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나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나사는 구조물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볼트 접합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볼트와 나사의 차이점, 다양한 볼트 종류 및 머리 모양, 재료, KS 규격에 따른 볼트 등급과 설계 강도 등을 설명한다. 볼트 접합은 전단 마찰 연결과 지압 연결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며, 미국 강철 건설 연구소(AISC) 기준에 따라 설계된다. 수나사의 역사는 19세기 조셉 휘트워스의 표준화 제안과 런던 만국 산업 박람회에서 수정궁 건설에 사용된 표준화된 볼트의 성공적인 사용으로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구조 공학 - 강도감소계수
강도감소계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 설계 시 공칭강도에 곱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계수로, 파괴 모드 예측 및 설계에 활용되며, 최외단 인장 철근의 순인장변형률, 중립축 깊이, 철근의 항복강도, 지배 단면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다. - 나사 - 육각렌치
육각 렌치는 1910년 Allen Manufacturing Company에서 발명된 육각형 углубление에 맞춰 사용하는 L자 형태의 도구로, 알렌 키 또는 알렌 렌치라고도 불리며 캡 스크류 체결, 특히 자전거 업계에서 널리 사용된다. - 나사 - 암나사
너트는 볼트와 함께 체결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육각형 또는 사각형 모양이며 내부에 나사산이 있고, 다양한 종류와 재질로 생산되며, 풀림 방지 기능이 있는 특수 너트도 존재한다. - 잠금장치 - 고무줄
고무줄은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의 띠로, 물건을 묶거나 고정하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원료로 다양한 크기, 색상, 재질로 생산되는 일상적인 소모품이다. - 잠금장치 - 리벳
리벳은 기원전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오래된 체결 방식 중 하나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항공기, 교량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수나사 | |
---|---|
개요 | |
![]() | |
종류 | 체결구 |
용도 | 기계 부품 결합 |
관련 표준 | ISO 4014 ISO 4017 DIN 931 DIN 933 |
상세 정보 | |
정의 | 외부 수나사가 있으며, 암나사와 함께 부품을 체결하는 데 사용되는 체결구 |
머리 모양 | 육각 사각 접시머리 둥근머리 |
재질 | 강철 스테인리스강 합금강 플라스틱 |
강도 등급 | 4.6 5.6 8.8 10.9 12.9 |
표면 처리 | 아연 도금 흑색 산화 피막 델타톤 |
일본어 (ボルト) | |
어원 | 영어 "bolt"에서 유래 |
종류 | 육각 볼트 (六角ボルト, rokkaku boruto) U 볼트 (Uボルト, U boruto) 아이 볼트 (アイボルト, ai boruto) 캡 볼트 (キャップボルト, kyappu boruto) |
용도 | 건축 토목 기계 자동차 |
2. 볼트 접합
강재를 이용해 구조물을 만들 때 볼트를 이용해 강재끼리 접합하는 것을 '볼트 접합'이라고 한다. 볼트 접합은 시공할 때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주요 건물의 접합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다. 볼트 배치는 규칙적인 '정렬 배치'와 불규칙적인 '불규칙 배치'(엇모배치)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정렬 배치를 많이 사용하지만, 불규칙 배치가 구조적으로 우수하다.[9]
구조 부재에서 긴 방향으로 볼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선을 게이지 라인(gauge line)이라고 하며, 게이지 라인 사이의 간격을 게이지(gauge)라고 한다. 볼트 중심 사이 간격은 피치(pitch)라고 한다. 부재 가장자리의 볼트 중심에서 측면 끝까지의 거리를 '측단 거리', 길이 방향 최외단 볼트 중심에서 부재 끝까지의 거리를 '연단 거리'라고 한다.[9]
3. 볼트 접합의 파괴 형식
볼트 접합은 전단 접합과 인장 접합으로 나뉜다. 전단 접합은 부재가 양쪽으로 당겨질 때 볼트 구멍 벽이 볼트에 힘을 가해 접합을 유지하는 방식이고, 인장 접합은 볼트 축이 인장력에 저항하는 방식이다.[1]
그밖에 피접합재 가장자리가 파괴되는 '연단부 파괴', '측단부 파괴', 그리고 지압 파괴도 있다.[1]
3. 1. 전단 접합
볼트 접합에서 전단 접합은 피접합재가 양쪽으로 인장될 때, 볼트 구멍 벽이 볼트에 전단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접합을 유지한다. 피접합재가 두 개인 경우에는 1면 전단 파괴, 세 개인 경우에는 2면 전단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3. 2. 인장 접합
볼트 축 단면이 인장력으로 저항하는 접합을 인장 접합이라고 한다. 인장 파괴는 볼트가 끊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3. 3. 기타 파괴 형식
