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의 역사 (1917년 ~ 192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의 역사는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부터 1927년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차르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끄는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토지 개혁 실패로 민심을 잃었다.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고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한 후, 러시아 내전이 발발하여 백군과 적군의 대립이 이어졌다. 내전 이후, 전시공산주의의 실패를 겪고 1921년 신경제정책(NEP)을 도입하여 제한적인 자본주의 요소를 허용했다. 1924년 레닌 사망 후, 이오시프 스탈린이 권력을 장악하고 레프 트로츠키를 비롯한 반대파를 숙청하며, 소련을 성립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근대사 - 소련의 역사
소련은 1922년부터 1991년까지 존재했던 공산주의 국가로, 러시아 혁명 이후 수립되어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고르바초프의 개혁 실패와 공화국들의 독립 선언으로 해체되었다. - 러시아의 근대사 - 소련의 역사 (1985년 ~ 1991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집권으로 시작된 소련의 역사 (1985년 ~ 1991년)는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 추진, 동유럽 위성국가 변화, 민족 갈등 심화, 경제 악화, 쿠데타 시도, 그리고 소련 해체와 경제 혼란을 겪으며 냉전 종식의 결정적 계기가 된 시기이다. - 소련의 역사 - 굴라크
굴라크는 소련의 교정노동수용소 주임국을 의미하는 러시아어 약자로, 1920년부터 1950년대 초까지 정치범 등을 수용하여 가혹한 노동과 열악한 환경으로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킨 소련의 강제 노역 시스템을 지칭한다. - 소련의 역사 - 중소 분쟁
중소 분쟁은 1858년과 1860년 조약에서 비롯된 중국과 소련 간의 이념, 지정학, 경제적 갈등으로, 소련의 탈스탈린화, 중국의 대약진 운동 실패, 타이완 해협 위기, 인도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소련의 중립 등으로 심화되었으며, 이념적 차이와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은 국경 분쟁과 외교적 단절, 제3세계 대리 전쟁으로 이어졌고, 중미 관계 개선 후 완화되었으나 소련 붕괴까지 이념적 대립이 지속되었다.
소련의 역사 (1917년 ~ 1927년) | |
---|---|
시대 개요 | |
위치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소비에트 연방 |
시작 | 1917년 |
종료 | 1927년 |
이전 | 러시아의 역사 (1894–1917) |
포함 | 2월 혁명 1917–1923년의 혁명 |
이후 | 소비에트 연방의 역사 (1927–1953) |
지도자 |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
수상 | 미하일 칼리닌 |
주요 사건 | 10월 혁명 러시아 내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창설 조약 신경제정책 블라디미르 레닌의 죽음과 국장 |
정치 | |
국가 원수 | 블라디미르 레닌 (1917년 - 1924년) 알렉세이 리코프 (1924년 - 1927년) |
정부 수반 | 블라디미르 레닌 (1917년 - 1924년) |
경제 | |
경제 정책 | 전시 공산주의 (1917년 - 1921년) 신경제정책 (1921년 - 1927년) |
사회 | |
사회 변화 | 계급 투쟁 여성의 권리 신장 무신론 장려 |
문화 | |
문화 정책 | 아방가르드 예술 발전 문학 검열 강화 |
외교 | |
주요 외교 관계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1918년) 라파엘 조약 (1922년) |
군사 | |
주요 군사 충돌 | 러시아 내전 (1917년 - 1922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1919년 - 1921년) |
기타 | |
관련 주제 | 소비에트 연방의 역사 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2. 1917년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러시아 제국은 기근과 경제 붕괴를 경험했다.[1] 당시 제국은 1차 대전에 참전하고 있었는데, 전쟁을 견디다 못한 병사들이 전선을 이탈하는 일이 잦았다. 또한 제정에 대한 불만과 전쟁 참가에 대한 회의적인 여론도 높아만 갔다.[1] 페트로그라드 등지에서 시위가 계속되자, 당시 차르였던 니콜라이 2세는 1917년 2월에 퇴위했다. (러시아 2월 혁명)[1]
혁명의 결과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끄는 임시정부가 들어섰으나, 1차 대전 참전 방침을 유지하고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하던 소농들이 원하던 토지 개혁에 실패하면서 민심을 잃었다.[1] 러시아 제국 국가 두마에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된 임시 정부는 삼국 협상을 유지하며 전쟁을 지속했고, 볼셰비키가 요구한 토지 개혁을 연기했다.
