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바요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소바고요닌(御側御用人)은 에도 막부에서 쇼군의 측근으로서 쇼군의 명령을 노중에게 전달하고 노중의 상소를 쇼군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종4위하에 서임되었으며, 쇼군의 측근으로서 중요한 비밀에 관여하는 자 중에서 선임되었다. 마키노 나리사다가 1681년 오소바슈에서 "오소바고요닌"으로 임명된 것이 시작이며, 노중 이상의 실권을 휘두르는 경우도 있었다. 여러 번에서도 번주의 측근으로 기밀을 다루고 일상적인 상대역을 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에도 막부의 '''오소바고요닌'''(御側御用人)은 쇼군 바로 곁에서 모시며 쇼군의 명령을 노중들에게 전달하고, 노중의 상소를 쇼군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했던 측근이었다. 쇼군 측근 중 가장 높은 지위에 해당했으며, 종4위하 상당의 관위를 가졌다. 이들은 때때로 막부의 노중 이상의 실권을 행사하기도 했다.[1]
2. 에도 막부의 오소바고요닌
2. 1. 성립 배경
에도 막부의 '''오소바고요닌'''(御側御用人)은 쇼군의 측근으로서, 쇼군의 명령을 노중에게 전달하고, 노중의 보고를 쇼군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쇼군 측근 중 가장 높은 지위에 해당하며, 관위는 종4위하에 상당했다. 주로 5000석 급의 하타모토(쇼군 직속 무사) 중에서 쇼군의 깊은 신임을 받는 인물이 임명되었으며, 중요한 기밀 사항의 전달 및 처리를 맡았다.
에도 시대 초기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는 아키모토 야스토모와 마쓰다이라 마사쓰나 같은 측근이 있었는데, 『반한보』에서는 이들을 "오킨슈 출두역"으로 불리며 오소바고요닌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1681년(덴나 원년) 12월, 마키노 나리사다가 기존의 오소바슈(御側衆)에서 '오소바고요닌'으로 임명된 것이 공식적인 시작으로 간주된다.
오소바고요닌 중에는 막부의 노중 이상의 실권을 행사하는 인물도 많았다. 예를 들어, 야나기사와 요시야스는 정식으로 노중의 상석(다이로격) 지위를 부여받았고, 타누마 오키쓰구는 노중으로 자리를 옮기기도 했다.[1] 마나베 아키후사의 경우, 쇼군이 어렸기 때문에 사실상 쇼군의 의지를 대행하며 최고 권력을 행사했다.
또한, 언어 장애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9대 쇼군 이에시게가 취임했을 때, 그의 불분명한 말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었던 오카 타다미쓰가 측근 시절부터의 인연으로 등용되어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1]
2. 2. 권한과 영향력
에도 막부의 '''오소바고요닌'''(御側御用人)은 정2품 세이이타이쇼군의 측근으로, 쇼군의 명령을 노중에게 전달하고, 노중의 상소를 쇼군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쇼군 측근 역할 중 가장 높은 지위였으며, 종4위하에 해당했다. 보통 5000석 급의 하타모토 중에서 쇼군의 신임이 두텁고 중요한 비밀 업무에 관여하는 인물이 선임되었으며, 특히 중요 사항의 전달(전주, 伝奏)을 맡았다.
에도 시대 초기,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는 아키모토 야스토모와 마쓰다이라 마사쓰나 같은 측근이 있었다. 역사서 『반한보』에서는 이들을 "오킨슈 출두역(奥近習出頭役)"이라 불렀으며, 이것이 소바요닌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공식적으로 "오소바고요닌"이라는 명칭이 사용된 것은 1681년(덴나 원년) 12월, 마키노 나리사다가 오소바슈(御側衆)에서 이 직책에 임명되면서부터이다.