볼트 접합에는 전단 접합과 인장 접합이 있다. 전단 접합은 두 개 혹은 세 개의 피접합재가 양쪽으로 인장되면서 볼트 구멍 벽이 볼트에 전단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접합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피접합재가 두 개인 경우 1면 전단 파괴, 세 개인 경우 2면 전단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인장 접합은 볼트 축 단면이 인장력으로 저항하는 접합을 말한다. 인장 파괴는 볼트가 끊어지는 것을 말한다.[1]
그밖에 피접합재 가장자리가 파괴되는 방식인 '연단부 파괴', '측단부 파괴'가 있으며, 지압 파괴도 있다.[1]
4. 볼트 종류와 등급
볼트의 종류와 등급은 KS 규격에 따라 정해진다. 교량이나 건축물에 사용되는 고강도 볼트 중 구형 규격인 F13T, F11T는 수소 취성에 의한 볼트 탈락 등의 문제로, F13T는 도입 후 얼마 지나지 않아, F11T는 1981년 이후 제조 중지 및 사용 금지되었다.[11][12] 이러한 볼트가 사용된 시기에 건설된 교량은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2021년 현재에도 사용 상황 조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13]
토르크 형 고력 볼트는 주로 구조물이나 철골 건축물에 사용된다. 일본 강구조 협회와 일본 도로 협회의 규격을 만족하며, 머리 부분은 둥글고, 나사부 선단은 "핀 테일"이라고 불린다. 정해진 조임 토크에 도달하면 핀 테일이 파단된다. 조임에는 셔 렌치가 사용되며, 천천히 조임으로써 조임 축력이 안정되고, 파단으로 인해 측정(계측)할 필요 없이 조임력 확인이 가능하다. 파단 유무에 따라 조임 누락 확인도 용이하며, 타격계 공구 사용 시 발생하는 소음도 없다.
4. 1. 표기법
KS 규격에 따라 볼트의 종류와 등급을 정한다. 예를 들어 F10T(M20)과 같이 표기한다. F는 마찰접합용(For friction grip joint), 10은 인장강도 10tf/cm²을 의미하고, T는 인장 시험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M20은 호칭을 나타낸다.몇 가지 볼트의 설계볼트장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볼트 등급 | 볼트 호칭 | 공칭 단면적(mm²) | 설계볼트장력 T0(kN) |
---|---|---|---|
F8T | M16 | 201 | 84 |
M20 | 314 | 132 | |
M22 | 380 | 160 | |
M24 | 453 | 190 | |
F10T | M16 | 201 | 106 |
M20 | 314 | 165 | |
M22 | 380 | 200 | |
M24 | 453 | 237 | |
F13T | M16 | 201 | 137 |
M20 | 314 | 214 | |
M22 | 380 | 259 | |
M24 | 453 | 308 |
4. 2. 설계볼트장력
KS 규격에서는 F8T, F10T, F13T 등급별, 볼트 호칭(M16, M20, M22, M24)에 따른 설계볼트장력(T0)을 정의하고 있다. 설계볼트장력은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1]볼트 등급 | 볼트 호칭 | 공칭 단면적(mm²) | 설계볼트장력 T0(kN) |
---|---|---|---|
F8T | M16 | 201 | 84 |
M20 | 314 | 132 | |
M22 | 380 | 160 | |
M24 | 453 | 190 | |
F10T | M16 | 201 | 106 |
M20 | 314 | 165 | |
M22 | 380 | 200 | |
M24 | 453 | 237 | |
F13T | M16 | 201 | 137 |
M20 | 314 | 214 | |
M22 | 380 | 259 | |
M24 | 453 | 308 |
5. 볼트 구멍
고장력 볼트의 구경과 구멍의 형태에 따라 구멍 치수가 정해진다. 구멍의 종류로는 표준 구멍, 대형 구멍, 단슬롯 구멍, 장슬롯 구멍이 있다.[14][15][16]
고장력 볼트 호칭 | 표준 구멍 | 대형 구멍 | 단슬롯 구멍 | 장슬롯 구멍 |
---|---|---|---|---|
M16 | 18 | 20 | 18X22 | 18X40 |
M20 | 22 | 24 | 22X26 | 22X50 |
M22 | 24 | 28 | 24X30 | 24X55 |
M24 | 27 | 30 | 27X32 | 27X60 |
M27 | 30 | 35 | 30X37 | 30X67 |
M30 | 33 | 38 | 33X40 | 33X75 |
5. 1. 표준 구멍
M16, M20, M22 고장력 볼트는 구멍 크기를 2mm 더 크게 하고, M24, M27, M30 볼트는 구멍 크기를 3mm 더 크게 한다.[14][15][16]고장력 볼트 호칭 | 표준 구멍 (mm) |
---|---|
M16 | 18 |
M20 | 22 |
M22 | 24 |
M24 | 27 |
M27 | 30 |
M30 | 33 |
5. 2. 기타 구멍
표준 구멍 외에 대형 구멍, 단슬롯 구멍, 장슬롯 구멍 등의 치수는 KS 규격에 따른다. 다음 표는 고장력 볼트의 호칭에 따른 구멍 치수를 나타낸 것이다. 단위는 mm이다.[14][15][16]고장력 볼트 호칭 | 대형 구멍 | 단슬롯 구멍 | 장슬롯 구멍 |
---|---|---|---|
M16 | 20 | 18X22 | 18X40 |
M20 | 24 | 22X26 | 22X50 |
M22 | 28 | 24X30 | 24X55 |
M24 | 30 | 27X32 | 27X60 |
M27 | 35 | 30X37 | 30X67 |
M30 | 38 | 33X40 | 33X75 |
6.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 강도
고장력볼트 1개의 접합 설계강도는 접합 종류(마찰접합, 지압접합 등)에 따라 설계미끄럼강도,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등을 계산하여 가장 작은 값을 채택하여 구한다.