지식인 층은 사회 개혁의 느린 속도에 불만을 품었고, 빈곤이 악화되고 소득 격차와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임시 정부는 점차 독재적으로 변해갔다.[1] 1917년 2월과 10월 사이, 임시 정부의 권력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의해 지속적으로 의문을 제기받았다. 멘셰비키와 사회주의 혁명당이 주도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실질적인 권력을 쥐고 있었고, 당시 사회주의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중 권력'으로 표현하였다.[1]
1917년 여름의 실패한 군사 공세 이후, 전선에서의 항명 운동은 극에 달했다.[1] 9월에 이르러 독일군이 국경 근처까지 진격하자, 볼셰비키에 대한 인기가 상승했고, 레프 트로츠키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
10월 24일, 임시 정부는 비공식적 권력인 소비에트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활동가들이 체포되었고, 선전 활동도 크게 제약을 받았다. 이에 대항한 페트로그라드의 반란이 지속되었으며 볼셰비키는 이를 주도해 결국 임시 정부를 무너뜨리고 권력을 잡게 된다.[1]
10월 혁명은 역사상 보기 드문 무혈 혁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비교적 평화로운 무혈 혁명으로 끝났다는 데에서 임시 정부의 취약성을 보여주기도 한다.[1]
1917년 10월 25일, 소브나르콤은 1918년 러시아 헌법에 의해 전 러시아 소비에트 회의의 행정부로 설립되었다.[3] 1918년 1월 6일까지 VTsIK는 볼셰비키의 지원을 받아 1918년 1월 5일과 6일에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회의에서 비볼셰비키 러시아 민주 연방 공화국을 영구적인 정부 형태로 설립하고자 했던 러시아 제헌 의회의 해산을 비준했다.[3] 1918년 1월 25일 전 러시아 소비에트 회의의 세 번째 회의에서 인정받지 못한 국가는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개명되었다.[3]
2. 1. 2월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러시아 제국은 기근과 경제 붕괴를 경험했다.[1] 당시 제국은 1차 대전에 참전하고 있었는데, 전쟁을 견디다 못한 병사들이 전선을 이탈하는 일이 잦았다. 또한 제정에 대한 불만과 전쟁 참가에 대한 회의적인 여론도 높아만 갔다.[1] 페트로그라드 등지에서 시위가 계속되자, 당시 차르였던 니콜라이 2세는 1917년 2월에 퇴위했다. (러시아 2월 혁명)[1]니콜라이 2세는 1917년 2월 혁명 (1917년 3월 신력. 참고: 소비에트 달력) 이후 페트로그라드와 기타 주요 러시아 도시에서 광범위한 폭동을 일으키며 퇴위했다.[1]
2. 2. 임시 정부의 수립과 한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러시아 제국은 기근과 경제 붕괴를 경험했으며, 니콜라이 2세는 1917년 2월 혁명으로 퇴위했다.혁명의 결과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끄는 임시정부가 들어섰으나, 1차 대전 참전 방침을 유지하고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하던 소농들이 원하던 토지 개혁에 실패하면서 민심을 잃었다. 러시아 제국 국가 두마에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된 임시 정부는 삼국 협상을 유지하며 전쟁을 지속했고, 볼셰비키가 요구한 토지 개혁을 연기했다.
지식인 층은 사회 개혁의 느린 속도에 불만을 품었고, 빈곤이 악화되고 소득 격차와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임시 정부는 점차 독재적으로 변해갔다.[1] 1917년 2월과 10월 사이, 임시 정부의 권력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의해 지속적으로 의문을 제기받았다. 멘셰비키와 사회주의 혁명당이 주도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실질적인 권력을 쥐고 있었고, 당시 사회주의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중 권력'으로 표현하였다.
1917년 여름의 실패한 군사 공세 이후, 전선에서의 항명 운동은 극에 달했다. 9월에 이르러 독일군이 국경 근처까지 진격하자, 볼셰비키에 대한 인기가 상승했고, 레프 트로츠키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2. 3. 10월 혁명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차르 러시아는 군사적 굴욕, 기근, 경제 붕괴를 겪었다. 러시아 제국군은 심각한 군사적 실패를 겪었고, 많은 포로가 전선을 이탈했으며, 러시아인들 사이에서 군주제와 전쟁 지속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 니콜라이 2세는 1917년 2월 혁명이후 퇴위했다.러시아 임시 정부는 1917년 3월 초 국가 두마 임시 위원회에 의해 차르가 몰락한 직후 설치되었으며,처음에는 게오르기 르보프 공작이 이끌었고, 그 다음에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끌었다. 임시 정부는 전쟁에 대한 약속을 유지하며 영국, 프랑스와 함께 삼국 협상에 남아 있었다. 임시 정부는 볼셰비키가 요구한 토지 개혁을 연기했다.
볼셰비키 이념을 구현한 레닌과 그의 조수 요제프 스탈린은 서유럽 및 미국의 국가들과의 동맹을 제국주의 전쟁을 강요받는 강제 예속으로 간주했다. 레닌의 시각에서 러시아는 차르의 통치로 되돌아가고 있었고, 진정으로 사회주의와 프롤레타리아트를 대표하는 마르크스주의 혁명가들이 그러한 반사회주의적 사상에 반대하고 다른 국가의 사회주의 혁명을 지원하는 것이 그들의 역할이었다.
군대 내에서는 징집병들 사이에서 반란과 탈영이 만연했다. 지식인은 사회 개혁의 느린 속도에 불만을 품었고, 빈곤이 악화되고 소득 격차와 불평등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었으며 임시 정부는 점점 더 독재적이고 비효율적으로 변해갔다. 탈영병들은 도시로 돌아와 분노하고 극도로 적대적인 사회주의 공장 노동자들에게 무기를 넘겨주었다. 러시아 주요 중심지의 비참하고 비인간적인 빈곤과 기아는 혁명가들에게 최적의 조건을 만들었다.
1917년 2월과 10월 사이 몇 달 동안, 임시 정부의 권력은 거의 모든 정당에 의해 지속적으로 의문을 제기받았다. 임시 정부가 명목상의 권력을 가졌지만,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의해 점점 더 반대받는 "이중 권력" 시스템이 등장했다. 소비에트는 2월 혁명이 러시아의 부르주아 전복의 "절정"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정부의 추가 변화를 강요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소비에트는 또한 새로운 임시 정부가 민주 개혁을 시행하고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길을 열 것이라고 믿었다.