소바요닌 중에는 막부의 노중 이상의 실권을 행사하는 인물도 많았다. 예를 들어, 야나기사와 요시야스는 정식으로 노중의 상석(다이로격, 大老格) 지위를 부여받았고, 타누마 오키쓰구는 노중으로 자리를 옮기기도 했다[1]. 마나베 아키후사는 이러한 공식적인 지위 변동은 없었지만, 재임 후반기 쇼군이 3세에서 6세 사이의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사실상 쇼군의 의지를 대행하며 최고 권력을 장악했다.
또한, 언어 장애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9대 쇼군 이에시게가 취임했을 때는, 그의 불분명한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이 근신 시절부터의 측근으로 한정되었기에, 그중 한 명인 오카 타다미쓰가 소바요닌으로 등용되기도 했다[1].
'''역대 오소바고요닌'''[2]
이름 | 재임 기간 |
---|---|
마키노 나리사다 | 1680년 (엔포 8년) ~ 1695년 (겐로쿠 8년) |
마쓰다이라 타다치카 | 1685년 (조쿄 2년) ~ 1690년 (겐로쿠 3년) |
기타미 시게마사 | 1686년 (조쿄 3년) ~ 1689년 (겐로쿠 2년) |
오타 스케나오 | 1686년 (조쿄 3년) |
미야하라 시게키요 | 1688년 (조쿄 5년) ~ 1688년 (겐로쿠 원년) |
마키노 타다카 | 1688년 (겐로쿠 원년) |
난부 나오마사 | 1688년 (겐로쿠 원년) ~ 1689년 (겐로쿠 2년) |
야나기사와 야스아키 | 1688년 (겐로쿠 원년) ~ 1709년 (호에이 6년) |
가나모리 요리토키 | 1689년 (겐로쿠 2년) |
소마 마사타네 | 1689년 (겐로쿠 2년) ~ 1690년 (겐로쿠 3년) |
하타야마 모토하루 | 1689년 (겐로쿠 2년) ~ 1691년 (겐로쿠 4년) |
사카이 타다자네 | 1693년 (겐로쿠 6년) |
마쓰다이라 테루사다 | 1694년 (겐로쿠 7년) ~ 1709년 (호에이 6년) |
마쓰다이라 노부쓰네 | 1696년 (겐로쿠 9년) ~ 1697년 (겐로쿠 10년) |
토다 타다토키 | 1704년 (호에이 원년) ~ 1706년 (호에이 3년) |
마쓰다이라 타다치카 (재임) | 1705년 (호에이 2년) ~ 1709년 (호에이 6년) |
마나베 아키후사 | 1706년 (호에이 3년) ~ 1716년 (쇼토쿠 6년) |
혼다 타다요시 | 1710년 (호에이 7년) ~ 1716년 (쇼토쿠 6년) |
이시카와 소시게 | 1725년 (교호 10년) ~ 1733년 (교호 18년) |
오카 타다미쓰 | 1756년 (호레키 6년) ~ 1760년 (호레키 10년) |
이타쿠라 가쓰키요 | 1760년 (호레키 10년) ~ 1767년 (메이와 4년) |
타누마 오키쓰구 | 1767년 (메이와 4년) ~ (불명) |
미즈노 타다토모 | 1777년 (안에이 6년) ~ 1780년 (텐메이 원년) |
마쓰다이라 노부아키 | 1788년 (텐메이 8년) |
혼다 타다카즈 | 1788년 (텐메이 8년) ~ 1790년 (간세이 2년) |
토다 우지노리 | 1790년 (간세이 2년) |
미즈노 타다나리 | 1812년 (분카 9년) ~ 1818년 (분카 14년) |
타누마 오키마사 | 1825년 (분세이 8년) ~ 1834년 (덴포 5년) |
호리 치카모리 | 1841년 (덴포 12년) ~ 1845년 (고카 2년) |
미즈노 타다히로 | 1859년 (안세이 6년) ~ 1862년 (분큐 2년) |
2. 3. 주요 인물
5대 쇼군 쓰나요시 시대의 야나기사와 요시야스 柳沢吉保|야나기사와 요시야스일본어[3], 6대 쇼군 이에노부 및 7대 쇼군 이에쓰구 시대의 마나베 아키후사 間部詮房|마나베 아키후사일본어, 9대 쇼군 이에시게 시대의 오오카 다다미쓰 大岡忠光|오오카 다다미쓰일본어, 10대 쇼군 이에하루 시대의 다누마 오키쓰구 田沼意次|다누마 오키쓰구일본어, 11대 쇼군 이에나리 시대의 미즈노 다다아키라 水野忠成|미즈노 다다아키라일본어 등이 유명하다.막부의 노중 이상의 실권을 휘두르는 소바요닌도 많았으며,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처럼 정식으로 노중의 상석(다이로격이라고 불림)을 부여받거나, 타누마 오키쓰구처럼 노중으로 전임된 자도 있다[1]. 마나베 아키후사는 어느 쪽에도 해당하지 않지만, 재임 후반에는 쇼군이 3–6세였기 때문에, 그 의지 대행자로서 최고 권력을 쥐고 있었다.
