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전기에너지의 성질과 송전
- 3. 송전 선로의 표현
- 4. 급전망
- 5. 송전 시스템 (영어: System)
- 6. 송전의 역사 (영어: History)
- 7. 대량 송전 (영어: Bulk transmission)
- 8. 고전압 송전의 이점 (영어: Advantage of high-voltage transmission)
- 9. 모델링 (영어: Modeling)
- 10. 고전압 직류 송전 (영어: High-voltage direct current)
- 11. 용량 (영어: Capacity)
- 12. 제어 (영어: Control)
- 13. 통신 (영어: Communications)
- 14. 시장 구조 (영어: Market structure)
- 15. 송전 비용 (영어: Transmission costs)
- 16. 건강 문제 (영어: Health concerns)
- 17. 특수 송전 (영어: Specialized transmission)
- 18. 보안 (영어: Security)
- 19. 기록 (영어: Records)
- 참조
1. 개요
송전은 전기를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전기는 저장의 어려움과 생산과 소비의 동시성 때문에, 발전소는 수력, 화력, 원자력 등 다양한 방식으로 건설되며, 도시에 집중된 전기 소비를 충족시키기 위해 송전과 변전 기술이 필수적이다. 송전은 발전소에서 수십만 kW의 전력을 수백 km 떨어진 곳까지 보내기 위해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과정이며, 송전선로, 변전소, 변압기 등의 설비들을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전력을 공급한다. 송전 과정에서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고전압 송전 방식을 사용하며, 최근에는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효율적인 송전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송전 시스템은 발전, 송전, 배전, 급전망으로 구성되며, 과부하, 지락, 단락, 낙뢰 등은 공급 장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전 - 동력
동력은 에너지를 활용하여 일을 하는 능력이나 속도를 의미하며, 수력, 풍력, 전력, 인력, 화력, 원자력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기술 발전은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향상에 집중되고 있다. - 독점 - 저작권
저작권은 창작자의 권익 보호와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문학, 예술, 음악 등 인간의 창작물에 대해 창작자에게 부여되는 법적 권리로서, 저작인격권과 저작재산권으로 구성되며, 국제 조약 및 각국 국내법을 통해 보호되지만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보호와 이용 간 균형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독점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602년 네덜란드 의회가 설립한 특허 회사로, 동인도와의 무역 독점, 요새 구축, 군대 유지 등의 권한을 가지며 17세기 세계 최대 무역 회사로 성장했으나, 18세기 후반 쇠퇴하여 1799년 해산되었고, 최초의 주식회사로 여겨지지만 식민주의 등의 문제로 비판받는다.
송전 | |
---|---|
송전 | |
![]() | |
정의 |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변전소를 거쳐 최종 소비 장소까지 보내는 과정 |
역할 | 전력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발전소와 소비자 사이에서 전력을 대량으로 이동시킴 |
개요 | |
전력 생산과 소비의 차이 | 전력은 대량으로 저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과 동시에 소비되어야 하며, 송전은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임 |
송전의 중요성 |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가 항상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먼 거리에 걸쳐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함 |
송전 시스템의 구성 요소 | 송전선: 전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도체 변전소: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데 사용되는 시설 절연체: 전기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 지지대: 송전선을 지지하는 구조물 |
송전 방식 | |
교류 송전 | 대부분의 전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식 변압기를 사용하여 전압을 쉽게 변경할 수 있음 고전압 송전은 전류를 낮추어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음 |
직류 송전 | 장거리 송전에 효율적임 해저 케이블이나 비동기식 연결에 주로 사용됨 변압을 위해 복잡한 변환 장치가 필요함 |
전압 수준 | |
초고압 송전 | 345kV, 765kV 이상과 같은 고전압 사용 |
고압 송전 | 66kV에서 220kV 수준의 전압 사용 |
배전 | 22.9kV 이하의 낮은 전압을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전력을 공급 |
송전 기술 | |
가공 송전선 | 전선이 공중에 설치되어 있음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쉬움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기 쉬움 |
지중 송전선 | 전선이 땅속에 설치되어 있음 환경적으로 안전하고 미관상 좋음 설치 비용이 높고 유지 보수가 어려움 |
초전도 송전 | 극저온에서 작동하여 저항이 없는 초전도체를 사용 전력 손실이 거의 없고 고용량 송전 가능 아직 연구 및 개발 단계에 있음 |
송전 관련 문제 | |
전력 손실 | 전선을 통해 전력을 전달할 때 발생하는 열 손실, 저항에 의한 전력 손실 |
안정성 문제 | 전력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
환경 문제 | 송전탑 건설, 전자파 발생, 시각적인 환경 오염 |
미래의 송전 기술 | |
스마트 그리드 |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 |
고온 초전도 기술 | 액체 질소 온도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사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송전 시스템을 구축 |
신재생 에너지 연계 | 신재생 에너지원을 전력망에 통합하기 위한 기술 개발 |
DC 송전망 확대 | 전 세계적으로 장거리, 대용량 DC 송전망 건설 증가 추세 |
송전의 역사 | |
초기 송전 | 19세기 후반에 전력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송전이 시작됨 초기에는 낮은 전압의 직류 송전이 사용됨 |
교류 송전의 도입 | 니콜라 테슬라가 교류 송전 시스템을 개발 교류는 전압 변환이 용이하여 장거리 송전에 적합함 20세기 초에 교류 송전 시스템이 표준화됨 |
송전 기술의 발전 | 고전압 및 초고압 송전 기술이 개발됨 새로운 송전 기술을 통해 전력 효율성이 향상됨 |
같이 보기 | |
전력망 | 전력망 |
배전 | 배전 |
변전소 | 변전소 |
참고 문헌 | |
참고자료 | 미국 에너지부 연방 에너지 관리 프로그램: 미국 전력 유틸리티, 규제 완화 및 재구조화에 대한 입문서 |
관련 자료 | 미국 개간국: 그랜드 쿨리 발전소 |
2. 전기에너지의 성질과 송전
전기에너지는 저장하기 어렵고, 생산과 소비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특징을 지닌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 모든 방면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비교적 간단한 설비로 대량의 전력을 먼 곳까지 보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대규모 발전소는 주로 수력 발전,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수력 발전소는 물이 풍부한 산간 지역에, 화력 발전소는 탱커 접안과 냉각수 확보가 용이한 항구 근처에 위치한다. 원자력 발전소는 위험 관리를 위해 인구 밀집 지역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된다. 그러나 전력 소비는 주로 도시의 공장, 빌딩, 가정에 집중되어 있어 생산된 전력을 소비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송전 기술이 필요하다.
북미에서는 대부분 고전압 삼상 교류(AC)를 사용하지만, 철도 전철 시스템에서는 단상 교류(AC)가 사용되기도 한다. 장거리(수백 마일)에서는 (HVDC) 기술이 더 높은 효율을 위해 사용된다. HVDC는 해저 전력 케이블(일반적으로 50km 이상) 및 상호 동기화되지 않은 전력망 간의 전력 교환에도 사용된다. HVDC 링크는 네트워크 한 부분에서 갑작스러운 부하나 정전이 발생할 경우 동기화 문제와 연쇄 고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전력 분배 네트워크를 안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전기는 고전압으로 송전되어 장거리에 걸쳐 발생하는 저항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인다. 전력은 일반적으로 송전선을 통해 송전되지만, 지중 송전은 설치 비용이 높고 운영상의 제약이 크지만 유지보수 비용은 낮다. 지중 송전은 도시 지역이나 환경적으로 민감한 지역에서 더 일반적이다.
전기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생산되어야 한다. 발전이 수요와 거의 일치하도록 정교한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며,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불균형으로 인해 발전 설비 및 송전 장비가 자동으로 연결이 끊기거나 꺼져 손상을 방지한다. 최악의 경우, 이는 연쇄적인 정전으로 이어져 대규모 지역 블랙아웃을 야기할 수 있다.
송전 네트워크는 지역, 국가 및 심지어 대륙 규모의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이러한 고장의 위험을 줄인다. 이는 정전 발생 시 전력이 흐를 수 있는 여러 개의 중복된 대체 경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송전 회사는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예비 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각 회선의 최대 안정적인 용량(일반적으로 물리적 또는 열적 한계보다 작음)을 결정한다.[22]
장거리 송전(수백 킬로미터)은 저렴하고 효율적이며, kWh당 0.005USD~0.02USD의 비용이 소요된다. 이는 연간 평균 대규모 생산자 비용인 kWh당 0.01USD~0.025USD, 소매 요금인 kWh당 0.1달러 이상, 예측할 수 없는 높은 수요 시점의 순간 공급업체의 소매가의 배수와 비교된다.[29]
2. 1. 전력 손실
송전선이나 배전선에는 전기저항이 있으므로, 전기에너지의 일부는 송전 도중에 열(줄열)로 변해 버린다. 보통 도체의 경우와 동일하게 송배전선의 전기저항을, 송전 전류로 하면, 거기에서 발생하는 열은 줄에 비례한다(줄의 법칙).[22] 따라서 이 낭비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저항이 될수록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재료면에서 보아 한계가 있다. 한편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에 비례하므로 전압을 크게 하고 전류를 작게 하면, 동일 전력의 낭비를 적게 하고 보낼 수가 있다.[22]송전 효율은 더 높은 전압과 더 낮은 전류에서 향상된다. 전류 감소는 발열 손실을 줄인다. 줄의 제1 법칙은 에너지 손실이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고 명시한다. 따라서 전류를 2배 줄이면 도체 크기에 관계없이 도체 저항으로 손실되는 에너지가 4배 줄어든다.[22]
주어진 전압과 전류에 대한 도체의 최적 크기는 켈빈의 도체 크기 법칙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법칙은 저항에서 손실되는 에너지의 연간 비용이 도체를 제공하는 연간 자본 비용과 같을 때 크기가 최적이라고 명시한다. 저금리 및 저원자재 가격 시대에는 켈빈의 법칙이 더 두꺼운 전선이 최적임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더 얇은 도체가 적합하다. 송전선은 장기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켈빈의 법칙은 구리와 알루미늄의 가격과 금리에 대한 장기 추정치와 함께 사용된다.[22]
고전압으로 전기를 송전하면 도체의 종류, 전류, 송전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줄 열에 의한 에너지 손실 비율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765kV로 1000MW의 전력을 송전하는 경우 손실은 0.5%~1.1%일 수 있다. 같은 거리에서 같은 부하를 전송하는 345kV 송전선의 손실은 4.2%이다.[24] 주어진 전력량에 대해 고전압은 전류를 줄이고 따라서 저항 손실을 줄인다. 예를 들어, 전압을 10배 높이면 전류는 10배 감소하고,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손실은 100배 감소한다. 도체 크기(단면적)를 전류에 맞춰 10분의 1로 줄이더라도 고전압을 사용하면 손실은 여전히 10배 감소한다.