6. 1. 설계미끄럼강도
설계미끄럼강도[1][2]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 : 미끄럼계수(페인트칠하지 않은 블라스트 청소된 마찰면은 0.5)
- : 필러계수
- * 필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한 경우 또는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로써 접합되는 재료 사이에 한개의 필러가 있는 경우 1.0
- *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로써 접합되는 재료 사이에 2개 이상의 필러가 있는 경우 0.85
- : 설계볼트장력(kN)
- : 전단면의 수(마찰접합 및 지압접합에만 적용)
만약 마찰접합에서 인장력을 받아 고장력볼트의 장력이 감소할 경우, 위에서 계산한 설계미끄럼강도에 를 곱하여 강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여기서 는 인장력을 받는 고장력볼트 수, 는 소요인장강도(kN)이다.[3]
6. 2.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이고, Fu는 계수하중이라고 할 때,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1]:
:
- : 고장력볼트의 공칭단면적(mm2)
6. 3.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강도한계상태의 마찰접합 및 지압접합에서 고장력볼트와 볼트구멍이 지압 상태가 되는 경우, 고장력볼트 구멍에 대한 지압강도를 검토해야 한다. 건축구조기준 개정에 따라 마찰접합에서도 지압접합 관련 강도를 검토하게 되었다.[1] 여기서 d는 고장력볼트의 공칭직경(mm), Fu는 피접합재의 공칭인장강도(N/mm²), Lc는 하중 작용 방향 볼트구멍 사이 순간격(mm)과 구멍의 끝과 피접합재의 끝 또는 인접구멍 끝까지의 거리(mm)이다. 즉 두 경우의 Lc 모두에 대해 검토해준다.[1] t는 피접합재의 두께(mm)를 나타낸다. 각각의 경우 고장력 볼트 구멍 하나에 대한 설계지압강도 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2] 구멍이 여러개인 경우 Lc에 의해 구분된 구멍 하나당 설계지압강도에 해당 구멍의 개수를 곱하여 더해서 최종적으로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를 구한다.[3]- 표준구멍, 대형구멍, 단슬롯 구멍의 모든 방향에 대한 지압력 또는 장슬롯 구멍이 지압력 방향에 평행인 경우
1.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될 경우
2.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
6. 4.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 조합
을 전단력을 고려한 공칭인장강도(N/mm²), 를 공칭 인장강도 및 전단강도(N/mm²), 를 소요전단응력(N/mm²)이라고 할 때,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의 설계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
:
7. 볼트와 나사의 차이점
볼트와 나사는 그 구별이 명확하지 않다. ''기계 공학 핸드북(Machinery's Handbook)''에서는 용도에 따른 학문적인 구분을 제시한다.[3] 이에 따르면 볼트는 부품의 나사산이 없는 구멍을 통과해 너트로 고정하는 반면, 나사는 자체 나사산이 있거나 내부 나사산을 만들어 사용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체결구 설명에 모호성이 있어, 사람이나 국가에 따라 동일하거나 다른 체결구를 나사 또는 볼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볼트는 볼트 조인트를 만드는 데 쓰이는데, 너트의 축 방향 힘과 볼트 생크(도웰 핀)의 측면 전단력 고정 역할이 결합된 방식이다. 많은 볼트는 나사산이 없는 매끄러운 생크를 가지는데, 이는 더 강력한 도웰 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크는 볼트와 나사의 특징으로 제시되기도 하지만, 정의라기보다는 사용에 따른 부수적인 특징이다.[4]
고정되는 부품에 자체 나사산을 만드는 경우는 나사라고 부른다.[3] 목나사처럼 나사산이 테이퍼진 경우 너트를 쓰지 않거나,[3] 판금 나사 등 나사산 형성 나사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나사는 항상 조립을 위해 돌려야 하지만, 캐리지 볼트처럼 설계상 돌아가지 않고 너트만 돌아가는 볼트도 있다.[3]
7. 1. 볼트
강재를 이용해 구조물을 만들 때 볼트를 이용해 강재끼리 접합한다. 이를 '볼트 접합'이라고 하는데, 시공 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주요한 건물의 접합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다. 볼트 접합 시 볼트의 배치는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정렬 배치'와 불규칙적으로 배치하는 '불규칙 배치'(엇모배치)가 있다. 불규칙 배치가 구조적으로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렬 배치를 많이 사용한다.구조 부재에서 긴 방향으로 볼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선을 게이지 라인(gauge line)이라고 하며, 게이지 라인 사이의 간격을 게이지(gauge)라고 한다. 볼트 중심 사이 간격은 피치(pitch)라고 한다. 부재의 가장자리에 있는 볼트 중심에서 측면 끝까지의 거리를 '측단 거리', 길이 방향의 최외단 볼트 중심에서 부재 끝까지의 거리를 '연단 거리'라고 한다.