언어 장애가 있었다고 하는 9대 쇼군 이에시게가 취임하자, 그의 불분명한 말을 이해하는 사람은 근신 시절부터의 측근에 한정되었기 때문에, 그 중 한 명인 오카 타다미쓰가 등용되었다[1].
'''오소바고요닌 일람'''[2]
인물 | 재임 기간 |
---|---|
마키노 나리사다 | 1680년 (엔포 8년) - 1695년 (겐로쿠 8년) |
마쓰다이라 타다치카 | 1685년 (조쿄 2년) - 1690년 (겐로쿠 3년) |
기타미 시게마사 | 1686년 (조쿄 3년) - 1689년 (겐로쿠 2년) |
오타 스케나오 | 1686년 (조쿄 3년) |
미야하라 시게키요 | 1688년 (조쿄 5년) - 1688년 (겐로쿠 원년) |
마키노 타다카 | 1688년 (겐로쿠 원년) |
난부 나오마사 | 1688년 (겐로쿠 원년) - 1689년 (겐로쿠 2년) |
야나기사와 야스아키 | 1688년 (겐로쿠 원년) - 1709년 (호에이 6년) |
가나모리 요리토키 | 1689년 (겐로쿠 2년) |
소마 마사타네 | 1689년 (겐로쿠 2년) - 1690년 (겐로쿠 3년) |
하타야마 모토하루 | 1689년 (겐로쿠 2년) - 1691년 (겐로쿠 4년) |
사카이 타다자네 | 1693년 (겐로쿠 6년) |
마쓰다이라 테루사다 | 1694년 (겐로쿠 7년) - 1709년 (호에이 6년) |
마쓰다이라 노부쓰네 | 1696년 (겐로쿠 9년) - 1697년 (겐로쿠 10년) |
토다 타다토키 | 1704년 (호에이 원년) - 1706년 (호에이 3년) |
마쓰다이라 타다치카 | 1705년 (호에이 2년) - 1709년 (호에이 6년) |
마나베 아키후사 | 1706년 (호에이 3년) - 1716년 (쇼토쿠 6년) |
혼다 타다요시 | 1710년 (호에이 7년) - 1716년 (쇼토쿠 6년) |
이시카와 소시게 | 1725년 (교호 10년) - 1733년 (교호 18년) |
오카 타다미쓰 | 1756년 (호레키 6년) - 1760년 (호레키 10년) |
이타쿠라 가쓰키요 | 1760년 (호레키 10년) - 1767년 (메이와 4년) |
타누마 오키츠구 | 1767년 (메이와 4년) - 불명 |
미즈노 타다토모 | 1777년 (안에이 6년) - 1780년 (텐메이 원년) |
마쓰다이라 노부아키 | 1788년 (텐메이 8년) |
혼다 타다카즈 | 1788년 (텐메이 8년) - 1790년 (간세이 2년) |
토다 우지노리 | 1790년 (간세이 2년) |
미즈노 타다나리 | 1812년 (분카 9년) - 1818년 (분카 14년) |
타누마 오키마사 | 1825년 (분세이 8년) - 1834년 (덴포 5년) |
호리 치카모리 | 1841년 (덴포 12년) - 1845년 (고카 2년) |
미즈노 타다히로 | 1859년 (안세이 6년) - 1862년 (분큐 2년) |
여러 번에서의 소바요닌(側用人)은 막부의 오소바고요닌(御側御用人)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며, 번마다 그 역할과 위상이 매우 다양했다. 기본적으로 소바요닌은 번주의 가까이에서 기밀을 다루거나 일상적인 대화 상대가 되고 번주의 가정을 총괄하는 책임자 역할을 맡아, 번의 공식 통치 기구에 속한 고요닌(御用人)과는 구분되었다. 이는 쇼군과 로주(老中) 사이에서 공적인 업무를 중계하던 막부의 오소바고요닌과는 주요한 차이점이다.[1]
3. 여러 번의 오소바고요닌