전력 손실은 전선의 전도도(단면적 증가)를 높여 줄일 수도 있지만, 더 큰 도체는 무겁고 비용이 많이 든다. 그리고 전도도는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저항 전력 손실은 단면적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며, 전압을 곱하여 얻는 제곱 감소보다 훨씬 적은 이점을 제공한다.
장거리 송전은 일반적으로 115~1,200kV의 전압으로 가공선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체와 접지 사이에 2,000kV가 넘는 고전압에서는 코로나 방전 손실이 너무 커서 송전선 도체의 저항 손실 감소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 코로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는 도체 직경 증가, 중공 코어[25] 또는 도체 번들링이 있다.
저항 및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온도, 나선형 구조, 그리고 표피 효과가 있다. 저항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중앙을 중심으로 가닥 도체가 나선형으로 감기는 방식을 말하는 나선형 구조도 도체 저항 증가에 기여한다. 표피 효과는 높은 AC 주파수에서 유효 저항을 증가시킨다. 코로나 및 저항 손실은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26]
미국의 송전 및 배전 손실은 1997년 6.6%,[27] 2007년 6.5%,[27] 2013년부터 2019년까지 5%로 추정되었다.[28] 일반적으로 손실은 발전소가 보고한 발전량과 판매된 전력량의 차이로 추정된다. 전력 절도가 없다는 가정하에 이 차이는 송전 및 배전 손실을 구성한다.
모든 교류 송전선에서 도체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는 상당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대한 반응으로만 흐르는 전류(이는 저항과 함께 임피던스를 정의한다)는 부하에 전력을 전송하지 않는 무효 전력 흐름을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무효 전류는 추가적인 발열 손실을 유발한다. 부하에 전송되는 유효 전력과 피상 전력(회로의 전압과 전류의 곱, 위상각과 무관)의 비율은 역률이다. 무효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무효 전력이 증가하고 역률이 감소한다.
역률이 낮은 송전 시스템의 경우 역률이 높은 시스템보다 손실이 더 크다. 전력 회사는 시스템 전체에 콘덴서 뱅크, 리액터 및 기타 구성 요소(위상 시프터, 정지형 무효 전력 보상 장치, 유연한 교류 송전 시스템, FACTS)를 추가하여 무효 전력 흐름을 보상하고 송전 손실을 줄이며 시스템 전압을 안정화한다. 이러한 조치는 통칭 '무효 전력 지원'이라고 한다.
2. 2. 직류 방식과 교류 방식
초기에는 직류발전기를 이용한 직류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전압을 쉽게 올리고 내릴 수 있는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교류 방식이 1910년경부터 널리 쓰이게 되었다.[71] 현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교류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발송전에는 주로 삼상 교류가 사용되는데, 이는 단상 교류에 비해 여러 이점을 가진다. 삼상 교류는 같은 굵기의 전선을 사용할 때 전선량은 1.15배가 되지만, 순시 전압이 일정하여 송전선로 손실이 줄어든다. 동일 선로 손실을 기준으로 하면 전선 소요량은 4분의 3으로 줄어드는 유리한 점이 있다. 또한, 삼상 교류는 회전자계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북미 대부분의 송전선은 고전압 삼상 교류(AC)를 사용하지만, 단상 교류(AC)는 철도 전철 시스템에서 종종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사이리스터나 인버터 등 전력 전자공학의 발달로 손실이 적은 (HVDC) 방식이 일부 구간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HVDC는 대량의 전력을 장거리에 걸쳐 송전하거나 비동기식 전력망 간의 상호 연결에 사용된다. 교류 송전에서 손실되는 전력이 상당한 매우 장거리 송전의 경우, 직류를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장거리 송전선의 경우, 이러한 손실 감소(및 직류 송전선의 건설 비용 절감)가 양단에 필요한 변환소의 비용을 상쇄할 수 있다.
HVDC는 케이블 정전 용량 때문에 교류를 사용할 수 없는 장거리 해저 케이블에도 사용된다.[31] 해저 HVDC 시스템은 종종 섬의 전력망을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영국과 유럽 대륙 사이, 영국과 아일랜드 사이, 타즈메이니아와 호주 본토 사이, 뉴질랜드의 북섬과 남섬 사이, 뉴저지주와 뉴욕시 사이, 그리고 뉴저지주와 롱아일랜드 사이 등에서 사용된다. 최대 600km 길이의 해저 연결이 배치되었다.[32]
HVDC 연결은 전력망 문제를 제어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교류 송전선에 의해 송전되는 전력은 위상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위상각이 너무 커지면 양단의 시스템이 동기를 벗어날 수 있다. 직류 연결에서는 전력 흐름이 연결하는 교류 네트워크의 위상과 독립적으로 제어되므로 이러한 위상각 제한이 없으며, 직류 연결은 항상 정격 전력을 완전히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직류 연결은 전력 흐름과 위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양단의 교류 전력망을 안정화시킨다.
2. 3. 발전 전압과 송전 전압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압은 송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전압으로 승압된다. 발전소의 발전기는 그 크기에 따라 약 2.3kV에서 30kV의 비교적 낮은 전압으로 전력을 생산하며, 발전소의 변압기를 통해 전압이 더 높은 전압(115kV ~ 765kV AC)으로 승압되어 송전된다.[29]송전 전압은 송전 거리, 전력량, 기술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대한민국에서는 154kV, 345kV, 765kV 등 다양한 전압의 송전선로가 사용된다. 고전압으로 전기를 송전하면 도체의 종류, 전류, 송전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줄 열에 의한 에너지 손실 비율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765kV로 1000MW의 전력을 송전하는 경우 손실은 0.5%~1.1%일 수 있다. 같은 거리에서 같은 부하를 전송하는 345kV 송전선의 손실은 4.2%이다.[24] 주어진 전력량에 대해 고전압은 전류를 줄이고 따라서 저항 손실을 줄인다. 예를 들어, 전압을 10배 높이면 전류는 10배 감소하고,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손실은 100배 감소한다.
2. 4. 교류의 주파수
대한민국은 60Hz의 주파수를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50Hz 또는 60Hz와 호환된다.[1]3. 송전 선로의 표현
일반적으로 송전 선로는 송전 거리의 장단에 따라 표현을 달리한다. 단거리(수십 km 정도) 가공 선로에서는 직렬 임피던스만을 고려한 집중 임피던스 회로로 취급하고, 중거리(수십~100 km 정도) 가공 선로 및 케이블은 등가 T 회로 또는 등가 회로로 취급한다. 장거리(100 km 이상) 가공 선로 및 케이블은 등가 회로 또는 분포 정수 회로로 표현하는 것이 보통이다.
송전 선로는 직렬 임피던스 성분 Z와 병렬 어드미턴스 성분 Y개가 무한히 연결된 것으로 나타낸다. 분할을 무한 개로 하였을 때 형성되는 분포 정수 회로를 4단자 정수 회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
:
행렬로 표현하면
:
이다. 이때 각 행렬 A, B, C, D의 값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송전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및 파동 임피던스
- 송전 선로 길이
- 송전 선로의 전파 정수
정수 A, B, C, D는 위의 공식에 따라 구하며, 보통 cosh와 sinh를 Taylor expansion 한 식에서 3항까지 취하고 있으나 500 km 이하에서는 제2항까지만 취하여도 별문제가 없다고 한다.
송전 선로 모델
모델 | 사용 구간 | 특징 |
---|---|---|
무손실 선로 | 매우 짧은 선로 (인덕턴스 >> 저항) | 송전단과 수전단의 전압과 전류가 동일. |
중간선 | 80km 구간 | 직렬 임피던스와 분로(누설 전류) 컨덕턴스 고려. 분로 컨덕턴스의 절반을 송전선 양 끝에 배치. 명목 π 회로라고도 함. |
장거리 선로 | 250km 초과 또는 높은 정확도가 필요한 경우 | 직렬 저항과 분로 컨덕턴스를 분포 정수로 간주. 각 미소 길이에 해당하는 미소 직렬 임피던스와 분로 어드미턴스 존재. 전신 방정식 적용. |
4. 급전망
급전망은 발전소, 송전선, 변전소, 배전선 등으로 구성된 전력 시스템 전체를 의미한다.[71] 전력 소비량은 계절, 시간, 지역 등에 따라 변동하므로, 급전망 운영자는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다.[71]
전력회사는 급전망 운용을 위해 중앙급전지령소나 계통급전지령소를 만들어, 각 발전소나 변전소 등의 운전 및 정지, 출력이나 전압 조정 등에 관한 지령을 내린다.[71] 과거에는 전문가들이 경험을 바탕으로 수요를 예측하고 발전소 운전 계획을 세웠지만, 최근에는 급전망이 거대화, 복잡화되면서 자동화 기술이 도입되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71] 급전 지령소에는 전력계통의 상태를 보여주는 급전반이 있고, 원격측정(텔레미터)을 통해 전압, 주파수, 발전소 및 변전소 운전 상태, 저수지 수위 등이 표시된다.[71] 자동주파수제어장치(AFC)는 부하 변동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감지하여 발전소 출력을 자동으로 조정한다.[71]
5. 송전 시스템 (영어: System)
북미 지역의 송전 시스템은 대부분 삼상 교류(AC)를 사용하지만, 철도 전철 시스템에서는 단상 교류가 사용되기도 한다. 장거리 송전에는 (HVDC) 기술이 사용되어 효율성을 높인다. HVDC는 해저 전력 케이블 (일반적으로 50km 이상) 및 상호 동기화되지 않은 전력망 간의 전력 교환에도 활용된다. HVDC 링크는 전력 분배 네트워크를 안정화하는데, 네트워크의 한 부분에서 갑작스러운 새로운 부하 또는 정전이 발생할 경우 동기화 문제와 연쇄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22]
전기는 고전압으로 송전되어 저항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인다. 전력은 일반적으로 송전선을 통해 송전된다. 지중 송전은 설치 비용이 높고 운영상의 제약이 크지만, 유지보수 비용은 낮다. 지중 송전은 도시 지역이나 환경적으로 민감한 지역에서 더 일반적이다.
전기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생산되어야 한다. 발전이 수요와 거의 일치하도록 정교한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불균형으로 인해 발전 설비 및 송전 장비가 자동으로 연결이 끊기거나 꺼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 이는 연쇄적인 일련의 정전으로 이어져 대규모 지역 블랙아웃을 야기할 수 있다.
