인과 하숙인을 합산했을 때 도시 전체 인구의 1/3에서 1/2이 하숙집에 살았다.[3] 하숙집은 목적에 맞게 지어진 대형 건물에서부터 방 한두 개를 임대하는 경우까지 다양했다. 부유한 가족이 이사하면서 큰 집은 하숙집으로 개조되기도 했다.[3] 19세기 하숙인 역시 부유한 사업가부터 가난한 노동자, 독신자부터 가족까지 폭넓게 활동했다.[3] 당시 도시 거주자의 1/3에서 1/2은 하숙을 하거나 하숙을 받는 형태였다.[4] 1869년 뉴욕의 하숙집 생활비는 주당 2.5달러에서 40USD 사이였다.[3] 일부 하숙집은 채식주의 식단과 같이 특정 선호도를 가진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3]

2. 1. 사회 변화의 영향

하숙은 여러 사회 변화를 가져왔다. 사람들은 대도시로 이주하여 가족과 떨어져 살 수 있게 되었다.[3] 친척과 멀어지면서 사회적 불안감이 생기고, 하숙인들이 존경받지 못한다는 불만도 나타났다.[3] 하숙은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적 교류를 촉진했다.[3] 이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이야기를 접하는 장점이 있었지만, 때로는 불량하거나 위험한 사람들을 만나는 단점도 있었다. 대부분의 하숙인은 남성이었지만, 여성의 경우 선택의 폭이 좁았다. 남녀 공용 하숙은 불쾌한 남성을 만날 수 있다는 위험이 있었고, 여성 전용 하숙은 사창가로 오해받거나 의심받는 경우가 있었다.[3]

하숙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1916년, 개신교 목사인 월터 크럼와일드는 하숙 시스템을 '거미처럼 거미줄을 펴고 문어처럼 팔을 뻗어 조심성 없는 영혼을 잡는 것'이라고 비판했다.[2] 하숙집을 줄이려는 시도는 여성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하숙집은 주로 여성 "관리인"이 운영했기 때문에, 하숙집이 줄어들면 여성이 생계를 유지할 기회도 줄어들었다.[6]

이후 기독교 여자 청년회 같은 단체에서 젊은 여성을 위한 엄격한 기숙사를 제공했다.[3] 이 기숙사는 젊은 미혼 여성을 도시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벽돌과 박격포 정조대"로 여겨졌다.[4] 첼시에 있는 잔 다르크 레지던스는 수녀회가 운영하며, 젊은 프랑스 재봉사나 보모에게 주거 공간을 제공했다.[4] 가족과 함께 하숙하는 기혼 여성은 집안일이나 육아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3] 하숙은 여성 임차인과 관련이 깊지만, 월트 휘트먼이나 에드거 앨런 포 같은 남성 작가들도 하숙을 했다.[4]

1880년대 이후 도시 개혁가들은 도시 현대화를 추진했다. 이들은 "지역 내 균일성, 사회 계층 간 혼합 감소, 가족의 프라이버시 최대화, 활동 밀도 감소, 거리에서 떨어진 건물, 영구적인 질서"를 추구했으며, 이는 독신자를 위한 주택을 줄이거나 없애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2] 1930년대 초, 도시 개혁가들은 "사립 주택의 균일하고 보호된 단독 주거 지구"를 만들기 위해 규정과 구역 설정을 활용했다.[2] 1936년, FHA 재산 표준은 주거 시설을 "주로 주거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구조물"로 정의하면서, "상업용 하숙집, 관광 숙소, 요양소, 관광 오두막, 클럽 또는 사교 클럽"은 "개인 주방과 개인 욕실"이 없으므로 주거 시설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명시했다.[2] 그 결과 20세기 초 하숙은 점차 줄어들었다. 대중교통 발달로 더 많은 도시 거주자가 교외에 살면서 도시로 출퇴근할 수 있게 된 것도 하숙 감소의 한 요인이었다.[3]

2. 2. 쇠퇴와 변화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하숙은 미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쇠퇴하기 시작했다.[3]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학생, 독신 노동자, 이민자, 신혼부부 등이 고향을 떠나거나 도시에 왔을 때 하숙집에서 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7] 그러나 1950년대 주택 호황으로 중산층 신규 이주민들은 নিজেদের의 집이나 아파트를 소유하게 되었고, 하숙집은 점차 고등학교 졸업생, 저임금 노동자, 실업자 등이 주로 이용하게 되었다.[7] 1960년대에 들어서 하숙집은 공식적인 도시 정책에서 무시되는 경향이 있어 더욱 쇠퇴하였다.

