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니안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시니안주의는 16세기 급진 종교 개혁의 한 분파에서 시작된 기독교 신념으로, 삼위일체 교리를 부인하고 이성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탈리아의 렐리오 소치니와 파우스토 소치니의 이론을 바탕으로 발전했으며, 폴란드에서 폴란드 형제단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소시니안주의는 원죄와 속죄론을 부정하고, 하나님의 전지성에 대한 독특한 견해를 제시했다. 17세기 이후 폴란드에서 쇠퇴했지만, 트란실바니아와 잉글랜드의 유니테리언주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일부 교회에서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삼위일체론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경 연구 모임에서 유래한 그리스도인 국제 종교 단체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중앙 장로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성경 교육과 전도 활동을 하지만, 수혈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 등 독특한 신앙과 사회적 논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반삼위일체론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조셉 스미스가 1830년에 창립한 기독교 종교로, 성경과 몰몬경 등을 경전으로 사용하며 초대 기독교의 회복을 표방하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1,600만 명 이상의 신도를 보유하며 선교, 교육, 복지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 기독교 이단 - 산타 무에르테
산타 무에르테는 멕시코에서 "성스러운 죽음"을 의미하는 민간 신앙으로, 여성 해골 형상으로 묘사되며 순수, 보호, 정의 등 다양한 속성을 상징하며 멕시코, 미국, 중앙아메리카를 중심으로 빠르게 신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가톨릭 교회의 비판과 마약 밀매 연관성 논란도 있는 종교 운동이다. - 기독교 이단 - 보고밀파
보고밀파는 10세기 초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발생한 영지주의적 사회 종교 운동으로, 불가리아의 사회적, 종교적 상황과 파울리키아노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교회 제도와 물질주의에 반대하는 이원론적 우주론을 가지고 발칸 반도에 확산되어 후대 종교 운동과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소시니안주의 | |
---|---|
소시니안주의 | |
![]() | |
다른 이름 | 소치니즘 유니테리언주의 |
기원 | 16세기 |
창시자 | 레리오 소치니 파우스토 소치니 |
신학 | |
유형 | 비삼위일체주의 |
신 | 하나님 |
그리스도 | 하나님의 아들 사람 |
성경 |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 |
구원 | 그리스도를 본받음으로 |
주요 교리 | 비삼위일체 그리스도의 신성 부인 성경의 권위 이성의 중요성 도덕적 삶의 강조 |
특징 | 합리주의적 성격 |
역사 | |
발상지 | 폴란드 |
주요 활동 지역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네덜란드 잉글랜드 |
영향 | 계몽주의 유니테리언주의 자유주의 신학 |
쇠퇴 | 17세기 이후 박해와 탄압으로 인해 쇠퇴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레리오 소치니 파우스토 소치니 얀 크레츠키 |
영향 받은 인물 | 존 밀턴 아이작 뉴턴 존 로크 |
관련 문서 | |
주요 저작 | 라코비아 요리문답 |
관련 문서 | 반삼위일체 |
2. 기원과 유래
소시니안주의 신념은 급진 종교 개혁으로 알려진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한 분파에서 시작되었으며, 1540년대 이탈리아의 재세례파 운동과 1550년의 반삼위일체주의 베네치아 공의회에 뿌리를 두고 있다.[6]
"소시니안"이라는 용어는 1610년대부터 네덜란드 공화국과 잉글랜드 왕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파우스토 소치니를 비롯한 소시니안주의자들의 라틴어 출판물이 초기 아르미니우스주의, 레몬스트란트, 영국 비국교도, 그리고 초기 영국 유니테리언주의 사이에서 유통되었기 때문이다. 1660년대 후반, 파우스토 소치니의 손자 안드레아스 비쇼바티와 증손자 베네딕트 비쇼바티는 암스테르담에서 9권의 ''Biblioteca Fratrum Polonorum quos Unitarios vocant''(1668)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F. 소치니, 오스트리아인 요한 루드비히 폰 볼초겐, 폴란드인 요하네스 크렐리우스, 요나슈 쉴리칭, 사무엘 프지프코프스키의 저서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책들은 아이작 뉴턴, 존 로크, 볼테르, 피에르 베일 등 영국과 프랑스 사상가들 사이에서 유통되었다.
