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물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물닭은 1758년 칼 폰 린네에 의해 학계에 보고된 물닭속에 속하는 5종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다양한 아종으로 나뉘며, 습지, 강, 호수 등에서 서식한다. 쇠물닭은 곤충, 갑각류, 식물의 씨앗 등을 먹는 잡식성이며, 번식기에는 둥지를 짓고 알을 낳아 새끼를 키운다. 쇠물닭은 멸종위기종 관심대상 최소등급으로 분류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인간과의 관계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아프리카의 새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아프리카의 새 - 타조
타조는 현존하는 가장 크고 무거운 새로, 아프리카 사바나와 사헬 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강력한 다리와 퇴화된 날개를 지녔고, 풀과 씨앗을 먹는 초식성이지만 잡식성도 보이며, 고기, 알, 깃털, 가죽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나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일부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유라시아의 새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유라시아의 새 - 염주비둘기
염주비둘기는 회색빛 베이지색에서 분홍빛 회색을 띠고 목덜미에 검은색 반달 모양 깃이 있는 멧비둘기과에 속하는 중형 비둘기로, 아시아가 원산지이나 20세기 이후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고 인간 거주지 근처에서 번식하며 특정 지역에서는 상징적인 새로 여겨진다.
쇠물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allinula chloropus |
명명자 | Linnaeus, 1758 |
상태 | LC (최소 관심) |
다른 이름 | 물닭 늪지닭 |
영어 이름 | Common Moorhen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두루미목 |
과 | 뜸부기과 |
속 | 쇠물닭속 |
분포 | |
![]() | |
아종 | 약 5종; 본문 참조 |
동의어 | |
과거 학명 | Fulica chloropus Linnaeus, 1758 Fulica fusca Linnaeus, 1766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Gallinula chloropus |
2. 분류
쇠물닭은 1758년 칼 폰 린네가 정식으로 기술하여 이명법적 명칭인 ''Fulica chloropus''로 명명되었다.[2][3] 현재는 ''Gallinula'' 속에 속하는 5종 중 하나이다.[4] 속명 ''Gallinula''는 라틴어로 "작은 암탉"을 의미하며, 종소명 ''chloropus''는 고대 그리스어 ''khlōros''(χλωρός, "녹색")와 ''pous''(πούς, "발")를 결합한 것이다.[5]
미국물닭(''G. galeata''), 트리스탄 물닭(''G. nesiotis''), 고프 물닭(''G. comeri'') 등은 과거 쇠물닭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붉은부리방패 구조, 울음소리, 유전적 차이 등을 근거로 별개의 종으로 분류된다.[6] [7][8] "moorhen"이라는 이름은 13세기부터 영어로 기록되었으며, "moor"는 습지를 의미하는 옛말이다. 현재 5개의 아종이 인정되고 있다.[4]
2. 1. 아종
Gallinula chloropusla의 아종은 현재 5개가 인정되고 있다.[4]아종 목록 (기술 연도별) | |||
---|---|---|---|
일반명 및 삼명법 명칭 | 설명 | 분포 지역 | |
유라시아 쇠물닭 G. c. chloropus (린네, 1758) G. c. correiana 및 G. c. indica 포함. | ![]() | 날개와 등은 검은빛이 도는 올리브색이다. | 북서유럽부터 북아프리카와 동쪽으로 중앙 시베리아까지, 그리고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의 습윤 지역에서 동쪽으로 일본까지 분포한다. 카나리아, 아조레스 제도, 마데이라, 카보베르데 제도에서도 발견된다. |