3. 형태 및 운영

하숙집은 하숙인이 방을 빌려 생활하는 집으로, 보통 가정집 형태를 띤다. 하숙인은 몇 주, 몇 달, 몇 년 등 장기간 방을 임대하며, 집의 공용 공간은 함께 사용한다. 세탁 및 청소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숙식", 즉 식사와 숙박을 함께 제공받는다.[2]

하숙인은 법적으로 방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만 가질 뿐, 방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는 없다. 따라서 집주인은 하숙방에 출입할 수 있다.

20세기 초 북부 캐나다의 광부 하숙집에서의 저녁 식사


과거에는 하숙인들이 세탁 시설, 아침 식사, 식사 시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각 방에 개별적인 세탁 시설과 화장실을 갖추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러한 하숙집은 영국의 해변 도시나 대학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해변 도시에서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대학 도시에서는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한두 명의 나이 많은 장기 거주자가 함께 사는 경우도 있다.

하숙은 B&B(침대와 아침 식사), 하프 보드(침대, 아침 식사, 저녁 식사), 풀 보드(침대, 아침 식사, 점심, 저녁 식사)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자녀가 있는 가족에게 하숙(특히 풀 보드)은 저렴한 숙박 대안이 될 수 있다.

3. 1. 요금 및 계약

대부분 식사가 제공되며, 요금은 방세에 아침 식사와 저녁 식사의 식사 요금이 가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식사가 딸린 것을 '하숙', 단순히 방만 빌려주는 것을 '아파트', '셋방'이라고 부르며 대조하는 경우도 있으며, 국세청의 통달에서도 그 용법을 채택하고 있다.[8]

1869년 뉴욕에서 기숙사 생활비는 주당 2.5달러에서 40USD였다.[3]

3. 2. 일본의 하숙

일본에서 하숙을 제공하는 측은 '''하숙집'''이라고 불린다. 자택에서 통학이 어려운 학생을 위해 민가의 일부를 제공하는 형태로 경영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고등학교, 대학교, 단기대학, 고등전문학교, 전수학교 등에 인접한 구역에 밀집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계절 노동 (출가)으로 일하는 기간공 등의 숙소로 사용되는 시설도 있으며, 공업지대나 상업지대 근처에 설치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최근에는 취사가 어려운 사회인이 단신 부임용 숙소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대부분 식사가 제공되며, 요금은 방세에 아침 식사와 저녁 식사의 식사 요금이 가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식사가 딸린 것을 '하숙', 단순히 방만 빌려주는 것을 '아파트', '셋방'이라고 부르며 대조하는 경우도 있으며, 국세청의 통달에서도 그 용법을 채택하고 있다.[8]

최근에는 학생을 중심으로 아르바이트부활동이 있는 관계로, 하숙의 정석이라고 여겨지던 통금 시간을 지킬 수 없는 경우도 많아, 하숙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학생 전용이었던 하숙이 사회인에게도 문호를 개방하여 통금을 없애거나, 아파트나 맨션으로 개축하여 사실상 하숙으로서의 영업을 그만두는 경영자도 나오고 있다.

4. 유사 개념

미국에서는 룸하우스로도 알려진 숙박 시설은 식사를 제공할 수도 있고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싱글룸 거주(SRO) 건물은 거주자에게 개별 방을 임대하고 공동 욕실을 사용하며, 일부 건물은 공동 주방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3] 고등학생을 위한 기숙사 숙소는 구내식당이 포함된 경우 하숙집과 유사하다.[3]

2010년대에는 건물 내에 한두 개의 방을 임대하고 공유 공간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아파트가 하숙집과 매우 유사하다.[3] 공유 코워킹 임대 공간으로 주로 알려진 회사인 위워크는 임차인이 개인 침실을 사용하지만 주방, 거실 및 기타 공용 공간을 공유하는 공유 주택도 제공하고 있다.