1917년 여름의 실패한 군사 공세와 주요 러시아 도시에서의 대규모 시위 및 폭동으로 인해 8월 말에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병력이 배치되었다. 7월 폭동은 진압되었고 볼셰비키의 탓으로 돌려져 레닌은 숨어 들어갔다. 이 시기에 볼셰비키에 대한 지지가 커졌고, 레프 트로츠키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그는 도시의 방어, 즉 주로 도시의 군사력을 완전히 통제했다. 볼셰비키 당의 당원 수는 1917년 2월 24,000명에서 1917년 9월 200,000명으로 증가했다.[1]
10월 24일, 10월 혁명 초기, 임시 정부는 볼셰비키에 대항하여 활동가들을 체포하고 공산주의 선전을 파괴하는 조치를 취했다. 볼셰비키는 이것을 인민 소비에트에 대한 공격으로 묘사하여 페트로그라드 적위대가 임시 정부를 인수하도록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행정 사무실과 정부 건물은 거의 저항이나 유혈 사태 없이 점령되었다. 1917년 10월 26일 저녁, 제대로 방어되지 않은 겨울 궁전을 공격하고 점령하면서 이루어졌다.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 모이세이 우리츠키, 드미트리 마누일스키와 같은 볼셰비키 인물들은 레닌의 볼셰비키 당에 대한 영향력이 결정적이라는 데 동의했지만, 10월 봉기는 레닌의 계획이 아닌 트로츠키의 계획에 따라 수행되었다.[2]
멘셰비키와 사회주의 혁명당의 우익은 적위대와 볼셰비키가 수행한 학대 및 강압 행위에 격분하여 페트로그라드를 탈출하여 볼셰비키와 잔여 좌파 사회주의 혁명당의 손에 통제권을 넘겼다. 1917년 10월 25일, 소브나르콤은 1918년 러시아 헌법에 의해 전 러시아 소비에트 회의의 행정부로 설립되었다. 1918년 1월 6일까지 VTsIK는 볼셰비키의 지원을 받아 1918년 1월 5일과 6일에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회의에서 비볼셰비키 러시아 민주 연방 공화국을 영구적인 정부 형태로 설립하고자 했던 러시아 제헌 의회의 해산을 비준했다. 1918년 1월 25일 전 러시아 소비에트 회의의 세 번째 회의에서 인정받지 못한 국가는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개명되었다.[3]
2. 4. 볼셰비키의 권력 장악과 소비에트 정부 수립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러시아 제국은 기근과 경제 붕괴를 경험했다. 당시 제국은 1차 대전에 참전하고 있었는데, 전쟁을 견디다 못한 병사들이 전선을 이탈하는 일이 잦았으며, 제정에 대한 불만과 전쟁 참가에 대한 회의적인 여론도 높아져 갔다. 페트로그라드 등지에서 시위가 계속되자, 당시 차르였던 니콜라이 2세는 1917년 2월에 퇴위했다. (러시아 2월 혁명)혁명의 결과로 임시정부가 들어섰으며,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수장이 되었다. 하지만 1차 대전 참전 방침은 계속되었고, 인구의 80% 이상을 차지하던 소농들이 원하던 토지 개혁 역시 실패로 돌아갔다.
1차 대전 참전이 지속되자, 징집병들의 탈영과 항명은 더욱 더 거세어져 갔다. 인텔리겐치아 층 역시 개혁의 후퇴에 반발하였으며, 사회의 빈곤은 심해져만 갔다. 임시 정부는 이 어떤 것도 해결하지 못했으며, 오히려 사회적 모순이 심해지는 결과만 나왔다. 전선에서 탈영한 병사들이 도시로 돌아와 당시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가 높았던 공장 노동 계급과 결합하면서 또 한 차례의 혁명의 분위기가 강해져 갔다.
1917년의 2월과 10월 사이 동안 임시 정부의 권력은 끊임없이 의문시되어왔다. 임시 정부가 공식적인 권력을 쥐고 있었지만,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이 주도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가 실질적인 권력을 쥐고 있었다. 당시 사회주의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이중 권력'으로 표현하였다. 하지만 당시 소비에트의 지도자들은 2월 혁명을 민주주의적 개혁을 위한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으로 규정하고 더 이상의 혁명적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여름 동안 취해진 군사적 공세가 실패로 돌아간 이후, 전선에서의 항명 운동은 극에 달했다. 9월에 이르러 독일군이 국경 근처까지 진격하자, 공식적 정부와 군부에 대한 반감이 높아지고, '혁명적 패배주의'를 주장했던 볼셰비키에 대한 인기가 상승했다. 이때 볼셰비키의 주요 인물 중 하나인 레프 트로츠키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0월 24일, 임시 정부는 비공식적 권력인 소비에트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활동가들이 체포되었고, 선전 활동도 크게 제약을 받았다. 이에 대항한 페트로그라드의 반란이 지속되었으며 볼셰비키는 이를 주도해 결국 임시 정부를 무너뜨리고 권력을 잡게 된다.
10월 혁명은 역사상 보기 드문 무혈 혁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비교적 평화로운 무혈 혁명으로 끝났다는 데에서 임시 정부의 취약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1917년 10월 25일, 소브나르콤은 1918년 러시아 헌법에 의해 전 러시아 소비에트 회의의 행정부로 설립되었다.[3] 1918년 1월 6일까지 VTsIK는 볼셰비키의 지원을 받아 1918년 1월 5일과 6일에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회의에서 비볼셰비키 러시아 민주 연방 공화국을 영구적인 정부 형태로 설립하고자 했던 러시아 제헌 의회의 해산을 비준했다.[3] 1918년 1월 25일 전 러시아 소비에트 회의의 세 번째 회의에서 인정받지 못한 국가는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개명되었다.[3]
3. 러시아 내전 (1917-1922)
볼셰비키는 혁명을 위해 혁명 정당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레닌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그러나 내전의 시작으로 인해 혁명 정당의 조직이 유지되었고, 이는 크론슈타트 반란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제정 및 임시 정부의 장교들과 자본가 계급은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 미국 등 외세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 내전을 이끌었다. 소비에트 정부는 한때 러시아 중심부를 제외한 많은 지역의 통제권을 상실하였으나, 트로츠키가 이끄는 적군과 러시아 민중의 다수는 소비에트 정부를 지지하여 1922년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러시아 내전 동안 전시공산주의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체카가 1917년 12월에 창설된 것을 예로 들며, 공산당의 1당 독재가 확립되었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한편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당시의 정책들이 혁명이 붕괴될 위험에 맞선 정당한 것으로 평가한다.
