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는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조류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다양한 종으로 분류된다. '오리'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수컷은 드레이크, 암컷은 오리 또는 암컷으로 불린다. 오리는 형태적으로 넓적한 몸통과 짧은 다리, 빗살 모양의 부리를 가지며, 깃털은 방수 기능을 한다. 생태적으로는 물갈퀴를 이용하여 헤엄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 인간과의 관계에서 오리는 식용, 깃털, 사냥 등의 대상이 되며, 가축화되어 고기, 알, 깃털을 제공한다. 그러나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유전자 오염 등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한국오리협회와 같은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 - 오리고기
    오리고기는 전 세계 요리에 사용되는 식재료로, 중화 요리, 아삼 요리 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한국에서는 다양한 오리 요리와 오리알이 식용으로 사용되지만, 야생 오리는 수질 오염으로 PCBs에 오염될 수 있다.
  • 오리 - 넓적부리
    넓적부리는 주걱 모양의 부리를 가진 오리 종류로 북반구에 서식하며 겨울에는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철새이고, 넓적한 부리를 이용해 갑각류나 플랑크톤을 걸러 먹는다.
  • 음식에 관한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음식에 관한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오리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일반 명칭오리
영어 명칭Duck
일본어 명칭カモ
학명 명명자, 1758
오리과
아과오리아과
기러기목
아목카모아목
마가모속
타입 속마가모 Anas platyrhynchos
타입 속 명명자Linnaeus, 1758
분류
아과참고: 텍스트 참조
하위 분류텍스트 참조
이미지
흰뺨오리
흰뺨오리 Bucephala albeola
청둥오리
청둥오리
기타
참고오리 (동음이의)

2. 어원

"오리"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 dūce|잠수하는 새ang에서 유래했으며, *dūcan|오리처럼 몸을 숙이거나, 무언가 아래로 들어가려고 몸을 숙이다, 또는 잠수하다ang라는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이는 많은 종류의 흰뺨검둥오리류가 몸을 뒤집어 먹이를 먹는 방식 때문이다. 네덜란드어 duiken|잠수하다nl독일어 tauchen|잠수하다de와 비교해 볼 수 있다.

특징적인 몸을 뒤집는 모습을 보이는 퍼시픽 블랙덕


이 단어는 구영어 ened|오리ang/ænid|오리ang를 대체했는데, 아마도 endeang "끝"과 같은 형태가 유사한 다른 단어들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다른 게르만어들도 "오리"와 비슷한 단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어 eend|오리nl, 독일어 Ente|오리de, 노르웨이어 and|오리no 등이 있다. ened|오리ang/ænid|오리ang라는 단어는 프로토-인도-유럽어에서 유래했다. 비교해 보면 라틴어 ''anas'' "오리", 리투아니아어 ántis|오리lt, 고대 그리스어 νῆσσα|오리grc/νῆττα|오리grc, 그리고 산스크리트어 '물새' 등이 있다.

한국어와 달리 영어의 duck영어유럽 언어에서는 기본 어휘 수준에서 야생 오리()와 가금류인 오리()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번역 시 주의가 필요하다. 바비켄도 오리의 범주에 포함된다. 수컷은 drake영어라고도 한다. 중국어(鸭/鴨, yā)에서도 일상 대화에서는 인지적으로 양자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3. 분류

모든 오리는 기러기목에 속하며, 이 분류군에는 오리, 기러기, 백조뿐만 아니라 날개깃과와 검은머리기러기가 포함된다. 날개깃과를 제외한 모든 오리는 오릿과에 속한다. 오릿과 내에서는 오리가 다양한 아과와 '족'으로 나뉜다. 이러한 아과와 족의 수와 구성은 분류학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의견 불일치를 야기한다. 어떤 학자들은 형태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고, 다른 학자들은 공유된 행동이나 유전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오리를 포함하는 아과의 수는 2개에서 5개까지 다양하다. 야생 오리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수준의 잡종화는 다양한 종들 사이의 관계를 밝히려는 노력을 복잡하게 만든다.

