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사역은 경인선과 서해선이 지나는 환승역으로, 1997년 경인선 영업을 시작으로 2018년 서해선 소사~원시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향후 서해선, 소사대곡선을 포함한 여러 노선이 추가될 예정이며, 1호선, 4호선, 신안산선, 7호선, 5호선, 9호선, 공항철도, 3호선, 경의선과의 환승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소사역은 1호선 지상 3층, 서해선 지하 2층의 복합 역사로, 1호선은 쌍섬식 승강장, 서해선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주변에는 서울신학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소명여자중학교 등이 위치해 있으며, 2018년 서해선 개통 이후 이용객 수가 증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는 서해선 운행을 위해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이며, 현대로템과 다원시스에서 제작되었고, 1차분과 2차분의 제어 장치 및 외형, 도색에 차이가 있으며 현재 17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 부천시의 전철역 - 송내역
송내역은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급행열차가 정차하고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송내역 환승센터와 송내 로데오거리가 인근에 위치해 있다. - 부천시의 전철역 - 중동역 (부천)
중동역(부천)은 1987년 개업한 경인선 지상역으로,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급행/완행 열차가 운행하며, 중동신도시의 관문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 달미역
달미역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으로, 석수골역으로 명명되었다가 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하여 달미역으로 변경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선부3동 행정복지센터, 안산운전면허시험장, 안산제1종합시장 등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소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소사 (서울신대) |
로마자 표기 | Sosa (Seoul Theological Univ.) |
한자 표기 | 素砂驛 |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2동 272 소사로 51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서해철도주식회사 |
개업일 | 1997년 4월 30일 (서울 지하철 1호선) 2018년 6월 16일 (서해선) |
승강장 | 4면 (경인선) 2면 (서해선) |
선로 | 6선 (경인선) |
구조 | 지상/지하 |
노선 정보 | |
노선 | 경인선 서해선 |
역 번호 (경인선) | 147 |
역 번호 (서해선) | S16 |
인접역 (경인선) | 역곡역 (←) 부천역 (→) |
인접역 (서해선) | 부천종합운동장역 (←) 소새울역 (→) |
승객 수 |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경인선) | 32,222명 |
역사 정보 | |
1대 소사역 개업일 | 1899년 9월 18일 |
2대 소사역 개업일 | 1997년 4월 30일 |
기타 | |
버스 노선 | 부천 버스 |
관리역 | 부천역 (한국철도공사) |
위탁 관리 | 서해철도 |
2. 연혁
- 1997년 4월 30일 : 경인선 개통.[8]
- 2011년 4월 22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소사~원시) 착공.
- 2015년 12월 22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대곡~소사) 착공.[9]
- 2018년 6월 16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10]
- 2023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 ~ 소사 구간 연장 개통.[11]
2. 1. 1호선 (경인선)
1997년 4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영업을 개시하였다.[2][3][8]2018년 6월 16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원시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10]
2023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대곡 구간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되었다.[11]
2. 2. 서해선
2018년 6월 16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 ~ 원시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10] 2023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사 ~ 대곡 구간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되었다.[11]3. 역 구조
소사역은 1호선 (경인선) 지상 3층, 수도권 전철 서해선 지하 2층으로 이루어진 복합 역사이다. 출구는 총 7개로, 경인선 측 3개, 서해선 측 4개이다. 경인선 대합실은 지상 2층, 승강장은 지상 3층에 있으며, 서해선 대합실은 지하 1층,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
경인선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지상역으로, 바깥쪽 2선만 사용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바깥쪽 2선은 급행 열차 통과선으로, 울타리와 로프로 차단되어 폐쇄되어 있다. 출입구는 남쪽에 1, 2번 출구, 북쪽에 3번 출구가 설치되어 있다.[2][3]
3. 1. 1호선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 4번 승강장은 완행 열차가 정차하며, 2, 3번 승강장은 급행 열차 통과선으로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다.[2][3]
3. 2. 서해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Seohae Line|서해선영어 대합실이 지하 1층,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있다.[2][3]3. 3. 배선도
4. 역 주변
서울신학대학교와 부천 활 박물관이 근처에 있다. 부천 활 박물관에서는 책에서만 보던 활과 화살촉을 직접 만져보고 만들어 보는 체험을 통해 어린이들이 소중한 전통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7]
- 서울신학대학교
- 세종병원
- 소명여자고등학교
- 소사구청
- 소사구보건소
- 소사본1동주민센터
- 부천레포츠공원
-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 소사동주민센터
- 부천세무서
5. 이용객 변동
수도권 전철 1호선한국어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한국어의 이용객 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한국어 | 승차 | 16,998 | 20,933 | 23,500 | 24,796 | 20,420 | 20,461 | 19,438 | 19,682 | 19,809 | 18,983 | 17,935 | 17,423 | 16,159 | 14,716 | 14,392 | 13,595 | 13,251 | 13,221 | 13,055 | 12,860 | 9,509 | 9,799 | [15] |
하차 | 13,003 | 18,042 | 19,083 | 22,255 | 19,282 | 19,806 | 19,969 | 19,189 | 19,371 | 18,786 | 17,704 | 17,302 | 16,063 | 14,445 | 14,084 | 13,427 | 12,991 | 12,928 | 12,498 | 12,191 | 8,974 | 9,307 | ||
서해선한국어 | 승차 | 미개통 | 14,038 | 16,638 | 13,846 | [16] | ||||||||||||||||||
하차 | 미개통 | 14,017 | 16,638 | 13,885 |
서해선의 2018년 자료는 개통일인 6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98일 동안의 평균 হিসা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2013-10-15
[2]
웹사이트
소사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6-01-06
[3]
웹사이트
소사역
http://terms.naver.c[...]
KRIC
2016-01-06
[4]
뉴스
소사~원시 복선전철 내년 상반기 착공예정
http://biz.chosun.co[...]
The Chosun Ilbo
2010-12-21
[5]
뉴스
고양에서 부천까지 16분…복선전철 내년 3월 착공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5-12-11
[6]
뉴스
대곡~소사선 3월 착공… 신안산선 건설 확정 도내 복선전철 사업 속력
https://web.archive.[...]
Gyeonggi Ilbo
2015-12-14
[7]
웹사이트
Sosa Station
https://archive.toda[...]
[8]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7-22호
대한민국관보
1997-04-24
[9]
뉴스
대곡~소사 복선전철 마침내 첫삽, 2020년 개통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5-12-22
[10]
웹사이트
에이블뉴스 - 개통 복선전철 서해선, 장애인 편의 점검기-①
http://ablenews.co.k[...]
Ablenews
2018-06-19
[11]
뉴스
시흥시청역에서 김포공항까지 30분 서해선‘대곡~소사’구간 7월 1일 개통
http://www.enewstoda[...]
2023-06-21
[12]
웹사이트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13]
웹사이트
자료실
https://www.sosawons[...]
[14]
간행물
대한민국 철도청고시 제1997-22호
대한민국관보
1997-04-24
[15]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1-16
[16]
웹인용
서해철도(주)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s://www.sosawons[...]
2020-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