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네펠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네펠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철도역으로, 여러 차례 역명이 변경되었다. 1900년에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역으로 시작하여, 베를린 외곽순환선 개통과 함께 쇠네펠트 바이 베를린역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베를린 쇠네펠트 중앙공항역, 베를린 쇠네펠트 공항역을 거쳐,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BER) 터미널 5 개장과 함께 BER 공항 터미널 5역으로 변경되었다. 2023년 12월 터미널 5 폐쇄로 인해 현재는 쇠네펠트 바이 베를린역으로 운영 중이다. 현재 S반 S9, S45 노선과 레기오날반 RB24, RB32 노선 등이 이 역을 경유하며, 베를린 버스 및 다메슈프레발트군 버스 노선과 연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비르켄베르더역
비르켄베르더역은 1877년에 개업하여 S반과 RB 노선이 정차하며, 2021년부터 역과 승강장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인 독일 베를린 북부선에 있는 역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역 - 오라니엔부르크역
오라니엔부르크역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오라니엔부르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베를린 북부선 개통과 함께 개업하여 베를린 S반과 장거리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으로 확장되었으며, 독일 분단 시기에는 동독과 서베를린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 다양한 노선이 운행 중이다. - 1951년 개업한 철도역 - 청산역
청산역은 경기도 연천군 청산면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철역으로, 1951년 초성리역으로 개업하여 2023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연천, 전곡 방면과 서울, 인천 방면을 연결한다. - 1951년 개업한 철도역 - 쇼나이역 (오사카부)
쇼나이역은 오사카부 도요나카시에 있는 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의 역으로, 1951년에 개업하여 2면 4선의 지상역이며, 쇼나이 사건과 지하도 개통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역 번호가 부여되었고, 국도와 대학 등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은 1909년 개업하여 슈테글리츠-젤렌도르프 지역의 주택 건설을 지원하며 지역 교통망의 일부가 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대를 거쳐 재건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인근 역 및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 S반역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쇠네펠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종류 | 통과역 |
위치 | 브란덴부르크주 쇠네펠트 |
주소 | 쇠네펠트, 브란덴부르크 |
운영 주체 | DB InfraGO |
개업일 | 1951년 7월 10일 |
폐지일 | 해당 없음 |
과거 역명 | 1951-1962: 쇠네펠트 (바이 베를린) 1962: 첸트랄플루크하펜 쇠네펠트 1962–1976: 첸트랄플루크하펜 베를린-쇠네펠트 1976–2020: 베를린-쇠네펠트 플루크하펜 2020 – 2023년 12월: BER 공항 – 터미널 5 |
플랫폼 수 | 3 (장거리) 2 (S반) |
승객 수 | 하루 10,000명 미만 |
철도 코드 | 열차선: BFHS S반선: BFLH |
IBNR | 8010109 |
DB 역 등급 | 3 |
VBB 구역 | 베를린: 베를린 C/5957 |
웹사이트 | www.bahnhof.de |
![]() | |
![]() | |
노선 정보 | |
노선 | 베를린 외곽순환선 (KBS 207, 209.22) 그뤼나우 분기점–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KBS 200.45, 200.9) |
베를린 외곽순환선 영업 거리 | 35.5 km |
베를린 외곽순환선 전역 | 루트비히스펠데 슈트루베스호프 |
베를린 외곽순환선 전역 거리 | 21.3 km |
베를린 외곽순환선 후역 | (그뤼나우 분기점 남단) |
베를린 외곽순환선 후역 거리 | 4.0 km |
그뤼나우 분기점-BER 공항선 영업 거리 | 그뤼나우 분기점 기점 5.9 km |
그뤼나우 분기점-BER 공항선 전역 | 그륀베르크알레 |
그뤼나우 분기점-BER 공항선 전역 거리 | 1.5 km |
그뤼나우 분기점-BER 공항선 후역 | 바스만스도르프 |
그뤼나우 분기점-BER 공항선 후역 거리 | 3.9 km |
전철화 정보 | |
S반 | 1962년 2월 27일, 750 V DC 시스템 (3궤조) |
주요 노선 | 1983년 5월 29일, 15 kV AC 시스템 (가선) |
2. 역사
쇠네펠트역은 여러 차례 변화를 거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00년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의 쇠네펠트 (텔토군)역으로 영업을 시작했고[11], 1938년 베를린 화물 외곽순환선 착공과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변화했다.[12] 종전 후에는 쇠네펠트 일대 화물 외곽순환선의 여객 영업이 시작되었고, 베를린 봉쇄로 인해 노선이 단절되기도 했다. 1949년에는 연결선이 건설되면서 쇠네펠트 (텔토군) 도르프역으로 개칭되었다.
