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우크라이나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우크라이나 전쟁은 1917년부터 1921년까지 우크라이나와 소비에트 러시아 간에 벌어진 일련의 무력 충돌을 의미한다. 이 전쟁은 러시아 혁명 이후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둘러싸고 발생했으며,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볼셰비키 세력 간의 갈등, 그리고 폴란드, 독일 등 주변국의 개입으로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전쟁 결과, 우크라이나 영토는 분할되어 대부분이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통합되었고, 서우크라이나는 폴란드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전쟁은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의 좌절과 함께 소련의 우크라이나 지배를 확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1년 우크라이나 - 리가 조약
리가 조약은 1921년 폴란드와 소비에트 러시아 간에 체결되어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을 종식시키고 폴란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간의 국경을 확정했지만,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독립 운동에 타격을 주고 폴란드 내 소수 민족 문제를 야기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무효화되었다.
소련-우크라이나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기간 | 1917년 11월 8일 – 1921년 11월 17일 |
장소 | 우크라이나 |
결과 | 볼셰비키의 승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및 소비에트 연방에 합병 리가 조약으로 폴란드 제2공화국과 소련 간 우크라이나 분할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우크라이나 갈리치아군 (1918년) (1918년) (1920년–1921년) |
교전국 2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기타 교전 세력 | (1918년–1919년) 백군 운동 (1919년–1920년) (1918년) (1920년–1921년) |
지휘관 | |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 시몬 페틀류라 미하일로 파울렌코 올렉산드르 우도비첸코 |
소련 | 미하일 무라비예프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세옌코 게오르기 퍄타코프 볼로디미르 자톤스키 니콜라이 시초르스 |
기타 | 안톤 데니킨 표트르 브란겔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파울로 스코로파즈키 |
마흐노우슈치나 | 네스토르 마흐노 세멘 카레트니크 (처형) 페디르 시추스 (전사) 빅토르 빌라시 |
2. 역사적 배경
소련의 역사 기술에서 이 무력 분쟁은 러시아 내전의 일부로 묘사된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이 전쟁이 시몬 페트류라가 이끄는 국민 정부와 레닌이 이끄는 러시아 볼셰비키 정부 사이에 벌어진 것으로 간주된다.
전쟁은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 1917년 12월 – 1918년 4월: 혁명의 시기, 볼셰비키의 쿠데타 시도, 붉은 군대의 우크라이나 침공, 보호 조약 체결, 볼셰비키로부터의 해방.
- 1918년 12월 – 1919년 12월: 우크라이나 내전, 붉은 군대의 전면적인 침공, 우크라이나 통합, 반소 농민 봉기, 데니킨의 의용군과 연합국의 개입, 서우크라이나의 폴란드 할양.
- 1920년 봄 – 1921년 가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바르샤바 조약), 러시아 내전 (볼셰비키 군대와 남러시아군) 사이, 우크라이나 게릴라 작전 (제1차 및 제2차 겨울 작전), 망명 정부.
1917년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공화국 (구 러시아 제국) 내의 민족들은 페트로그라드로부터의 민족 자치를 요구했다. 1917년 여름, 러시아 임시 정부는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에 대한 지방 행정을 승인했다.
1917년 11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10월 혁명으로 알려진 임시 정부에 대한 볼셰비키의 무장 쿠데타를 비난하고, 우크라이나에서 이와 유사한 쿠데타 시도에 단호히 맞서 싸울 것이라고 선언했다. 키예프 군관구 사령부는 볼셰비키 쿠데타를 막으려 했고, 이는 시가전으로 이어져 결국 친볼셰비키 병력이 도시에서 항복했다.
1917년 11월 14일,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는 "우크라이나 시민에게 보내는 중앙 평의회의 호소문"을 발표하여 우크라이나의 국가 권력을 자체적으로 이관하는 것을 승인했다. 11월 20일, 라다는 우크라이나를 러시아 공화국의 자치 지역인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으로 선언하고, 1918년 1월 9일 우크라이나 제헌 의회 선거를 예정했다.