비앤비 숙박 시설은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존재하며, 투숙객이나 하숙생이 일반적으로 아침 식사를 포함한 숙박만 이용하며 장기 거주는 드문 하숙집의 전문적인 형태이다.

일본에서는 민숙이 하숙집과 거의 유사하지만, 일반적인 형태는 영국의 하프보드와 동일하다. 하와이에서는 생활비가 높고 소득이 간신히 유지되기 때문에 하숙인(영국 용어로는 하숙생)을 들여 전체 임대료 또는 주택 담보 대출 지불 부담을 공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도 아대륙에서는 하숙생을 "페이잉 게스트"라고도 한다. 이들은 집에 머물면서 국내 시설을 갖춘 방을 공유하며, 요금은 명목상 월별 요금으로 음식, 침대, 테이블 및 찬장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어로 방을 빌려 사용하는 형태의 숙소를 보딩 하우스(Boarding House)라고 하며,[10] 이는 하숙(하숙집) 또는 기숙사로 번역된다. 프랑스어의 "pension"(팡숑)은 원래 "연금"을 의미하며, 은퇴한 연금 생활자가 생계의 일환으로 운영하는 하숙업을 가리킨다.[11]

5. 법적 제한

미국에서는 구역 설정이 하숙집을 제한하거나 완전히 금지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한국에서 하숙 영업은 공중위생관리법에 규정된 숙박 시설이며, "시설을 갖추어, 한 달 이상의 기간을 단위로 숙박료를 받고, 사람을 숙박시키는 영업을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다(공중위생관리법 제2조 제5항).[9] 하숙 영업을 포함하여 숙박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시·도지사(보건소를 설치하는 또는 특별구에서는 시장 또는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공중위생관리법 제3조 제1항 본문). 다만, 이미 호텔 영업, 여관 영업, 간이 숙소 영업의 허가를 받은 자가, 해당 시설에서 하숙 영업을 경영하려는 경우에는 별도로 허가를 받을 필요는 없다(공중위생관리법 제3조 제1항 단서).[9]

하숙 영업 시설의 구조 설비 기준에 관해서는, 여관업법 시행령에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여관업 시행령 1조 4항).[9]


  • 적절한 환기, 채광, 조명, 방습 및 배수 설비를 갖출 것.
  • 해당 시설에 근접하여 공중 목욕탕이 있는 등 입욕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인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숙박자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규모의 입욕 설비를 갖출 것.
  • 숙박자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적절한 규모의 세면 설비를 갖출 것.
  • 적절한 수의 변소를 갖출 것.
  • 그 외 도도부현조례로 정하는 구조 설비 기준에 적합할 것.


건축기준법 제2조에서는 주거계 용도의 건물을 용도별로 주택, 공동주택, 기숙사, 하숙의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9] 하숙용 건물은 건축기준법상 특수 건축물에 해당한다.[9]

6. 대중문화 속 하숙집

작은 아씨들에서 조 마치는 문학 경력을 쌓기 위해 뉴욕으로 이주하여 다양한 하숙생들을 만나는 하숙집에서 생활한다. 그녀는 그들 중 한 명인 베어 교수를 만나 관계를 발전시킨다. 셜록 홈즈는 221B 베이커 가에서 살았으며, 그의 집주인 허드슨 부인이 약간의 가사 서비스를 제공했다.[1] 토마스 울프는 저서 고향으로, 천사여에서 20세기 초 애쉬빌에 있는 그의 어머니의 하숙집 "딕시랜드"에서 성장하는 그의 삶을 풍부하게 기록한다.[2]