독일 분단이 확고해지면서 서베를린 우회선의 필요성이 커졌고, 1950년 새로운 베를린 외곽순환선이 착공되었다. 1951년 쇠네펠트역이 공식 개통되었는데, 초기에는 운행 목적으로만 사용되었고, 동베를린과 동독 사이에서의 검문 및 공항 이용 목적으로만 승하차가 가능했다.[14]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공항역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1962년 베를린 S반 승강장이 설치되고 장거리 열차 승강장도 정식 열차역으로 승격되었다.[14] 이후 역 이름은 쇠네펠트 중앙공항역, 베를린 쇠네펠트 중앙공항역, 베를린 쇠네펠트 공항역으로 변경되었다.
역 개통 후 대합실과 매표소가 설치되었지만, 공식적으로는 임시 역사 상태였다. 1978년 역 재건축 공사가 시작되어 승강장 폭이 확대되고 지붕이 설치되었으며, 1984년 새로운 대합실과 보행자 터널로 연결되었다.[15]
2000년대 초반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BER) 건설 계획 과정에서 쇠네펠트 공항은 신규 터미널 5로 운영될 예정이었다. 2020년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이 개항하면서 신규 터미널 지하에 BER 공항역이 영업을 시작했고, 기존 쇠네펠트역은 BER 공항 터미널 5 (쇠네펠트)역으로 개칭되었다.[19]
이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터미널 5 운영이 중단되었고, 2022년에는 터미널이 영구 폐쇄되면서 2023년 역 이름은 다시 쇠네펠트 바이 베를린역으로 변경되었다.[22] 같은 해 4월, 쇠네펠트 바이 베를린역은 브란덴부르크주의 건축유산으로 지정되었다.[23]
쇠네펠트역의 역명 변경 내역은 다음과 같다.
2. 1. 건설 이전
1900년 7월 27일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NME)에 쇠네펠트 (텔토군)역이 영업을 시작했다.[11] 1938년 5월 중순 베를린 화물 외곽순환선이 착공했고,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신속하게 공사가 진행되었다. 화물 외곽순환선과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가 쇠네펠트에서 교차하면서 기존 역과는 별개의 신호장이 설치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쇠네펠트 일대 화물 외곽순환선의 여객 영업이 시작되었고, 쇠네펠트 (텔토군) 미테역 및 쇠네펠트 지들룽역이 신설되었다. 베를린 봉쇄로 인해 1948년 10월 25일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가 베를린 시계에서 단절되었다. 1949년 1월 3일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와 화물 외곽순환선에 연결선이 건설되었고, 노이쾰른-미텐발데 철도의 쇠네펠트역은 쇠네펠트 (텔토군) 도르프역으로 개칭되었다.2. 2. 베를린 외곽순환선 개통
독일 분단이 확고해짐에 따라 서베를린 우회선을 건설할 필요성이 증가했다. 기존 화물 외곽순환선의 노반 일부는 서베를린을 통과했기 때문에 1950년 5월 1일에 새로운 베를린 외곽순환선이 착공했다. 1951년 7월 1일 겐스하게너 하이데역-쇠네펠트역 구간 영업이 시작되었고, 7월 10일 쇠네펠트역이 공식 개통되었다. 쇠네펠트 남부 지역에 새로운 공항이 공사 중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외곽순환선은 시가지를 통과해야 했다. 쇠네펠트 동쪽에서는 화물 외곽순환선 선로를 계속 이용하다가, 1951년 12월 10일에 그뤼나우 분기점과 쇠네펠트 구간 철도가 영업을 시작했다.[13]베를린 외곽순환선의 쇠네펠트 바이 베를린역은 개통 초기에는 운행 목적으로만 사용되었고, 동베를린과 동독 사이에서의 검문 및 공항 이용 목적으로만 승하차가 가능했다.[14]
2. 3. 공항역으로서의 사용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공항역의 필요성이 커졌다. 서베를린 방면 교통편이 단절되어, 공항 이용객뿐만 아니라 과거 서베를린을 통해 연결되었던 베를린 남부 교외 지역을 동베를린과 철도로 연결해야 했다. 그 해 9월,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방면 선로에서 분기하는 S반 노선이 긴급 착공되었다. 1962년 2월 26일 단선으로 개통되었고, 쇠네펠트역에 베를린 S반 승강장이 설치되었다. 과거 검문용으로만 사용되었던 장거리 열차 승강장도 정식 열차역으로 승격되었다.[14]1962년에는 역 이름이 두 번 변경되었다. 3월 25일에는 쇠네펠트 중앙공항역(Zentralflughafen Schönefeld), 이후에는 베를린 쇠네펠트 중앙공항역(Zentralflughafen Berlin-Schönefeld)으로 변경되었다. 1976년 6월 1일, 공항 이름 변경에 따라 역도 베를린 쇠네펠트 공항역(Flughafen Berlin-Schönefeld)으로 바뀌었다.