1917년 12월 17일, 소브나르콤은 라다에게 "반혁명적 행동"을 중단하거나 전쟁을 준비하라는 48시간의 최후 통첩을 보냈다. 같은 날, 키예프의 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회의는 볼셰비키 대표단이 떠난 후, 우크라이나 정부의 권위를 인정하고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의 최후 통첩을 비난했다. 키예프 볼셰비키는 그 회의를 비난하고 하르키우에서 또 다른 회의를 예정했다. 다음 날, 모스크바의 소브나르콤은 전쟁을 결정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세옌코를 칼레딘과 남러시아에 대한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우크라이나 (브랸스크 – 벨고로드) 국경 근처에서 붉은 군대가 모이기 시작했다.
하르키우로 도망간 키예프 볼셰비키는 도네츠크-크리보이 로크 소비에트 공화국의 지역 소비에트 회의에 합류했다. 그들은 이 회의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인민 공화국의 창설을 발표하는 제1차 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회의로 선언했다. 1918년 1월 2일, 중앙 라다를 인민의 적으로 선언하며 라다에 선전포고를 했다. 라다는 그 후 1918년 1월 22일 페트로그라드와의 모든 관계를 끊고 독립을 선언했다.[1][2] 이 시점에서 볼셰비키 군대가 러시아로부터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시작했다.[3] 하르키우, 모스크바, 민스크 및 발트 함대에서 온 러시아 군대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4]
2. 1. 러시아 혁명과 우크라이나의 독립 운동
1917년 2월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자, 우크라이나에서는 민족 자결주의 운동이 활발해졌다.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를 중심으로 한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을 선포하고 자치 정부를 수립했다.[25] 그러나 러시아 임시 정부는 우크라이나의 자치 요구를 완전히 수용하지 않았다.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 정권이 들어서면서, 우크라이나와 소비에트 러시아 간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1917년 11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10월 혁명을 일으킨 볼셰비키의 무장 쿠데타를 비난하고, 우크라이나에서 이와 유사한 쿠데타 시도에 단호히 맞서 싸울 것이라고 선언했다.[25]
1917년 12월 17일,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는 라다에게 "반혁명적 행동"을 중단하라는 48시간의 최후 통첩을 보냈지만, 라다는 이를 거부했다.[1][2] 같은 날, 키예프의 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회의는 볼셰비키 대표단이 떠난 후, 우크라이나 정부의 권위를 인정하고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의 최후 통첩을 비난했다.
결국, 모스크바의 소브나르콤(인민위원평의회)는 전쟁을 결정, 블라디미르 레닌은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세옌코를 남러시아에 대한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1918년 1월 22일, 라다는 페트로그라드와의 모든 관계를 끊고 독립을 선언하여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을 시작했다.[3] 이 시점에 볼셰비키 군대가 러시아로부터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시작했다.[4]
1917년 11월 헌법 제정 회의 선거에서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이 52%의 표를 얻었고, 우크라이나 공산당(볼셰비키)는 10%에 그쳤다.
다음은 주요 사건들을 시간 순으로 정리한 표이다.