하지만 모든 번이 동일한 방식으로 소바요닌을 운영한 것은 아니다. 히로사키 번처럼 소바요닌과 고요닌을 겸직시키는 경우도 있었고, 막부의 사례를 따라 소바요닌에게 번주와의 공적인 업무 연락까지 맡기는 번도 있었다.[1] 이러한 경우 해당 소바요닌은 '어측근 어용 중계인(御側御用人御取次)' 등으로 불리며 막부의 오소바고요닌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1]
또한, '소바요닌'이라는 명칭이나 직책 자체가 모든 번에 보편적으로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조슈 번처럼 공식적으로 소바요닌 직책이 없었지만 다른 직책의 인물이 에도 시대 무사 명부인 '에도 무감'에 소바요닌으로 기록된 경우가 있었으며, 야나가와 번이나 요네자와 번처럼 번의 공식 기록과 에도 무감 어디에도 소바요닌 직책이 나타나지 않는 번도 있었다.[1] 소바요닌 직책이 있는 번이라도 모리오카 번의 '근습 두령(近習頭)'처럼 소바요닌보다 상위의 측근직이 존재하여 막부의 오소바고요닌에 더 가까운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어, 번마다 그 역할과 중요도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1]
막부에서는 오소바고요닌이 로주보다 더 큰 권력을 행사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여러 번에서는 소바요닌이 그 정도의 권세를 누리는 경우는 드물었다.[1] 다만, 모리오카 번의 난부 도시나리 측근이었던 이시하라 나기사처럼 번의 정치와 재정을 총괄하면서 에도 무감 상에서는 소바요닌으로 기록된 소수의 사례는 존재한다.[1]
소바요닌은 가문의 격이 높지 않더라도 번주의 깊은 신뢰를 받고 능력이 있다면 임명될 수 있었지만, 그 책임은 매우 무거웠다.[1] 일반적으로 소바요닌은 급인(給人)이나 주자(中士) 이상의 상급 가신 중에서 선발되었다.[1] 또한, 중신의 자제를 교육 목적으로 가문을 상속받기 전에 코쇼(小姓)나 소바요닌으로 임명하는 경우도 여러 번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1] 소바요닌은 고요닌보다 격이 낮은 직책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미토 번이나 가가 번처럼 오히려 더 높은 격으로 취급되는 번도 있었다.[1]
한편, 번의 통치 기구에 속하는 고요닌에게 중계 역할을 맡기는 번도 있었으며, 일부 고요닌만이 중계 역할을 담당했음을 명시한 기록(분한장 등)도 존재한다.[1] 소바요닌 직책이 없었던 야나가와 번, 요네자와 번, 센다이 번 등에서는 공통적으로 코쇼(시동)를 통솔하는 코쇼가시라(小姓頭) 직책이 존재했으며, 요네자와 번에서는 한때 '측근 코쇼가시라 어용향 겸임(側近小姓頭御用向兼務)'이라는 직책이 존재하기도 했다.[1]
3. 1. 막부 오소바고요닌과의 차이점
번(藩)의 소바요닌(側用人)과 고요닌(御用人)은 모두 번주(藩主)의 신임을 받는 유능한 인물 중에서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역할에는 차이가 있었다. 고요닌은 번의 공식적인 통치 기구에 속한 관리였던 반면, 소바요닌은 번주의 가까이에서 기밀을 다루거나 일상적인 대화 상대가 되는 것 외에, 기본적으로 번주의 집안 살림을 총괄하는 책임자였다. 이는 쇼군과 로주(老中) 사이에서 공적인 업무를 중계하는 역할을 했던 막부의 오소바고요닌(御側御用人)과는 다른 점이다.