대영 제국과 북아메리카에서 소시니안주의는 나중에 모든 종류의 비국교도 신념을 포괄하는 용어가 되었다. 18세기와 19세기의 자료들은 종종 "소시니안"이라는 용어를 시대착오적으로 사용하며, 라코비안 요리 문답과 서고의 좁게 정의된 입장을 훨씬 넘어선 광범위한 아이디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
초기 유니테리언주의에 큰 영향을 미친 소시니안주의는 영국 성공회와 루터교에서 "소치니파"라고 불렸지만, 폴란드 형제단, 혹은 소개혁파 교회 신자들은 이 이름을 거부했다. 이 이름은 미셸 세르베가 제네바에서 화형당하는 것을 목격한 이탈리아인 렐리오 소치니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1569년부터 1572년까지 3년 동안 폴란드의 에는 다양한 종파에 속한 사람들(장인, 의사, 약사, 도시 주민, 상류층)과 여러 종파의 성직자들(폴란드, 리투아니아, 트란실바니아, 프랑스, 잉글랜드)이 모여 신학 논쟁을 벌였다. 그 결과, 소치니파는 분열되어 급진적인 사상을 가진 자와 온건한 생각을 가진 자로 나뉘었다. 그러나 이들은 삼위일체설 거부, 유아 세례 거부, 무기를 들지 않고 공직을 거부하며 지옥을 부정하는 등의 특이한 교리를 공유하며 전통적인 교회의 교리와 선을 그었다.
2. 1. 렐리오 소치니의 이론
렐리오 소치니는 인쇄물로 아리우스주의를 넘어 그리스도의 선재를 부정한 최초의 이탈리아 반삼위일체주의자였다. 그는 요한복음 1:1-15의 로고스의 의미에 대한 주석인 ''Brevis explicatio in primum Johannis caput''를 저술했다(1562년).[6] 렐리오 소치니는 의 "태초"가 와 같다고 생각했으며, 창세기의 창조가 아닌 새 창조를 언급했다.이탈리아 출신 렐리오 소치니는 스위스 바젤에서, 이후 폴란드에서 성서 연구를 계속하며 유니테리언 교회의 지도자가 되었다.[23] 에라스뮈스의 원전 비평에 영향을 받아, 성서에 이성을 적용할 것을 주장한 소치니의 신학적 견해는, "그리스도는 영원한 구원의 길을 가르쳤고, 우리가 그를 따름으로써 그 목표에 도달하도록 인도했다는 점에서 구세주가 되었다"는 것으로, 그리스도는 모범적인 인격이며, 그 외의 속성은 없다고 보았다.
그는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그리스도의 창조 전 존재를 부정하였다. (요한복음 1장 1절의 로고스가 요한일서 1장 1절의 새 창조로 보고, 창세기의 창조와 다른 것으로 보았다.)
2. 2. 파우스토 소치니의 발전
렐리오 소치니는 인쇄물로 아리우스주의를 넘어 그리스도의 선재를 부정한 최초의 이탈리아 반삼위일체주의자였다. 그는 요한복음 1:1-15의 로고스의 의미에 대한 주석인 ''Brevis explicatio in primum Johannis caput''를 저술했다(1562년).[6] 렐리오 소치니는 의 "태초"가 와 같다고 생각했으며, 창세기의 창조가 아닌 새 창조를 언급했다. 그의 조카 파우스토 소치니는 삼촌의 주장을 발전시켜 자신의 더 긴 ''Brevis explicatio''를 나중에 출판했다. 스위스에서 삼촌이 사망한 지 여러 해가 지난 후, 파우스토 소치니는 트란실바니아 유니테리언 교회와 상의하여 조르지오 비안드라타와 페렌츠 다비드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려 했다.그는 폴란드로 이주하여 폴란드 형제단의 지도적인 구성원이 되었고, 반 삼위일체주의 소수파 또는 ''ecclesia minor''의 딸과 결혼했다. 1565년에 이들은 칼뱅주의 폴란드 개혁 교회에서 분리되었다. 소치니는 결코 ''ecclesia minor''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형제단 사이의 여러 논쟁을 화해시키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것은 양심적 병역 거부, 그리스도께 드리는 기도, 그리고 예수의 동정녀 탄생에 관한 것이었다. 파우스토는 이전에는 아리우스주의자였던 마르친 체코비치와 같은 폴란드 형제단의 많은 사람들이 그의 삼촌 렐리오의 견해를 받아들이도록 설득했다.
파우스토 소치니는 사후에 출판된 그의 라코비안 요리 문답을 통해 자신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했는데, 이 책은 삼촌 렐리오의 기독론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고 ''Ecclesia Minor''의 이전 요리 문답을 대체했다. 그의 영향력은 라쿠프, 키엘체 주의 라코비안 아카데미 출판사에서 폴란드어와 라틴어로 출판된 그의 제자들의 저술을 통해 그의 사후에도 계속되었다.
