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가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가전은 도시 환경에서 벌어지는 군사 작전을 의미하며,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현대전 등 다양한 시기에 걸쳐 중요한 전투 양상으로 나타났다. 도시의 복잡한 지형과 민간인의 존재는 시가전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며, 공격 측은 방어 측에 비해 노출될 위험이 크다.

역사적으로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베를린 전투는 대규모 시가전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며, 현대전에서는 체첸 전쟁과 같은 비정규전에서 시가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각국 군대는 도시전 수행을 위한 훈련 시설을 구축하고, CQB(근접전투) 훈련을 통해 전투 기술을 연마한다. 한국은 도시화된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시가전 관련 교리와 전술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투 - 길거리 싸움
    길거리 싸움은 공공장소에서 벌어지는 육체적 다툼으로, 사회적 지위 획득, 대인 관계 갈등, 알코올 영향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개인과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전투 - 회전 (전쟁)
    회전은 전쟁에서 승리를 결정짓기 위해 병력을 집중하여 치르는 결정적인 전투를 의미하며, 조직력 붕괴, 목표 지점 점령, 핵심 부분 파괴 등을 통해 승패가 결정되고,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 전쟁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전쟁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시가전 -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은 로드니 킹 사건 무죄 판결에 대한 흑인 사회의 분노와 인종 간 긴장, 경찰의 과잉 진압, 경제적 불평등, 한인-흑인 사회 갈등 등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하여 6일간 로스앤젤레스 전역에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고 미국 사회의 인종 및 경찰 폭력 문제를 드러낸 사건이다.
  • 시가전 - 부활절 봉기
    1916년 부활절 주간에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영국의 지배에 맞서 독립을 목표로 일으킨 무장 봉기인 부활절 봉기는 군사적으로는 실패했으나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시가전
지도 정보
개요
다른 이름도시 전투, 시가전투, 시가지 전투
관련 전역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특징복잡한 환경
고도로 구축된 구조물
은폐 및 엄폐물 활용
비전투원의 존재
민간인 사상자 발생 가능성 높음
전술적 어려움시야 확보의 어려움
접근로 제한
통신 문제
폭발물 및 매복 위험
건물 파괴로 인한 추가 위험
현대적 영향드론의 활용
정밀 유도 무기의 사용
정보전의 중요성 증가
도시 인구 밀집도 증가로 인한 중요성 증가
역사
고대 시대트로이 전쟁 (기원전 12세기경)
시라쿠사 공방전 (기원전 415년~413년)
예루살렘 공방전 (서기 70년)
중세 시대콘스탄티노플 공방전 (1453년)
근대 시대워털루 전투 (1815년)
멕시코-미국 전쟁
파리 코뮌 (1871년)
현대 시대제1차 세계 대전 (예: 베르됭 전투)
제2차 세계 대전 (예: 스탈린그라드 전투, 베를린 전투)
한국 전쟁 (예: 서울 전투)
베트남 전쟁 (예: 후에 전투)
레바논 내전 (예: 베이루트 전투)
이라크 전쟁 (예: 팔루자 전투)
시리아 내전 (예: 알레포 전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예: 마리우폴 전투)
전술
주요 전술은폐 및 엄폐 활용
근접 전투 기술
소규모 부대 전술
건물 진입 및 청소 기술
폭발물 처리 기술
저격 및 대저격 전술
통신 및 연락 유지
정찰 및 정보 수집
민간인 보호
부대 구성소규모 팀 (4~10명)
특수 훈련된 병력
장비소총, 권총, 기관총 등 소화기
유탄발사기, 수류탄 등 폭발물
방탄복 및 헬멧
야간 투시 장비
통신 장비
폭발물 처리 장비
현대 변화드론 및 정찰 기술
정밀 유도 무기
네트워크 중심전
주요 어려움
복잡한 환경건물, 도로, 골목, 지하 시설 등 복잡한 구조물
은폐 및 엄폐물 증가
비전투원민간인 사상자 발생 위험 증가
적군과 민간인 식별의 어려움
통신전파 방해 및 통신망 마비
건물구조적 불안정으로 인한 붕괴 위험
매복 및 저격 위험
민간 시설민간 시설 파괴로 인한 사회적 문제 발생
인도적 지원 필요 증가
기타 고려 사항
법적/윤리적 문제교전 규칙 준수
민간인 보호
전쟁 범죄 방지
정보전대중 매체를 통한 심리전 및 선전전
오보 및 허위 정보 유포
훈련시뮬레이션 훈련
실전 훈련
특수 부대 훈련
도시 계획 및 디자인도시 방어에 유리한 구조 설계
비상시 대피로 확보

2. 역사

시가전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몬테레이 전투미국 육군이 도시전을 처음으로 접한 전투였다. 1846년 9월 재커리 테일러가 이끄는 미군이 마을을 침공했을 때 발생했다. 미국 육군은 도시전에 대한 사전 훈련이 없었고 멕시코 수비대는 옥상에 숨어 구멍을 뚫고 총을 쏘고 도시의 거리 한복판에 대포를 배치했다. 몬테레이의 집들은 튼튼한 이중문과 창문이 거의 없는 두꺼운 어도비(점토)로 만들어졌다. 지붕에는 약 0.61m 높이의 벽이 늘어서 있었고, 이 벽은 방어하는 군인들의 방어벽 역할을 했다.