1917년 12월, 레닌 암살 미수 사건 이후 볼셰비키는 첫 내부 보안 부대로서 체카를 설립했다.[4] 체카는 훗날 GPU, OGPU, MVD, NKVD를 거쳐 국가보안위원회(KGB)로 이어진다.[4] 적색 공포는 "새로운 사회"의 적으로 정의된 집단을 제거하는 도구가 되었으며, 즉결 처형이 널리 행해졌다.[4] 데쿨라크화(부유한 농민으로부터의 소득과 부의 재분배)에도 체카가 활용되었다.[4] 레프 트로츠키는 부르주아 민주주의를 혐오하고 부유한 자들과 정치적 반대자들을 강제 제거하는 데 헌신했으며, 종종 즉결 처형을 통해 이를 실행했다. 그는 강제 수용소, 노동 수용소, 노동에 대한 군사 통제, 그리고 노동 조합에 대한 국가 통제를 시작했다.[4]
이와 동시에, 주로 코사크 아타만인 그리고리 미하일로비치 세묘노프나 보리스 안넨코프와 같은 군벌에 의해 자행된, 통제되지 않은 백색 공포는 볼셰비키 동조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았다. 러시아 내전 동안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유대인 공동체는 이 지역에서 발생한 최악의 포그롬을 겪었다. 그것들은 안톤 데니킨의 백군, 시몬 페틀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군대, 군벌 아타만과 "녹색" 반란 농민의 갱단, 그리고 심지어 일부 적군 부대에 의해서도 수행되었다.[5]
3. 1. 백군과 적군의 대립
제정 러시아 군 장교들과 자본가 계급 등은 영국, 프랑스, 일본, 미국 등 외세의 지원을 받아 백군을 조직하고 볼셰비키에 대항했다. 한때 소비에트 정부는 페트로그라드 등 러시아 중심부를 제외한 많은 지역의 통제권을 상실하였다. 레프 트로츠키는 적군을 이끌고 백군과 맞서 싸웠으며, 당시 러시아 민중 다수의 지지를 바탕으로 1922년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코사크 아타만인 그리고리 미하일로비치 세묘노프나 보리스 안넨코프와 같은 군벌에 의해 자행된, 통제되지 않은 백색 공포는 볼셰비키 동조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았다.[4]
러시아 내전 동안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유대인 공동체는 이 지역에서 발생한 최악의 포그롬을 겪었다.[5] 그것들은 안톤 데니킨의 백군, 시몬 페틀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군대, 군벌 아타만과 "녹색" 반란 농민의 갱단, 그리고 심지어 일부 적군 부대에 의해서도 수행되었다.[5]
소련 정부는 중앙 러시아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한 다음 적들과 성공적으로 싸울 수 있었다. 연합군의 개입과 폴란드의 침략은 볼셰비키가 민족주의 카드를 사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악화되는 경제 상황은 대규모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고, 탐보프 반란과 같은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이어졌다. 그들은 잔인하게 진압되었다.[6]
3. 2. 외세의 개입과 민중의 지지
볼셰비키는 혁명을 위해 혁명 정당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레닌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구호를 내걸었다. 그러나 내전의 시작으로 인해 혁명 정당의 조직이 유지되었고, 이는 크론슈타트 반란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제정 및 임시 정부의 장교들과 자본가 계급은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 미국 등 외세의 지원을 받아 러시아 내전을 이끌었다. 소비에트 정부는 한때 러시아 중심부를 제외한 많은 지역의 통제권을 상실하였으나, 트로츠키가 이끄는 적군과 러시아 민중의 다수는 소비에트 정부를 지지하여 1922년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러시아 내전 동안 전시공산주의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체카가 1917년 12월에 창설된 것을 예로 들며, 공산당의 1당 독재가 확립되었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한편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당시의 정책들이 혁명이 붕괴될 위험에 맞선 정당한 것으로 평가한다.