볼트와 나사의 구별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기계 공학 핸드북(Machinery's Handbook)''에 따르면, 학문적인 구분은 그 의도된 용도에 있다.[3] 볼트는 부품의 나사산이 없는 구멍을 통과하여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도록 설계되었다. 반대로 나사는 자체적인 나사산이 있거나, 자체적으로 내부 나사산을 절삭하는 부품에 사용된다. 이 정의는 실제로 사용되는 적용 분야에 따라 체결구 설명에 모호성을 허용하며, 나사와 볼트라는 용어는 동일하거나 다른 체결구에 대해 다양한 사람이나 다른 국가에서 널리 사용된다. 영국식 용어에서 ''캡 나사(cap screw)''는 머리까지 나사산이 있는 볼트이다.
볼트는 종종 볼트 조인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는 너트가 축 방향 클램핑 힘을 가하고 볼트 생크가 도웰 핀 역할을 하여 측면 전단력에 대해 조인트를 고정하는 조합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볼트는 나사산이 없는 매끄러운 생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더 좋고 더 강력한 도웰 핀을 만들기 때문이다. 나사산이 없는 생크의 존재는 종종 볼트와 나사의 특징으로 제시되지만,[4] 이는 정의하기보다는 그 사용에 부수적인 것이다.
체결구가 고정되는 부품에 자체 나사산을 형성하는 경우, 이를 나사라고 한다.[3] 이는 나사산이 테이퍼진 경우(예: 전통적인 목나사의 경우) 너트의 사용을 배제하거나,[3] 판금 나사 또는 기타 나사산 형성 나사가 사용될 때 가장 명확하다. 나사는 항상 조립하기 위해 돌려야 한다. 많은 볼트는 조립 중에 도구나 캐리지 볼트와 같이 회전하지 않는 볼트의 설계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며, 해당 너트만 돌려진다.[3]
7. 2. 나사
볼트와 나사의 구별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기계 공학 핸드북(Machinery's Handbook)''에 따르면, 학문적인 구분은 그 의도된 용도에 있다.[3] 볼트는 부품의 나사산이 없는 구멍을 통과하여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도록 설계되었다. 반대로 나사는 자체적인 나사산이 있거나, 자체적으로 내부 나사산을 절삭하는 부품에 사용된다. 이 정의는 실제로 사용되는 적용 분야에 따라 체결구 설명에 모호성을 허용하며, 나사와 볼트라는 용어는 동일하거나 다른 체결구에 대해 다양한 사람이나 다른 국가에서 널리 사용된다.
볼트는 종종 볼트 조인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는 너트가 축 방향 클램핑 힘을 가하고 볼트 생크가 도웰 핀 역할을 하여 측면 전단력에 대해 조인트를 고정하는 조합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볼트는 나사산이 없는 매끄러운 생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더 좋고 더 강력한 도웰 핀을 만들기 때문이다. 나사산이 없는 생크의 존재는 종종 볼트와 나사의 특징으로 제시되지만,[4] 이는 정의하기보다는 그 사용에 부수적인 것이다.