하지만 번에 따라서는 소바요닌과 고요닌을 겸직시키거나(예: 히로사키 번), 막부의 예를 따라 소바요닌에게 번주와의 공무상 중계 역할을 맡기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경우, 해당 소바요닌은 번주의 집안 살림을 돌보는 역할과 공무를 중계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하게 되어 막부의 오소바고요닌과 유사한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번의 기록 문서(분한장 등)에는 소바요닌의 직무 내용이 별도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모든 번에 소바요닌이라는 직책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슈 번에는 '소바요닌'이라는 공식 직책은 없었지만, 에도 시대 무사 명부(에도 무감)에는 다른 직책(직목부, 오쿠방 구라 취임자 등)을 소바요닌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었다. 야나가와 번이나 요네자와 번처럼 번의 공식 기록과 에도 무감 양쪽 모두에서 소바요닌 직책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소바요닌 직책이 있는 번이라도 모리오카 번의 '근습 두령'처럼 소바요닌보다 더 높은 지위의 측근직이 존재하여 막부의 오소바고요닌에 더 가까운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어, 번마다 그 역할과 중요도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막부에서는 오소바고요닌이 로주보다 더 큰 권력을 행사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여러 번에서는 소바요닌이 그 정도의 권세를 누리는 경우는 드물었다. 다만, 모리오카 번의 난부 도시나리의 측근이었던 이시하라 나기사처럼 번의 정치와 재정을 총괄하면서 에도 무감 상에서는 소바요닌으로 기록된 소수의 사례는 존재한다.
소바요닌은 가문의 격이 높지 않더라도 번주의 깊은 신뢰를 받고 능력이 있다면 임명될 수 있었지만, 그 책임은 매우 무거웠다. 일반적으로 소바요닌은 급인(給人)이나 주자(中士) 이상의 상급 가신 중에서 선발되었다. 또한, 중신의 자제를 교육 목적으로 가문을 상속받기 전에 코쇼(小姓)나 소바요닌으로 임명하는 경우도 여러 번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소바요닌은 고요닌보다 격이 낮은 직책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미토 번이나 가가 번처럼 오히려 더 높은 격으로 취급되는 번도 있었다. 공용인(公用人)이나 반토(番頭)와의 비교는 번에 따라 다양했다.
한편, 번의 통치 기구에 속하는 고요닌에게 중계 역할을 맡기는 번도 있었으며, 일부 고요닌만이 중계 역할을 담당했음을 명시한 기록도 존재한다. 소바요닌 직책이 없었던 야나가와 번, 요네자와 번, 센다이 번 등에서는 공통적으로 코쇼(시동)를 통솔하는 코쇼가시라(小姓頭) 직책이 존재했으며, 요네자와 번에서는 한때 '측근 코쇼가시라 어용향'이라는 겸직이 존재하기도 했다.
3. 2. 여러 번 오소바고요닌의 특징
막부의 소바요닌(측근)과 달리, 여러 번의 소바요닌과 요닌(용인)은 역할과 위상이 다양했다. 요닌은 번의 공식적인 통치 기구에 속했지만, 소바요닌은 주로 번주 가까이에서 기밀을 다루거나 일상적인 대화 상대를 맡았으며, 번주의 가정을 총괄하는 책임자 역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는 쇼군과 로주 사이에서 연락을 담당하던 막부 소바요닌과는 다른 점이다.