미국 북동부는 1965년, 1977년, 2003년에 정전을 경험했으며, 1996년과 2011년에 미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다. 이러한 고장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송전 네트워크는 지역, 국가 및 심지어 대륙 규모의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된다. 이는 정전 발생 시 전력이 흐를 수 있는 여러 개의 중복된 대체 경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송전 회사는 각 회선의 최대 안정적인 용량(일반적으로 물리적 또는 열적 한계보다 작음)을 결정하여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예비 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22]
송전 네트워크는 송전선, 케이블, 차단기, 스위치 및 변압기와 같은 구성 요소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지역 송전 기관 또는 송전 시스템 운영자와 같은 기관이 지역 기준으로 관리한다.[22]
송전 효율은 더 높은 전압과 더 낮은 전류에서 향상된다. 전류 감소는 발열 손실을 줄인다. 줄의 제1 법칙에 따르면 에너지 손실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류를 2배 줄이면 도체 크기에 관계없이 도체 저항으로 손실되는 에너지가 4배 줄어든다.
주어진 전압과 전류에 대한 도체의 최적 크기는 켈빈의 도체 크기 법칙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법칙은 저항에서 손실되는 에너지의 연간 비용이 도체를 제공하는 연간 자본 비용과 같을 때 크기가 최적이라고 명시한다. 저금리 및 저원자재 가격 시대에는 켈빈의 법칙이 더 두꺼운 전선이 최적임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더 얇은 도체가 적합하다. 송전선은 장기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켈빈의 법칙은 구리와 알루미늄의 가격과 금리에 대한 장기 추정치와 함께 사용된다.
교류 회로에서 더 높은 전압은 승압 변압기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고압 직류 송전(HVDC)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변환 장비가 필요하지만, 해저 케이블 및 장거리 대용량 지점 간 송전과 같은 특정 프로젝트의 경우 경제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HVDC는 동기화되지 않은 그리드 간에 에너지를 전송하는 데 필요하다.
송전 그리드는 발전소, 송전선 및 변전소의 네트워크이다.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3상 전력 교류로 그리드 내에서 전송된다. 단상 교류는 대형 다상 유도 전동기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최종 사용자에게 배전하는 데만 사용된다. 19세기에는 2상 송전이 사용되었지만 4개의 전선 또는 전류가 불균일한 3개의 전선이 필요했다. 더 높은 차수의 위상 시스템은 3개 이상의 전선이 필요하지만 거의 또는 전혀 이점이 없다.
발전 용량 가격은 높지만 에너지 수요는 변동적이므로 필요한 전력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수입하는 것이 더 저렴한 경우가 많다. 부하가 광범위한 지역에서 함께 상승하고 하강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력은 종종 먼 곳에서 온다. 부하 공유의 경제적 이점으로 인해 광역 송전 그리드는 국가 및 대륙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일부 링크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전력이 흐를 수 있다.
수요의 느리게 변하는 부분은 ''기저 부하''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일정한 운영 비용을 가진 대규모 시설인 확정 전력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시설은 원자력, 석탄 또는 수력 발전소이며, 집광형 태양열 및 지열 발전과 같은 다른 에너지원은 확정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태양광 발전, 풍력, 파력 및 조력과 같은 재생 에너지원은 간헐성으로 인해 확정 전력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나머지 또는 ''피크'' 전력 수요는 일반적으로 더 작고, 더 빠르게 반응하고, 비용이 더 높은 원천인 피크 발전소에 의해 공급된다. 이러한 발전소는 일반적으로 천연 가스를 연료로 하는 복합 사이클 또는 가스터빈 발전소이다.
장거리 송전(수백 킬로미터)은 저렴하고 효율적이며, kWh당 0.005USD~0.02USD의 비용이 소요된다. 이는 연간 평균 대규모 생산자 비용인 kWh당 0.01USD~0.025USD, 소매 요금인 kWh당 0.1달러 이상, 예측할 수 없는 높은 수요 시점의 순간 공급업체의 소매가의 배수와 비교된다.[29] 뉴욕은 종종 캐나다에서 kWh당 저렴한 수력 발전을 1000MW 이상 구매한다.[23] 지역 원천(비용이 더 많이 들고 자주 사용되지 않더라도)은 먼 공급업체를 분리할 수 있는 기상 및 기타 재해로부터 전력 공급을 보호할 수 있다.
수력 및 풍력 자원은 대도시에 더 가까이 이동할 수 없으며 태양열 비용은 지역 전력 수요가 최소인 외딴 지역에서 가장 저렴하다. 연결 비용은 특정 재생 가능한 대안이 경제적으로 현실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송전선의 비용이 과다할 수 있지만, 고용량 장거리 슈퍼 그리드 송전 네트워크 비용은 적당한 사용료로 회수할 수 있다.
5. 1. 가공 송전 (영어: Overhead)
고전압 송전선은 절연체로 덮여 있지 않다. 도체 재료는 거의 항상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합금이며, 강철 가닥으로 보강될 수도 있다. 과거에는 송전에 구리가 사용되기도 했지만, 알루미늄은 더 가볍고, 수율 감소는 미미하며, 비용이 훨씬 저렴하다.[3] 도체 크기는 12 mm2 (#6 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부터 750 mm2 (1,590,000 원형 밀면적)까지 다양하며, 저항과 전류 용량이 다르다. 큰 도체(지름이 몇 센티미터 이상)의 경우, 표피 효과 때문에 전류의 대부분이 표면 근처에 집중된다. 도체 중앙은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지만 무게와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더 높은 용량을 위해 여러 개의 병렬 케이블(이른바 번들 도체)을 사용한다. 번들 도체는 코로나 방전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해 고전압에서 사용된다.[3]오늘날 송전 수준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110 kV 이상이다. 66 kV 및 33 kV와 같은 저전압은 일반적으로 송전 전압으로 간주되지만, 부하가 적은 장거리 선로에 때때로 사용된다. 33 kV 미만의 전압은 일반적으로 배전에 사용된다. 765 kV를 초과하는 전압은 초고전압으로 간주되며 다른 설계가 필요하다.[3]
송전선은 절연체로 공기를 사용하므로, 선로는 최소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강풍과 저온과 같은 악천후는 송전을 중단시킨다. 23kn 정도의 저풍속이라도 도체가 작동 간격을 침범하여 아크 방전이 발생하고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3] 물리적 선로의 진동 운동은 진동의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도체 갈롭 또는 플러터라고 한다.[3]
5. 2. 지중 송전 (영어: Underground)
전력은 지중 전력 케이블을 통해 송전될 수 있다. 지중 케이블은 통행권을 차지하지 않고, 가시성이 낮으며, 날씨의 영향을 덜 받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케이블은 절연되어야 하며, 케이블과 굴착 비용은 상공 송전선로 건설 비용보다 훨씬 높다. 매설된 송전선로의 고장은 위치 파악과 수리가 더 오래 걸린다.[4][5][6]일부 대도시 지역에서는 케이블이 금속 파이프로 둘러싸여 있으며, 정적이거나 펌프를 통해 순환되는 절연유(일반적으로 오일)로 절연된다. 전기 고장으로 파이프가 손상되고 절연유가 누출되는 경우,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파이프의 일부를 동결하여 배수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수리 기간을 연장하고 비용을 증가시킨다. 수리 기간 동안 파이프와 주변의 온도는 모니터링된다.[4][5][6]
지중 송전선로는 열 용량에 제한을 받아 과부하 또는 용량 증대가 제한된다. 긴 지중 AC 케이블은 상당한 정전용량을 가지고 있어 유용한 전력 공급 능력이 감소한다. DC 케이블은 정전용량에 의해 길이가 제한되지 않는다.
6. 송전의 역사 (영어: History)
초기 상용 전력은 조명 및 기계 부하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전압으로 송전되어 발전소와 부하 사이의 거리가 제한되었다. 1882년 당시 직류 전압은 장거리 송전을 위해 쉽게 증가시킬 수 없었다. 조명, 고정 모터, 견인/철도 시스템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부하는 서로 다른 전압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발전기와 회로를 사용했다.[7][8] 따라서 발전기는 부하 근처에 설치되었는데, 이는 나중에 소규모 발전기를 다수 사용하는 분산 발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9]
교류(AC) 송전은 뤼시앵 걀라르와 존 딕슨 기브스가 1881년에 1:1 권선비와 개방형 자기 회로를 갖춘 초기 변압기인 이른바 2차 발전기를 개발한 후 가능해졌다.
최초의 장거리 교류 송전선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1884년 국제 전기 박람회를 위해 건설된 길이 34km의 송전선이었다. 2kV, 130Hz 지멘스 발전기로 구동되었으며, 1차 권선이 직렬로 연결된 여러 개의 걀라르 변압기를 통해 백열등에 전력을 공급했다. 이 시스템은 장거리 교류 전력 송전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했다.[8]
최초의 상용 교류 배전 시스템은 1885년 이탈리아 로마의 비아 데이 체르키에서 공공 조명을 위해 운영을 시작했다. 30마력(22kW), 2kV, 120Hz로 평가된 두 대의 지멘스 발전기로 구동되었으며, 19km의 케이블과 200개의 병렬 연결된 2kV~20V 강압 변압기(각 램프당 하나씩)를 사용했다. 몇 달 후에는 영국의 최초의 교류 시스템이 그로스베너 갤러리에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뒤따랐다. 이 시스템 역시 지멘스 발전기와 2.4kV~100V 강압 변압기(사용자당 하나씩)를 특징으로 하며, 션트 연결된 1차 권선을 사용했다.[10]
전기 기술자 윌리엄 스탠리 주니어는 자신이 비실용적인 것으로 간주한 걀라르-기브스 설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1885년 최초의 실용적인 직렬 교류 변압기를 개발했다.[11] 조지 웨스팅하우스의 지원을 받아 1886년 매사추세츠주 그레이트 배링턴에서 변압기 기반 교류 조명 시스템을 시연했다. 증기 기관으로 구동되는 500V 지멘스 발전기로 구동되었으며, 스탠리 변압기를 사용하여 전압을 100볼트로 강압하여 약 1219.20m에 걸쳐 23개 사업장의 백열등에 전력을 공급했다. 변압기와 교류 조명 시스템의 이러한 실용적인 시연은 웨스팅하우스가 그 해 말에 교류 시스템 설치를 시작하게 했다.[11]
1888년 최초의 교류 모터 설계가 등장했다. 이들은 다상 시스템 전류로 작동하는 유도 전동기로, 갈릴레오 페라리스와 니콜라 테슬라가 독립적으로 발명했다. 웨스팅하우스는 테슬라의 설계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실용적인 3상 모터는 미하일 돌리보-도브롤보스키와 찰스 유진 랜슬럿 브라운이 설계했다.[13] 그러나 이러한 모터의 광범위한 사용은 개발 문제와 이를 구동하는 데 필요한 다상 전력 시스템의 부족으로 인해 수년간 지연되었다.[14][15]
1880년대 후반과 1890년대 초에는 유럽의 Ganz 및 AEG와 미국의 제너럴 일렉트릭 및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과 같은 대규모 기업으로 소규모 전력 회사들이 합병되었다. 이러한 회사들은 교류 시스템을 개발했지만, 직류 시스템과 교류 시스템 간의 기술적 차이로 인해 훨씬 더 긴 기술적 합병이 필요했다.[16] 대규모 발전소와 장거리 송전을 통한 교류의 규모의 경제는 모든 부하를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을 서서히 추가했다. 여기에는 단상 교류 시스템, 다상 교류 시스템, 저전압 백열등 조명, 고전압 아크 조명, 공장 및 노면 전차의 기존 직류 모터가 포함되었다. 보편적인 시스템이 된 이러한 기술적 차이는 기존 시스템을 교류 그리드에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회전 변환기와 모터-발전기를 통해 일시적으로 해결되었다.[16][17] 이러한 임시 방편은 기존 시스템이 폐기되거나 업그레이드됨에 따라 서서히 대체되었다.