물닭이 접근하여 착륙하는 모습


대부분의 현대 분류에서, 소위 '진짜 오리'는 아과인 오리속에 속하며, 이는 다시 다양한 수의 족으로 나뉜다. 이 중 가장 큰 족인 오리족에는 주로 민물 표면에서 먹이를 먹는 방법으로 이름 붙여진 '물 위를 헤엄치는' 또는 '강' 오리가 포함된다. 주요 먹이 섭취 방법으로 이름 붙여진 '잠수 오리'는 비오리족을 구성한다. 바다오리족의 '바다 오리'는 물고기와 조개류를 전문으로 하는 잠수 오리이며, 대부분의 시간을 바닷물에서 보낸다. 흰뺨검둥오리족에는 작은 크기와 뻣뻣하고 똑바로 선 꼬리가 특징인 '뻣뻣한 꼬리' 잠수 오리가 포함된다.

오리라고 불리는 다른 많은 종들은 '진짜 오리'로 간주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아과 또는 족에 배치된다. 휘파람오리는 오리속의 족(Dendrocygnini) 또는 기러기속 아과, 또는 자체 아과(Dendrocygninae) 또는 과(Dendrocyganidae)에 배치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얼룩오리는 기러기속 아과의 족 Stictonettini의 유일한 구성원이거나, 자체 과인 Stictonettinae에 속한다. 고방오리는 어떤 분류에서는 기러기속 과의 족 Tadornini를 구성하고, 다른 분류에서는 자체 아과인 Tadorninae를 구성한다. 한편, 항해오리는 족 Tachyerini의 기러기속 과에 배치되거나, 족 Tadorini의 고방오리와 묶인다. 나무오리는 어떤 분류에서는 기러기속 아과의 족 Cairinini를 구성하지만, 다른 분류에서는 그 족이 제거되고 그 구성원은 오리족에 배정된다. 급류오리는 일반적으로 단형 족 Merganettini의 기러기속 아과에 포함되지만, 때로는 족 Tadornini에 포함되기도 한다. 분홍귀오리는 때로는 오리족 또는 족 Malacorhynchini에 포함되는 진짜 오리로 간주되고, 다른 때는 족 Tadornini의 고방오리와 함께 포함된다.

4. 형태

오리의 몸은 길고 넓적하며, 목은 비교적 긴 편이지만, 기러기나 백조만큼 길지는 않다. 잠수성 오리의 몸매는 더 둥글다. 부리는 일반적으로 넓고, 톱니 모양의 빗살이 있어 여과 섭식에 적합하다. 어떤 낚시 종의 경우 부리는 길고 톱니가 강하게 발달되어 있다. 다리는 강하고 잘 발달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몸 뒤쪽에 위치하고, 수생 종일수록 더 뒤쪽에 위치한다. 날개는 매우 강하고 일반적으로 짧고 뾰족하며, 오리의 비행에는 빠르고 지속적인 날갯짓이 필요하며, 이는 강한 날개 근육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항해 오리 세 종은 거의 날지 못한다. 많은 종류의 오리는 깃털 갈이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날지 못하며, 이 기간 동안 먹이가 풍부한 보호된 서식지를 찾는다. 이러한 깃털 갈이는 일반적으로 이동에 앞선다. 부리는 편평하며 양쪽 가장자리는 빗살모양인데 이 부리를 물을 걸러서 낟알이나 수중생물 등의 먹이를 찾아먹는다. 바다에 사는 오리는 해조류, 조개, 물고기 등을 먹는다. 다리는 짧으며 앞을 향한 3개의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다.

수컷 흰뺨검둥오리(Mandarin duck)


깃털의 색깔은 보통 암컷보다 수컷이 아름다운 종이 많으며 열대지방에 사는 오리는 암수 같은 색깔이다. 오리의 깃털은 물이 스며들지 않기 때문에 차가운 물속에서 오리의 몸을 보호한다. 오리는 꼬리 부근에 있는 분비선에서 나오는 기름을 부리로 깃털에 바른다. 기름이 묻은 깃털 아래에는 솜깃털이라고 하는 부드럽고 보풀보풀한 깃털층이 있어서 겉깃털과의 사이에 공기를 가두어 몸을 따뜻하게 한다. 북부 종의 수컷은 종종 화려한 깃털을 가지고 있지만, 여름에 깃털 갈이하여 암컷과 비슷한 모습인 "이클립스" 깃털이 된다. 남부 지역에 서식하는 종은 일반적으로 성적 이형이 덜 두드러지지만, 수컷보다 암컷의 깃털이 더 화려한 뉴질랜드의 청머리오리(paradise shelduck)와 같이 예외가 있다. 어린 새의 깃털은 일반적으로 암컷과 비슷하다.