애디 워커는 아메리칸 걸 역사 컬렉션의 등장인물로, 1860년대 중반을 배경으로 그녀와 가족이 필라델피아의 하숙집에서 생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등장인물 클로디 웰스는 1922년 할렘의 하숙집에서 살고 있으며, 대공황 시대의 등장인물인 키트 키트리지의 가족은 추가 수입을 위해 집을 하숙집으로 바꾼다.[3] 메리 로버츠 라인하트는 1913년에 하숙집 미스터리 소설 제니 브라이스의 사건을 썼다.[4] H. G. 웰스는 소설 꿈(1924)에서 에드워드 시대의 하숙집을 풍자했다.[5]

E. 필립스 오펜하임은 첩보 소설 팰리스 크레센트의 이상한 하숙인들(1934)을 런던의 하숙집을 배경으로 했다.[6] 패트릭 해밀턴의 1941년 소설 행오버 스퀘어의 클라이맥스는 메이든헤드 하숙집에서 일어난다.[7] 린 리드 뱅크스의 1960년 소설 L자형 방은 허름한 하숙집을 배경으로 한다.[8] 스티븐 킹의 1975년 공포 소설 살렘스 롯의 주인공 벤 미어스는 에바 밀러의 하숙집에 머문다.[9]

트루 그릿에서 주인공 매티 로스는 모나크 하숙집에 머물며, 장기 거주자 터너 할머니와 침대를 함께 사용한다.[10] 호레이쇼 앨저의 19세기 넝마주이 성공담의 젊은 영웅들은 종종 하숙집에서의 삶을 경험하며, 부도덕한 하숙집 주인과 친절한 하숙집 주인을 모두 묘사한다.[11] 테리 프래쳇디스크월드 소설 진실에서 주인공 윌리엄 드 워드는 아르카눔 부인의 품위있는 일하는 남성들을 위한 하숙집에서 산다(2000).

다음은 하숙집을 배경으로 하거나 하숙집이 등장하는 영화 및 TV 프로그램, 만화 등이다.


  • 1914년 영화: ''스타 보더''
  • 1922년 영화: ''어둠 속의 빛''
  • 1927년 영화: ''하숙인''
  • 1931년 영화: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 1933년 영화: ''콩의 아들'' - 칼 덴햄(로버트 암스트롱)
  • 1936년 영화: ''풀먼의 고통'' - 쓰리 스투지스
  • 1937년 영화: ''무대 문''
  • 1939년 영화: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의 이야기'' -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돈 아메체)
  • 1941년 영화: ''시민 케인'' - 케인의 부모
  • 1942년 영화: ''양키 두들 댄디'' - 조지 M. 코한(제임스 캐그니)
  • 1942년 영화: ''매그니피션트 앰버슨스'' - 원래 결말
  • 1945년 영화: ''그린 속의 여자''
  • 1946년 영화: ''멋진 인생'' - 베일리 부인
  • 1950년 영화: ''라이딩 하이''
  • 1950년 영화: ''미스터리 스트리트'' - 스머링 부인(엘사 렌체스터)
  • 1951년 영화: ''지구가 멈추는 날''
  • 1952년 영화: ''윌 로저스의 이야기'' - 윌 로저스(윌 로저스 주니어.)
  • 1957년 영화: ''버스터 키튼 스토리'' - 키튼 가족
  • 1966년 영화: ''유령과 미스터 치킨'' - 루터 헤그스(돈 노츠)
  • 1976년 영화: ''더 슈티스트'' - J. B. 북스(존 웨인)
  • 1982년 영화: ''거짓말쟁이의 달'' - 잭 던컨과 지니 피터슨
  • 영화: ''크립트에서 온 이야기: 악마 기사''
  • 영화: ''스노우'' - 샌디 브룩스와 닉 스노든
  • 영화: ''브루클린'' - 에일리스 레이시
  • 2011년 애니메이션 영화: ''코쿠리코 언덕에서'' - 우미
  • 알프레드 히치콕 쇼: "여주인", "먼지 덮인 서랍" 등
  • 인형극: 버비 (하숙집 운영)
  • 미스터 빈: 초기 에피소드
  • 만화: ''그루비 굴리스'' - 호러블 홀
  • 1981년 CBS 텔레비전 영화 공포 영화: 허수아비의 어두운 밤 - 오티스 P. 헤이즐리그
  • 니켈로데온 텔레비전 쇼: ''헤이 아놀드!'' - 선셋 암즈 (소유: 필립 "필" 쇼트먼, 거트루드 "거티" 쇼트먼)
  • ''뱀파이어 다이어리'' - 스테판과 데이먼 살바토레
  • ''앤디 그리피스 쇼'' - 버니 파이프
  • 대한민국 텔레비전 시리즈: 응답하라 1994
  • ''토치우드'' 에피소드 "불멸의 죄" - 잭 하크니스, 앤젤로 콜라산토
  • 캐나다 역사 드라마: ''머독 미스터리''
  • 언웰: 미드웨스턴 고딕 미스터리 - 닷 하퍼
  • 만화: 블룸 카운티 - 블룸 하숙집(마일로 블룸 가족 소유)
  • 만화: ''우리 하숙집(Our Boarding House)''(1921–1984) - 호플 부인

