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월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월로는 1966년 11월 26일 지정된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4가에서 용산구 한남동을 잇는 도로이다. 주요 경유지는 중구 남대문로4가, 남창동, 남대문로5가와 용산구 후암동, 용산동2가, 이태원동, 한남동이며, 세종대로와 한남대로와 직결된다. 소월로1길, 소월로2길, 소월로2가길, 소월로2나길, 소월로2다길, 소월로3길 등 부속도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용산구의 교통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 용산구의 교통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중구의 교통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 중구의 교통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테헤란로
    테헤란로는 이란 테헤란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1977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을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한국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지로 발전했다.
소월로
지도 정보
도로 정보
노선명소월로
총연장3,800 m
기점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4가
종점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2. 연혁

1966년 11월 26일 '남산입구(중구 주자동 4-4)~시경앞~한남동(용산구 한남동 산10)' 구간을 '''소월로'''(素月路)로 지정하였다.[1] 2010년 4월 22일 도로명 주소가 고시되었다.

3. 주요 경유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4가, 남창동, 남대문로5가와 용산구 후암동, 용산동2가, 이태원동, 한남동을 경유한다.

4. 노선

wikitable

교차로·교량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세종대로와 직결
숭례문오거리세종대로중구소공동
남대문로
칠패로
남대문시장길
세종대로5길
세종대로7길
세종대로9길
남산육교 (퇴계로)회현동육교
도동삼거리소파로
rowspan="2" |소월로2길교차로 이름 없음
용산구후암동
rowspan="2" |두텁바위로
중구회현동
소월로3길용산구후암동
용산2가동주민센터소월로20길용산2가동
소월로38길이태원제2동교차로 이름 없음
회나무로44길
남산관광고가차도 (한남대로)한남동육교
한남대로와 직결


4. 1. 주요 교차로 및 교량

숭례문오거리에서는 세종대로, 남대문로, 칠패로, 남대문시장길, 세종대로5길, 세종대로7길, 세종대로9길과 교차한다. 남산육교 (퇴계로)와 도동삼거리(소파로)는 중구 회현동에 있다. 소월로2길, 두텁바위로, 소월로3길, 소월로20길, 소월로38길, 회나무로44길과 교차하는 교차로와 용산2가동주민센터, 남산관광고가차도 (한남대로)는 용산구에 속해있다.

4. 2. 접속 노선

세종대로와 직결된다.
한남대로와 직결된다.

5. 부속도로

소월로1길은 중구 회현동 남창동 209-5에서 남창동 244-1까지를 잇는 총연장 79m의 도로로, 전 구간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소월로2길은 중구 회현동 남대문로5가 427에서 용산구 후암동 동자동 1-32까지를 잇는 총연장 240m의 도로로, 전 구간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소월로2가길은 용산구 후암동 444-14에서 후암동 454까지를 잇는 총연장 148m의 도로로, 전 구간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소월로2나길은 용산구 후암동 446-43에서 후암동 448-123까지를 잇는 총연장 221m의 도로로, 일부 구간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소월로2다길은 용산구 후암동 448-158에서 후암동 448-32까지를 잇는 총연장 125m의 도로로, 전 구간 차량 통행이 불가능하다.

소월로3길은 중구 회현동 남대문로5가 467에서 회현동1가 산1-2까지를 잇는 총연장 316m의 도로로, 전 구간 일방통행이다.

도로명기점종점총연장 (m)차량 통행 가능일방통행소재지
소월로20길용산동2가 1-1339용산동2가 5-1236431용산구용산2가동
소월로26길용산동2가 12-2용산동2가 14-10135
소월로30길용산동2가 5-1707용산동2가 5-2072314
소월로38길이태원동 262-74이태원동 499266이태원제2동
소월로38가길이태원동 261-5이태원동 260-129208
소월로40길이태원동 260-289이태원동 258-182470
소월로44길이태원동 260-373이태원동 258-227238
소월로44가길이태원동 258-391이태원동 258-228222


5. 1. 소월로1길 ~ 소월로3길

소월로1길은 중구 회현동 남창동 209-5에서 남창동 244-1까지를 잇는 총연장 79m의 도로로, 전 구간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소월로2길은 중구 회현동 남대문로5가 427에서 용산구 후암동 동자동 1-32까지를 잇는 총연장 240m의 도로로, 전 구간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소월로2가길은 용산구 후암동 444-14에서 후암동 454까지를 잇는 총연장 148m의 도로로, 전 구간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소월로2나길은 용산구 후암동 446-43에서 후암동 448-123까지를 잇는 총연장 221m의 도로로, 일부 구간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소월로2다길은 용산구 후암동 448-158에서 후암동 448-32까지를 잇는 총연장 125m의 도로로, 전 구간 차량 통행이 불가능하다.

소월로3길은 중구 회현동 남대문로5가 467에서 회현동1가 산1-2까지를 잇는 총연장 316m의 도로로, 전 구간 일방통행이다.

5. 2. 소월로20길 ~ 소월로44가길

wikitable

도로명기점종점총연장 (m)차량 통행 가능일방통행소재지
소월로20길용산동2가 1-1339용산동2가 5-1236431용산구용산2가동
소월로26길용산동2가 12-2용산동2가 14-10135
소월로30길용산동2가 5-1707용산동2가 5-2072314
소월로38길이태원동 262-74이태원동 499266이태원제2동
소월로38가길이태원동 261-5이태원동 260-129208
소월로40길이태원동 260-289이태원동 258-182470
소월로44길이태원동 260-373이태원동 258-227238
소월로44가길이태원동 258-391이태원동 258-228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