5. 생태

오리는 남극 대륙을 제외한 전 세계 모든 대륙에 분포한다.[5] 사우스조지아오클랜드 제도 같은 남극 아북극 지역의 섬에서도 서식하며, 하와이 제도, 미크로네시아, 갈라파고스 제도 등 고립된 해양 섬에도 서식 범위를 넓혔다.[5]

날으는 증기 오리 아르헨티나 우수아이아


온대 및 북극 북반구의 일부 오리 종들은 철새이지만, 열대 지방에 사는 종들은 일반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강우량이 불규칙적인 오스트레일리아의 일부 오리는 유목 생활을 하며, 폭우 후에 형성되는 일시적인 호수와 웅덩이를 찾아다닌다.[5]

한국에서는 흰뺨검둥오리, 원앙 등이 일년 내내 서식하며, 전국의 하천호수 등에서 볼 수 있다. 겨울에는 청둥오리, 쇠오리, 흰줄청둥오리, 고방오리 등 다양한 종류의 겨울철새를 볼 수 있다.

영국 콘월의 암컷 청둥오리


야생 오리는 개체 수 및 서식지 감소로 인해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ITES)이나 한일 철새보호협정[30], 한중 철새보호협정[31], 한미 철새보호협정[32], 본 조약(한국은 비가입국) 등의 적용을 받기도 하며, 서식지가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냥 가능한 종과 시기, 지역, 도구 등이 정해져 있다.

철따라 이동하는 오리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계속 날며 월동지에서는 단일종 또는 여러 종이 섞여 무리지어 지낸다. 담수성 오리는 보통 낮에는 안전한 곳에서 휴식하다가 어두워지면 논과 밭 등지로 날아가 먹이를 찾는다. 잠수하지 않고 먹이를 찾는 오리를 수면성 오리라고 하며, 주로 습지식물이나 곤충, 작은 수생동물을 잡아먹는다. 잠수성 오리는 연못이나 호수 밑바닥에서 식물의 뿌리, 씨, 달팽이, 곤충, 작은 조개 등을 먹는다. 원앙과 같이 나무 밑동의 빈 구멍에 둥지를 트는 종류는 도토리, 작은 열매, 곤충 및 식물의 씨 등을 먹는다. 바다오리류인 비오리는 대부분 민물이나 바닷물에서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일반적인 오리의 수면시간은 하루 기준으로 10~15시간이라 알려져 있다.

5. 1. 털갈이

번식기의 수컷은 화려한 색깔의 생식깃을 가지나 번식이 지나면 털갈이를 하여 번식깃은 사라지고 암컷과 같은 색깔을 띤다.[4] 암컷도 번식 후 털갈이를 하는데, 오리와 기러기는 날개의 깃털까지 동시에 빠져 한동안 날지 못하는 기간이 있다.[4]

6. 인간과의 관계

오리는 농업, 식용, 깃털 채취, 애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과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오리는 벼농사에서 잡초 및 해충 제거에 도움을 주어 친환경 농업에 활용되기도 한다.

오리는 논밭에서 사이사이를 돌아다니면서 잡초벌레를 잡아먹어 농사에 큰 도움이 된다.[33] 오리고기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일본 요리에서는 오리 샤브샤브, 지부니, 스키야키, 오리 남만 정식, 구이 요리 등에 사용된다. 신선한 오리고기를 타타키로 제공하는 식당도 있지만, 생으로 먹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아이가모는 양식하여 식용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국내 소비량의 9할은 수입으로 충당된다. 오리 중에는 냄새가 강해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종류도 있으며, 외에 미나리와 함께 끓여 오리 샤브샤브를 만들기도 한다.[33]