고전압을 사용한 최초의 단상 교류 송전은 1890년 오레곤에서 이루어졌는데, 윌라멧 폭포의 수력 발전소에서 강 아래쪽 포틀랜드까지 약 22.53km 거리에 전력이 공급되었다.[18] 고전압을 사용한 최초의 3상 교류 송전은 1891년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국제 전기 박람회에서 이루어졌다. 약 175km 길이의 15kV 송전선이 네카르 강변 라우펜과 프랑크푸르트를 연결했다.[10][19]
송전 전압은 20세기 내내 증가했다. 1914년까지 70kV 이상으로 운영되는 55개의 송전 시스템이 운영되었다. 당시 사용된 최고 전압은 150kV였다.[20]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여러 발전소를 상호 연결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가장 효율적인 발전소를 사용하여 하루 동안 다양한 부하를 공급할 수 있었다. 예비 발전 용량을 더 많은 고객과 더 넓은 지역에 공유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되고 자본 비용이 절감되었다. 수력 발전 또는 광산 입구 석탄과 같이 원격지에 있고 비용이 저렴한 에너지원을 활용하여 비용을 추가로 절감할 수 있었다.[7][10]
20세기의 급속한 산업화는 송전선과 그리드를 핵심 인프라로 만들었다. 1차 세계 대전 당시 정부가 탄약 공장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대규모 발전소를 건설하면서 지역 발전소와 소규모 배전망의 상호 연결이 촉진되었다.[21]
7. 대량 송전 (영어: Bulk transmission)
대량 송전은 많은 양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먼 거리까지 보내는 것을 말한다. 송전 효율은 전압을 높이고 전류를 낮출 때 좋아지는데, 이는 줄의 제1 법칙에 따라 열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22] 켈빈의 도체 크기 법칙은 주어진 전압과 전류에서 도체의 최적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법칙은 저항에서 손실되는 에너지의 연간 비용과 도체를 설치하고 유지하는 데 드는 연간 비용이 같을 때 도체 크기가 최적이라고 말한다.[22]
교류 회로에서 전압을 높이는 것은 '승압 변압기'를 사용하여 가능하다. 고압 직류 송전(HVDC) 시스템은 변환 장비가 비싸지만, 해저 케이블이나 장거리 대용량 송전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이득이 될 수 있다. HVDC는 동기화되지 않은 그리드 간에 에너지를 전송하는 데에도 필요하다.[22]
송전 그리드는 발전소, 송전선, 변전소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3상 전력 교류로 전송되는데, 단상 교류는 대형 다상 유도 전동기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최종 사용자에게 배전하는 데만 사용된다.[22]
발전 용량은 비싸지만 에너지 수요는 변동하기 때문에, 필요한 전력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수입하는 것이 더 저렴할 수 있다. 또한 부하가 넓은 지역에서 함께 오르내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력은 먼 곳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부하 공유의 경제적 이점 때문에 광역 송전 그리드는 국가와 대륙을 넘나들 수 있다.[22]
수요의 느리게 변하는 부분은 ''기저 부하''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일정한 운영 비용을 가진 대규모 시설인 확정 전력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시설에는 원자력, 석탄, 수력 발전소가 있으며, 집광형 태양열 및 지열 발전도 확정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태양광, 풍력, 파력, 조력과 같은 재생 에너지는 간헐성 때문에 확정 전력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나머지 ''피크'' 전력 수요는 일반적으로 더 작고, 더 빠르게 반응하며, 비용이 더 높은 피크 발전소에서 공급되며, 이는 보통 천연 가스를 연료로 하는 복합 사이클 또는 가스터빈 발전소이다.[22]
장거리 송전(수백 킬로미터)은 kWh당 0.005USD~0.02USD의 비용으로 저렴하고 효율적이다. 이는 연간 평균 대규모 생산자 비용인 kWh당 0.01USD~0.025USD, 소매 요금인 kWh당 0.1달러 이상, 예측할 수 없는 높은 수요 시점의 순간 공급업체의 소매가의 배수와 비교된다.[29] 지역 전력원은 비용이 더 들고 자주 사용되지 않더라도, 먼 공급업체가 분리될 수 있는 기상 및 기타 재해로부터 전력 공급을 보호할 수 있다.
수력 및 풍력 자원은 대도시에 더 가까이 이동할 수 없으며, 태양열 비용은 지역 전력 수요가 최소인 외딴 지역에서 가장 저렴하다. 연결 비용은 특정 재생 가능한 대안이 경제적으로 현실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송전선의 비용이 과다할 수 있지만, 고용량 장거리 슈퍼 그리드 송전 네트워크 비용은 적당한 사용료로 회수할 수 있다.[22]
7. 1. 그리드 입력 (영어: Grid input)
발전소에서는 발전기의 크기에 따라 약 2.3kV에서 30kV의 비교적 낮은 전압으로 전력이 생산된다. 그런 다음 발전소의 변압기를 통해 전압이 더 높은 전압(115kV ~ 765kV AC)으로 승압되어 송전된다.[71]미국에서는 송전 전압이 230kV ~ 500kV로 다양하며, 230kV 미만 또는 500kV 초과는 예외적인 경우이다.
7. 2. 손실 (영어: Losses)
송전선이나 배전선에는 전기저항이 있어, 전기에너지의 일부는 송전 도중 열(줄열)로 변환되어 손실된다. 이러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동일 전력에서 전압을 높여 전류를 낮추면 줄의 법칙에 따라 낭비를 줄일 수 있다.[71]고전압 송전은 줄 열에 의한 에너지 손실 비율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765kV로 1000MW의 전력을 약 160.93km 송전하는 경우 손실은 0.5%~1.1%일 수 있지만, 같은 거리에서 345kV 송전선은 4.2%의 손실이 발생한다.[24] 주어진 전력량에 대해 전압을 10배 높이면 전류는 10배 감소하고, 동일 크기의 도체를 사용하면 손실은 100배 감소한다. 도체 크기를 10분의 1로 줄여도 고전압 사용 시 손실은 여전히 10배 감소한다.
전력 손실은 전선의 전도도를 높여 줄일 수도 있지만, 더 큰 도체는 무겁고 비용이 많이 든다. 전도도는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저항 전력 손실은 단면적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며, 이는 전압을 곱하여 얻는 제곱 감소보다 훨씬 적은 이점이다.
장거리 송전은 일반적으로 115~1,200kV의 전압으로 가공선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체와 접지 사이에 2,000kV가 넘는 고전압에서는 코로나 방전 손실이 커져 송전선 도체의 저항 손실 감소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 코로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도체 직경 증가, 중공 코어,[25] 또는 도체 번들링을 사용한다.
저항 및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온도, 나선형 구조, 표피 효과가 있다. 저항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나선형 구조도 도체 저항 증가에 기여하며, 표피 효과는 높은 AC 주파수에서 유효 저항을 증가시킨다. 코로나 및 저항 손실은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26]
미국의 송전 및 배전 손실은 1997년 6.6%,[27] 2007년 6.5%,[27] 2013년부터 2019년까지 5%로 추정되었다.[28] 일반적으로 손실은 발전소의 발전량과 판매된 전력량의 차이로 추정되며, 전력 절도가 없다고 가정하면 이 차이는 송전 및 배전 손실을 구성한다.
1980년 기준으로 직류 송전의 가장 경제적인 거리는 7000km였고, 교류는 4000km였지만, 미국의 송전선은 이보다 훨씬 짧다.[29]
교류 송전선에서 도체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는 상당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대한 반응으로만 흐르는 전류는 부하에 전력을 전송하지 않는 무효 전력 흐름을 구성하며, 추가적인 발열 손실을 유발한다. 부하에 전송되는 유효 전력과 피상 전력의 비율은 역률이다. 무효 전류가 증가하면 무효 전력이 증가하고 역률이 감소한다.
역률이 낮은 송전 시스템은 역률이 높은 시스템보다 손실이 더 크다. 전력 회사는 콘덴서 뱅크, 리액터 및 기타 구성 요소(위상 시프터, 정지형 무효 전력 보상 장치, 유연한 교류 송전 시스템)를 추가하여 무효 전력 흐름을 보상하고 송전 손실을 줄이며 시스템 전압을 안정화한다. 이러한 조치는 통칭 '무효 전력 지원'이라고 한다.
