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나루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파나루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에 있는 지하역이다. 1925년 을축년 대홍수 이전 석촌호수 남쪽에 있던 송파강에서 한강으로 건너가던 나루터에서 유래된 역명을 사용한다. 2018년 8월 9일 역명이 확정되었고, 같은 해 12월 1일 9호선 3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대합실이 지하 1층,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있는 지하역으로, 1면 4선의 섬식 승강장(통과선)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다. 주변에는 방이동 백제 고분군, 방이시장, 석촌호수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송파구의 전철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송파구의 전철역 - 오금역
오금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과 5호선이 환승되는 지하역으로, 5호선 개통 후 3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7개의 출입구를 통해 오금동과 가락동으로 연결되고 2025년 3호선 연장이 예정되어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2018년 개업한 철도역 - 영덕역
경상북도 영덕군에 위치한 영덕역은 동해선 철도역으로, 2018년 개통 후 2023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나 2025년 재개될 예정이며, 강구역과 영해역 사이에 위치하여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 - 2018년 개업한 철도역 - 소사역
소사역은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에 위치한 경인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환승역으로, 1997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8년 서해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향후 여러 노선의 운영이 계획되어 있고 지상 3층의 1호선 승강장과 지하 2층의 서해선 승강장을 갖춘 7개의 출구가 있는 역이다.
송파나루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송파나루역 |
노선 | 9호선 |
역 번호 | 934 |
언어별 역명 | |
한국어 | 송파나루역 |
한자 | 松坡나루驛 |
로마자 표기 | Songpanaruyeok |
일본어 | 松坡ナル |
일본어 로마자 표기 | Songpanaru |
위치 | |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
운영 정보 | |
운영사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9호선 |
승강장 | 1면 4선 (섬식 승강장) |
구조 | 지하역 |
역사 | |
개업일 | 2018년 12월 1일 |
사건 | 9호선 개통 |
기타 정보 | |
![]() | |
![]() | |
이전 역 | 석촌역 |
다음 역 | 한성백제역 |
2. 역명 유래
1925년 을축년 대홍수 이전까지 현재의 석촌호수 남쪽에 송파강에서 한강으로 건너가기 위한 나루터인 '송파나루'가 있었던 것에서 역명이 유래하였다.
3. 역사
4. 역 구조
대합실은 지하 1층,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는 지하역이다.
4.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1면 4선 구조를 갖춘 지하역으로, 통과선 2선이 승강장 옆에 설치되어 있다. 이 통과선을 이용하여 일부 시간대를 제외하고 급행열차의 추월이 이루어진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5. 역 주변
- 방이동 백제 고분군
- 방이시장
- 방이맛골
- 석촌호수 동호
- 송리단길
- 송파구청
- 방산고등학교
6. 사진
7. 인접한 역
← 개화 방면
중앙보훈병원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