싱가포르의 오리 밥


일본에서 오리는 고대부터 즐겨 먹었으며, 각지의 패총에서 발견되는 새의 뼈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청둥오리의 뼈이다. 나라 시대의 『하리마국 풍토기』에는 "오리 "이 등장한다. 그러나 시대가 내려감에 따라 귀족이나 지배 계층 사이에서는 이나 두루미 등이 선호되면서 오리는 서민이 먹는 하급의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전 일본에서는 생물을 불쌍히 여기는 법령 등 일시적인 예외를 제외하고는 육식 금지령이 내려졌는데, 오리를 포함한 야생 조류는 서민용으로 여겨져 육식 금지 대상이 아니었으며, 일부 지역에서 식용으로 이용된 몇 안 되는 조류였다(「일본의 짐승고기 섭취의 역사#에도 시대」 참조). 에도 시대이하라 사이카쿠는 서민에게 오리 회 등 오리 요리는 "최고의 요리", 가장 사치스러운 요리의 전형이라고 기록하고 있다.[34]

오늘날 오리고기라는 명칭으로 유통되는 것의 대부분은 오리(가금화된 청둥오리)의 고기이지만, 아이가모(오리와 청둥오리의 교배종 또는 칼가모와 오리의 교배종)나 야생 청둥오리 등도 종종 식용으로 이용된다. 지방이 오르는 겨울이 제철이며 가장 맛있다.[35] 해외에서도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와 함께 자주 먹는다. 시장에서는 고가로 거래되기 때문에, 북경 오리 등 고급 식재료로 취급된다. 오리고기를 사용한 요리로는 오리 밥 등이 있다. 오리의 달걀도 계란과 마찬가지로 사용된다. 피는 굳혀서 오리피라는 피순두부로 제공된다.[36] 철새인 오리는 이동을 할 경우, 미리 지방을 축적하여 지방간이 되는데, 이것을 인공적으로 강제하여 얻는 식재료가 푸아그라이다.

6. 1. 사냥

인류는 선사 시대부터 오리를 사냥해 왔다. 캘리포니아에서 발굴된 7800~6400년 전(현재 기준)의 쓰레기 더미에서는 오리 뼈가 발견되었는데, 그중에는 현재 멸종된 비행 능력이 없는 종도 있었다. 카리브해, 스칸디나비아, 이집트, 스위스, 그리고 중국 등 멀리 떨어진 지역의 신석기 시대 사냥꾼들은 오리를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비행 능력이 없는 핀치오리를 사냥했는데, 아마도 멸종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많은 지역에서 야생 오리(농장에서 사육되어 야생으로 방출된 오리 포함)는 식용 또는 스포츠 사냥의 대상이며, 사격이나 유인 오리를 사용하여 포획된다. 움직이지 않는 부유하는 오리나 땅에 앉아 있는 오리는 날아오르거나 빠르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앉아 있는 오리(a sitting duck)"는 "쉬운 표적"을 의미하게 되었다.

야생종의 경우 개체 수 및 서식지 감소로 인해,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ITES)이나 한일 철새보호협정[30], 한중 철새보호협정[31], 한미 철새보호협정[32] 등의 적용을 받는 종류도 많으며, 서식지가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사냥 가능한 종과 시기, 지역, 도구 등이 정해져 있다.

6. 2. 가축화

오리는 고기, 알, 깃털(솜털) 등 경제적으로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30억 마리의 오리가 고기용으로 도축된다.[17] 또한 조류 사육가들이 사육하고 번식시키며, 동물원에 전시되기도 한다. 거의 모든 집오리 품종은 머스코비오리(''Cairina moschata'')에서 유래하며,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는 예외이다.[18][19] 콜덕(Call duck)은 집오리의 한 품종으로, 사냥꾼들이 야생 청둥오리를 덫으로 유인하기 위한 미끼로 사용했던 것에서 이름이 유래한다. 콜덕은 무게가 1kg보다 적어 세계에서 가장 작은 집오리 품종이다.[20] 인도주자오리(Indian Runner duck)는 일반적인 집오리 품종이다.
인도주자오리

6. 3. 환경 문제

야생 오리는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가금화된 오리와 야생 오리 간의 교잡으로 인한 유전자 오염 문제도 심각하다.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ITES)이나 한일 철새보호협정[30], 한중 철새보호협정[31], 한미 철새보호협정[32], 본 조약(한국은 비가입국) 등의 적용을 받는 종류도 많으며, 서식지가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기도 한다.