1846년 9월 21일, 미국 육군은 도시의 거리를 행군했고 멕시코 수비대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 그들은 벽, 구멍, 지붕 뒤에 숨겨진 적군들을 볼 수 없었다. 미군은 인접한 건물에 은폐할 때까지 거리를 따라 곧장 행진하려고 했다. 미군은 도시로 대포를 옮기려 했지만, 미군보다 더 잘 숨어있는 멕시코 군을 공격할 수 없었다. 이틀 후, 미국은 다시 양쪽에서 도시를 공격했고 이번에는 다르게 싸웠다.[45]

윌리엄 젠킨스 워스 장군은 텍사스 고문들의 말을 듣고, 1842년 미에르 전투와 1835년 벡사 전투의 경험을 바탕으로 각 집을 통해 "쥐 구멍"을 내고 근접전에서 멕시코 군을 뿌리 뽑는 전술을 사용했다.[46][47] 워스의 부하들은 곡괭이로 병사들이 접근 할 수 있는 집의 지붕이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사다리를 이용해 옥상 꼭대기에 올라가 멕시코 수비대를 공격했다.

1944년 부다페스트 전투에서 보았듯이 추축국소련군이 지하나 벙커, 유틸리티 터널과 같은 건물을 파괴하는 것은 어려웠다.

분석가들은 현대 도시 전투의 규모와 크기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는데,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규모와는 맞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마이클 C. 데슈 교수는 스탈린그라드 전투베를린 전투를 언급하며 "엄청난 병력이 고강도 도시 전투에서 다시는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상자의 많은 수는 그러한 분쟁이 매우 치명적이라는 기본적인 사실을 강조한다"고 말했다.[17] 현대전 연구소의 기사는 스타링라드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지만, "현대 군대는 이러한 수로 싸울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말한다.[18]

찰스 C. 크룰락 전 미국 육군 장군이자 미 해병대 사령관과 현대전 연구소의 도시전 연구 회장인 퇴역 군인 존 스펜서는 도시전이 전쟁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19][20] 스펜서는 2024년 기사에서 21세기 최근 수십 년 동안만의 수많은 도시 전투 목록( 팔루자, 사드르 시티, 모술, 락까, 마라위, 바흐무트, 마리우폴, 칸 유니스)을 제시하며, 이것이 사실임을 확인했다.[20] 2023년 분석가 미카엘 바이스만은 도시전이 "미래의 전장"이 될 것이라는 데 널리 동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21]

기존의 군사학에서는 바다, 산악, 평지 등 자연환경에서의 전투를 상정하고 있으며, 병법서나 전투교리도 자연환경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중세 이후 본격적인 요새가 건설되면서 공성전 개념이 발달했고, 근대 이후 선진국에서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가 발전하면서, 기존의 공성전과는 다른 '시가전'이 발생했다.

시가지는 건물과 바리케이드가 장애물이 되어 차량 진입이 어렵고, 보병의 중요성이 증가한다. 공격측은 매복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에 대한 접근전도 용이해진다. 평지에서는 표적이 되기 쉬운 보병은 강력한 방호물에 의해 취약성이 보완되고, 기동력을 살려 야전보다 유리하게 싸울 수 있다.

건물에 틀어박힌 적에게는 포격이나 폭격이 효과가 적기 때문에, 대화력으로 건물 전체를 파괴하거나 보병의 근접전으로 소탕해야 한다. 과거에는 중포로 지역 전체를 파괴하는 것도 행해졌지만, 민간인이나 무관한 시설에 대한 피해가 크다. 따라서 현대에는 정밀 유도 무기를 사용하여 공격 대상을 최소화한다.

전쟁의 승패가 주요 도시의 함락 여부에 달려 있는 경우는 역사적으로 많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스탈린그라드 전투베를린 전투, 현대에도 한국 전쟁의 서울 전투, 베트남 전쟁의 테트 공세, 제4차 중동 전쟁의 수에즈 전투, 소말리아 내전모가디슈 전투 등 많은 시가전이 벌어졌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는 파벨라(슬럼)를 근거지로 하는 마약 갱 조직 소탕을 위해 리우데자네이루 주립 경찰 소속 특수작전대인 BOPE가 슬럼에서 시가전을 현재도 경험하고 있다. 현대에는 항의를 위해 모인 시위대가 무장하여 폭도화되면 경찰로서는 대처가 어려워져 군이 투입되고 시가전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스포츠 라이플이나 사냥총, 화염병 등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방어 측에 유리한 전투 형태로 여겨지지만, 후퇴전에서 시가지로 진입은 피해야 할 사항으로 여겨진다.

다음은 시가전의 예시이다.