체결구가 고정되는 부품에 자체 나사산을 형성하는 경우, 이를 나사라고 한다.[3] 이는 나사산이 테이퍼진 경우(예: 전통적인 목나사의 경우) 너트의 사용을 배제하거나,[3] 판금 나사 또는 기타 나사산 형성 나사가 사용될 때 가장 명확하다. 나사는 항상 조립하기 위해 돌려야 한다. 많은 볼트는 조립 중에 도구나 캐리지 볼트와 같이 회전하지 않는 볼트의 설계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며, 해당 너트만 돌려진다.[3]
8. 볼트 머리 종류
볼트는 나사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머리 디자인을 사용하며, 이는 볼트를 조이는 데 사용되는 도구와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일부 볼트 머리는 볼트를 제자리에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너트 끝에만 도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많은 볼트는 외부 렌치 대신 드라이버 헤드 피팅을 사용한다. 드라이버는 측면에서가 아닌 체결구와 일직선으로 적용된다. 이들은 대부분의 렌치 헤드보다 작으며 일반적으로 동일한 양의 토크를 가할 수 없다. 드라이버 헤드는 나사를 의미하고 렌치는 볼트를 의미한다고 가정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예를 들어, 코치 스크류(래그 스크류)는 테이퍼진 목재 나사 나사산이 있는 큰 사각형 머리 나사로, 철물을 목재에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볼트와 나사 모두에 적용되는 헤드 디자인에는 알렌, Torx, 육각형 및 스플라인 헤드가 있다. 이러한 현대적인 디자인은 다양한 크기를 아우르며 상당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드라이버 스타일 헤드가 있는 나사산 체결구는 너트와 함께 사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종종 머신 스크류라고 한다.[6]
; 육각 구멍 부착 볼트
머리 부분은 원기둥 형으로 육각형의 구멍이 있다. 조임에는 육각 렌치를 사용한다. 고부하·고토크가 필요한 체결부에 적용한다. 또한 육각 볼트에 비해 머리 부분이 작고, 자그리 구멍에 머리 부분을 가라앉혀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JIS B1176) "캡 볼트", "내부 육각 볼트", "헥스 볼트" 등으로도 불린다. 일반 육각 볼트에 비해 머리 부분이 작아지고, 공간 절약으로 외관도 깔끔하다. 또한 무언가에 부딪혔을 때 돌릴 수 없게 될 위험이 작다.[10]
- 버튼 캡 볼트: 머리 부분의 원기둥부가 버튼처럼 반구형이 된 육각 구멍 부착 볼트. 냄비 볼트라고도 한다 (JIS B1174)
- 접시 캡 볼트: 머리 부분이 역원뿔 대 형상으로 된 육각 구멍 부착 볼트. 볼트 머리 부분을 부착면에 내고 싶지 않을 때 사용된다.


; 아이 볼트
머리 부분이 링으로 되어 있는 볼트로, 수송 등의 후크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JIS B1168)
; 나비 볼트
머리 부분이 나비의 날개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는 형상의 볼트. (JIS B1184)
; U 볼트
U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양쪽 끝에 나사가 깎여 있다. 주로 배관(파이프) 고정에 사용한다. (JIS F3022)
; 어저스트 볼트
머리 부분이 바닥면에 닿도록 머리 부분 면적이 커진 볼트. 고무나 수지 등이 붙어 있는 것도 있다. 기기의 높이 조정이나 수평 유지를 위해 사용한다.
; 육각 구멍 부착 멈춤 나사
머리 부분이 없고, 전체 나사이며, 선단 형상은 둥근 선단·평선단·봉선단·토가리 선단·오목 선단 등이 있다. 축의 면에 수직 방향으로 멈추는 경우에 사용한다. 통칭 '''이모 나사'''.
; 앙카 볼트
구조 부재(목재나 철골) 또는 설비 기기를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매립하여 사용한다. 한번 매립하면 빠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 하고이타 볼트
긴 볼트에 구멍 뚫린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다. 주로 목조 축조 공법 건축물에서, 보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의 양쪽 끝에 부착된다. M12 육각 볼트를 구멍에 넣고 보에 고정한다.
; 스터드 볼트

머리 부분이 없고, 양쪽 끝, 또는 전체 나사. 천장부에서의 매달기 등에 사용하는 긴 것, 자동차나 자전거의 휠을 고정하는 매립용 등이 있다.