날짜 | 사건 |
---|---|
1917년 10월 7일 | 10월 혁명으로 러시아 임시 정부 붕괴, 소비에트 정권 성립. |
1917년 11월 20일 | 키예프에서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수립 선언. |
1917년 12월 11일 | 볼셰비키가 "제1회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대회" 개최, 인민 서기국 선출, 하르키우에 소비에트 정부 수립.[25] |
1917년 12월 17일 |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가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에 최후 통첩을 보냄. |
1917년 12월 25일 | 소비에트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침공. |
1917년 12월 26일 | 소비에트군이 하르키우 점령, 소비에트계 우크라이나 괴뢰 정권 수립. |
2. 2. 소비에트 러시아의 개입과 우크라이나 내부 갈등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는 하르키우에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인민 공화국을 수립하고 중앙 라다에 대항했다.[25] 1917년 12월 17일,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는 중앙 라다에 최후 통첩을 보냈으나, 라다는 이를 거부했다.[1] 같은 날, 키예프의 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회의는 우크라이나 정부의 권위를 인정하고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의 최후 통첩을 비난했다. 키예프 볼셰비키는 이 회의를 비난하고 하르키우에서 새로운 회의를 소집했다.1917년 12월 25일, 볼셰비키의 지원을 받는 소비에트 정권인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소비에트파)이 하르키우에서 수립을 선언했다.[25] 이들은 1918년 1월 2일 중앙 라다를 인민의 적으로 선언하고 전쟁을 선포했다.[1][2]
볼셰비키는 우크라이나를 자국의 영향력 아래 두려 했고, 이를 위해 군사적 개입을 시도했다. 1917년 12월, 블라디미르 레닌은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세옌코를 남러시아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붉은 군대는 우크라이나 국경 근처에 집결하기 시작했다.[1] 1918년 1월, 혁명 원정군이 키예프에 총공격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군사 개입이 시작되었다.[25]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는 독립 노선을 둘러싸고 다양한 정치 세력 간의 갈등이 존재했다. 1917년 11월 헌법 제정 회의 선거에서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이 52%의 표를 얻은 반면, 우크라이나 공산당(볼셰비키)은 10%에 그쳤다. 1917년 12월 16-18일 키이우의 소비에트 회의에서의 선거에서도 우크라이나 공산당(볼셰비키)은 11%밖에 획득하지 못했다.
3. 전쟁의 전개
1919년 1월 16일, 우크라이나 집정 내각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 전쟁을 선포했다. 이에 앞서 1월 6일, 하르키우에서는 소비에트의 괴뢰 정권인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수도는 하르키우로 선언되었다. 1월 22일, 키이우에서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병합이 선언되었으나, 2월 5일 소비에트군이 키이우를 점령하면서 우크라이나 집정 내각은 우안 우크라이나로 피난했다.
5월 24일, 우크라이나 집정 내각은 폴란드군과 강화 조약을 맺고 포돌리아 지방에 거점을 마련했다. 그러나 5월 7일 소비에트군이 포돌리아로 진입하자, 7월 16일 우크라이나군은 반격을 시작하여 소비에트군을 몰아냈다. 이후 8월 12일 빈니차, 8월 21일 지토미르를 해방하는 등 연이어 승리했다. 8월 31일에는 키이우를 탈환했으나, 백군의 압박으로 철수했다.
11월 6일, 우크라이나군 일부가 백군으로 전향하면서 우크라이나 집정 내각은 다시 포돌리아 지방으로 철수했다. 12월 4일, 우크라이나 집정 내각은 백군, 소비에트 적군, 폴란드군에 포위되었고, 우크라이나군은 정식 군사 행동을 중단하고 게릴라전을 시작했다. 12월 4일부터 1920년 5월 6일까지는 우크라이나 중부에서 제1차 겨울 작전을 실행했다.
1920년 4월 21일, 시몬 페트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망명 정부는 폴란드 정부와 공수 동맹을 체결했다. 4월 25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이 발발하면서 우크라이나군은 폴란드군에 협력했고, 5월 7일 폴란드-우크라이나 동맹군은 키예프를 해방했다. 그러나 6월 14일 소비에트군이 다시 키예프를 탈환했고, 8월에는 서우크라이나를 점령했다. 8월 15일, 바르샤바 전투에서 소비에트군의 진격이 저지되면서 전세는 역전되었다.
10월 18일, 폴란드 정부는 소비에트 정부와 강화 조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군은 독자적으로 전투를 계속하며 우크라이나 중부에서 제2차 겨울 작전을 실행했다. 11월 21일, 우크라이나군은 폴란드 영토로 철수했지만, 폴란드 정부에 의해 강제 수용소에 억류되었다.