사건시대비고
응인의 란1467년 ~ 1477년일본 무로마치 시대
다이시오 헤이하치로의 란1837년일본 에도 시대
금문의 변1864년일본 에도 시대
도바·후시미 전투1868년일본 보신 전쟁
우에노 전투1868년일본 보신 전쟁
의화단의 난1899년 ~ 1901년청나라
제1차 상하이 사변1932년중화민국
제2차 상하이 사변1937년중화민국
남경 공략전1937년중일 전쟁, 중화민국
스탈린그라드 전투1942년 ~ 1943년제2차 세계 대전, 소련
바르샤바 게토 봉기1943년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바르샤바 봉기1944년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마켓-가든 작전1944년제2차 세계 대전, 네덜란드 아른험
부다페스트 포위전1944년 ~ 1945년제2차 세계 대전, 헝가리
쾨니히스베르크 전투1945년제2차 세계 대전, 동프로이센
아헨 전투1945년제2차 세계 대전, 독일
마닐라 전투1945년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
베를린 전투1945년제2차 세계 대전, 독일
사할린 전투1945년제2차 세계 대전, 일본
서울 회전1950년한국 전쟁
헝가리 혁명1956년헝가리
테트 공세1968년베트남 전쟁
광주 사태1980년대한민국
사라예보 포위전1992년 ~ 1996년보스니아 전쟁
그로즈니 전투1994년 ~ 2000년체첸 분쟁
모가디슈 전투1993년소말리아 내전
남오세티아 전쟁2008년조지아, 남오세티야 (츠힌발리 전투, 고리 점령)
팔루자 전투2003년 ~ 2016년이라크 전쟁 이후, 이라크
가자 공격2008년 ~ 현재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모술 전투2016년 ~ 2017년이라크
알레포 전투2012년 ~ 2016년시리아 내전
라카 전투2013년 ~ 2017년시리아 내전
말라위 전투2017년필리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 현재우크라이나, 러시아 (2022년 키이우 전투 등)
아디스아베바 공방전·악숨 공방전1935년 ~ 1936년제2차 에티오피아 전쟁, 에티오피아
예루살렘 공방전1947년 ~ 1949년제1차 중동 전쟁 등
베이루트 전투1975년 ~ 1990년레바논 내전 (호텔 전투 등)
함마 암살 사건1982년시리아
몬테레이 전투1846년미국-멕시코 전쟁
파벨라의 마약조직 단속1980년대 ~ 현재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7월 혁명1830년프랑스
더블린 전투1922년아일랜드
스파르타쿠스 반란1919년독일
뮌헨 폭동1923년독일


2.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의 도시 군사 작전은 지상 공격 전투기부터 중폭격기까지 다양한 포병 포격과 항공 지원에 크게 의존했다. 스탈린그라드바르샤바 봉기와 같은 경우에는 모든 무기가 사용되었다.[41][42]

그러나 점령지를 해방할 때는 특히 도시 환경에서 제한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오르토나와 흐로닝언에서 캐나다군은 민간인과 건물을 보호하기 위해 포병을 사용하지 않았다.[41][42] 1945년 마닐라 전투에서 맥아더 장군은 민간인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포병과 공습을 처음으로 금지했다.

군사력은 민간인이 있는 지역을 공격할 때 적용할 수 있는 힘의 양에 군사적 필요성을 지배하는 전쟁법에 의해 구속된다. 1970년대까지 민간인 지역 공격은 1907년 헤이그 협약 제4호(토지 전쟁의 법과 관습, 특히 25조부터 27조)에 의해 다루어졌다. 이는 1949년 8월 12일 제네바 협약의 추가 의정서와 국제 및 비국제적 무력 충돌의 희생자 보호에 의해 보완되었다.

도시 환경에서의 전투는 매복으로 인한 소모적 손실을 통해 약한 방어군이나 게릴라 전사들에게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공격군은 무수한 구조물과 잔해를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인력을 소비해야 한다.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은 폭격으로 파괴되지만, 방어가 잘 되어 있을 때 건물을 완전히 파괴하기는 매우 어렵다. 소련군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Red October steel factory를 방어하는 동안, 그리고 1945년 독일 제국군 점령 경쟁에서 포격에도 불구하고 계속 싸워야 했다.[44]

베를린 전투에서 소련군 전투단은 야포 지원을 받는 6~8명의 돌격대로 구성된 80명 규모의 혼합 무기 부대였다. 이들은 스탈린그라드에서 베를린에 이르는 각 페스퉁슈타트에서 소련군이 개발하고 개량한 집집마다의 전투 전술을 적용할 수 있는 전술 부대였다. 베를린 중심 지역 대부분은 직선적인 넓은 도로가 있는 도시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여러 수로, 공원, 큰 철도 차량기지와 교차했다. 지형은 대부분 평평했지만 크로이츠베르크와 같은 해발 66m의 낮은 언덕들이 있었다.[48][49][50][51]

소련이 시가전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운 것처럼 독일도 마찬가지였다. 무장친위대는 길모퉁이 근처의 임시 바리케이드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직선 거리를 따라 멀리 떨어진 곳에서 포격으로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대신, 저격수와 기관총을 위층과 지붕에 배치했다. 또한 탱크가 거리를 따라 이동할 때 매복하기 위해 지하실 창문에 기갑부대로 무장한 병사들을 배치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소련 기관총 사수들은 전차를 타고 모든 출입구와 창문에 사격했다. 또 다른 해결책은 중폭격기로 방어된 건물을 폭파하고 높은 층의 방어자에게 대공포를 사용하는 것이었다.[52]

소련 전투 부대들은 거리를 따라 직접 이동하는 대신 집집마다 이동했다. 이들은 아파트와 지하실을 통해 인접한 건물의 벽을 뚫고 이동했고 다른 부대들은 지붕과 다락방을 가로질러 싸웠다. 이러한 전술은 측면의 전차를 매복 공격하는 독일군을 격퇴시켰다.