이탈리아 출신 레리오 소치니는 스위스 바젤에서, 이후 폴란드에서 성서 연구를 계속하며 유니테리언 교회의 지도자가 되었다.[23] 에라스뮈스의 원전 비평에 영향을 받아, 성서에 이성을 적용할 것을 주장한 소치니의 신학적 견해는, "그리스도는 영원한 구원의 길을 가르쳤고, 우리가 그를 따름으로써 그 목표에 도달하도록 인도했다는 점에서 구세주가 되었다"는 것으로, 그리스도는 모범적인 인격이며, 그 외의 속성은 없다고 보았다.
3. 폴란드에서의 발전과 쇠퇴
폴란드인 귀족 얀 시에니에스키는 소시니안 교회(소치니 교회)가 발전하기 위한 "조용하고 격리된 장소"를 갖추려 했다. 그는 폴란드 국왕으로부터 주어진 특권을 행사하여 라쿠프 마을을 건설했고, 이곳은 소시니안주의의 거점이 되었다.[25] 1600년경에는 인쇄기가 설치되어 유럽 전역에 소시니안주의 출판물을 보급했다.[26]
1602년에는 신학교인 라쿠프 대학교가 설치되어 교파의 구분 없이 학문을 가르쳤다. 종교 외에도 외국어, 윤리, 경제, 역사, 법률, 논리학, 자연과학, 수학, 의학, 체육 등 다양한 교과가 있었으며, 대학교에는 큰 도서관이 있었다.
그러나 1620년대부터 가톨릭 성직자들에 의해 폴란드의 아리우스파 입지가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다.[24] 1628년, 제국의 공인 종교는 가톨릭으로 지정되었고 소시니안주의는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1638년에는 교회, 학교, 인쇄소가 폐쇄되었다.[26]
이후 소시니안파에 대한 박해는 계속되었고, 1658년 폴란드 의회는 소시니안파 신자들에게 3년 이내 국외 퇴거를 명령했다. 신자들 중 다수는 네덜란드로 망명했고,[25] 그 외 실레시아나 슬로바키아로 이동하여 출판 활동을 계속했다. 트란실바니아에서는 18세기 초까지 교회가 기능하며 교리 문답서를 통해 가르침을 전했다.
3. 1. 폴란드 형제단
이탈리아 출신 레리오 소치니는 스위스 바젤에서, 이후 폴란드에서 성서 연구를 계속하며 유니테리언 교회의 지도자가 되었다.[23] 에라스뮈스의 원전 비평에 영향을 받아, 성서에 이성을 적용할 것을 주장한 소치니의 신학적 견해는, "그리스도는 영원한 구원의 길을 가르쳤고, 우리가 그를 따름으로써 그 목표에 도달하도록 인도했다는 점에서 구세주가 되었다"는 것으로, 그리스도는 모범적인 인격이며, 그 외의 속성은 없다고 보았다.초기 유니테리언주의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영국 성공회와 루터교는 유니테리언 신자들을 "소치니파"라고 불렀지만, 폴란드 형제단, 혹은 소개혁파 교회 신자들은 이 이름을 거부했다. 이 이름은 미셸 세르베로 알려진 미겔 세르베투스가 제네바에서 끔찍하게 순교하는 화형을 목격한 이탈리아인 레리오 소치니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그의 조카 파우스토 소치니는 폴란드로 와서 그 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다양한 종파에 속한 사람들, 장인, 의사, 약사, 도시 주민, 상류층에 속한 사람들이 폴란드의 Raków, Kielce County|라쿠프영어에 모였다. 또한 여러 종파의 성직자들이 폴란드, 리투아니아, 트란실바니아, 프랑스, 잉글랜드에서 와서, 1569년부터 1572년까지 3년 동안 라쿠프는 신학 논쟁이 벌어지는 장소가 되었다. 그 결과, 소치니파는 분열되어 급진적인 사상을 가진 자와 온건한 생각을 가진 자로 나뉘었다. 이러한 상황이 있었지만, 소치니파가 가진 특징, 즉 삼위일체설 거부, 유아 세례 거부, 무기를 들지 않고, 공직을 거부하며, 지옥을 부정하는 등의 특이한 교리는 전통적인 교회의 교리와 선을 긋는다는 점에서 일치했다.