논병아리나 오리와 야생종 사이에서 유전자 오염이 상당히 진행되었기 때문에, 들닭과 마찬가지로 가금류와의 교잡이 진행되어 유전적으로 순수한 개체는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를 하는 연구자도 있다.

7. 관련 단체

한국오리협회

참조

[1] 웹사이트 Duckling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Company 2015-05-22
[2] 웹사이트 Duckling http://dictionary.re[...] K. Dictionaries Ltd 2015-05-22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Historic and Endangered Livestock and Poultry Breed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1
[4] 서적 How to Draw Cartoon Birds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03
[5] 웹사이트 Pacific Black Duck http://www.wiresnr.o[...] 2018-04-27
[6] 웹사이트 Dabbling Ducks https://www.sfu.ca/b[...] CWE 2006-11-02
[7] 뉴스 Don't feed the ducks bread, say conservationists https://www.theguard[...] 2015-03-16
[8] 논문 Current Ornithology
[9] 학술지 Long-Term Pair Bonds in Harlequin Ducks
[10] 웹사이트 If You Find An Orphaned Duckling - Wildlife Rehabber https://wildlifereha[...] 2018-12-22
[11] 서적 The Duck Bible https://books.google[...] Lulu.com 2011
[12] 서적 Bird Brains: Inside the Strange Minds of Our Fine Feathered Friend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3-09-03
[13] 뉴스 Sound science is quackers http://news.bbc.co.u[...] 2003-09-08
[14] 웹사이트 Mythbusters Episode 8 http://mythbustersre[...] 2003-12-12
[15] 서적 Guide to Edible Plants and Animals https://books.google[...] Wordsworth Editions, Limited 1998-01-01
[16] 웹사이트 Study plan for waterfowl injury assessment: Determining PCB concentrations in Hudson river resident waterfowl https://www.dec.ny.g[...] US Department of Commerce 2008-12-00
[17] 웹사이트 FAOSTAT http://www.fao.org/f[...] 2019-10-25
[18] 웹사이트 Anas platyrhynchos, Domestic Duck; DigiMorph Staff -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http://digimorph.org[...] Digimorph.org 2012-12-23
[19] 백과사전 Mallard;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12-12-23
[20] 서적 Guinness World Records https://archive.org/[...]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21] 서적 Suomen kunnallisvaakunat Suomen Kunnallisliitto
[22] 웹사이트 Lubānas simbolika http://www.lubana.lv[...] 2021-09-09
[23] 웹사이트 Föglö http://digi.narc.fi/[...] 2021-09-09
[24] 웹사이트 World's funniest joke revealed https://www.newscien[...] 2019-01-07
[25] 웹사이트 Howard the Duck (character) http://www.comics.or[...]
[26] 서적 Marvel Chronicle A Year by Year History Dorling Kindersley
[27] 웹사이트 The Duck https://goducks.com/[...] 2022-01-20
[28] 백과사전 小学館 2024-11-26
[29] 백과사전 がん【雁・鴈】[1] 小学館 2024-11-26
[30] 웹사이트 環境用語集:「日ソ渡り鳥保護条約」 http://www.eic.or.jp[...] 2011-04-05
[31] 웹사이트 環境用語集:「日中渡り鳥保護協定」 http://www.eic.or.jp[...] 2011-04-05
[32] 웹사이트 環境用語集:「日米渡り鳥保護条約」 http://www.eic.or.jp[...] 2011-04-05
[33] 뉴스 【ご当地 食の旅】河内の鴨(大阪市、松原市)特産 不死鳥のごとく復活 2021-10-09
[34] 서적 たべもの噺 平凡社
[35] 서적 東京下町うまいもん 枻出版社
[36] 웹사이트 「プルっと好吃!血を使った台湾グルメとは? 」 https://japan.thenew[...] 2022-06-02
[37] 웹사이트 「隣の貧乏鴨の味」 https://kotowaza.jit[...] 2020-04-03
[38] 웹사이트 鴨の水掻き(かものみずかき)の意味 https://dictionary.g[...] 2020-04-03
[39] 웹사이트 鴨にする〔鴨になる〕 https://imidas.jp/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