2. 2. 한국 전쟁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로 정치, 문화적 핵심 시설이 많고, 상업공업 지역과 문화 시설 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주거 지역은 작은 비율을 보인다. 서울을 제외한 그 외 주요 도시의 주거 지역과 상·공업 지역 비율은 서울과 다르게 주거 지역 비율이 높다.[54]

2. 3. 현대전

현대전에서는 도시화와 비정규전의 증가로 시가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1999년 러시아군이 그로즈니를 공격했을 때, 대량의 포격이 사용되었다. 러시아군은 시민들에게 도시를 떠날 것을 경고했다.[43] 1차 체첸 전쟁에서 러시아군은 기습을 당했고, 기갑 부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 장기적으로 러시아군은 보병을 중심으로 도시를 체계적으로 진격시키는 전략을 사용했다.[53]

3. 특징

시가전 전투환경


시가전은 개활지에서의 전투와 비교했을 때 작전이나 전술 면에서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민간인의 존재와 도시 지형의 복잡함은 시가전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변수이다. 시가전은 특정 거주 지역을 점거함으로써 이점을 얻거나, 그 이점이 적에게 돌아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략적 및 전술적 의의를 갖고 이루어진다.

건물은 저격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고, 골목길과 잔해로 가득 찬 거리는 부비트랩을 설치하기에 이상적이다. 방어측은 숨겨진 통로와 매복 작전을 통해 도시 내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반면 공격측은 방어측의 숨겨진 루트에 익숙하지 않아 노출된 경로를 자주 이용해야 하므로, 방어측보다 더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 수색 과정에서 공격측은 거리에 노출되기도 한다.

시가전 환경은 기갑, 중포, 공중 지원 등의 우위를 무효화시킨다. 소규모 보병의 대전차무기 습격은 현대 수준의 기갑장비도 완전히 파괴할 수 있으며, 포병과 공중 지원은 민간인 희생을 줄이고자 한다면 그 효용성이 극도로 떨어진다. 그러나 방어측에는 이러한 제약이 가해지지 않으며, 심지어 민간인을 인간방패로 사용할 수도 있다.

시가전 상황에서 민간인을 민병과 같은 전투원과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특히 자기 보금자리를 외부 침입자로부터 지키려는 사람일 경우 더욱 그렇다. 건물들이 들어서면서 환경이 삼차원 공간으로 변하고 시야와 사정거리가 제한되며, 방어 측에게 유용한 은폐 및 엄폐 수단을 제공하고 부비트랩이나 저격수 같은 함정이 배치되기 쉬워짐에 따라 전술도 복잡해진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도시 군사 작전은 대량의 포병 포격과 항공 지원에 크게 의존했는데, 근접 항공 지원 전투기부터 폭격기까지 다양했다. 유럽 전구에서 약 40%의 전투가 도시 지역에서 벌어졌다.[10] 스타링라드와 바르샤바 봉기와 같은 특히 잔혹한 도시전에서는 결과에 관계없이 모든 무기가 사용되었다.

군사 역사가 빅터 데이비스 한슨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도시전의 치명성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제한된 공간에서 민간인과 군인이 만났을 때 사망자 수가 급증했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큰 학살이 레닌그라드와 스타링라드에서 일어난 것은 도시 요새를 공격하려는 노력의 결과였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11]

그러나 점령지를 해방할 때는 특히 도시 지역에서 종종 자제가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캐나다 작전은 오르토나와 흐로닝언에서 민간인과 건물을 보호하기 위해 포병 사용을 완전히 피했다.[12][13] 1945년 마닐라 전투 동안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처음에 민간인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포병과 공습을 금지했다.

군대는 알려진 민간인이 있는 지역을 공격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병력의 양에 대한 전쟁 법규의 군사적 필요성을 준수해야 한다. 1970년대까지는 1907년 헤이그 협약 ''IV – 육상 전쟁의 법규 및 관습''이 25~27조에 명시되어 이를 다루었다. 이후 이는 ''1949년 8월 12일 제네바 협약 추가 의정서 및 국제적 및 비국제적 무력 충돌 피해자 보호에 관한 추가 의정서''에 의해 보완되었다.