; 리머 볼트
볼트의 축부를 길게 하고, 축부의 공차를 엄밀하게 관리한 볼트. 볼트 축경과 거의 같은(중간 끼워맞춤) 크기이면서 평활하게 가공한 구멍에 삽입하여, 고도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축부의 틈새가 거의 없는 것으로부터 볼트 축부로의 전단 하중을 담당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8. 1. 일반적인 볼트 머리
일반적인 볼트 머리에는 육각, 슬롯형 육각 와셔 및 소켓 캡이 있다.[5]최초의 볼트는 단조로 만들어진 사각 머리를 가지고 있었다. 오늘날에는 육각 머리가 훨씬 더 흔하다. 이러한 볼트는 다양한 형태의 스패너 또는 소켓으로 잡고 돌린다. 대부분은 측면에서 잡고, 일부는 볼트와 일직선으로 잡는다. 다른 볼트에는 T자형 헤드와 슬롯형 헤드가 있다.[5]

; 육각 볼트
머리 부분이 정육각기둥으로 된 볼트로, 단순히 볼트라고 하면 보통 이 타입을 가리킨다. 육각형의 대변 치수는 두 면 폭이라고 불리며, 두 면에 스패너를 걸어 조임을 한다. (JIS B1180)
육각 구멍 부착 볼트가 "내부 육각 볼트"라고 불리는 것에서, 보통의 육각 볼트를 특별히 나타내기 위해 "외부 육각 볼트"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10]
- 와셔 조립 육각 볼트
- : 와셔가 달린 육각 볼트. 와셔를 조립하고 나서 나사산을 전조하기 때문에 와셔는 빠지지 않는다. (JIS B1187)
8. 2. 기타 볼트 머리
일반적인 볼트 머리에는 육각, 슬롯형 육각 와셔, 소켓 캡 등이 있다.[5]최초의 볼트는 단조로 만들어진 사각 머리를 가지고 있었다. 오늘날에는 육각 머리가 더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사각 머리 볼트도 여전히 발견된다. 육각 머리 볼트는 다양한 형태의 스패너 또는 소켓으로 잡고 돌릴 수 있다. 대부분 측면에서 잡지만, 일부는 볼트와 일직선으로 잡기도 한다. 다른 볼트에는 T자형 헤드와 슬롯형 헤드가 있다.[5]
9. 볼트 종류
강재를 이용해 구조물을 만들 때 볼트를 이용해 강재끼리 접합하는 방식을 '볼트 접합'이라고 한다. 볼트 접합은 시공 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주요 건물의 접합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다. 볼트 접합 시 볼트 배치는 규칙적인 '정렬 배치'와 불규칙적인 '불규칙 배치'(엇모배치)가 있다. 불규칙 배치가 구조적으로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렬 배치를 많이 사용한다.
구조 부재에서 긴 방향으로 볼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선을 게이지 라인(gauge line)이라고 하며, 게이지 라인 사이의 간격을 게이지(gauge)라고 한다. 볼트 중심 사이 간격은 피치(pitch)라고 한다. 부재의 가장자리에 있는 볼트 중심에서 측면 끝까지의 거리를 '측단 거리', 길이 방향의 최외단 볼트 중심에서 부재 끝까지의 거리를 '연단 거리'라고 한다.
- 앵커 볼트: 콘크리트에 물체를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볼트이다. 볼트 머리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가 굳기 전이나 콘크리트를 붓기 전에 배치되어 나사산 끝이 노출되도록 한다.
- 아버 볼트: 와셔가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역 나사산이 있는 볼트이다. 각도 절단기 및 기타 도구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사용 중 자동 조여져 블레이드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 캐리지 볼트: 둥근 머리와 사각 단면이 있어 회전을 방지하고 너트를 위한 나사산이 있는 볼트이다.
- 엘리베이터 볼트: 컨베이어 시스템 설정에 사용되는 크고 평평한 머리가 있는 볼트이다.
- 행거 볼트: 머리가 없고 기계 나사산 본체에 나무 나사산 나사 팁이 있는 볼트이다. 실제로 나사인 것에 너트를 부착할 수 있다.
- 육각 볼트: 육각 머리와 나사산 생크가 있는 볼트이다. 머리 바로 아래 부분은 두꺼운 재료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산이 없을 수 있다.
- J 볼트: J자 모양의 볼트로, 묶어두는 데 사용된다. 너트의 경우 직선 부분만 나사산이 있다.
- 록 볼트: 터널 건설 시 벽을 안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 섹스 볼트 또는 시카고 볼트: 암수 부분이 있고 양쪽 끝에 내부 나사산과 볼트 머리가 있는 볼트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바인딩에 사용된다.
- 숄더 볼트 또는 스트리퍼 볼트: 넓고 매끄러운 생크와 끝에 작은 나사산 부분이 있는 볼트로, 피벗 핀 또는 부착 지점으로 사용된다.
- U 볼트: U자 모양의 볼트로, 두 개의 직선 부분에 나사산이 있다. 두 개의 볼트 구멍이 있는 직선 금속판은 파이프 또는 기타 둥근 물체를 U 볼트에 고정하는 데 너트와 함께 사용된다.
; 육각 볼트
머리 부분이 정육각기둥 모양인 볼트로, 단순히 볼트라고 하면 보통 이 유형을 가리킨다. 육각형의 대변 치수는 두 면 폭이라고 불리며, 두 면에 스패너를 걸어 조인다. (JIS B1180일본어) 육각 구멍 부착 볼트가 "내부 육각 볼트"라고 불리는 것에서, 보통의 육각 볼트를 특별히 나타내기 위해 "외부 육각 볼트"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10]
- 와셔 조립 육각 볼트: 와셔가 달린 육각 볼트. 와셔를 조립하고 나서 나사산을 만들기 때문에 와셔는 빠지지 않는다. (JIS B1187)
; 육각 구멍 부착 볼트
머리 부분은 원기둥 모양으로 육각형의 구멍이 있다. 조임에는 육각 렌치를 사용한다. 고부하·고토크가 필요한 체결부에 적용한다. 또한 육각 볼트에 비해 머리 부분이 작고, 자그리 구멍에 머리 부분을 가라앉혀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JIS B1176) "캡 볼트"나 "내부 육각 볼트", "헥스 볼트" 등으로도 불린다. 일반 육각 볼트에 비해 머리 부분이 작아지고, 공간 절약으로 외관도 깔끔하다. 또한 무언가에 부딪혔을 때 돌릴 수 없게 될 위험이 작다.[10]
- 버튼 캡 볼트: 머리 부분의 원기둥부가 버튼처럼 반구형이 된 육각 구멍 부착 볼트. 냄비 볼트라고도 한다 (JIS B1174)
- 접시 캡 볼트: 머리 부분이 역원뿔 대 형상으로 된 육각 구멍 부착 볼트. 볼트 머리 부분을 부착면에 내고 싶지 않을 때 사용된다.