3. 3. 전시공산주의와 그 영향
볼셰비키는 혁명 성공을 위해 혁명 정당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레닌은 민주적 중앙집중제로 단결한 혁명 정당이 필수적이라고 보았으며,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구호에도 불구하고 내전으로 인해 기존 조직이 유지되었다. 이는 실질적인 필요에 의한 것이었지만, 크론슈타트 반란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러시아 내전 (1917–21) 동안, 볼셰비키는 전시공산주의를 채택했다.[24] 이는 토지 재산 해체와 농업 잉여분의 강제 징발을 수반했다.[23] 도시에서는 극심한 식량 부족과 금전 제도의 붕괴가 일어났고, 많은 도시 주민들이 시골로 도망쳤다.[23] 소규모 "자본주의적" 생산조차 억압되었다.[23]


전시공산주의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러시아 혁명을 실패로 보는 입장에서는 체카 창설(1917년 12월)을 예로 들며 1당 독재 확립을 비판한다. 반면,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당시 정책이 혁명 붕괴 위기에 맞선 정당한 조치였다고 평가한다. 1921-1922년 러시아 대기근으로 수백만명이 아사(餓死) 하였고, 허버트 후버가 이끄는 미국이 6천 2백만 달러 상당의 식량과 8백만 달러의 의약품을 제공하여 최대 1천 1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식량을 공급했다.[25][26]
내전 기간 동안, 레닌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체카가 설립되었으며, 이후 여러 이름을 거쳐 KGB가 되었다.[4] 적색 공포는 "새로운 사회"의 적으로 정의된 집단을 제거하는 도구였으며, 즉결 처형이 널리 행해졌다.[4] 데쿨라크화 과정에서도 즉결 처형이 사용되었다.[4] 레프 트로츠키는 강제 수용소, 노동 수용소, 노동에 대한 군사 통제, 노동 조합에 대한 국가 통제를 시작했다.[4]
한편, 백색 공포는 볼셰비키 동조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았다.[4] 러시아 내전 동안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유대인 공동체는 심각한 포그롬을 겪었다.[5]
3. 4. 체카의 창설과 반대파 탄압
1917년 12월, 레닌 암살 미수 사건 이후 볼셰비키는 첫 내부 보안 부대로서 체카를 설립했다.[4] 체카는 훗날 GPU, OGPU, MVD, NKVD를 거쳐 국가보안위원회(KGB)로 이어진다.[4] 적색 공포는 "새로운 사회"의 적으로 정의된 집단을 제거하는 도구가 되었으며, 즉결 처형이 널리 행해졌다.[4] 데쿨라크화(부유한 농민으로부터의 소득과 부의 재분배)에도 체카가 활용되었다.[4] 레프 트로츠키는 부르주아 민주주의를 혐오하고 부유한 자들과 정치적 반대자들을 강제 제거하는 데 헌신했으며, 종종 즉결 처형을 통해 이를 실행했다. 그는 강제 수용소, 노동 수용소, 노동에 대한 군사 통제, 그리고 노동 조합에 대한 국가 통제를 시작했다.[4]이와 동시에, 주로 코사크 아타만인 그리고리 미하일로비치 세묘노프나 보리스 안넨코프와 같은 군벌에 의해 자행된, 통제되지 않은 백색 공포는 볼셰비키 동조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표적으로 삼았다. 러시아 내전 동안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유대인 공동체는 이 지역에서 발생한 최악의 포그롬을 겪었다. 그것들은 안톤 데니킨의 백군, 시몬 페틀류라가 이끄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군대, 군벌 아타만과 "녹색" 반란 농민의 갱단, 그리고 심지어 일부 적군 부대에 의해서도 수행되었다.[5]
4.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1919-1921)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폴란드는 1918년 다시 영토와 주권을 회복하였다. 당시 폴란드의 지도자였던 피우수트스키는 러시아가 혁명으로 혼란에 빠진 틈을 타, 예전 폴란드의 영토였던 우크라이나 등지를 침공한다. 초창기에는 폴란드가 소련의 키예프라는 도시를 점령하는 등, 폴란드의 군사적 우세가 계속되었으나, 1920년부터 소련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바르샤바에서 프랑스의 원조를 받은 폴란드군이 승리함에 따라 소련의 공세는 꺾였으며, 1921년 리가 조약을 통해 전쟁은 마무리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불안정한 독립 정부를 수립한 폴란드와, 차르 제국의 경계선은 러시아 혁명, 내전,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혼란스러워졌다. 폴란드의 피우수트스키는 폴란드 주도의 동유럽 블록을 형성하여 러시아와 독일을 방어하는 미엥지모제라 불리는 새로운 연방을 구상했고, 러시아 SFSR은 혁명을 서쪽으로 강행하려 했다. 피우수트스키가 1920년 우크라이나로의 군사적 진격을 감행했을 때, 그는 폴란드 영토 거의 바르샤바까지 진격해 온 붉은 군대의 공세를 받았다. 그러나 피우수트스키는 바르샤바 전투에서 소비에트의 진격을 막고 공세를 재개했다. 1921년 초에 체결된 "리가 조약"은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 영토를 폴란드와 소비에트 러시아로 분할했다.
4. 1. 폴란드의 침공과 소비에트의 반격
1918년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폴란드는 영토와 주권을 회복하였다. 유제프 피우수트스키는 러시아가 혁명으로 혼란에 빠진 틈을 타, 예전 폴란드의 영토였던 우크라이나 등지를 침공했다. 초창기에는 폴란드가 키예프를 점령하는 등, 폴란드의 군사적 우세가 계속되었으나, 1920년부터 소비에트의 반격이 시작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불안정한 독립 정부를 수립한 폴란드의 경계선은 러시아 혁명, 내전,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혼란스러워졌다. 피우수트스키는 폴란드 주도의 동유럽 블록을 형성하여 러시아와 독일을 방어하는 미엥지모제 연방을 구상했고, 러시아 SFSR은 혁명을 서쪽으로 강행하려 했다. 피우수트스키가 1920년 우크라이나로의 군사적 진격을 감행했을 때, 그는 폴란드 영토 거의 바르샤바까지 진격해 온 붉은 군대의 공세를 받았다. 그러나 피우수트스키는 바르샤바 전투에서 소비에트의 진격을 막고 공세를 재개했다. 1921년 리가 조약은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 영토를 폴란드와 소비에트 러시아로 분할했다.