때로는 구별과 비례성이, 오르토나의 캐나다군의 경우처럼, 공격군이 도시를 공격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병력을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게 한다. 다른 경우, 스타링라드 전투와 베를린 전투와 같이 양측 군대 모두 민간인 대피를 고려했지만 실용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러시아군이 1999년 그로즈니를 공격했을 때, 그들은 도시를 제압하기 위해 대규모 포병 및 공습 작전을 수행했다. 러시아군은 시민 사상자 문제를 시민들에게 도시를 떠나라는 최후 통첩을 발표함으로써 해결했다. 자비 없이 파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4] 도시에 투하된 전단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혀 있었다. '''"당신은 포위되었고, 그로즈니로 가는 모든 길이 막혔습니다...도시에 남아 있는 사람들은 테러리스트와 산적으로 간주되어 포병과 항공기로 파괴될 것입니다. 더 이상 협상은 없습니다. 도시를 떠나지 않는 모든 사람은 파괴될 것입니다."'''

1945년 마닐라 전투에서 파괴된 필리핀 수도 마닐라


도시 환경에서의 전투는 매복으로 인한 손실을 통해 더 약한 방어군이나 게릴라 전투원에게 어떤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공격군은 더 자주 3차원을 고려해야 하며,[15] 결과적으로 수많은 건물과 엄청난 양의 잔해를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병력을 소모해야 한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집중적인 포격으로 파괴될 수 있지만, 잘 방어된 건물을 완전히 파괴하기는 매우 어렵다. 소련군은 스타링라드 전투 중 붉은 10월 제철소를 방어하는 동안 방에서 방으로 싸워야 했고, 1945년 국회 의사당 점령을 위한 경쟁 중에도 근접 거리에서 포병(203mm 곡사포 포함)으로 집중적인 포격을 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랬다.

벙커와 지하 시설 터널과 같은 지하 또는 요새화된 구조물을 파괴하기도 어렵다. 1944년 부다페스트 포위전 중에는 추축국과 소련군 모두 병력 이동을 위해 하수도를 사용하면서 하수도에서 전투가 벌어졌다.[16]

분석가들은 현대 도시 전투의 규모와 크기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는데,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규모와는 맞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마이클 C. 데슈 교수는 "그 전투에서 양측에 참여한 엄청난 병력이 고강도 도시 전투에서 다시는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상자의 많은 수는 그러한 분쟁이 매우 치명적이라는 기본적인 사실을 강조한다"고 말하며 스타링라드와 베를린 전투를 언급했다.[17] 현대전 연구소의 기사는 스타링라드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지만, 결국 "스타링라드는 각측에 총 100만 명의 군인이 포함된 많은 군단이 있는 극장에서 일어났으며, 현대 군대는 이러한 수로 싸울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말한다.[18]

찰스 C. 크룰락 전 미국 육군 장군이자 미 해병대 사령관과 현대전 연구소의 도시전 연구 회장인 퇴역 군인 존 스펜서와 같은 많은 분석가들은 도시전이 전쟁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19][20] 스펜서는 2024년 기사에서 이것이 사실임을 확인하고 21세기 최근 수십 년 동안만의 수많은 도시 전투 목록을 제공했는데, 그것은 팔루자, 사드르 시티, 모술, 락까, 마라위, 바흐무트, 마리우폴, 칸 유니스이다.[20] 2023년 분석가 미카엘 바이스만은 도시전이 "미래의 전장"이 될 것이라는 데 널리 동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21]

기존 군사학에서는 전쟁을 바다, 산악, 평지 등 자연환경에서의 전투를 상정하고 있으며, 병법서나 전투 교리도 자연환경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중세 이후 본격적인 요새가 건설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공성전 개념이 발달했다. 근대 이후 선진국에서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가 발전하면서, 기존 공성전과는 다른 전투 형태인 '시가전'이 발생했다.

시가지는 건물과 바리케이드가 장애물이 되어 차량 진입이 어렵고, 보병의 중요성이 증가한다. 장애물이 많은 시가지에서는 사선과 시야가 확보되기 어렵고, 마주치는 순간 근접전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공격측은 매복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에 대한 접근전도 용이해진다. 평지에서는 표적이 되기 쉬운 보병은 강력한 방호물에 의해 취약성이 보완되고, 기동력을 살려 야전보다 유리하게 싸울 수 있다고 여겨진다.

건물에 틀어박힌 적에게는 포격이나 폭격이 효과가 적기 때문에, 대화력으로 건물 전체를 파괴하거나 보병의 근접전으로 소탕해야 한다. 과거에는 중포로 지역 전체를 파괴하는 것도 행해졌지만, 민간인이나 무관한 시설에 대한 피해가 크다. 따라서 현대에는 유도 폭탄과 같은 정밀 유도 무기를 사용하여 공격 대상을 최소화한다.

전쟁의 승패가 주요 도시의 함락 여부에 달려 있는 경우는 역사적으로 많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스타링라드 전투나 베를린 전투, 현대에는 한국 전쟁의 서울 전투, 베트남 전쟁의 테트 공세, 제4차 중동 전쟁의 수에즈 전투, 소말리아 내전모가디슈 전투 등 많은 시가전이 벌어졌다.