3. 1. 제1차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 (1917-1918)
1917년 12월 17일, 소브나르콤은 중앙 라다에게 "반혁명적 행동"을 중단하거나 전쟁을 준비하라는 48시간 최후통첩을 보냈다.[1] 같은 날, 키예프의 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회의는 볼셰비키 대표단이 떠난 후 우크라이나 정부의 권위를 인정하고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의 최후통첩을 비난했다.[1] 키예프 볼셰비키는 이 회의를 비난하고 하르키우에서 다른 회의를 열었다. 다음 날, 모스크바의 소브나르콤은 전쟁을 결정했다.[1] 블라디미르 레닌은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세옌코를 남러시아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우크라이나 국경 근처에서 붉은 군대가 모이기 시작했다.[1]하르키우로 도망간 키예프 볼셰비키는 도네츠크-크리보이 로크 소비에트 공화국의 지역 소비에트 회의에 합류하여 제1차 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회의를 열고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인민 공화국 창설을 선언했다. 1918년 1월 2일, 중앙 라다를 인민의 적으로 선언하며 전쟁을 선포했다.[1] 1918년 1월 22일, 라다는 페트로그라드와의 모든 관계를 끊고 독립을 선언했다.[1][2] 이 시점에 볼셰비키 군대가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시작했다.[3] 하르키우, 모스크바, 민스크 및 발트 함대에서 온 러시아 군대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4]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세옌코와 미하일 아르테미예비치 무라비요프가 지휘하는 약 3만 명의 볼셰비키 군대는 북동쪽에서 진격을 시작했다.[5] 당시 우크라이나군은 약 15,000명이었다.
볼셰비키가 키예프로 진격하면서, 1918년 1월 29일 크루티 전투에서 500명 미만의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부대가 격렬하게 저항했다.[7] 이 전투에서 약 250명이 사망했다.
1918년 1월 29일, 키예프 아스날 공장에서 볼셰비키가 조직한 무장 봉기인 키예프 아스날 1월 봉기가 시작되었다. 2월 3일, 중앙 라다와 페틀류리스트 군대는 도시에 공세를 가했다.[8] 6일간의 전투 끝에 봉기는 진압되었고,[9] 300명의 볼셰비키 노동자가 사망했다. 2월 8일, 우크라이나 정부는 키예프를 철수했고, 2월 9일 소련군이 키예프에 진입했다.
볼셰비키가 키예프를 점령한 후, 1918년 2월 9일 UNR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체결하여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로부터 45만 명 이상의 지원을 받았다.[3] 군사적 지원을 받는 대가로 우크라이나군은 중앙 열강에 식량을 제공해야 했다.[3] 시몬 페틀류라의 지휘하에 연합군은 볼셰비키를 몰아내고 3월 1일 키예프를 탈환했다. 4월 28일, 독일군은 중앙 라다를 해산하고 헤트만 정부를 세웠다. 우크라이나,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는 계속 진격하여 좌안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 및 도네츠 분지를 탈환했다.[11] 이러한 실패로 볼셰비키는 6월 12일 우크라이나 정부와 평화 조약을 체결해야 했다.
3. 2. 독일-오스트리아 점령기와 헤트만 정부 (1918)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따라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대가 우크라이나를 점령했다.[3]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군사적 지원을 받는 대가로 우크라이나군에게 중앙 열강에 식량을 제공할 것을 요구했다.[3] 1918년 4월 28일, 독일군은 중앙 라다의 사회주의 정책, 특히 중앙 열강에 대한 식량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 국유화 정책 때문에 중앙 라다를 해산하고 그 자리에 헤트만 정부를 세웠다. 이후 우크라이나,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는 계속 진격하여 좌안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 및 도네츠 분지를 탈환했다.[11]1918년 4월 29일, 파울로 스코로파츠키 장군의 정권이 성립하면서 국호는 우크라이나국이 되었다.
3. 3. 제2차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 (1918-1920)
1918년 11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가 패배하면서 우크라이나의 정세는 혼란에 빠졌다. 우크라이나 디렉토리는 헤트만 정부를 전복시키고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을 재건했다. 소비에트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임시 노동자-농민 정부를 수립하고, 다시 우크라이나 침공을 개시했다.1918년 12월 20일, 소련군은 선전포고 없이 우크라이나를 공격했다. 우크라이나 집정 내각은 1919년 1월 3일, 1월 4일, 1월 9일, 1월 16일까지 총 4차례에 걸쳐 러시아 정부에 화해를 제안했지만 모두 무시당했고, 결국 1월 16일 우크라이나 집정 내각은 러시아에 전쟁을 선포했다.