4. 2. 바르샤바 전투와 리가 조약
1918년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폴란드는 영토와 주권을 회복하였다. 폴란드의 지도자 유제프 피우수트스키는 러시아가 혁명으로 혼란에 빠진 틈을 타 과거 폴란드 영토였던 우크라이나 등지를 침공했다. 초기에는 폴란드가 키예프를 점령하는 등 군사적 우세를 보였으나, 1920년부터 소련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바르샤바 전투에서 프랑스의 지원을 받은 폴란드군이 승리하면서 소련의 공세는 꺾였다. 1921년 리가 조약을 통해 전쟁은 종결되었으며,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 영토는 폴란드와 소비에트 러시아로 분할되었다.5. 신경제정책 (NEP, 1921-1928)
1921년 소련에서 열린 제10차 당 대회에서 전시공산주의를 종료하고 신경제정책(NEP)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27] 신경제정책은 소규모 사기업 운영을 허용하고, 농민이 잉여 생산물을 공개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제한적인 자본주의 요소를 도입했다. 그러나 레닌이 경제의 "지휘 고지"로 여긴 중공업, 야금, 은행 및 금융과 같은 국가 기간산업은 국가 소유권을 유지했다.[27]
신경제정책 기간 동안 10월 혁명 이전의 봉건적인 토지 소유 구조가 해체되고, 시장을 통해 농업 잉여를 거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농업 생산량은 크게 증대되었다. 반면, 내전으로 손상된 공업 분야의 회복은 더뎠다. 이로 인해 산업재의 상대적 물가지수가 농산물보다 높아지는 "가위 위기"가 발생했다. 일부 농민들은 더 높은 가격을 기대하며 농업 잉여를 억제했고, 이는 도시의 부족 현상에 기여했다. 공산당은 이를 도시 소비자를 착취하는 투기적인 시장 행동으로 간주했다.
볼셰비키 정부는 필수 산업재에 대한 가격 통제를 부과하고,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트러스트를 해체하여 공산품 가격을 낮추고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려 노력했다. 한편 신경제정책 시기는 덩샤오핑의 정책과 비슷한 부분이 있는데, 덩샤오핑 역시 완전한 중앙집중식 경제보다 사기업의 존재를 인정하며 제한적인 시장경제를 도입하였다.
5. 1. 신경제정책의 내용
1921년 소련에서 열린 제10차 당 대회에서 전시공산주의를 종료하고 신경제정책(NEP)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27] 신경제정책은 소규모 사기업 운영을 허용하고, 농민이 잉여 생산물을 공개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제한적인 자본주의 요소를 도입했다. 그러나 레닌이 경제의 "지휘 고지"로 여긴 중공업, 야금, 은행 및 금융과 같은 국가 기간산업은 국가 소유권을 유지했다.[27]신경제정책 기간 동안 10월 혁명 이전의 봉건적인 토지 소유 구조가 해체되고, 시장을 통해 농업 잉여를 거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농업 생산량은 크게 증대되었다. 반면, 내전으로 손상된 공업 분야의 회복은 더뎠다. 이로 인해 산업재의 상대적 물가지수가 농산물보다 높아지는 "가위 위기"가 발생했다. 일부 농민들은 더 높은 가격을 기대하며 농업 잉여를 억제했고, 이는 도시의 부족 현상에 기여했다. 공산당은 이를 도시 소비자를 착취하는 투기적인 시장 행동으로 간주했다.
볼셰비키 정부는 필수 산업재에 대한 가격 통제를 부과하고,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트러스트를 해체하여 공산품 가격을 낮추고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려 노력했다. 한편 신경제정책 시기는 덩샤오핑의 정책과 비슷한 부분이 있는데, 덩샤오핑 역시 완전한 중앙집중식 경제보다 사기업의 존재를 인정하며 제한적인 시장경제를 도입하였다.
5. 2. 신경제정책의 성과와 한계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는 전시공산주의 정책을 통해 농민층의 토지를 몰수하는 등 강력한 정책을 폈다. 그러나 이는 크론슈타트 반란 등으로 이어져 농민층의 민심 이반을 초래했다.[27] 내전 기간 동안 핵심 지지층이었던 혁명적 노동자 계급이 약화된 상황에서, 볼셰비키는 1921년 제10차 당 대회에서 신경제정책(NEP)을 도입했다.[27]신경제정책은 제한적인 자본주의 요소를 도입하여 소규모 사기업의 운영을 허용하고, 농민들이 잉여 생산물을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중공업, 은행, 금융 등 국가 기간산업은 국유화 상태를 유지했다.[27]
신경제정책 기간 동안 농업 생산량은 혁명 이전 수준을 회복하고 초과 달성하였다. 제정 시대의 봉건적인 토지 소유 구조가 해체되고, 시장을 통한 농업 잉여 거래가 가능해짐에 따라 소련의 농업은 크게 성장하였다. 그러나 내전으로 피해를 입은 공업 분야의 회복은 상대적으로 더뎠다.
공업 발전이 늦어지면서 공산품 가격이 상승했고, 트로츠키는 이를 "가위 위기"라고 불렀다. 일부 농민들은 더 높은 가격을 기대하며 식량 판매를 꺼리기도 했고, 이는 도시민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이에 볼셰비키 정부는 독점행위 규제, 핵심 공산품 가격 규제 등의 정책을 통해 물가 상승률을 안정시키고 위기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한편, 신경제정책 시기는 덩샤오핑의 정책과 비슷한 부분이 있다. 덩샤오핑 역시 완전한 중앙집중식 경제보다 사기업의 존재를 인정하며 제한적인 시장경제를 도입하였다.
6. 레닌의 사망과 스탈린의 집권 (1924-1928)
1922년 레닌이 병으로 쓰러지자, 스탈린은 공산당 서기장이 되어 지노비에프, 카메네프와 함께 당 권력을 장악하고 트로츠키를 견제했다. 레닌은 스탈린을 불신하여 1922년 겨울에는 스탈린 해임을 촉구하는 서한(레닌의 유언)을 작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레닌을 배제하고 당 장악력을 높여갔다.
1924년 1월 레닌이 사망하자, 스탈린 해임을 촉구하는 레닌의 유언은 당 중앙위원회에서만 낭독되고 출판되지 않았다. 스탈린은 최대 정적인 트로츠키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925년 1월, 트로츠키는 국방상 자리에서 물러났다. 스탈린은 일국사회주의를 내세워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비판했다. 1920년대 유럽의 혁명적 정세가 약화되자 스탈린의 일국사회주의가 점점 설득력을 얻었다.