현대전에서는 전황이 불리해진 진영이 방어전을 위해 시가지 지역을 방어 진지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양쪽에 건물이 있는 도로는 쉽게 차단이 가능하고, 건물 자체를 이용하면 단시간에 구축할 수 있다. 수많은 유효한 사격 위치를 입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협소한 시가지 중심부에는 대형 전투 차량의 투입이 어렵다. 상공에서의 시야가 가로막히기 때문에 공중 전력의 투입도 제한된다. 레이더적외선야간투시경과 같은 센서류는 제한된다. 방어측은 사전에 최신 지형과 구역 정보를 얻어 전술적으로 유리하게 싸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시가전에서는 공격측에게 불리한 요소가 많다. 반면 전투를 피해 우회하면 방어측은 아군보다 고립되어 농성전이나 기아 상태가 되지만, 시가지와 외부를 연결하는 도로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후퇴 경로가 고정된다. 공격측은 공격 실행의 선택권이 있으며, 배후 공격의 위험을 감수하면 우회할 수 있다. 또한 쉽게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핵무기 등 전략 무기, 전략폭격기의 융단 폭격이나 지중 관통 폭탄 등 대시설 공격의 위협이 증가한다.

도시 점령 사실은 양측 모두에게 심리적 영향을 미치고, 전쟁 종결 전후의 정치적 영향이 크며 전략적 목표가 될 수 있다.

3. 1. 전술적 고려사항



시가전은 개활지에서의 전투와 비교했을 때 작전이나 전술 면에서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민간인의 존재와 도시 지형의 복잡함은 시가전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변수이다.

  • 명확한 전선이 없어 사전 작전 및 병참 계획 수립이 어렵고 유동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 반면, 건물과 도로 등으로 인해 이동 경로는 제한된다.
  • 현대 건축물은 보병 휴대 화기나 소형 폭탄의 폭격 또는 화재로는 쉽게 파괴되지 않으며, 강력한 은폐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남은 건물은 차폐물이 되어 화기의 사정거리가 제한되고, 목표 탐색 및 탐지, 아군과의 통신도 어려워진다.
  • 오래된 도시에는 좁고 복잡한 골목길이 많아 방어측이 매복하기 쉽다. 최근 개발된 도시는 도로가 넓고 정돈되어 있지만, 건물 배치가 변하기 쉬워 최신 도시 구조에 익숙한 쪽이 유리하다.
  • 도시 지역에는 많은 차량이 있지만, 갑작스러운 전투 발생 시 버려지는 경우가 많아 즉석 폭발물 설치에 이용될 수 있다.
  • 건물이 많아 항공기로부터 몸을 숨기기에 적합하다. 특히 고층 빌딩 숲은 고정익기에 의한 정찰 및 지상 공격을 어렵게 만들어, 헬리콥터나 소형 무인기 등이 필요하다.
  • 도로의 너비나 강도에 따라 대형 차량의 통과가 제한될 수 있다. 특히 금속제 궤도는 포장도로에서 미끄러지기 쉬워 전차에게는 불리한 지형이다. 하지만 잔해가 흩어져 있는 경우에는 유효하다.
  • 정비된 도로는 장륜장갑차 등 포장 도로에서 속도가 우수한 차량에게 유리하다. 하지만 큰 잔해가 흩어져 있는 곳은 통과할 수 없다.[40]
  • 보병은 차폐물의 사각지대에서의 기습이나 건물 내부 조사가 많아지므로, 근접전투 등 돌발적인 근접전에 대응하는 기술을 습득해야 한다. 따라서 보병은 가볍고 움직이기 쉬운 전투복, 샷건이나 소총 등 실내전에 적합한 화기가 필요하다.
  • 건물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바람이 통하기 어려워 평야에 비해 연막이나 독가스가 확산되기 어렵다.
  • 탈출하지 못한 민간인과 사복을 입은 게릴라는 식별이 어려워 무기, 작전, 전술이 제한된다.
  • 자연 환경에서의 행동을 전제로 한 기존의 위장은 녹색이나 갈색을 곡선적으로 배치하고 있지만, 콘크리트 건물이나 아스팔트 도로 등 단색으로 직선적인 구조물이 많은 시가지에서는 효과가 감소하여 오히려 눈에 띄는 경우도 있다. 대책으로 회색·검정색·흰색 등을 사용하는 도시 위장이나, 패턴을 다즐 위장식이나 모자이크 모양으로 배치한 디지털 위장이 고안되었다.