; 아이 볼트|아이 볼트일본어
머리 부분이 링으로 되어 있는 볼트로, 수송 등의 후크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JIS B1168)
; 나비 볼트
머리 부분이 나비의 날개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조이거나 풀 수 있는 형상의 볼트. (JIS B1184)
; U 볼트
U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양쪽 끝에 나사가 있다. 주로 배관(파이프) 고정에 사용한다. (JIS F3022)
; 어저스트 볼트
머리 부분이 바닥면에 닿도록 머리 부분 면적이 커진 볼트. 고무나 수지 등이 붙어 있는 것도 있다. 기기의 높이 조정이나 수평 유지를 위해 사용된다.
; 육각 구멍 부착 멈춤 나사
머리 부분이 없고, 전체 나사이며, 선단 형상은 둥근 선단·평선단·봉선단·뾰족한 선단·오목 선단 등이 있다. 축의 면에 수직 방향으로 멈추는 경우에 사용한다. 통칭 '''이모 나사'''.
; 앵커 볼트
구조 부재(목재나 철골) 또는 설비 기기를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매립하여 사용한다. 한번 매립하면 빠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 하고이타 볼트|하고이타 볼트일본어
긴 볼트에 구멍 뚫린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있다. 주로 목조 축조 공법일본어 건축물에서, 보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의 양쪽 끝에 부착된다. M12 육각 볼트를 구멍에 넣고 보에 고정한다.
; 스터드 볼트
머리 부분이 없고, 양쪽 끝, 또는 전체 나사이다. 천장부에서의 매달기 등에 사용하는 긴 것, 자동차나 자전거의 휠을 고정하는 매립용 등이 있다.
; 리머 볼트
볼트의 축부를 길게 하고, 축부의 공차를 엄밀하게 관리한 볼트이다. 볼트 축경과 거의 같은(중간 끼워맞춤) 크기이면서 평활하게 가공한 구멍에 삽입하여, 고도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축부의 틈새가 거의 없는 것으로부터 볼트 축부로의 전단 하중을 담당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교량이나 건축물에 사용되는 고강도 볼트이다. 구형 규격의 고력 볼트(F13T, F11T)는 지연 파괴(수소 취성한국어)에 의한 볼트 탈락 등이 문제가 되어, F13T는 도입 후 얼마 지나지 않아, F11T는 1981년 이후에 제조 중지 및 사용 금지되었다.[11][12] 이러한 볼트가 사용된 시기에 건설된 교량에 대해서는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2021년 현재에도 사용 상황 조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13]
9. 1. 토르크형 고력 볼트
주로 구조물이나 철골 건축물에 사용된다. 머리 부분은 둥글고, 나사부 선단은 "핀 테일"이라고 불리며, 정해진 조임 토크에 도달하면 파단된다. 조임에는 셔 렌치를 사용하며, 천천히 조임으로써 조임 축력이 안정되고, 파단 여부로 측정(계측)없이 조임력을 확인할 수 있다. 파단 유무에 따라 조임 누락 확인도 용이하다. 타격계 공구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시공 시의 소음도 없다.[11][12]10. 볼트 재료
KS 규격에 따라 볼트의 종류와 등급이 정해진다. 강철 패스너는 강도 수준에 따라 2, 5, 8 등급 등으로 나뉜다. F10T(M20)와 같이 표기하는데, F는 마찰접합용(For friction grip joint), 10은 인장강도 10tf/cm²을 의미하고, T는 인장 시험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다.[7] M20은 호칭을 나타낸다.
몇 가지 볼트의 설계볼트장력은 다음과 같다.[7]
볼트 등급 | 볼트 호칭 | 공칭 단면적(mm²) | 설계볼트장력 T0(kN) |
---|---|---|---|
F8T | M16 | 201 | 84 |
M20 | 314 | 132 | |
M22 | 380 | 160 | |
M24 | 453 | 190 | |
F10T | M16 | 201 | 106 |
M20 | 314 | 165 | |
M22 | 380 | 200 | |
M24 | 453 | 237 | |
F13T | M16 | 201 | 137 |
M20 | 314 | 214 | |
M22 | 380 | 259 | |
M24 | 453 | 308 |
필요한 강도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패스너에 사용할 수 있다.[7]
- 강철 패스너 (2, 5, 8 등급): 강도 수준에 따라 분류한다.