3. 2. 라쿠프
얀 시에니에스키는 소치니 교회(소시니안 교회)가 발전하기 위한 "조용하고 격리된 장소"를 갖추려 했다. 그는 폴란드 국왕으로부터 주어진 특권을 행사하여 라쿠프 마을을 건설했다. 라쿠프는 소시니안주의의 거점이 되었고[25], 1600년경에 인쇄기를 설치하여 유럽 전역에 그들의 출판물을 보급했다[26]。1602년에 신학교인 라쿠프 대학교가 설치되었는데, 교파의 구분 없이 학문을 배웠다고 한다. 종교 외에도 외국어, 윤리, 경제, 역사, 법률, 논리학, 자연과학, 수학, 의학, 체육 등의 교과가 있었으며, 대학교에는 큰 도서관이 있었고, 그 규모는 확대되어 갔다.
3. 3. 쇠퇴와 추방
1620년대가 되자 가톨릭 성직자들에 의해 폴란드의 아리우스파 입지가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다.[24] 1628년, 제국의 공인 종교를 가톨릭으로 지정하고 소시니안주의는 이단으로 규정되었으며, 1638년에는 교회, 학교, 인쇄소가 폐쇄되었다.[26] 라쿠프 대학의 소유주는 대학의 인쇄기로 '악을 퍼뜨렸다'고 고발당했다. 새로운 폴란드 국왕 지그문트 3세 바사는 폴란드 형제단의 적이었다. 그의 후계자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는 가톨릭 교회를 지원했다.라쿠프 대학 학생들이 십자가에 돌을 던지는 사건이 발생하자 예수회에 고발당했고, 1638년에는 영주도 단죄되어 라쿠프 시는 혼란 속에 잿더미가 되었다.[25] 소시니안파에 대한 박해는 계속되었고, 1658년, 폴란드 의회는 소시니안파 신자들에게 3년 이내 국외 퇴거를 포고했다. 신자들 중 다수는 네덜란드로 망명했고[25], 그 외 실레시아나 슬로바키아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출판 활동을 계속했다. 트란실바니아에서는 18세기 초까지 교회가 기능했다. 집회에서는 찬송가를 부르고 설교를 들었으며, 가르침을 설명하는 교리 문답서를 통해 배웠다.
4. 신학적 특징
소시니안주의는 라코비안 교리문답에 요약되어 있듯이, 하나님의 지식, 삼위일체 교리, 그리스도의 신성, 구원론에 대한 정통 기독교 신학의 견해를 거부했다.[7]
소시니안주의자들은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 사건 이전에 이미 창조될 때부터 유한한 생명을 가졌다고 보았다.[7] 또한, 원죄 교리를 부인했다.[8] 속죄의 화해론도 부인했다.[9]
하나님의 속성 중 전지성(모든 것을 아심)에 대해서는, 사람의 미래에 대한 필요한 진리(확실히 발생할 일들)는 하나님이 아시지만, 조건적 진리(일어날지 안 일어날지 모르는 일들)에 대해서는 하나님도 모르신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모든 것을 아시면, 인간의 자유 의지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은 전지성에 대한 "엄격한" 견해를 거부했다.[10]
초기 소시니안주의자들은 동정녀 탄생을 믿었지만,[11][12][13] 후기에는 부인했다.
A. A. 핫지는 소시니안주의가 회의주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주장했다.
5. 소시니안주의의 유산
소시니안주의는 초기 유니테리언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영국 성공회와 루터교는 유니테리언 신자들을 "소치니파"라고 불렀지만, 폴란드 형제단은 이 이름을 거부했다. 소시니안주의라는 명칭은 미셸 세르베가 제네바에서 화형당하는 것을 목격한 레리오 소치니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그의 조카 파우스토 소치니는 폴란드로 와서 그 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레리오 소치니는 이탈리아 출신으로 스위스 바젤과 폴란드에서 성서 연구를 계속하며 유니테리언 교회의 지도자가 되었다.[23]
1569년부터 1572년까지 3년 동안 다양한 종파의 사람들과 성직자들이 폴란드의 라쿠프에 모여 신학 논쟁을 벌였다. 그 결과, 소치니파는 급진적인 사상을 가진 자와 온건한 생각을 가진 자로 나뉘었다. 그러나 삼위일체설 거부, 유아 세례 거부, 무기를 들지 않고, 공직을 거부하며, 지옥을 부정하는 등의 교리는 전통적인 교회의 교리와 선을 긋는다는 점에서 일치했다.