4. 대한민국에서의 시가전

한반도는 산악 지형이 많지만, 2000년대 이후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도시 지역에서의 전투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54] 서울은 주거지역보다 상업공업 지역과 문화시설의 비율이 높다. 반면 서울 외의 주요 도시들은 주거 지역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시가전 발생 시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거 지역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54]

도시 지역 건물들은 대부분 강화 콘크리트로 지어진 중·고층 아파트이며, 이는 화기 효과 및 통신에 영향을 미친다.[54]

4. 1. 한반도 도시지역의 특징

한반도는 국토의 75%가 산과 들이다. 산악지형이라는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은 변화하지는 않으나,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인위적인 변형으로 인해 미래 한반도의 작전 환경은 수시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 지역은 200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되어 2010년에는 한국의 90% 이상이 도시화되었으며, 도시 지역에는 전체 인구의 약 80%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은 수많은 인구와 복잡한 건축물들이 혼재되어 있어 도시 지역에서 전투가 벌어질 경우 수많은 제한사항이 발생한다.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고 정치적, 문화적 핵심 시설이 많으며, 상업공업 지역과 문화 시설 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주거지역은 작은 비율을 보인다. 반면 서울을 제외한 그 외 주요 도시의 주거 지역과 상·공업 지역의 비율은 서울과 다르게 주거 지역의 비율이 높다. 따라서 도시 지역에서 작전 수행을 하는 작전 지휘관은 민간인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주거 지역의 규모와 해당 도시 지역 내에서 사람들이 주로 모여 살고 있는 주거 지역에 대한 정보를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도시 지역 주거 지역 내 대부분의 건물은 중·고층 아파트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파트나 건물의 건축 자재는 강화된 콘크리트로 되어 있어 공격 및 방어 간 화기의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강철과 콘크리트로 건축된 건물은 각종 화기를 활용하여 벽을 뚫어 기동로를 확보하는 데 큰 제한사항이 된다. 대도시 지역의 고층 아파트 높이와 폭 역시 원활한 통신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된다.[54]

4. 2. 도시작전 수행을 위한 발전 사항

중대급에서 운용 가능한 첩보 수집용 장비를 보유해야 한다. 이라크전현대전을 통해서 '전장 가시화'의 중요성이 증명되었다. 높고 다양한 건물들이 산재한 도시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지휘관은 병력들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부대가 진출할 지역에 대한 적 정보와 위치에 대한 정확한 첩보가 필요하다.[55]

도시 지역 작전 관련 교리 및 전술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초급·고급 장교들을 대상으로 한 도시 지역 작전 관련 전술 훈련이 지속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도시 지역에서의 전투 수행은 기존의 산악전이나 야지에서의 기동 훈련과 분명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군 교육 기관에서는 도시 지역 작전 관련 훈련 과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더불어 중·소대장들이 도시 지역에서 타 병과와 함께 공격·방어 작전 훈련을 숙달할 수 있도록 교육 과정을 대폭 수정해야 한다. 산악과 일부 개활지로 꾸며진 작전 지도 위에서 공격 및 방어 작전 계획을 수립하는 식의 교육 방식은 변화된 한국의 작전 환경을 무시한 구태의연한 과거의 전술 교육 방법이다.[55]

5. 군사 용어

미국군은 역사적으로 도시전을 'UO'(도시 작전)라고 불렀으나,[3] 이 용어는 대부분 'MOUT'(도시지형 군사작전)으로 대체되었다.[4]

영국군에서는 'OBUA'(건물 밀집 지역 작전), 'FIBUA'(건물 밀집 지역 전투), 때로는 구어체로 'FISH'(누군가의 집에서의 전투),[5] 또는 'FISH and CHIPS'(누군가의 집에서 싸우고 사람들의 거리/공공 장소에서 혼란을 야기하는 것)[6]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FOFO'(요새화된 목표물에서의 전투)라는 용어는 벙커, 참호, 요새와 같은 좁고 참호가 파인 곳에서 적 병력을 제거하고, 지뢰와 철조망을 해체하며, 적 지역에 교두보를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7]

이스라엘 방위군은 도시전을 לש"ב|라샤브he라고 부른다. 이스라엘 방위군의 라샤브는 대규모 전술(중장갑차량, 장갑도저, 정찰용 무인항공기 등의 사용 포함)과 전투 부대의 근접전 훈련(소규모 보병 부대가 좁고 건물이 밀집된 공간에서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에 대한 훈련)을 포함한다. 이스라엘 방위군의 라샤브는 주로 최근 수십 년 동안, 특히 1982년 레바논 전쟁 중 베이루트와 레바논 마을에서의 도시전을 포함하여 발전되었고, 제2차 인티파다(2000~2005) 기간 중 이스라엘 방위군 병사들이 팔레스타인 도시, 마을, 난민 캠프에 진입하여 전투를 벌이면서 더욱 발전되었다. 이스라엘 방위군은 도시전 훈련을 위한 특별하고 크고 발전된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8]

6. 도시전 훈련

군대는 건물이 밀집한 도시 지역을 포함한 모든 상황에 대비하여 부대를 훈련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여러 국가에서 도시 지역 훈련 시설을 만들었다. 영국 육군은 스탠퍼드 전투 지역 내에 "아프가니스탄 마을"을 설립했고, 프랑스 육군은 CENZUB 시설에 여러 개의 도시 지역 훈련장을 건설했다.[33]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 준비를 위해 미국군의 도시 지역 훈련장을 확보하고자 영국 임버 마을 주민들이 강제로 이주당했다. 이 지역은 강제 이주된 주민들이 집을 되찾으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으며, 북아일랜드 반란 진압 작전을 위한 영국군 훈련에도 사용되었다. 임버에서 약 약 4.83km 떨어진 곳에 코프힐 다운이라는 새로운 훈련 지역이 조성되었다.[33]