역 개통 후 대합실과 매표소가 설치되었지만, 공식적으로는 임시 역사 상태였다. 동독의 관문으로서 화려함이나 시내 및 교외 교통 환승역에 필요한 시설을 갖추지 못했다. 쇠네펠트 공항처럼 확장 계획은 있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1976년에는 쇠네펠트 공항 체크인 건물이 건설되었으나, 철도 접근성은 고려되지 않았다. 당시 S반 노선을 새 터미널로 이전하거나 별도 지하 경전철을 건설할 계획은 있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15] 독일국영철도의 최우등 열차였던 슈테테엑스프레스(Städteexpress)는 이 역에 정차했다.
1978년 여름, 역 재건축 공사가 시작되었다. 승강장 폭이 확대되고 지붕이 설치되었다. 1984년 6월 29일에 영업을 시작한 새로운 대합실과는 보행자 터널로 연결되었다. 1984년 12월 14일, S반 승강장 재건축이 완료되었다.[15] 1983년 3월 25/26일에는 새로운 계전기식 신호소가 영업을 시작했고, 그 해 5월 28일에는 열차선이 전철화되었다.[15]
2. 4. BER 개항 이후
2000년대 초반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BER) 건설 계획 과정에서 쇠네펠트 공항은 신규 터미널 5로 운영될 예정이었다. 이에 따라 2020년 5월 4일부터 10월 30일까지 IC 17호선이 이 역에 임시 정차했다.[19] 2020년 10월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이 개항하면서 신규 터미널 지하에 BER 공항역이 영업을 시작했고, 기존 쇠네펠트역은 BER 공항 터미널 5 (쇠네펠트)역으로 개칭되었다.[19]개항과 함께 쇠네펠트역에 종착하던 베를린 S반 S9 노선은 2020년 10월 26일, S45 노선은 10월 30일에 신공항으로 연장되었다.[20] 이후 야간 시간대에만 일부 RE/RB 노선이 운행하고, S반과 버스 노선만 기존 역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20]
2021년 2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터미널 5 운영이 중단되었고, 2022년 11월에는 터미널을 영구 폐쇄하기로 결정했다.[21] 이에 따라 2023년 12월 10일, 역 이름은 다시 쇠네펠트 바이 베를린역으로 변경되었고, 신공항역은 BER 공항역으로 개칭되었다.[22]
2023년 4월, 쇠네펠트 바이 베를린역은 브란덴부르크주의 건축유산으로 지정되었다.[23]
2. 5. 명칭 변경
쇠네펠트역은 여러 차례 역명이 변경되었다.
현재 쇠네펠트 바이 베를린역에는 베를린 S반과 일부 레기오날반 노선이 운행 중이다. 2020년 5월부터 10월까지는 인터시티 17 (드레스덴-베를린-로스토크/바르네뮌데) 노선이 쇠네펠트역에 정차했으나,[4] BER 개항 이후에는 BER 공항역을 이용한다.[5]
3. 운행 노선
베를린 버스 163, 164, 171, N7, N7X, N60번, 다메슈프레발트군 버스 741, 742, 743, 744번, 급행 버스 BER2번이 이 역에 정차한다.