인도-태평양 쇠물닭 G. c. orientalis (호스필드, 1821) | ![]() | 크기가 작고, 윗날개덮깃은 슬레이트 회색이며, 이마판이 크다. | 세이셸, 안다만 제도, 그리고 남쪽 말레이시아를 통해 인도네시아까지 분포하며, 필리핀과 팔라우에서도 발견된다. 1980년대부터 미크로네시아의 야프에 서식하는 번식 개체군은 아마도 이 아종일 것이지만, 희귀한 G. c. guami일 수도 있다. |
아프리카 쇠물닭 G. c. meridionalis (C. L. 브렘, 1831) | ![]() | G. c. orientalis와 유사하지만, 이마판이 더 작다. |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세인트헬레나에서 발견된다. |
마다가스카르 쇠물닭 G. c. pyrrhorrhoa (A. 뉴턴, 1861) | ![]() | G. c. meridionalis와 유사하지만, 아랫꼬리덮깃은 황갈색이다. | 마다가스카르, 레위니옹, 모리셔스, 코모로 제도의 섬에서 발견된다. |
마리아나 쇠물닭 G. c. guami (하르테르트, 1917) 차모로어로 '풀라타트'라고 불린다. | |||
몸깃털이 매우 어둡다. | 북부 마리아나 제도에 고유종이지만, 위의 G. c. orientalis도 참조. |
쇠물닭은 비둘기 정도 크기로 몸길이는 약 35cm이다. 꼬리 아래 부분과 옆구리에 흰색 줄무늬가 있으며, 대부분 검은색과 갈색 깃털을 가지고 있다. 노란색 다리와 붉은색 이마판을 가지고 있으며, 부리는 노란색 끝이 있는 붉은색이다.[9] 어린 새는 갈색이 더 짙고 붉은색 이마판이 없다. 성체의 이마판은 둥근 꼭대기와 거의 평행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몸무게는 192~500g이다.
쇠물닭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습지, 강, 수초가 무성한 호수, 심지어 도시 공원에서도 흔하게 번식하고 서식한다. 동유럽처럼 물이 어는 지역의 개체군은 더 온화한 기후로 이동한다. 중국에서는 양쯔강 이남에서는 주로 텃새로 생활하는 반면, 북부 개체군은 겨울에 이동한다. 이들 개체군은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인다.[10] 오세아니아를 제외한 전 세계의 열대와 온대에 널리 분포하며, 중앙아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미국 동부 등에서 번식한 개체는 겨울에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한다. 일본에서는 동일본에서는 여름새이고, 서일본에서는 텃새가 된다.[15]
쇠물닭은 잡식성으로, 다양한 종류의 식물성 먹이와 작은 수생 생물을 섭취한다. 물가나 물속에서 먹이를 찾으며, 때로는 수련 잎 위를 걷거나 물속에 머리를 박고 먹이를 먹기도 한다.[15] "쿠루룻" 하고 큰 소리로 우는데, 이 소리 때문에 논을 외적으로부터 지키는 "번"을 하는 새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16]
현재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는 아종은 5개이며, 추가로 기술된 몇몇 아종들은 현재 이명으로 간주된다. 대부분 아종은 차이점이 미묘하고 종종 군집적이기 때문에 쉽게 구별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관찰 위치가 아종 확인에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이지만, 이 종의 이동 경향으로 인해 위치에 근거한 확인은 완전히 신뢰할 수 없다.
초기 플라이스토세의 미기술 형태가 터키의 두르순루에서 기록되었다.
3. 형태
4. 분포 및 서식지
5. 생태
주로 호수, 강, 논, 습지 등에서 서식하지만, 공원의 연못 등에도 서식하는 경우가 있다. 긴 다리를 높이 들면서 물가나 물에 떠 있는 수초 위를 걸어다니며, 헤엄을 치거나 물 속에 잠수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발에 물갈퀴가 없어 꼬리가 높이 올라간,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어색하게 헤엄친다.
5. 1. 번식
쇠물닭은 번식기에 세력권을 지키려는 성향이 강해, 같은 종의 다른 개체뿐만 아니라 오리와 같은 다른 물새들과 싸워서 자신의 세력권에서 몰아내려 한다. 둥지는 빽빽한 초목 속 땅 위에 지은 바구니 모양이다. 북반구 온대 지역에서는 3월 중순부터 5월 중순 사이에 봄에 알을 낳기 시작한다. 계절 초에는 보통 암컷 한 마리당 약 8개의 알을 낳지만, 연말의 알은 보통 5~8개 또는 그 이하이다. 다른 암컷이 둥지를 재사용할 수 있다. 포란 기간은 약 3주이다. 부모 새는 모두 포란하고 새끼에게 먹이를 준다. 새끼들은 40~50일 후에 둥지를 떠나고, 보통 그 후 몇 주 후에 독립하며, 다음 봄에 첫 번째 새끼를 키울 수 있다. 위협을 받으면 새끼들은 부모의 몸에 매달릴 수 있으며, 그 후 어미 새들은 새끼를 데리고 안전한 곳으로 날아간다.