7. 3. 전치 (영어: Transposition)
송전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자기장을 유도하며, 이는 다른 상의 주변 도체의 인덕턴스에 영향을 미친다. 도체의 상호 인덕턴스는 서로에 대한 선의 물리적 방향에 따라 부분적으로 달라진다. 삼상선은 일반적으로 상이 수직으로 분리되어 설치되는데, 다른 두 상의 중간에 있는 상의 도체에서 보이는 상호 인덕턴스는 상단/하단에서 보이는 인덕턴스와 다르다.세 도체 간의 이러한 인덕턴스 불균형은 중간 선이 전송되는 총 전력의 불균형적인 양을 운반하도록 강제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마찬가지로, 한 선이 지속적으로 지면에 가장 가깝고 더 낮은 임피던스로 작동하는 경우 불균형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모든 세 상에서 보이는 상호 인덕턴스를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각 상이 각 상대 위치에서 동일한 시간을 보도록 선을 따라 도체를 주기적으로 전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전치 방식을 사용하여 선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특수하게 설계된 전치탑에서 선 위치를 바꾼다.[3]
7. 4. 송전의 하위 단계 (영어: Subtransmission)
송전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으로 운영된다. 모든 배전소를 주요 송전의 고전압에 연결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않은데, 그 이유는 그러한 장비가 크고 더 비싸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변전소만 이 고전압에 연결된다. 전류가 소규모 변전소로 보내지기 전에 전압이 강압된다. 송전 회로는 일반적으로 루프 형태로 배치되어 단일 선로 고장으로 인해 많은 고객의 서비스가 짧은 시간 이상 중단되지 않도록 한다.[30]루프는 하나의 회로 손실이 중단을 초래하지 않아야 하는 '정상적으로 폐쇄된' 루프이거나, 변전소가 백업 전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상적으로 개방된' 루프일 수 있다. 송전 회로는 일반적으로 송전선로에 설치되지만, 도시 지역에서는 지중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저전압 송전선로는 통행권과 더 단순한 구조를 덜 사용하며, 지중화가 덜 어렵다.[30]
송전과 송전을, 또는 송전과 배전을 구분하는 고정된 기준은 없다. 전압 범위가 겹친다. 북미에서는 69kV, 115kV, 138kV 전압이 종종 송전에 사용된다. 전력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이전에 송전에 사용되던 전압이 송전에 사용되었고, 송전 전압이 배전 전압이 되었다. 송전과 마찬가지로 송전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전력을 이동시키고, 배전과 마찬가지로 송전은 단순한 지점 간 연결 대신 지역을 커버한다.[30]
7. 5. 송전망 출구 (영어: Transmission grid exit)
변전소 변압기는 고객에게 분배하기 위해 전압을 낮은 수준으로 낮춘다.[71] 이 분배는 송전(33~138 kV) 및 배전(3.3~25 kV)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사용 지점에서 에너지는 최종 사용자 전압(100~4160V)으로 변환된다.8. 고전압 송전의 이점 (영어: Advantage of high-voltage transmission)
고전압 송전은 장거리 송전 시 저항 손실을 줄여 효율성을 높인다. 이러한 효율성 덕분에 발전된 전력의 더 큰 비율을 부하에 전달할 수 있다.[71]
송전선이나 배전선에는 전기저항이 있어 전기에너지의 일부는 송전 도중 열(줄열)로 변한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에 비례하므로 전압을 크게 하고 전류를 작게 하면, 동일 전력의 낭비를 줄이고 보낼 수 있다. 송전 전압을 높이면 같은 전력을 보낼 때 손실이 적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송전선의 저항이 같다면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전압을 2배로 하면 4배의 전력을 보낼 수 있다.[71]
줄의 제1 법칙에 따르면 에너지 손실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류를 2배 줄이면 도체 크기에 관계없이 도체 저항으로 손실되는 에너지가 4배 줄어든다.[22]
단순화된 모델에서 전력망을 전압 를 가진 이상적인 전압원에서 전력 를 전달하고, 전선의 저항 가 큰 경우 저항 로 모델링된 단일 소비 지점에 전력을 전달한다고 가정한다.
만약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중간에 변압기가 없다면, 회로는 분압기처럼 동작한다. 같은 전류 가 전선 저항과 전력 소비 장치를 통과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유용한 전력(소비 지점에서)은 다음과 같다.
:
만약 이상적인 변압기가 고전압, 저전류 전기를 저전압, 고전류 전기로 전압 비 로 변환한다면 (1차측에 비해 2차측의 전압은 로 나뉘고 전류는 배가 된다), 회로는 다시 분압기와 같지만, 전선의 저항은 로 나타난다. 그러면 유용한 전력은 다음과 같다.
:
일 때(소비 지점 근처에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는 경우), 발전기 전력의 더 큰 부분이 소비 지점으로 전송되고 줄 열로 손실되는 부분은 줄어든다.
9. 모델링 (영어: Modeling)
송전선의 단자 특성은 송전단(S)과 수전단(R)의 전압과 전류이다. 송전선은 블랙 박스로 모델링될 수 있으며, 2x2 전달 행렬을 사용하여 그 동작을 모델링한다.
:
송전선은 상호적이고 대칭적인 네트워크라고 가정한다. 즉, 수전단과 송전단의 라벨을 바꿔도 결과에 영향이 없다. 전달 행렬 '''T'''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매개변수 ''A'', ''B'', ''C'', ''D''는 원하는 모델이 송전선의 저항(''R''), 인덕턴스(''L''), 정전용량(''C'') 및 션트(병렬, 누설) 컨덕턴스 ''G''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송전 선로는 송전 거리에 따라 표현을 달리한다. 단거리(수십 km 정도) 가공 선로에서는 직렬 임피던스만을 고려한 집중 임피던스 회로로 취급하고, 중거리(수십~100 km 정도) 가공 선로 및 케이블은 등가 T 회로 또는 등가 π 회로로 취급한다. 장거리(100 km 이상) 가공 선로 및 케이블은 등가 π 회로 또는 분포 정수 회로로 표현하는 것이 보통이다.
송전 선로는 직렬 임피던스 성분 Z와 병렬 어드미턴스 성분 Y개가 무한히 연결된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9. 1. 무손실 선로 (영어: Lossless line)
무손실 선로 근사는 가장 정확도가 낮으며, 일반적으로 인덕턴스가 저항보다 훨씬 큰 짧은 선로에 사용된다. 이 근사에서 송전단과 수전단의 전압과 전류는 동일하다.
고유 임피던스는 순수하게 실수이며, 저항성을 의미한다. 이는 종종 서지 임피던스라고도 불린다. 무손실 선로가 서지 임피던스로 종단될 때 전압은 떨어지지 않는다. 전압과 전류의 위상각은 회전하지만, 전압과 전류의 크기는 선로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된다. 부하가 SIL보다 큰 경우 송전단에서 전압이 떨어지고 선로는 무효 전력을 "소비"한다. 부하가 SIL보다 작은 경우 송전단에서 전압이 증가하고 선로는 무효 전력을 "생성"한다.[36]
9. 2. 단락 선로 (영어: Short line)
단락 선로 근사는 일반적으로 80km보다 짧은 송전선에 사용되며, 직렬 임피던스만 고려하고 병렬 어드미턴스는 무시한다.[1] 따라서, 4단자 정수 A, B, C, D는 다음과 같다.[1]- A = D = 1
- B = Z Ω
- C = 0
이에 따라 단락 선로의 전달 행렬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
:
9. 3. 중간 선로 (영어: Medium line)
중간선 근사는 80km 구간의 송전선에 사용되며, 직렬 임피던스와 분로 컨덕턴스(누설 전류)를 고려한다. 분로 컨덕턴스의 절반은 송전선 양 끝에 배치된다. 이 회로는 누설 컨덕턴스가 회로도의 양쪽에 배치될 때 형태(''π'') 때문에 종종 ''명목 π'' 회로라고 한다.중간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중간 길이 송전선의 반직관적인 거동은 다음과 같다.
- 무부하 또는 소전류에서의 전압 상승(페란티 효과)
- 수전단 전류가 송전단 전류를 초과할 수 있음
9. 4. 장거리 선로 (영어: Long line)
일반적으로 송전 선로는 송전 거리의 장단에 따라 표현을 달리한다. 장거리(100km 이상) 가공 선로 및 케이블은 등가 π 회로 또는 분포 정수 회로로 표현하는 것이 보통이다. 송전 선로는 직렬 임피던스 성분 Z와 병렬 어드미턴스 성분 Y개가 무한히 연결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분포 정수 회로는 4단자 정수 회로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행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이때 각 행렬 A, B, C, D의 값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송전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및 파동 임피던스, 은 송전선로 길이, 는 송전 선로의 전파 정수를 의미한다.
정수 A, B, C, D는 위의 공식에 따라 구하며, 보통 cosh와 sinh를 테일러 전개(Taylor expansion) 한 식에서 3항까지 취하나, 500km 이하에서는 제2항까지만 취하여도 무방하다.
장거리 선로 모델은 더 높은 정확도가 필요하거나 고려 중인 선로의 길이가 250km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직렬 저항과 분로 컨덕턴스는 분포 정수로 간주되어, 선로의 각 미소 길이에 해당하는 미소 직렬 임피던스와 분로 어드미턴스가 있다. 다음 결과는 전송선의 어떤 지점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γ는 전파 정수이다.
:
장거리 선로의 끝단에서 전압과 전류를 구하려면 전송 행렬의 모든 매개변수에서 x를 l(선로 길이)로 대체해야 한다. 이 모델은 전신 방정식을 적용한다.
10. 고전압 직류 송전 (영어: High-voltage direct current)
고전압 직류 송전(HVDC)은 대량의 전력을 장거리에 걸쳐 송전하거나 비동기식 전력망 간의 상호 연결에 사용된다. 전기에너지를 매우 장거리에 걸쳐 송전할 경우, 교류 송전에서 손실되는 전력이 상당해지므로 직류를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장거리 송전선의 경우, 이러한 손실 감소(및 직류 송전선의 건설 비용 절감)가 양단에 필요한 변환소의 비용을 상쇄할 수 있다.
HVDC는 케이블 정전 용량 때문에 교류를 사용할 수 없는 장거리 해저 케이블에 사용된다.[31] 이러한 경우 특수 고압 케이블이 사용된다. 해저 HVDC 시스템은 종종 섬의 전력망을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영국과 유럽 대륙 사이, 영국과 아일랜드 사이, 타즈메이니아와 호주 본토 사이, 뉴질랜드의 북섬과 남섬 사이, 뉴저지주와 뉴욕시 사이, 그리고 뉴저지주와 롱아일랜드 사이 등이다. 최대 길이의 해저 연결이 배치되었다.[32]
HVDC 연결은 전력망 문제를 제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교류 송전선에 의해 송전되는 전력은 위상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위상각이 너무 커지면 양단의 시스템이 동기가 벗어날 수 있다. 직류 연결에서 전력 흐름은 연결하는 교류 네트워크의 위상과 독립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이러한 위상각 제한이 없으며, 직류 연결은 항상 정격 전력을 완전히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직류 연결은 전력 흐름과 위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양단의 교류 전력망을 안정화시킨다.
예를 들어, 가상의 시애틀과 보스턴 사이의 교류 전력 흐름을 조정하려면 두 지역 전력망의 상대 위상을 조정해야 한다. 이것은 교류 시스템에서 매일 발생하는 일이지만, 교류 시스템 구성 요소가 고장나고 전력망에 예상치 못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 방해받을 수 있다. 대신 HVDC 송전선을 사용하면 이러한 상호 연결은 다음과 같다.
- 시애틀에서 교류를 HVDC로 변환한다.
- 의 장거리 송전에 HVDC를 사용한다.
- 보스턴(그리고 송전 경로를 따라 협력하는 다른 도시들)에서 HVDC를 지역적으로 동기화된 교류로 변환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부가 갑자기 정지하더라도 고장이 적을 수 있다. 장거리 직류 송전선의 한 예로 미국 서부에 위치한 태평양 직류 상호 연결이 있다.