3. 1. S반
: BER 공항 - '''쇠네펠트''' - 쇠네바데 - 바르샤우어 슈트라세 - 동역 - 알렉산더플라츠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중앙역 - 동물원역 - 샬로텐부르크 - 베스트크로이츠 - 슈판다우 (20분 간격)[9]
: BER 공항 - '''쇠네펠트''' - 쇠네바데 - 노이쾰른 - 헤르만슈트라세 - 템펠호프 - 쥐트크로이츠 (20분 간격)[9]
3. 2. 레기오날반
RB 24, 32 노선은 2022년 12월부터 베를린-드레스덴선 베를린 시내 장거리선이 완공될 때까지(2025년 12월 예정) BER 공항으로 운행하지 않고 쇠네펠트역에서 임시로 종착한다.[4]
다음은 쇠네펠트역을 운행하는 레기오날반 노선이다:[9]
노선 | 경로 | 운행 간격 |
---|---|---|
쇠네펠트 – 동크로이츠 – 동역 – 알렉산더플라츠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중앙역 – 동물원역 – 샬로텐부르크 | 야간 운행 1회 | |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쇠네펠트 – 루드비히스펠데-슈트루베스호프 – 자르문트 – 포츠담 – 피르쉬하이드 – 골름 – 포츠담 파크 상수시 – 포츠담 샬로텐호프 – 포츠담 중앙역 | 야간 운행 일부 | |
쇠네펠트 – 쇠네바데 – 동크로이츠 – 리히텐베르크 – 호엔쇤하우젠 – 베르나우 – 뤼드니츠 – 비젠탈 – 멜초 – 에버스발데 | 60분 | |
쇠네펠트 – 쇠네바데 – 동크로이츠 – 리히텐베르크 – 호엔쇤하우젠 – 오라니엔부르크 | 60분 |
4. 연계 교통
베를린 버스 163, 164, 171, N7, N7X, N60번, 다메슈프레발트군 버스 741, 742, 743, 744번, 급행 버스 BER2번이 정차한다.[1]
RB 24, 32 노선은 2022년 12월부터 베를린-드레스덴선 베를린 시내 장거리선이 완공될 때까지(2025년 12월 예정) BER 공항으로 운행하지 않고 쇠네펠트역에서 임시로 종착한다.[1]
참조
[1]
서적
Eisenbahnatlas Deutschland (German railway atlas)
Schweers + Wall
[2]
문서
DBCatsURL
[3]
웹사이트
Der VBB-Tarif: Aufteilung des Verbundgebietes in Tarifwaben und Tarifbereiche
https://www.swp-pots[...]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9-11-26
[4]
웹사이트
InterCity 17 timetable
https://www.deutsche[...]
Deutsche Bahn
2020-05-01
[5]
문서
Unbenannt
https://assets.stati[...]
[6]
뉴스
Ab 26. Oktober fährt die S-Bahn zum BER
https://www.tagesspi[...]
2020-10-17
[7]
웹사이트
Terminal 5 vorübergehend geschlossen
https://ber.berlin-a[...]
2021-11-14
[8]
문서
berliner-zeitung.de
https://www.berliner[...]
2023-03-09
[9]
웹사이트
Kursbuch der Deutschen Bahn
http://kursbuch.bahn[...]
[10]
문서
DBCatsURL
[11]
서적
Schönefeld bei Berlin. Ein Amt, ein Flughafen und elf Bahnhöfe.
GVE, Berlin
[12]
서적
Schönefeld bei Berlin. Ein Amt, ein Flughafen und elf Bahnhöfe.
GVE, Berlin
[13]
서적
Schönefeld bei Berlin. Ein Amt, ein Flughafen und elf Bahnhöfe.
GVE, Berlin
[14]
서적
Schönefeld bei Berlin. Ein Amt, ein Flughafen und elf Bahnhöfe.
GVE, Berlin
[15]
서적
Schönefeld bei Berlin. Ein Amt, ein Flughafen und elf Bahnhöfe.
GVE, Berlin
[16]
뉴스
Bahnhof Schönefeld wird abgerissen
2014-09-05
[17]
간행물
Bahn-Report
2015-06-01
[18]
뉴스
„FLUG AF SC ÖN LD“: Ein ulkiger Schriftzug und die Lösung
https://www.tagesspi[...]
Tagesspiegel
2017-10-25
[19]
문서
DB Station und Service, Stationspreisliste 2021
[20]
문서
Öffentliche Verkehrsmittel
https://ber.berlin-a[...]
2022-11-28
[21]
웹인용
Aletta von Massenbach als Vorsitzende der Geschäftsführung bestätigt – Terminal 5 bleibt dauerhaft außer Betrieb
https://corporate.be[...]
Flughafen Berlin Brandenburg
2022-11-23
[22]
웹인용
Fahrplanwechsel 2023/2024 im ÖPNV in Berlin und Brandenburg
https://www.vbb.de/p[...]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23-11-15
[23]
뉴스
Kein Denkmal. Behörde für Abriss von Flughafen-Terminal Schönefeld
https://www.tagesspi[...]
2023-04-25
[24]
문서
Mit Bus und Bahn schnell und bequem zum BER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9-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