트로츠키가 소외되자, 스탈린과 함께 핵심 간부였던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스탈린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우려했다. 그들은 스탈린과 부하린이 주도하는 신경제 정책을 자본주의로의 복귀라 비판하였다. 1925년 12월 14차 당 대회에서 이 갈등이 표면화되었고, 레닌의 유언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스탈린은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를 비판하고 트로츠키를 정치국에서 배제했다. 이때부터 스탈린 개인 숭배가 시작되어 '지도자'로 불리며 찬양받았다.
트로츠키는 지노비예프, 카메네프와 함께 연합 반대파를 결성했으나, 1926년부터 정치적 영향력이 감소했고, 1927년 10월 중앙위원회에서 제명되었다. 15차 당 대회 직전인 11월에는 트로츠키와 지노비예프가 공산당에서 제명되었고, 연합 반대파는 의견을 표시할 기회를 봉쇄당했다. 결국 지노비예프는 스탈린에게 항복했고, 자신의 연합 반대파 행동을 '반레닌주의'로 규정하였다. 트로츠키 등은 1928년 초 유배형에 처해졌다. 트로츠키는 카자흐스탄으로 보내졌다가 이듬해 국외로 추방당했다.
트로츠키를 제거한 스탈린은 농업 집산화와 빠른 공업화를 추진했고, 신경제 정책을 지지하던 부하린과 우익 반대파의 비판을 받았다. 부하린은 레닌의 유언을 언급하며 스탈린의 정책이 농민층의 이반을 낳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미 당 기구를 장악한 스탈린은 '합법적'인 경로를 통해 많은 권력을 조종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하여 부하린을 제압했다.
6. 1. 스탈린과 트로츠키의 대립
1922년 레닌이 병으로 쓰러지자, 스탈린은 지노비에프, 카메네프와 함께 당의 권력을 장악하고 트로츠키를 견제하였다. 레닌은 스탈린을 의심하여 1922년 겨울에 스탈린의 해임을 촉구하는 서한을 작성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스탈린은 레닌을 배제하고 당 장악력을 높여나갔다.1923년 가을, 좌익 반대파와의 정치적 이견이 커지면서 스탈린, 지노비예프, 카메네프의 연합은 다시 강화되었다. 1924년 1월 레닌이 사망하고, 그의 유언은 당 중앙위원회에서만 낭독되고 출판되지 않았다. 이후 스탈린은 트로츠키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925년 1월, 트로츠키는 국방상의 자리에서 물러났으며, 일국사회주의를 주장하며 영구혁명론을 주장하는 트로츠키를 비판했다.
트로츠키가 권력에서 소외되자, 지노비에프와 카메네프는 스탈린의 권력 집중을 우려하여 신경제 정책을 비판하며 스탈린에게 반기를 들었다. 1925년 12월의 14차 당 대회에서 이러한 갈등이 표면화되었고, 레닌의 유언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스탈린은 지노비에프와 카메네프를 비판하고 트로츠키를 정치국에서 완전히 배제하였다. 이때부터 스탈린에 대한 개인숭배 현상이 시작되었다.
트로츠키는 지노비에프, 카메네프와 함께 연합 반대파를 구축했으나, 1927년 10월에는 중앙위원회에서 제명당했다. 11월에는 트로츠키와 지노비에프가 공산당에서 제명되었고,1928년 초에는 트로츠키가 국외로 추방되었다.
트로츠키를 제거한 스탈린은 농업 집산화와 빠른 공업화를 추진했고, 우익 반대파의 부하린은 스탈린의 정책이 농민층의 이반을 낳을 것이라며 레닌의 유언을 언급하며 비판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이미 당 기구를 장악하고 있었고, 부하린은 스탈린의 권력을 비판할 여력이 없었다.
6. 2. 일국사회주의와 영구혁명론
1922년 레닌이 병으로 쓰러지자, 스탈린은 지노비에프, 카메네프와 함께 당의 권력을 장악하고 트로츠키를 견제했다. 레닌은 스탈린을 불신하여 1922년 겨울, 스탈린 해임을 촉구하는 서한을 작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레닌을 배제하고 당 장악력을 높여나갔다.1924년 1월 레닌이 사망한 후, 스탈린 해임을 촉구하는 레닌의 유언은 당 중앙위원회에서만 낭독되고 출판되지 않았다. 이후 스탈린은 정적 트로츠키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925년 1월, 트로츠키는 국방상 자리에서 물러났다. 스탈린은 일국사회주의를 주장하며 세계 혁명을 주장하는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비판했다. 1920년대 유럽의 혁명 열기가 식으면서, 스탈린의 일국사회주의론은 설득력을 얻었다.
트로츠키가 권력에서 소외되자, 지노비에프와 카메네프는 스탈린의 권력 집중을 우려하여 신경제정책을 비판했다. 1925년 12월 14차 당 대회에서 이 갈등이 표면화되었고, 레닌의 유언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스탈린은 지노비에프와 카메네프를 비판하고, 트로츠키를 정치국에서 완전히 배제했다. 이때부터 스탈린에 대한 개인숭배 현상이 시작되어 '지도자'로 불렸다.
트로츠키는 지노비에프, 카메네프와 함께 연합 반대파를 결성했지만, 1926년부터 정치적 영향력이 감소했고, 1927년 10월에는 중앙위원회에서 제명되었다. 15차 당 대회 직전인 11월, 트로츠키와 지노비에프는 공산당에서 제명되었고, 연합 반대파는 의견을 표시할 기회를 봉쇄당했다. 결국 지노비에프는 스탈린에게 항복했고, 트로츠키 등은 1928년 초 유배형에 처해졌다. 트로츠키는 카자흐스탄으로 보내졌다가 이듬해 국외로 추방당했다.