그러나 모든 번이 동일한 방식으로 소바요닌을 운영한 것은 아니다. 히로사키 번처럼 소바요닌과 요닌을 겸직시키는 경우도 있었고, 막부의 사례를 따라 소바요닌에게 번주와의 공적인 업무 연락까지 맡기는 번도 있었다. 이런 경우 소바요닌은 번주의 가정을 돌보는 역할과 공무 연락 역할을 모두 수행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직무 내용은 분한장(번의 기록 문서) 등에 명시되기도 했다.
'소바요닌'이라는 명칭이나 직책 자체가 모든 번에 보편적으로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슈 번에는 공식적으로 소바요닌 직책이 없었지만, 에도 시대 무사 명부인 '에도 무감'에는 직목부(번주의 직속 부서)나 오쿠방(번주의 거처 경비) 소속 인물을 소바요닌으로 기록한 경우가 있었다. 반면 야나가와 번이나 요네자와 번처럼 에도 무감이나 분한장 등 번의 공식 기록 어디에도 소바요닌 직책이 나타나지 않는 번도 있었다.
소바요닌 직책이 있는 번이라도 그 중요성은 달랐다. 모리오카 번에는 '근습 두령'이라는 직책이 있었는데, 이는 소바요닌보다 상급직으로 막부의 소바요닌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처럼 번마다 소바요닌의 위상과 역할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막부에서는 로주보다 소바요닌이 더 큰 권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여러 번에서는 그런 사례가 드물었다. 다만 예외적으로 모리오카 번의 난부 도시나리 측근이었던 이시하라 나기사는 번 내에서 정치와 재정을 총괄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음에도 에도 무감에는 소바요닌으로 기록되는 등 소수의 사례가 있었다.
소바요닌은 가문의 지위가 높지 않더라도 번주의 깊은 신뢰를 받고 능력이 뛰어난 인물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능력 위주의 인재 등용 방식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책임은 매우 막중했다. 번에 따라서는 소바요닌이 '어측근 어용 중계인'이라는 직함을 함께 가지기도 했는데, 이 경우 막부의 소바요닌과 거의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
일반적으로 여러 번의 소바요닌은 최소 급인(상급 번사 중 하위 계층)이나 주자(중급 번사) 이상의 상급 가신 가문 출신 중에서 선발되었다. 또한 중신의 자제를 교육 목적으로 가문을 상속받기 전에 코쇼(시동)나 소바요닌으로 임명하는 경우는 여러 번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소바요닌은 요닌보다 격이 낮은 직책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미토 번이나 가가 번처럼 오히려 더 높은 격으로 취급하는 번도 있었다. 공용인(번의 공식 업무 담당)이나 반토(번의 재정 담당)와 비교했을 때의 위상은 번마다 달랐다.
한편 통치 기구에 속하는 요닌에게 번주와의 연락 역할을 맡긴 번도 있었으며, 요닌 중 일부에게만 이러한 역할을 부여했음을 기록한 분한장도 있었다. 소바요닌 직책이 없었던 야나가와 번, 요네자와 번, 센다이 번 등에서는 공통적으로 코쇼(시동)를 총괄하는 코쇼가시라(시동 두령) 직책이 있었으며, 특히 요네자와 번에서는 일시적으로 '측근 코쇼가시라 어용향 겸임'이라는 직책이 있기도 했다.
3. 3. 예외적인 경우
소바요닌(御側用人)과 요닌(用人)은 일반적으로 역할이 구분되지만, 모든 번(藩)에서 동일하게 운영된 것은 아니다. 요닌은 번의 공식적인 통치 기구에 속하는 반면, 소바요닌은 번주의 가까이에서 기밀을 다루거나 일상적인 업무를 보좌하며 번주의 가정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는 쇼군과 로주(老中) 사이의 연락을 담당했던 막부의 소바요닌과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들이 존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側用人(そばようにん)
https://imidas.jp/ji[...]
2008-05-29
[2]
서적
江戸幕府役職集成
雄山閣出版
[3]
문서
소바요닌 임명시기의 이름은 야스아키(保明)
[4]
서적
에도 막부 역직집성
유잔카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