5. 1. 후예들
트란실바니아와 잉글랜드의 유니테리언 기독교는 소시니안주의의 직접적인 교리적 후예이다. 폴란드 형제단은 폴란드에 있는 동안 "유니테리언"이라는 이름을 채택하지 않았지만, 1658년에 해산되었을 때 네덜란드로 도망간 사람들은 소시니안이라고 불리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유니테리언"이라는 용어를 받아들였다.[16] 1600년 초부터 트란실바니아 유니테리언 교회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 안제이 비쇼와티 주니어와 같은 폴란드 망명자들이 유니테리언 칼리지(1726–1740)에서 가르쳤던 트란실바니아에서 소시니안 신학은 계속되었으며, 이는 미하이 롬바르드 드 센트아브라함의 ''Summa Universae Theologiae Christianae secundum Unitarios''에 의해 증명되었다. 1782년 요제프 2세 황제는 이 책을 트란실바니아 유니테리언 교회의 신앙 고백으로 인정했다. 헨리 헤드워스와 존 비들과 같은 초기 잉글랜드 유니테리언들은 "유니테리언"이라는 용어를 폴란드 형제단에 소급 적용했다. 1676년까지 런던에는 최소 3개의 소시니안 예배당이 있었고, 1689년 관용법으로 소시니안과 가톨릭교도가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소시니안 사상은 발전하는 동안 잉글랜드의 유니테리언들에게 계속해서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현대 소시니안(그리스도론적 측면에서)으로는 크리스토델피안, 하나님의 교회 총회, 축복받은 희망 교회 등 소수의 "성경적 유니테리언" 교회가 있다.[17][18][19][20] 이 교회들은 폴란드 형제단의 직접적인 후손은 아니다.
파우스토 소치니 시대에 시몬 부드니는 예수의 동정녀 탄생 부정을 포함한 유니테리언주의의 변형을 주장하며 예수가 요셉의 아들이라고 주장했고, 이 때문에 라코비안 공동체에서 추방되었다.
5. 2. 영향
레리오 소치니는 이탈리아 출신으로 스위스 바젤과 폴란드에서 성서 연구를 계속하며 유니테리언 교회의 지도자가 되었다.[23] 초기 유니테리언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영국 성공회와 루터교는 유니테리언 신자들을 "소치니파"라고 불렀지만, 폴란드 형제단, 혹은 소개혁파 교회 신자들은 이 이름을 거부했다.1660년 전후로 코메니우스는 소시니안주의의 교리를 위험하다고 여겼다.[26] 영국에서는 유니테리언 교회의 창시자 존 비들이나 정치 사상가 리처드 프라이스, 조지프 프리스틀리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유럽 계몽주의의 한 원류로 여겨진다.
5. 3. 부드니 성경
시몬 부드니는 라틴어 불가타와 프랑스어에서 번역된 성경의 개정을 의뢰받았지만, 완전히 새로운 성경을 번역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했다. 1567년경 번역 작업을 시작하여 원어를 하나하나 분석하고, 구약 본문 중 번역이 어려운 부분은 난외주에 직역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1572년 부드니 역 전권 성경을 출판했다.[1] 하지만 출판업자 등의 개악으로 인해 2년 후인 1574년에 개정판을 통해 정확한 성경이 완성되었다.[1] 부드니가 목표로 한 것은 충실하고 정확한 성경 번역이었다.[1]참조
[1]
백과사전
SOZZINI (Socini), Fausto
https://www.treccani[...]
Treccani
2023-01-18
[2]
서적
Reason and Religion in the English Revolution: The Challenge of Socini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Radical Reformation
Penn Stat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Poland's Contribution to the Reformation: Socinians/Polish Brethren and Their Ideas on the Religious Freedom"
[5]
서적
A History of Unitarianism: In Transylvania, England, and America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writings of John Calvin: an introductory guide
[7]
문서
The Racovian Catechism
[8]
문서
The Racovian Catechism
[9]
문서
The Racovian Catechism
[10]
문서
The Racovian Catechism
[11]
서적
The Person of Christ
[12]
서적
Coleridge, philosophy and religion: Aids to reflection and the ...
[13]
서적
Religion, secularization, and political thought: Thomas Hobbes to ...
[14]
문서
The faiths of the world
[15]
문서
"Conscientious objection"
[16]
서적
A History of Unitarianism
[17]
서적
Sects and Society
[18]
서적
"[[Peter Geach]], philosophical encounters"
[19]
서적
The virtues
[20]
간행물
Religious studies: Volume 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백과사전
「ソッツィーニ」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22]
백과사전
「ソッツィーニ」世界大百科事典
[23]
백과사전
「ソッツィーニ」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간행물
"Poland's Contribution to the Reformation: Socinians/Polish Brethren and Their Ideas on the Religious Freedom"
[28]
서적
A History of Unitariani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