11. 용량 (영어: Capacity)
송전선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전력량은 선로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짧은 선로(약 100km 미만)의 경우, 도체의 열적 한계가 송전 용량을 결정한다. 과도한 전류가 흐르면 도체가 지면에 너무 가까이 처지거나 과열되어 손상될 수 있다. 중간 길이(약 100km)의 선로에서는 전압 강하가, 더 긴 교류 선로에서는 계통 안정도가 송전 용량을 제한한다. 고압 직류 송전(HVDC) 선로는 위상각 문제가 없어 열적 한계와 전압 강하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과거에는 케이블 경로를 따라 온도 분포를 파악하기 어려워 최대 전류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분산 온도 감지(DTS) 시스템을 통해 케이블 전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시스템은 광섬유를 온도 센서로 사용하여 고전압 케이블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가공 케이블의 경우, 광섬유를 상전선의 코어에 통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합된 동적 케이블 정격(DCR)/실시간 열 정격(RTTR) 솔루션을 활용하여 송전 시스템의 동작을 예측하고 네트워크를 최대한 운영할 수 있다.
11. 1. 재도체 (영어: Reconductoring)
일부 유틸리티 회사들은 증가하는 전력 생산량을 처리하기 위해 재도체(Reconductoring)를 도입하고 있다. 재도체는 기존 송전선을 더 높은 용량의 송전선으로 현장에서 교체하는 작업이다. 새로운 송전선을 추가하는 것은 비용, 허가 기간, 지역 주민들의 반대 등으로 인해 어렵다. 재도체는 송전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전력량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33]기존 송전선은 알루미늄 가닥으로 둘러싸인 강철 코어를 사용한다. 강철을 탄소 섬유(carbon fiber)와 같은 더 가볍고 강한 복합 재료(ACCC 도체(ACCC conductor))로 교체하면 선로가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고 처짐이 적어져 송전 용량이 두 배가 된다. 고온에서 선로 처짐을 줄이면 송전선이 마른 식물에 닿아 산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34] 고급 송전선은 강철보다 2~4배 더 비쌀 수 있지만, 시간, 토지 취득, 허가 및 건설 비용 절감을 고려할 때 전체 재도체 비용은 신규 송전선 비용의 절반 미만이다.[33]
텍사스 남동부의 재도체 프로젝트는 240마일의 송전선을 마일당 90만달러의 비용으로 업그레이드했는데, 이는 마일당 평균 190만달러가 소요되는 3600마일의 신규 프로젝트와 대조적이다.[33]
12. 제어 (영어: Control)
송전 시스템은 발전기, 스위치, 차단기 및 부하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예측 가능한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제어된다. 송전 시스템의 전압, 전력, 주파수, 부하율 및 신뢰성 기능은 비용 효율적인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송전은 일정 길이의 전선 양단에 전압 차를 발생시켜 전류를 흘려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장거리 송전에서는 전선의 저항 때문에 송전 손실이 발생하므로, 고전압으로 변환하여 송전 손실을 줄인다. 발전소 변전소에서 27.5만~50만 볼트의 초고전압으로 변전(승압)되어 송전되지만, 최종 소비자까지의 송전망 중간에 여러 변전소가 있으며, 그곳에서 단계적으로 전압이 낮춰진다.[71]
송전 계통의 과부하, 지락, 단락, 낙뢰 등은 다수의 수요가에 공급 장애 사고로 이어진다.[71]
12. 1. 부하 균형 (영어: Load balancing)
송전 시스템은 기저 부하와 피크 부하 용량을 제공하며, 안전과 고장 허용을 위한 여유분을 가지고 있다.[22] 발전량은 부하와 일치해야 한다.[22]수요의 느리게 변하는 부분은 ''기저 부하''이며, 이는 대규모 시설인 확정 전력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시설에는 원자력, 석탄, 수력 발전소 등이 있으며, 집광형 태양열 및 지열 발전과 같은 에너지원도 확정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풍력, 파력, 조력과 같은 재생 에너지원은 간헐성 때문에 확정 전력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나머지 ''피크'' 전력 수요는 피크 발전소에서 공급하며, 이는 더 작고, 빠르게 반응하며, 비용이 높은 경향이 있다. 피크 발전소는 주로 천연 가스를 연료로 하는 복합 사이클 또는 가스터빈 발전소이다.[29]
송전 시스템은 발전량과 부하를 일치시키기 위한 큰 완충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발전 설비 과부하를 막기 위해 발전량과 부하를 일치시켜야 한다.[22]
송전 시스템에는 여러 발전원과 부하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전력의 질서 있는 전달을 위해 제어가 필요하다. 중앙 집중식 발전에서는 발전기의 지역 제어만 필요하다.[22]
분산 발전에서는 발전기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전환 과정을 신중하게 제어해야 한다. 부하 제어 신호는 별도 회선이나 전력선 자체를 통해 전송 가능하다. 전압과 주파수는 부하 균형을 위한 신호 메커니즘으로 사용될 수 있다.[22]
전압 신호 방식에서는 전압 변화를 통해 발전량을 조절한다. 시스템에 추가되는 전력은 선로 전압 감소에 따라 증가한다. 이는 원칙적으로 안정적이지만, 메시 네트워크에서는 복잡하다. 새 발전기가 추가될 때마다 개별 구성 요소와 설정점을 재구성해야 하기 때문이다.[22]
주파수 신호 방식에서는 발전기가 송전 시스템 주파수와 일치한다. 무부하 속도 제어에서 주파수가 감소하면 전력이 증가한다. 이는 증가된 부하로 인해 발전기 속도가 느려짐을 의미한다.[22]
풍력 터빈, Vehicle-to-Grid, 가상 발전소 등 지역 분산형 저장 및 발전 시스템은 계통과 상호 작용하여 시스템 운영을 개선할 수 있다. 국제적으로 중앙 집중식에서 분산형 전력 시스템으로의 느린 전환이 진행 중이다. 지역 분산 발전 시스템의 주요 장점은 전력 생산지 근처에서 소비함으로써 송전 손실을 줄이는 것이다.[36]
12. 2. 고장 보호 (영어: Failure protection)
과부하 조건에서는 시스템이 한꺼번에 고장 나는 대신 점진적으로 고장 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저전압은 공급되는 전력이 수요보다 낮아질 때 발생한다. 정전은 계통이 완전히 고장 날 때 발생한다.순환 정전(부하 감소라고도 함)은 의도적으로 설계된 정전으로, 부족한 전력을 여러 부하에 순차적으로 분배하는 데 사용된다. 송전 계통의 과부하, 지락, 단락, 낙뢰 등은 다수의 수요가의 공급 장애 사고로 이어진다.[71]
13. 통신 (영어: Communications)
송전망 운영자는 송전망과 관련된 발전 및 배전 시설을 관리하기 위해 안정적인 통신을 필요로 한다.[71] 각 회선의 양 끝에 있는 고장 감지 보호 계전기는 전력 흐름을 모니터링하여 고장이 난 도체나 장비를 신속하게 전력 차단하고 시스템의 균형을 복구해야 하기 때문에 통신이 필수적이다.[71] 송전선로의 단락 회로 및 기타 고장으로부터의 보호는 매우 중요하여 일반 통신 사업자의 통신망은 신뢰성이 부족하며, 일부 외딴 지역에서는 일반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71] 송전 프로젝트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다음을 사용할 수 있다.
드물게, 그리고 짧은 거리의 경우에는 송전선로 경로를 따라 파일럿 와이어가 설치된다. 가용성이 운영자의 통제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 통신 사업자로부터 임대 회선을 선호하지 않는다.[71]
송전선로는 데이터 전송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전력선 통신(power-line carrier) 또는 전력선 통신(PLC)이라고 한다. PLC 신호는 장파장 대역의 라디오로 쉽게 수신할 수 있다.[71]

광섬유는 송전선로의 연선 도체 또는 상부 차폐선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을 광지선(''OPGW'')이라고 한다. 때때로 독립형 케이블인 전유전 자립형(All-Dielectric Self-Supporting, ''ADSS'') 케이블이 송전선로의 크로스암에 부착되어 사용된다.[71]
미네소타주와 같이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에너지 전송 회사가 잉여 통신 대역폭을 판매하거나 통신 일반 통신 사업자로서 활동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규제 구조가 허용하는 경우, 유틸리티 회사는 일반 통신 사업자에게 여분의 다크 파이버 용량을 판매할 수 있다.[71]
14. 시장 구조 (영어: Market structure)
송전은 일반적으로 자연 독점으로 간주되지만, 발전과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37][38][39] 많은 국가에서는 발전과는 별도로 송전을 규제한다.
스페인은 지역 송전 기관을 설립한 최초의 국가였다. 스페인에서는 송전 운영과 전력 시장이 분리되어 있다. 송전 시스템 운영자는 레드 일렉트리카 데 에스파냐(Red Eléctrica de España) (REE)이고, 도매 전력 시장 운영자는 Operador del Mercado Ibérico de Energía – Polo Español, S.A. (OMEL)이다. 스페인의 송전 시스템은 프랑스, 포르투갈 및 모로코의 시스템과 상호 연결되어 있다.
미국의 RTO 설립은 1996년에 발표된 FERC(미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의 Order 888에 의해 촉진되었다.[40] 미국과 캐나다 일부 지역에서는 송전 회사가 발전 회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미국 남부에서는 수직적 통합이 유지되고 있다. 분리된 지역에서는 송전 소유주와 발전 소유주는 RTO 내에서 투표권을 가진 시장 참여자로서 서로 상호 작용을 계속한다. 미국의 RTO는 미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에 의해 규제된다.