1919년 1월 6일, 하르키우에서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이 선언되었다. 1월 22일, 키예프에서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통합을 선언했으나, 소비에트 군의 공세로 2월 5일 키예프를 상실했다.
우크라이나군은 반격을 통해 일시적으로 영토를 회복했으나, 백군과의 충돌, 전염병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19년 8월, 우크라이나군은 빈니차(8월 12일), 지토미르(8월 21일), 키예프(8월 31일)를 차례로 해방시켰으나, 안톤 데니킨이 이끄는 백군의 침공으로 키예프에서 철수해야 했다.
1919년 10월, 발진티푸스로 인해 우크라이나군과 동맹군인 우크라이나 갈리시아군 병력의 대다수가 쓰러지는 등[14] 전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1919년 12월 4일, 우크라이나 집정 내각은 백군, 소비에트 적군, 폴란드군에 포위되었고, 우크라이나군은 정식 군사 행동을 중단하고 게릴라전을 시작했다.
3. 4. 폴란드-소비에트 전쟁과 우크라이나의 운명 (1920-1921)
1920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은 폴란드와 동맹을 맺고 소비에트 러시아에 대항했다.[5]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이 시작되고, 폴란드-우크라이나 연합군은 키예프를 일시적으로 탈환했으나,[5] 세묜 부됸니가 이끄는 소비에트 군의 반격으로 후퇴했다.결국 폴란드는 1920년 10월 12일 소비에트 러시아와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15] 1921년 3월 18일, 리가 조약을 통해 우크라이나가 분할되었다. 서우크라이나는 폴란드령, 중부 및 동우크라이나는 소비에트령이 되었다.
리가 조약 체결에도 불구하고 시몬 페틀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군은 계속해서 전투를 이어갔다.[16] 그러나 1921년 10월 21일, 우크라이나군은 즈브루치 강을 건너 폴란드 통제하의 갈리치아로 철수해야 했고, 그곳에서 무장 해제되어 억류 수용소에 수용되었다.[6] 이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은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4. 전쟁의 결과
소련-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 내전의 일부로, 시몬 페트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국민 정부와 레닌이 이끄는 러시아 볼셰비키 정부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이 전쟁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1. 1917년 12월 – 1918년 4월: 혁명, 볼셰비키의 쿠데타 시도와 우크라이나 침공, 보호 조약 체결 및 볼셰비키로부터의 해방.
2. 1918년 12월 – 1919년 12월: 우크라이나 내전, 붉은 군대의 침공, 우크라이나 통합, 반소 농민 봉기, 데니킨의 의용군과 연합국의 개입, 서우크라이나의 폴란드 할양.
3. 1920년 봄 – 1921년 가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바르샤바 조약), 러시아 내전 (볼셰비키 군대와 남러시아군) 사이, 우크라이나 게릴라 작전 (제1차 및 제2차 겨울 작전), 망명 정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지지자들은 메드빈 공화국, 홀로드니 야르 공화국과 같이 점령된 영토에서 반러시아 및 반볼셰비키 반란 국가를 만들었으며, 1923년까지 러시아군 및 협력자들과 계속 싸웠다.
전쟁의 결과, 우크라이나 영토 대부분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통합되었고, 1922년 12월 30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소련)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리가 평화 조약에 따라 서우크라이나 일부는 제2 폴란드 공화국의 통제를 받게 되었으며, 시몬 페틀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정부는 망명해야 했다.
이후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소련에 대한 게릴라전을 계속 시도했으나 (프로메테이즘 참조) 성공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활동했던 우크라이나 운동은 대부분 홀로도모르 기간 동안 근절되었다. 폴란드의 소극적인 지원은 폴란드 내 우크라이나 소수 민족이 폴란드에 대해 불만을 가지는 원인이 되었다.
