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인명은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1719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영조 즉위 후 탕평책을 추진하는 데 기여했으며, 충청도관찰사, 동부승지, 대사간, 대사성, 호조참의 등을 역임했다. 평안도관찰사, 대사헌, 예조참판, 이조참판 등을 거쳐 이조판서, 예조판서, 우참찬, 좌참찬, 호조판서, 홍문관 제학 등을 두루 역임했다. 1736년 우의정을 거쳐 1740년 좌의정에 이르렀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헌이다. 영조의 명으로 박사수와 함께 《감란록》을 편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89년 출생 - 새뮤얼 리처드슨
새뮤얼 리처드슨은 18세기 영국의 소설가이자 인쇄업자로, 서간체 소설의 선구자이며, 『파멜라, 또는 미덕의 보상』, 『클라리사』, 『찰스 그랜디슨 경의 역사』 등의 작품으로 18세기 영국 소설 발전에 기여했고, 도덕적 가치와 여성의 지위에 대한 통찰, 섬세한 심리묘사로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 - 1689년 출생 - 몽테스키외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가로, 법학 연구에 기여하고 《법의 정신》을 통해 삼권 분립 사상을 제시했으며,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 1746년 사망 - 콜린 매클로린
콜린 매클로린은 스코틀랜드의 수학자로, 테일러 급수를 활용하고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을 발견하는 등 수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저서로 《플럭시온 논문》 등이 있다. - 1746년 사망 - 프랜시스 허치슨
프랜시스 허치슨은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글래스고 대학교 윤리철학 교수로, 도덕 감각 이론을 통해 인간 본성의 특징을 규명하고 고전 자유주의적 세계관을 스코틀랜드 사상에 도입하여 미국 독립혁명과 후대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여산 송씨 - 송지영
송지영은 남경중앙대학 출신으로 조선일보 논설위원을 거쳐 한국번역가협회 회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등을 역임하며 언론 및 문화계에서 활동했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국토통일원 고문,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제11대 국회의원, 한국방송공사 이사장 등을 지냈다. - 여산 송씨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송인명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여산(礪山) |
자 | 명중(明仲) |
호 | 야곡(冶谷) 서하(西霞) 기천(沂川) |
생애 | |
출생 | 1689년 9월 17일 (음력 8월 14일) |
사망 | 1747년 8월 13일 (음력 7월 29일) |
관력 | |
주요 관직 | 이조판서 대사헌 지경연사 세자시강원찬선 한성부판윤 |
봉호 | 보사원종공신 1등 |
2. 생애
송인명은 영조의 신임을 얻어 이조판서, 동지경연사, 예조판서, 지경연사를 역임했다. 우참찬, 좌참찬, 호조판서, 홍문관제학, 판의금부사 등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이조판서로 종부시제조와 지경연사를 겸한 뒤 홍문관제학, 예문관제학, 우참찬을 거쳐 다시 이조판서가 되었다.
2. 1. 관직 생활 초기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영조 즉위 후 1724년 충청도관찰사를 거쳐 동부승지가 되어 조현명과 함께 탕평책 추진에 앞장섰다. 이후 대사간, 대사성을 역임하며 탕평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고, 호조참의로 승진했다.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삶을 돌보았고, 대사헌으로 재직하며 기강을 바로잡았다. 예조참판, 이조참판을 역임했다.2. 2. 탕평책 추진
영조 즉위 후 1724년 충청도관찰사에 이어 동부승지가 되어 조현명과 함께 탕평책 추진에 앞장섰다. 대사간, 대사성, 호조참의 등을 역임하며 탕평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2. 3. 주요 관직 역임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이 되었다. 영조 즉위 후 1724년 충청도관찰사에 이어 동부승지가 되어 조현명과 함께 탕평책 추진에 앞장섰다. 대사간, 대사성을 역임하며 탕평을 주장했고, 호조참의로 승진하였다. 평안도관찰사로 재직하며 백성들의 삶을 돌보았고, 대사헌으로서는 기강을 바로잡았다. 예조참판, 이조참판을 거쳐 영조의 신임을 얻어 이조판서, 동지경연사를 역임했다. 이후 예조판서, 동지경연사, 지경연사, 우참찬, 좌참찬, 호조판서, 홍문관제학, 판의금부사 등 주요 요직을 두루 거쳤다. 이조판서로 종부시제조를 겸하고 지경연사를 겸한 뒤 홍문관제학, 예문관제학, 우참찬을 거쳐 다시 이조판서가 되었다.2. 4. 정승 반열
1736년에 우의정을 거쳐 1740년에 좌의정에 이르렀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헌(忠憲)이다.3. 저서
영조의 명으로 박사수와 함께 감란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3. 1. 《감란록》 편찬
영조의 명으로 박사수와 함께 《감란록》을 편찬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