참조

[1] 웹사이트 The City Is Not Neutral: Why Urban Warfare Is So Hard https://mwi.westpoin[...] 2020-03-04
[2] 서적 War in the Streets. The Story of Urban Combat from Calais to Khafji. 1992-01-01
[3] 서적 Storming the City: U.S. Military Performance in Urban Warfare from World War II to Vietnam University of North Texas Press
[4] 서적 Dictionary of Military Terms Bloomsbury Publishing
[5] 뉴스 The final battle for Basra is near, says Iraqi general https://www.independ[...] 2008-03-24
[6] 서적 Eight Lives Down: The Most Dangerous Job in the World in the Most Dangerous Place in the World Random House
[7] 웹사이트 FOFO. http://www.specialop[...]
[8] 웹사이트 Urban Warfare Training Center – Simulating the Modern Battle-Field https://www.idf.il/e[...] 2011-10-26
[9] 뉴스 Suomalaiset kuvaavat sotien jälkiä kaupungeissa – katso kuvat ja tarinat tutuilta kulmilta https://yle.fi/uutis[...]
[10] 웹사이트 War in the Urban Jungles https://www.airandsp[...] 1998-12-01
[11] 서적 The Second World Wars: How the First Global Conflict Was Fought and Won Basic Books
[12] 웹사이트 Ortona http://www.canadians[...] canadiansoldiers.com
[13] 서적 The Rhine Crossing and the 2nd Corps' Advance to the North Sea March 23-April 22, 1945
[14] 웹사이트 Russia Warns Civilians in Chechnya https://apnews.com/a[...]
[15] 웹사이트 Urban Warfare Considerations; Understanding and Combating Irregular and Guerrilla Forces During A "Conventional War" In Iraq http://www.emergency[...] Emergency Response and Research Institute 2003-03-29
[16] 웹사이트 World War II: Siege of Budapest https://www.historyn[...] 2006-06-12
[17] 간행물 Soldiers in Cities: Military Operations on Urban Terrain https://press.armywa[...] US Army War College Press 2001-10-01
[18] 웹사이트 Urban Warfare Project Case Study #1: Battle of Stalingrad https://mwi.westpoin[...] 2021-06-28
[19] 웹사이트 The City Is the Battlefield of the Future https://www.wsj.com/[...] 2017-07-19
[20] 웹사이트 War Books: The Urban Battlefield of the Future https://mwi.westpoin[...] 2024-02-09
[21] 웹사이트 Urban Warfare: Challenges of Military Operations on Tomorrow's Battlefield https://academic.oup[...] 2023
[22] 웹사이트 Defending the City: An Overview of Defensive Tactics from the Modern History of Urban Warfare https://mwi.westpoin[...] 2022-02-14
[23] 웹사이트 Monterrey, 1846: Still Offering Urban Combat Lessons after all these Years https://smallwarsjou[...] 2023-03-06
[24] 웹사이트 Urban Warfare – Battle of Monterrey.com http://www.battleofm[...]
[25] 서적
[26] 간행물 Weapons Effects in Cities. Volume 1 https://apps.dtic.mi[...] 1974
[27] 간행물 Modern Experience in City Combat https://apps.dtic.mi[...] 1987
[28] 서적 The Lighthouse of Stalingrad: The Hidden Truth at the Centre of WWII's Greatest Battle Scribner
[29] 서적 A History of Modern Urban Operations Palgrave Macmillan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Chechen Anti-armor Techniques
[35] 서적
[36] 뉴스 EU strongly condemns indiscriminate Hamas rockets on Israel and use of Palestinian population as human shields, 'terrorist groups in Gaza must disarm', calls for 'immediate ceasefire http://ejpress.org/i[...] 2014-07-22
[37] 뉴스 European Union: Hamas, other Gaza terror groups must disarm http://www.haaretz.c[...] 2014-07-22
[38] 웹사이트 Navy SEAL Close Quarter Battle (CQB) http://www.military.[...] 2016-09-28
[39] 간행물 FM 90-10 Military Operations on Urbanized Terrain (MOUT)
[40] 서적 世界のハイパワー戦車&新技術 ジャパン・ミリタリー・レビュー
[41] 웹사이트 Urban Warfare Training Center – Simulating the Modern Battle-Field 2011-10-26
[42] 웹사이트 FOFO 2007-12-07
[43] 뉴스 Russia will pay for Chechnya BBC staff 1999
[44] 서적 (서적 제목 필요) 2002
[45] 웹사이트 Urban Warfare – Battle of Monterrey.com
[46] 서적 2009
[47] 서적 2010
[48] 서적 2008
[49] 서적 1951
[50] 서적 2011
[51] 서적 Urban Land Institute 2006
[52] 서적 2002
[53] 서적 1997
[54] 논문 한반도 내 효과적인 도시지역작전 수행을 위한 연구 2015-05-04
[55] 논문 한반도 내 효과적인 도시지역작전 수행을 위한 연구 2015-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