4. 1.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립
10월 혁명 이후, 1917년 12월 11일 볼셰비키는 "제1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대회"를 개최하여 인민 서기국을 선출하고, 적군이 점령한 하르키우에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하르키우에서의 소비에트 회의는 그 대부분이 러시아인이었다.[25] 1917년 12월 25일, 볼셰비키의 괴뢰 정권인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소비에트파)이 하르키우에서 수립을 선언했다.1918년 1월 28일, 키이우에 소비에트 정권(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정부 인민 서기국)이 수립되었다.[25] 그러나 독일군과 오스트리아군이 접근해오자 볼셰비키는 퇴각했고, 4월에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정부는 해산했다.[25]
1919년 1월 6일에는 하르키우에서 소비에트의 괴뢰 정권으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선언했다. 수도는 하르키우였다. 우크라이나 영토 대부분이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통합되었으며, 1922년 12월 30일에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 USSR)의 창립 멤버 중 하나가 되었다.
4. 2. 서우크라이나의 분할
리가 평화 조약에 따라 서우크라이나 일부는 제2 폴란드 공화국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3] 시몬 페틀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정부는 망명해야 했다.[3]이후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소련에 대한 게릴라전을 계속 시도했고, 폴란드 정보부의 지원을 받았지만(프로메테이즘 참조) 성공하지 못했다.[4] 마지막으로 활동했던 우크라이나 운동은 대부분 홀로도모르 기간 동안 근절되었다.[4] 폴란드의 상대적인 지원 부족은 폴란드 내 우크라이나 소수 민족이 폴란드 전간기 국가에 대해 점점 더 커지는 불만을 야기했다.[4]
4. 3.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의 좌절과 지속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은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위한 투쟁이었으나, 외세의 개입과 내부 분열로 인해 좌절된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전쟁은 여러 단계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1917년 12월부터 1918년 4월까지는 혁명 시기, 볼셰비키의 쿠데타 시도, 붉은 군대의 우크라이나 침공, 보호 조약 체결, 그리고 볼셰비키로부터의 해방이 이루어졌다.[25] 1918년 12월부터 1919년 12월까지는 우크라이나 내전, 붉은 군대의 전면적인 침공, 우크라이나 통합, 반소 농민 봉기, 데니킨의 의용군과 연합국의 개입, 서우크라이나의 폴란드 할양이 있었다. 1920년 봄부터 1921년 가을까지는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바르샤바 조약), 러시아 내전 (볼셰비키 군대와 남러시아군) 사이, 우크라이나 게릴라 작전 (제1차 및 제2차 겨울 작전), 망명 정부 시기가 있었다.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지지자들은 독립 메드빈 공화국[20] 또는 홀로드니 야르 공화국[21]과 같이 점령된 영토에서 반러시아 및 반볼셰비키 반란 국가를 만들었으며, 1923년까지 러시아군 및 협력자들과 계속 싸웠다.[22]
전쟁의 종결은 우크라이나 영토 대부분이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통합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1922년 12월 30일에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소련, USSR)의 창립 멤버 중 하나가 되었다. 리가 평화 조약에 따라 서우크라이나 일부는 제2 폴란드 공화국의 통제를 받게 되었고, 시몬 페틀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정부는 망명해야 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소련에 대한 게릴라전을 계속 시도했다. 그들은 폴란드 정보부의 지원을 받았지만(프로메테이즘 참조) 성공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활동했던 우크라이나 운동은 대부분 홀로도모르 기간 동안 근절되었다. 게다가 우크라이나 대의에 대한 폴란드의 상대적인 지원 부족은 폴란드 내 우크라이나 소수 민족이 폴란드 전간기 국가에 대해 점점 더 커지는 불만을 야기했다.
5. 주요 인물
(주요 인물 섹션은 현재 원본 소스에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하지 않습니다.)
5. 1. 우크라이나 측
1921년 3월 18일 폴란드와 소비에트 양국 정부가 리가 조약을 체결하여 우크라이나가 분할되었다. 서우크라이나는 폴란드령이 되었고, 중부 및 동우크라이나는 소비에트령이 되었다. 4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망명 정부가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를 떠나 프랑스의 파리로 옮겨갔다.5. 2. 소비에트 러시아 측
1922년 12월 30일 소비에트 연방이 결성되었고,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그 일원이 되었다.6. 평가 및 역사적 의의
소련-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 내전의 일부로, 시몬 페트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국민 정부와 레닌이 이끄는 러시아 볼셰비키 정부 간의 무력 충돌이었다. 이 전쟁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1. 1917년 12월 – 1918년 4월: 혁명, 볼셰비키의 쿠데타 시도, 붉은 군대의 우크라이나 침공, 보호 조약 체결 및 볼셰비키로부터의 해방.