물가에 둥지를 짓지만,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걸을 수 있으며, 독립도 빠르다. 어른 새는 한여름에 두 번 번식하는 경우도 있지만, 두 번째 번식에서는 첫 번째 새끼가 도우미로서 부모를 돕는 경우도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에도 시대에는 “삼조이어(三鳥二魚)”라 불리는 5대 진미 중 하나로 여겨졌다. 미토 번에서 궁내청에 진상되던 향토 요리이다. 삼조이어란, 조류는 두루미, 종달새, 물닭, 어류는 도다리, 아귀를 말한다.[1]
물닭은 수렵 조수 28종 중 하나로, 삼조 중 유일하게 수렵 면허 소지자만 포획이 가능했으나,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실시된 전국 조류 번식 분포 조사에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성 심의를 거쳐 2022년 9월부터 왜가리와 함께 수렵 조수 지정이 해제되어, 더 이상 수렵 대상 조수가 아니게 되었다.[2]
7. 보전 상태
전 세계적으로 쇠물닭은 흔하기 때문에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관심대상종(LC)으로 지정되어 있다.[1][13] 그러나 소규모 개체군은 멸종될 위험이 있다. 팔라우 개체군은 매우 희귀하며, 현지인들이 사냥하는 것으로 보인다. 앙가우르와 펠렐리우에 주로 서식하며, 코로르에서는 이미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바벨다옵의 응가르독 호수 습지에는 수십 마리가 남아있지만, 팔라우의 쇠물닭 총 개체 수는 괌과 비슷한 수준으로, 어떤 조사에서도 100마리 미만의 성체(보통 50마리 미만)가 발견되었다.
영국의 왕립 조류 보호 협회는 최근 개체 수 감소로 인해 쇠물닭을 보존 상태가 중간 정도로 우려되는 종으로 분류했다.[11] 번식 쌍의 수는 1966년 이후 영국에서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12] 야생 동식물 및 시골 지역 법(1981년)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쇠물닭은 사이클로코엘리드 편형동물 기생충 ''Cyclocoelum mutabile''가 처음 발견된 조류 중 하나이다. 또한 물닭 벼룩 ''Dasypsyllus gallinulae''의 기생충이 되기도 한다.
일본의 다음 도도부현에서 레드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다.[17]
참조
[1]
IUCN
Gallinula chloropus
2021-11-12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Flufftails, finfoots, rails, trumpeters, cranes, limpkin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4-08-14
[5]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6]
서적
All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2020-00-00
[7]
학술지
Ancient DNA Elucidates the Controversy about the Flightless Island Hens (Gallinula sp.) of Tristan da Cunha
2008-03-19
[8]
서적
The Sound Approach to Birding
The Sound Approach
2006-00-00
[9]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10]
학술지
Gene flow from multiple sources maintains high genetic diversity and stable population history of Common Moorhen ''Gallinula chloropus'' in China
[11]
웹사이트
Moorhen Bird Facts {{!}} Gallinula Chloropus
https://www.rspb.org[...]
2022-06-17
[12]
웹사이트
Species {{!}} BTO -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https://app.bto.org/[...]
2010-07-16
[13]
웹사이트
Gallinula chloropus in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http://www.iucnredli[...]
국제자연보호연맹(IUCN)
2012-03-15
[14]
웹사이트
Gallinula chloropus (Linnaeus, 1758)
http://www.itis.gov/[...]
ITIS
2012-03-15
[15]
간행물
ひと目でわかる野鳥
2010-00-00
[16]
웹사이트
バン
https://www.suntory.[...]
サントリーの愛鳥活動
2018-01-04
[17]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バン)
http://jpnrdb.com/se[...]
野生生物調査協会、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3-02-14
[18]
웹인용
The Common Moorhen
http://scienceray.co[...]
2013-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