미국의 상업용 송전 프로젝트에는 뉴욕주 쇼어햄에서 코네티컷주 뉴헤이븐까지의 크로스 사운드 케이블(Cross Sound Cable), 뉴저지주 세이어빌에서 뉴욕주 뉴브리지까지의 넵튠 RTS 송전선, 캘리포니아의 Path 15가 포함된다. ITC 홀딩스 코퍼레이션이 제안한 온타리오를 PJM 상호연결 지역의 부하 공급 기관에 연결하는 수중 송전선인 이리호 커넥터(Lake Erie Connector)를 포함하여 미 전역에서 추가 프로젝트가 개발 중이거나 제안되었다.[41]
호주에는 태즈메이니아와 빅토리아 사이에 규제되지 않은 시장 상호 연결선인 Basslink이 하나 있다. 원래 시장 상호 연결선으로 구현된 두 개의 DC 링크인 Directlink과 Murraylink는 규제된 상호 연결선으로 전환되었다.[42]
상업용 송전의 광범위한 채택에 대한 주요 장벽은 수혜자가 통행료를 지불하도록 시설로부터 누가 이익을 얻는지 식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대안적인 송전선이 독점적이고 규제된 요금 기반을 가진 유틸리티에 의해 보조금을 받는 경우 상업용 송전선이 경쟁하기 어렵다.[43] 미국에서는 2010년에 발표된 FERC의 Order 1000이 공공 정책상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제3자 투자 및 상업용 송전선 생성에 대한 장벽을 줄이려고 시도했다.[44]
15. 송전 비용 (영어: Transmission costs)
고압 송전 비용은 소비자의 전기 요금을 구성하는 다른 모든 비용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45] 영국의 경우 송전 비용은 kWh당 약 0.2펜스 수준이지만,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가격은 kWh당 약 10펜스 정도이다.[45]
16. 건강 문제 (영어: Health concerns)
주류 과학적 증거에 따르면 가정용 전류 및 고전압 송전선과 관련된 저전력, 저주파 전자기파는 단기 또는 장기 건강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제시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송전선 근처에 거주하는 것과 질병 또는 암과 같은 질병 발생 사이의 어떠한 연관성도 발견하지 못했다. 1997년 연구에서는 송전선 근처에 거주하는 것과 암이나 질병의 위험 증가가 없다고 보고했다.[47]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질병과 송전선 근처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것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고했다. 송전선 근처에 살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건강에 해로운 영향이 입증되지 않았다.[48]
뉴욕주 공공사업위원회는 전기장의 잠재적인 건강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다.[49] 이 연구에서는 765kV 송전선의 기존 통행권 가장자리에서 전기장 강도를 측정했다. 전기장 강도는 1.6kV/m였으며, 뉴욕주의 새로운 송전선에 대한 임시 최대 강도 표준이 되었다. 이 의견은 또한 뉴욕에 건설되는 새로운 송전선의 전압을 345kV로 제한했다. 1990년 9월 11일, 자기장 강도에 대한 유사한 연구를 거친 후 NYSPSC는 ''자기장에 대한 임시 정책 성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겨울철 정상 도체 정격을 사용하여 통행권 가장자리에서 200mG의 자기장 표준을 설정했다. 일상 용품과 비교하면 헤어드라이어나 전기담요는 100mG – 500mG의 자기장을 생성한다.[50][51]
새로운 송전선 신청에는 일반적으로 통행권 가장자리에서의 전기장 및 자기장 수준 분석이 포함된다. 공익사업위원회는 일반적으로 건강 영향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100μT (1G) (1000mG) 이상의 자기장에 대한 급성 고농도 노출의 경우 생물학적 영향이 입증되었다. 주거 환경에서 한 연구는 특히 소아 백혈병과 관련하여 0.3μT (3mG)에서 0.4μT (4mG) 이상의 주거용 전력 주파수 자기장에 대한 평균 노출과 관련하여 "인간에게는 발암성의 제한적인 증거가 있고, 실험 동물에게는 발암성에 대한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수준은 유럽의 경우 약 0.07μT (0.7mG), 북미의 경우 약 0.11μT (1.1mG)인 가정의 평균 주거용 전력 주파수 자기장을 초과한다.[52][53]
지구의 자연 지자기장 강도는 지구 표면에서 0.035mT와 0.07mT (35μT – 70μT 또는 350mG – 700mG) 사이에서 변화하는 반면, 일반 대중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에 대한 국제 표준은 40mT (400000mG 또는 400G)로 설정되어 있다.[52]
송전선 통행권에는 나무 성장 조절제와 제초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54] 이는 건강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7. 특수 송전 (영어: Specialized transmission)
일부 국가에서는 전기 기관차나 전동차에 저주파 교류 전력을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단상 궤도 전력 공급망을 운영한다. 오스트리아, 독일, 스위스 등은 16 2⁄3 Hz 기반의 교류 기술을 사용한다.[10] 노르웨이와 스웨덴도 이 주파수를 사용하지만, 50 Hz 공공 전력 공급에서 변환하여 사용한다. 스웨덴은 일부 시스템에만 16 2⁄3 Hz 궤도 전력망을 사용한다.
고온 초전도체(HTS)는 손실 없는 송전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 분배 시스템에 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액체 질소의 비점보다 높은 전이 온도를 가진 초전도체 개발로, 고부하 응용 분야에서 초전도 전력선이 상업적으로 실현 가능해졌다.[55] 저항 손실 제거로 절감되는 전력의 약 절반을 냉각 장비가 소비하여 낭비가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컨솔리데이티드 에디슨(Consolidated Edison)과 아메리칸 슈퍼컨덕터(American Superconductor)와 같은 회사는 2007년에 이러한 시스템의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56] 초전도 케이블은 대도시 업무 지구와 같이 지상권 확보 비용이 높은 고부하 밀도 지역에 적합하다.[57]
위치 | 길이 (km) | 전압 (kV) | 용량 (GW) | 준공 연도 |
---|---|---|---|---|
조지아주 캐롤턴 | 2000 | |||
뉴욕주 올버니[59] | 0.35km | 34.5 | 0.048 | 2006 |
롱아일랜드 홀브룩 (Holbrook Superconductor Project)[60] | 0.6km | 138 | 0.574 | 2008 |
트레스 아미가스 (Tres Amigas SuperStation)[60] | 5 | 2013년 계획 | ||
맨해튼: 프로젝트 하이드라 (Project Hydra) | 2014년 계획 | |||
독일 에센[61][62] | 1km | 10 | 0.04 | 2014 |
단선 지구 귀선(SWER, Single-wire earth return)은 저렴한 비용으로 원거리 지역에 단상 전력을 공급하는 단선 전송선이다. 주로 농촌 전력화에 사용되지만, 수중 펌프와 같은 대규모 독립 부하에도 사용된다. 해저 전력 케이블을 통한 고전압 직류 송전에도 사용된다.
니콜라 테슬라와 야기 히데츠구는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에 대규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고안하려 했으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73] 2009년 11월, LaserMotive는 지상 기반 레이저 송신기를 사용하여 케이블 등반기를 수직으로 1km까지 작동시켜 NASA 2009 전력 빔 전송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 시스템은 수신기 끝에서 최대 1kW의 전력을 생산했다. 2010년 8월, NASA는 민간 기업과 계약을 맺고 저궤도 위성에 전력을 공급하고 레이저 전력 빔을 사용하여 로켓을 발사하기 위한 레이저 전력 빔 시스템 설계를 추진했다.
태양광 발전 위성에서 지구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전력 전송이 연구되어 왔다. 고출력 마이크로파 또는 레이저 송신기 어레이는 렉테나로 전력을 빔으로 전송한다. 어떤 태양광 발전 위성 프로젝트에도 주요한 공학적 및 경제적 과제가 있다. 초기 무선 송전 시도로는 니콜라 테슬라의 "세계 무선 시스템(World Wireless System)"이 알려져 있다. 현재는 마이크로파나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발전 위성에서 송전하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 기초적인 실험이 여러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다( "우주 태양광 발전" 항목 참조). 전자기장의 강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지향성이 높은 렉테나를 사용하여 수전 회로는 송신 주파수와 동조하는 상수로 설정된다. Wi-Fi의 전파를 이용하여 TV용 리모컨을 충전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다.
17. 1. 철도용 그리드 (영어: Grids for railways)
전기 기관차 또는 전동차가 저주파 교류 전력을 사용하는 일부 국가에서는 철도에서 별도의 단상 궤도 전력 공급망이 운영된다. 대표적인 예로 오스트리아, 독일, 스위스 등 16 2⁄3 Hz 기반의 교류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가 있다.[10] 노르웨이와 스웨덴도 이 주파수를 사용하지만 50 Hz 공공 전력 공급에서 변환하여 사용한다. 스웨덴은 16 2⁄3 Hz 궤도 전력망을 가지고 있지만 시스템의 일부에만 사용한다.17. 2. 초전도 케이블 (영어: Superconducting cables)
고온 초전도체(HTS)는 손실 없는 송전을 제공하여 전력 분배 시스템에 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액체 질소의 비점보다 높은 전이 온도를 가진 초전도체의 개발은 적어도 고부하 응용 분야에서는 초전도 전력선의 개념을 상업적으로 실현 가능하게 만들었다.[55] 이 방법을 사용하면 저항 손실 제거로 인한 절감 전력의 약 절반을 냉각 장비가 소비하므로 낭비가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컨솔리데이티드 에디슨(Consolidated Edison)과 아메리칸 슈퍼컨덕터(American Superconductor)와 같은 회사는 2007년에 이러한 시스템의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56]초전도 케이블은 대도시의 업무 지구와 같이 케이블 매설을 위한 지상권 확보 비용이 높은 고부하 밀도 지역에 특히 적합하다.[57]
위치 | 길이 (km) | 전압 (kV) | 용량 (GW) | 준공 연도 |
---|---|---|---|---|
조지아주 캐롤턴 | 2000 | |||
뉴욕주 올버니[59] | 0.35 | 34.5 | 0.048 | 2006 |
롱아일랜드주 홀브룩 (Holbrook Superconductor Project)[60] | 0.6 | 138 | 0.574 | 2008 |
트레스 아미가스 (Tres Amigas SuperStation)[60] | 5 | 2013년 계획 | ||
맨해튼: 프로젝트 하이드라 (Project Hydra) | 2014년 계획 | |||
독일 에센[61][62] | 1 | 10 | 0.04 | 2014 |
17. 3. 단선 지구 귀선 (영어: Single-wire earth return)
단선 지구 귀선(SWER, Single-wire earth return) 또는 단선 접지 귀선은 저렴한 비용으로 원거리 지역에 단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선 전송선이다. 주로 농촌 전력화에 사용되지만, 수중 펌프와 같은 대규모의 독립 부하에도 사용된다. 단선 지구 귀선은 해저 전력 케이블을 통한 고전압 직류 송전에도 사용된다.17. 4. 무선 전력 전송 (영어: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니콜라 테슬라와 야기 히데츠구는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에 대규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고안하려고 시도했지만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73]2009년 11월, LaserMotive는 지상 기반 레이저 송신기를 사용하여 케이블 등반기를 수직으로 1km까지 작동시켜 NASA 2009 전력 빔 전송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 시스템은 수신기 끝에서 최대 1kW의 전력을 생산했다. 2010년 8월, NASA는 민간 기업과 계약을 맺고 저궤도 위성에 전력을 공급하고 레이저 전력 빔을 사용하여 로켓을 발사하기 위한 레이저 전력 빔 시스템 설계를 추진했다.
무선 전력 전송은 태양광 발전 위성에서 지구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연구되어 왔다. 고출력 마이크로파 또는 레이저 송신기 어레이는 렉테나로 전력을 빔으로 전송한다. 어떤 태양광 발전 위성 프로젝트에도 주요한 공학적 및 경제적 과제가 있다. 초기의 무선 송전 시도로는 니콜라 테슬라의 "세계 무선 시스템(World Wireless System)"이 알려져 있다.
현재는 마이크로파나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발전 위성에서 송전하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 이미 기초적인 실험이 여러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다( "우주 태양광 발전" 항목 참조). 전자기장의 강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지향성이 높은 렉테나를 사용하여 수전 회로는 송신 주파수와 동조하는 상수로 설정된다.
Wi-Fi의 전파를 이용하여 TV용 리모컨을 충전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다.