6. 3. 스탈린의 권력 강화와 반대파 숙청
1922년 레닌이 병으로 쓰러지자, 스탈린은 공산당 서기장이 되어 지노비에프, 카메네프와 함께 당 권력을 장악하고 트로츠키를 견제했다. 레닌은 스탈린을 불신하여 1922년 겨울에는 스탈린 해임을 촉구하는 서한을 작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레닌을 배제하고 당 장악력을 높여갔다.1924년 1월 레닌이 사망하자, 스탈린 해임을 촉구하는 레닌의 유언은 당 중앙위원회에서만 낭독되고 출판되지 않았다. 스탈린은 최대 정적인 트로츠키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925년 1월, 트로츠키는 국방상 자리에서 물러났다. 스탈린은 일국사회주의를 내세워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을 비판했다.
트로츠키가 소외되자, 스탈린과 함께 핵심 간부였던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스탈린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우려했다. 1925년 12월 14차 당 대회에서 이 갈등이 표면화되었고, 레닌의 유언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스탈린은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를 비판하고 트로츠키를 정치국에서 배제했다. 이때부터 스탈린에 대한 개인숭배가 시작되어 '지도자'로 불리며 찬양받았다.
트로츠키는 지노비예프, 카메네프와 함께 연합 반대파를 결성했으나, 1927년 10월 중앙위원회에서 제명되었다. 11월에는 트로츠키와 지노비예프가 공산당에서 제명되었고, 1928년 초 트로츠키는 국외로 추방되었다.
트로츠키를 제거한 스탈린은 농업 집산화와 빠른 공업화를 추진했고, 신경제 정책을 지지하던 부하린과 우익 반대파의 비판을 받았다. 부하린은 레닌의 유언을 언급하며 스탈린의 정책이 농민층의 이반을 낳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미 당 기구를 장악한 스탈린은 부하린을 제압했다.
7. 소련의 성립 (1922)
1922년 12월 29일, 러시아 SFSR, 자캅카스 SFSR, 우크라이나 SSR 및 벨라루스 SSR의 전권 대표단 회의에서 소련 창설 조약과 소련 창설 선언을 승인하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결성했다. 이 두 문서는 1922년 12월 30일 소련 제1차 소비에트 대회에서 비준되었으며 대표단장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츠하카야, 미하일 프룬제, 그리고리 페트로프스키, 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가 서명했다.
참조
[1]
서적
Bukharin and the Bolshevik Revolution: A Political Biography 1888–1938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2]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01-05
[3]
서적
Stalin and Stalinism: Revised 3rd E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4]
서적
Critical Companion to the Russian Revolution, 1914–1921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7
[5]
웹사이트
Crimes and Mass Violence of the Russian Civil Wars (1918-1921)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sponses to the Russian Civil War (Russian Empire)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WW1)
https://encyclopedia[...]
2024-05-19
[7]
웹사이트
Voted Unanimously for the Union
http://region.adm.no[...]
[8]
웹사이트
Creation of the USSR
http://www.hronos.km[...]
[9]
간행물
The Pre-Revolutionary Pravda and Tsarist Censorship
https://www.jstor.or[...]
1954
[10]
서적
The world's great dailies: profiles of fifty newspapers
1980
[11]
서적
The world's great dailies: profiles of fifty newspapers
1980
[12]
간행물
Photomontage for the Masses: The Soviet Periodical Press of the 1930s
2010
[13]
간행물
The rhetoric of Pravda editorials: A diachronic study of a political genre
http://www.diva-port[...]
2007
[14]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Literacy in Russia and the USSR from the Tenth to the Twentieth Centuries
https://www.jstor.or[...]
1991
[15]
서적
Russian literacy campaigns, 1861–1939
Springer US
1987
[16]
서적
How Russia learned to listen: radio and the making of Soviet culture
[17]
간행물
Broadcasting Bolshevik: The radio voice of Soviet culture, 1920s–1950s
2013
[18]
간행물
Public and private values in the Soviet press, 1921–1928
1989
[19]
서적
Moscow Correspondents: From John Reed to Nicholas Daniloff
1988
[20]
서적
Stalin's Apologist: Walter Duranty: The New York Times's Man in Moscow
Oxford UP
1990
[21]
간행물
"'In Wartime Every Objective Reporter Should Be Shot.'The Experience of British Press Correspondents in Moscow, 1941-5"
https://www.jstor.or[...]
1988
[22]
간행물
Moscow's blue pencils and the green baize door
2004
[23]
서적
Russia's Last Capitalists: The Nepmen, 1921–1929
http://ark.cdlib.org[...]
U of California Press
1990
[24]
서적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P
2001
[25]
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2011
[26]
간행물
The politics of hunger: The Soviet response to famine, 1921
https://www.jstor.or[...]
1977
[27]
서적
Russia's Last Capitalists: The NEPmen, 1921–1929
http://ark.cdlib.org[...]
U of California Press
1987
[28]
간행물
Revolt in the Mountains: Fuzail Maksum and the Occupation of Garm, Spring 1929
1990
[29]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History
2004
[30]
간행물
National Self-Determination, as Understood by Lenin and the Bolsheviks
http://talpykla.isto[...]
2008
[31]
서적
Lenin on the Question of Nationality
https://www.questia.[...]
1958
[32]
문서
Greenwood Press
1995
[33]
서적
Jewish Nationality and Soviet Politics: The Jewish Sections of the CPSU, 1917–1930
1972
[34]
서적
Encyclopedia
[35]
간행물
Stalin as Commissar for Nationality Affairs, 1918–1922
2005
[36]
서적
The Sorcerer as Apprentice: Stalin as Commissar of Nationalities, 1917 – 1924
https://www.questia.[...]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