7. 한국의 하숙집

하숙집은 19세기부터 1950년대까지 미국의 여러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1830년대 보스턴에서는 집주인과 하숙인을 합치면 도시 전체 인구의 1/3에서 1/2이 하숙집에 살았다. 하숙집은 방 한두 개를 임대하는 경우부터 목적에 맞게 지어진 대형 건물까지 다양했다. 부유한 가족이 더 세련된 동네로 이사하면서 큰 집은 하숙집으로 개조되기도 했다. 19세기 하숙인은 부유한 사업가부터 가난한 노동자, 독신자부터 가족까지 폭넓었다. 19세기 도시 거주자의 1/3에서 1/2은 하숙을 하거나 하숙집에 살았다. 1869년 뉴욕의 하숙집 생활비는 주당 2.5달러에서 40USD 사이였다.[1] 일부 하숙집은 채식주의 식사와 같이 특정 직업이나 선호도를 가진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1]

7. 1. 역사

19세기부터 1950년대까지 미국의 여러 도시에서 하숙집을 흔히 볼 수 있었다. 1830년대 보스턴에서는 집주인과 하숙인을 합치면 도시 전체 인구의 1/3에서 1/2이 하숙집에 살았다. 하숙집은 방 한두 개를 임대하는 경우부터 목적에 맞게 지어진 대형 건물까지 다양했다. 부유한 가족이 더 세련된 동네로 이사하면서 큰 집은 하숙집으로 개조되기도 했다. 19세기 하숙인은 부유한 사업가부터 가난한 노동자, 독신자부터 가족까지 폭넓었다. 당시 도시 거주자의 1/3에서 1/2은 하숙을 하거나, 하숙집에 살았다. 1869년 뉴욕의 하숙집 생활비는 주당 2.5달러에서 40USD 사이였다.[1] 일부 하숙집은 채식주의 식사와 같이 특정 직업이나 선호도를 가진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1]

참조

[1] EB1911
[2] 서적 Living Downtown: The History of Residential Hotels in the United States http://ark.cdlib.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3] 뉴스 Boardinghouses: Where the City was Born https://www.bostongl[...] 2018-04-20
[4] 뉴스 A Brief History of Co-Living Spaces https://www.citylab.[...] City Lab 2018-11-10
[5] 서적 Wholesale prices, wages, and transportation. Report by Mr. Aldrich, from the Committee on Finance, March 3, 1893 Washington 1893
[6] 서적 Living Downtown: The History of Residential Hotels in the United States http://ark.cdlib.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Rooming Houses in Toronto, 1972–94 http://www.urbancent[...] Rupert Community Residential Services 2018-11-10
[8] 웹사이트 法第26条《不動産所得》関係 https://www.nta.go.j[...] 国税庁 2022-12-16
[9] 웹사이트 シェアハウスの今日的課題 https://www.hosyo.or[...] 公益社団法人全国宅地建物取引業保証協会 2020-02-12
[10] 간행물 相馬永胤日記が伝える建国100年のアメリカ : 相馬はどのようなアメリカそしてニューヨークを体験したのか https://doi.org/10.3[...] 専修大学学会 2021-06-10
[11] 웹사이트 パンション https://www.jhs.ac.j[...] ホテリエガイド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