18. 보안 (영어: Security)
미국 연방 정부는 미국의 전력망이 사이버전에 취약하다고 밝혔다.[63][64] 미국 국토안보부는 산업계와 협력하여 취약점을 파악하고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의 보안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65]
2019년 6월, 러시아는 자국의 전력망이 미국의 사이버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시인했다.[66] 뉴욕 타임스는 미국 사이버사령부의 해커들이 러시아 전력망을 교란할 수 있는 악성코드를 심었다고 보도했다.[67]
19. 기록 (영어: Records)
항목 | 내용 |
---|---|
최대 용량 시스템 | 준둥-완난(准东-皖南) ±1100 kV HVDC 12 GW[68][69] |
최고 송전 전압 (AC) | |
최대 이중 회선 송전선 | 기타이와키 송전선 (일본) |
최고 송전탑 | 양쯔강 횡단 송전선 (중국) (높이: 345m) |
최장 송전선 | 잉가-샤바 (콩고 민주 공화국) (길이: 1700km) |
최장 경간 송전선 | 5376m 아메랄릭 경간 (그린란드 덴마크) |
최장 해저 케이블 | |
최장 지중 케이블 | 머리링크, 리버랜드/선레이시아 (호주) – (지중 케이블 길이: 170km) |
참조
[1]
웹사이트
Grand Coulee Powerplant
http://www.usbr.gov/[...]
U.S. Bureau of Reclamation
2015-03-11
[2]
웹사이트
A Primer on Electric Utilities, Deregulation, and Restructuring of U.S. Electricity Markets
https://www.pnnl.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Federal Energy Management Program (FEMP)
2002-05-01
[3]
서적
Lightning: Principles, Instrument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5-13
[4]
뉴스
After the Attacks: The Workers; Con Edison Crews Improvise as They Rewire a Truncated System
https://www.nytimes.[...]
2001-09-16
[5]
웹사이트
Investigation of the September 2013 Electric Outage of a Portion of Metro-North Railroad's New Haven Line
http://documents.dps[...]
documents.dps.ny.gov
2014-01-01
[6]
문서
NYSPSC case no. 13-E-0529
[7]
서적
Networks of Power: Electrification in Western Society, 1880–1930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
학술지
The Beginning of Electric Energy Transmission: Part One
[9]
웹사이트
Electricity Transmission: A primer
https://www.energy.g[...]
National Council on Electricity Policy
[10]
학술지
The Beginning of Electric Energy Transmission: Part Two
[11]
웹사이트
Great Barrington Experiment
http://edisontechcen[...]
[12]
웹사이트
William Stanley – Engineering and Technology History Wiki
https://ethw.org/Wil[...]
2017-08-08
[13]
서적
Evolving Technology and Market Structure: Studies in Schumpeterian Economics
https://books.google[...]
[14]
서적
Tesla: Inventor of the Electrical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서적
Empires of Light: Edison, Tesla, Westinghouse, and the Race to Electrify the World
Random House Trade Paperbacks
[16]
서적
Networks of Power: Electrification in Western Society, 1880–1930
JHU Press
[17]
서적
Managing in the Modular Age: Architectures, Networks, and Organization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8]
학술지
Electric Transmission of Power
1915-01-01
[19]
서적
Overhead power lines
Springer
[20]
문서
Bureau of Census data reprinted in Hughes
[21]
문서
Hughes
[22]
웹사이트
Distribution Substations - Michigan Technological University
https://pages.mtu.ed[...]
[23]
웹사이트
NYISO Zone Maps
http://www.nyiso.com[...]
New York Independent System Operator
[24]
웹사이트
Transmission Facts
https://www.aep.com/[...]
American Electric Power
[25]
웹사이트
Corona and induced currents
http://www.cpuc.ca.g[...]
California Public Utilities Commission
[26]
웹사이트
AC Transmission Line Losses
http://large.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10-10-24
[27]
웹사이트
Where can I find data on electricity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osses?
http://tonto.eia.doe[...]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09-11-19
[28]
웹사이트
How much electricity is lost in electricity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eia.gov/[...]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19-01-09
[29]
웹사이트
Present Limits of Very Long Distance Transmission Systems
http://www.geni.org/[...]
Global Energy Network Institute
[30]
서적
Standard Handbook for Electrical Engineers
McGraw-Hill
[31]
서적
Standard Handbook for Electrical Engineers 11th Edition
McGraw Hill
[32]
학술지
The Alternating Evolution of DC Power Transmission
[33]
웹사이트
There Is a Stupidly Easy Way To Expand the Grid - Heatmap News
https://heatmap.news[...]
2024-02-20
[34]
뉴스
The U.S. Urgently Needs a Bigger Grid. Here's a Fast Solution.
https://www.nytimes.[...]
2024-04-14
[35]
웹사이트
FACT SHEET: Biden-Harris Administration Launches Federal-State Initiative to Bolster America's Power Grid
https://www.whitehou[...]
The White House
2024-05-28
[36]
웹사이트
The Bumpy Road to Energy Deregulation
https://www.en-power[...]
EnPowered
2016-03-28
[37]
서적
Handbook on Electricity Markets
Edward Elgar Publishing
2021
[38]
뉴스
Power transmission business is a natural monopoly
http://www.thehindub[...]
The Hindu
2004-08-15
[39]
웹사이트
Rethink the Natural Monopoly Justification of Electricity Regulation
http://www.reason.or[...]
Reason Foundation
2003-08-18
[40]
웹사이트
FERC: Landmark Orders – Order No. 888
https://www.ferc.gov[...]
[41]
웹사이트
How ITC Holdings plans to connect PJM demand with Ontario's rich renewables
http://www.utilitydi[...]
2014-12-08
[42]
웹사이트
NEMMCO Power System Planning
http://www.nemmco.co[...]
2008-07-18
[43]
서적
Global Transmission Expansion
Pennwell Books
2003
[44]
웹사이트
FERC: Industries – Order No. 1000 – Transmission Planning and Cost Allocation
https://www.ferc.gov[...]
[45]
웹사이트
What is the cost per kWh of bulk transmission
http://www.claverton[...]
[46]
웹사이트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 Distribution (T&D) Equipment Market 2011–2021
http://www.visiongai[...]
[47]
뉴스
Power Lines and Cancer
http://www.abc.net.a[...]
The Health Report / ABC Science
1997-06-07
[48]
웹사이트
WHO Electromagnetic fields and public health
http://www.who.int/m[...]
2007-12-24
[49]
문서
Opinion No. 78-13
1978-06-19
[50]
웹사이트
EMF Report for the CHPE
http://documents.dps[...]
TRC
2010-03
[51]
웹사이트
Electric and Magnetic Field Strengths
https://www.transpow[...]
Transpower New Zealand Ltd
[52]
웹사이트
Electromagnetic fields and public health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06
[53]
웹사이트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ower
http://www.niehs.ni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2-06
[54]
웹사이트
Transmission Vegetation Management NERC Standard FAC-003-2 Technical Reference Page 14/50
http://www.nerc.com/[...]
[55]
논문
Energy losses of superconducting power transmission cables in the grid
http://orbit.dtu.dk/[...]
[56]
웹사이트
Superconducting power line to shore up New York grid
https://www.newscien[...]
2007-05-22
[57]
웹사이트
Superconducting cables will be used to supply electricity to consumers
http://www.futureene[...]
[58]
웹사이트
Superconductivity's First Century
https://spectrum.iee[...]
[59]
웹사이트
HTS Transmission Cable
http://www.superpowe[...]
[60]
웹사이트
IBM100 -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s
http://www-03.ibm.co[...]
2017-08-10
[61]
웹사이트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Technology Stepped Up
https://www.powermag[...]
2012-03-01
[62]
웹사이트
Operation of longest superconducting cable worldwide started
https://phys.org/new[...]
[63]
뉴스
Spies 'infiltrate US power grid'
http://news.bbc.co.u[...]
2009-04-09
[64]
뉴스
Hackers reportedly have embedded code in power grid
http://www.cnn.com/2[...]
2009-04-09
[65]
뉴스
UPDATE 2-US concerned power grid vulnerable to cyber-attack
https://in.reuters.c[...]
2009-04-08
[66]
뉴스
US and Russia clash over power grid 'hack attacks
https://www.bbc.com/[...]
2019-06-18
[67]
뉴스
How Not To Prevent a Cyberwar With Russia
https://www.wired.co[...]
2019-06-18
[68]
웹사이트
Development of UHV Transmission and Insulation Technology in China
https://www.e-fermat[...]
[69]
웹사이트
准东-皖南±1100千伏特高压直流输电工程竣工投运
http://www.xj.xinhua[...]
[70]
간행물
India Steps It Up
http://tdworld.com/o[...]
2013-01
[71]
웹사이트
電気が伝わる経路
http://www.fepc.or.j[...]
[72]
서적
送配電
東京電機大学出版局
[73]
웹사이트
Wi-Fi充電できるサムスンのTVリモコン、モバイル機器への応用に期待
https://ascii.jp/ele[...]
2022-02-12
[74]
웹사이트
世界初「電気を運ぶ船」建造へ 船を海底ケーブルの代わりに 目指すは自然エネの“爆発的普及”
https://trafficnews.[...]
2021-08-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송배전·ESS·원자력 담았다” KB운용, ‘RISE AI전력인프라’ ETF 출시
“지방 전력 수도권 빨아들이나”···용인 반도체 산단, RE100 계획에 ‘역행’
울산 앞바다에 42조 바람길…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추진
전국 ‘지능형’ 재생에너지 전력망 구축한다…“에너지 민주주의 실현”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 주도권 잡는다”...효성중공업 ‘차세대 변압기’ 공장 첫삽
LS일렉, 초고압 전력망 핵심설비 국산화 속도낸다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배전망 ‘ADMS’ 전국 확대… 재생에너지 수용성 강화
“시장 판도 바꿀 기술인데”…초전도 케이블 만들고도 규정없어 못 쓰는 韓
“이미 3년치 일감 확보했다”...수주잔액만 ‘10조’ 효성중공업, 무슨 공장이길래
美 전력업계는 ‘슈퍼사이클’…구글·아마존도 K그리드에 줄선다
변압기·전선 … K그리드 24조 수주 美전력산업 '슈퍼사이클' 올라탔다
분산된 전력망 정보 실시간 통합관제…“실시간 대응 강화”
[단독] 빚더미 한국전력, 주민들 달래기에 3년간 4500억원 쓴 이유는?
용인 반도체단지 필요 전력 10GW…한전, 73조원 댈 수 있나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등 전력 10GW 필요···한전, 약 73조 어떻게 마련하나
한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10GW 전력공급 설비 계획…73조 필요
대선 공약, 이재명 "거리비례 전기요금" 김문수 "산업용 전기료 반값 기반 조성"
스피커스 #38 새정부에 바란다. ‘제대로’ 된 기후·탈탄소·에너지 정책!
스페인 정전에 재생에너지 탓하는 어리석음 [아침햇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