2. 1918년 12월 – 1919년 12월: 우크라이나 내전, 붉은 군대의 전면 침공, 우크라이나 통합, 반소 농민 봉기, 데니킨의 의용군과 연합국의 개입, 서우크라이나의 폴란드 할양.
3. 1920년 봄 – 1921년 가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바르샤바 조약), 러시아 내전 (볼셰비키 군대와 남러시아군 간), 우크라이나 게릴라 작전 (제1차 및 제2차 겨울 작전), 망명 정부.
1917년 11월 22일,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볼셰비키는 12월 11일 하르키우에서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하려 했다. 그러나 하르키우에서의 소비에트 회의는 대부분 러시아인으로 구성되었다.[25] 12월 25일, 볼셰비키는 괴뢰 정권인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소비에트파)을 수립했다.
1918년 1월, 혁명 원정군이 키이우를 공격하고, 중앙 라다는 독립을 선언했다.[25] 1월 28일, 키이우에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었으나, 곧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원을 받은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축출되었다.
1918년 11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패배하자, 러시아는 다시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획했다. 1919년 1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2월에는 키이우를 점령했다. 그러나 볼셰비키의 강경 정책에 대한 반발로 우크라이나에서는 대규모 봉기가 일어났다.
1920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이 발발하고,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은 폴란드와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1921년 리가 조약으로 우크라이나는 분할되었고, 서우크라이나는 폴란드, 중부 및 동우크라이나는 소비에트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참조
[1]
백과사전
Ukraine.
http://www.britannic[...]
2007-11-08
[2]
서적
Borderland: A Journey Through the History of Ukraine
Westview Press
[3]
서적
Ukraine: A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
서적
Soviet Politics and the Ukraine 1917–1957.
Columbia University Press
[5]
서적
An introduction to Ukrainian History Volume III 19th and 20th Century Ukraine.
Philosophical Library
[6]
웹사이트
Ukrainian-Soviet War, 1917–21
http://www.encyclope[...]
[7]
웹사이트
History of Ukraine
http://historyua.nar[...]
2006-09-12
[8]
웹사이트
Палач Петлюра — предтеча нынешних властей
http://rg.kiev.ua/pa[...]
2012-01-27
[9]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0]
서적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партия: организатор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Мысль
[11]
뉴스
100 years ago Bakhmut and the rest of Donbass liberated
http://www.istpravda[...]
Ukrayinska Pravda
2018-04-18
[12]
웹사이트
А. Скромницкий. Связи Украинс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УНР) и Советской России (November 1918 — April 1919 год)
http://kuprienko.inf[...]
[13]
서적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4]
서적
Imperial Gamble: Putin, Ukraine, and the New Cold War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5
[15]
서적
White Eagle, Red Star: the Polish-Soviet War, 1919–20
https://books.google[...]
Pimlico
[16]
서적
A History of Ukraine
Yal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Winter Campaigns
http://www.encyclope[...]
[18]
웹사이트
Partisan movement in Ukraine, 1918–22
http://www.encyclope[...]
[19]
서적
The Ukra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Медвинська республіка: спротив російсько-більшовицьким окупантам
https://www.ukrinfor[...]
2016-10-10
[21]
웹사이트
Начерк до історії Холодноярської організації 1917-1922 років
https://chtyvo.org.u[...]
2022-03-23
[22]
뉴스
Uprising in Lukyanovka Prison: How the Last Battle of the Cold Yar Atamans took place
https://espreso.tv/a[...]
Espresso TV
2020-02-09
[23]
웹사이트
Ukrainian National Republic
http://www.encyclope[...]
[24]
문서
Covert Polish Missions across the Soviet Ukrainian Border, 1928–1933
https://books.google[...]
[25]
문서
ポーランド・ウクライナ・バルト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