- 스테인리스강 패스너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내식성이 필요한 곳에 사용한다.
- 청동 및 황동 패스너: 방수 용도로 쓰인다.
- 나일론 패스너: 경량이면서 방수가 되어야 하는 곳에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강철은 모든 패스너 재료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90% 이상을 차지한다.[8]
11. 볼트 접합 (AISC 기준)
강재를 이용해 구조물을 만들 때 볼트를 이용해 강재끼리 접합한다. 이를 '볼트 접합'이라고 하는데, 시공 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주요한 건물의 접합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다. 볼트 접합 시 볼트 배치는 규칙적인 '정렬 배치'와 불규칙적인 '불규칙 배치'(엇모배치)가 있다. 불규칙 배치가 구조적으로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렬 배치를 많이 사용한다.[1]
구조 부재에서 긴 방향으로 볼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선을 게이지 라인(gauge line)이라고 하며, 게이지 라인 사이 간격을 게이지(gauge)라고 한다. 볼트 중심 사이 간격은 피치(pitch)라고 한다. 부재 가장자리에 있는 볼트 중심에서 측면 끝까지 거리를 '측단 거리', 길이 방향 최외단 볼트 중심에서 부재 끝까지 거리를 '연단 거리'라고 한다.[1]
볼트 접합에는 전단 접합, 인장 접합이 있다. 전단 접합은 두 개 혹은 세 개의 피접합재가 양쪽으로 인장되면서, 볼트 구멍 벽이 볼트에 전단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접합을 유지하는데, 이에 따라 피접합재가 두 개인 경우 1면 전단 파괴, 세 개인 경우 2면 전단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인장 접합은 볼트 축 단면이 인장력으로 저항하는 접합을 말한다. 인장 파괴는 볼트가 끊어지는 것을 말한다. 그밖에 피접합재 가장자리가 파괴되는 방식인 '연단부 파괴', '측단부 파괴'가 있다.[1]
고장력 볼트 접합 설계 강도는 접합 종류(마찰 접합, 지압 접합 등)에 따라 설계 미끄럼 강도, 설계 인장 강도 및 설계 전단 강도, 볼트 구멍의 설계 지압 강도 등을 계산하여 가장 작은 값을 채택하여 구한다.[3]
20세기에는 구조용 볼트 비용 감소와 강도 증가로 인해 리벳이 구조용 볼트로 대체되었다. 미국 강철 건설 연구소(AISC)에서는 볼트 구조 연결에 대한 요구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9]
11. 1. 전단 마찰 연결
볼트 접합에는 전단 접합과 인장 접합이 있다. 전단 마찰 연결에서는 연결된 부품의 이동이 사용성 조건이며 볼트는 최소 요구 사전 인장력으로 조여진다. 전단은 볼트의 전단면과 두 부재가 접촉하는 "마찰" 표면의 마찰을 통해 방지된다. 마찰은 법선력에 비례하므로, 연결은 필요한 하중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고 많은 수의 볼트로 크기를 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연결에서 각 볼트의 전단 용량이 크게 감소한다. 미국 강철 건설 연구소(AISC)에서는 볼트 구조 연결에 대한 요구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9]11. 2. 지압 연결
볼트 접합에는 전단 접합, 인장 접합 외에 지압 파괴도 있다. 지압 연결에서 볼트는 전단을 통해 하중을 전달하며 "밀착"될 정도로만 조여진다. 이러한 연결은 전단 마찰 연결보다 적은 수의 볼트가 필요하므로 비용이 덜 드는 대안이다. 일반적인 지압형 연결에는 전단 탭, 보 지지대, 거싯 플레이트, 트러스 등이 있다.미국 강철 건설 연구소(AISC) 13판 강철 설계 매뉴얼 16.1장 J-3절에서는 볼트 구조 연결에 대한 요구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9]
12. 역사
과거에는 너트와 볼트가 수작업으로 제작되어 서로 호환되지 않았다. 조셉 휘트워스는 1841년에 표준화를 제안했지만, 즉시 실현되지는 않았다.[2]
1851년 만국 산업 박람회를 위해 영국 런던 수정궁 건설 시, 표준화된 크기의 너트와 볼트를 사용하여 공사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에 성공했다. 호환 가능한 너트와 볼트 사용은 매우 성공적이어서 휘트워스 표준이 널리 채택되었다. 영국 표준으로는 1905년에 공식 채택되었다.[2]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F13T, F11T 등의 고력 볼트가 사용되었으나, 지연 파괴(수소 취성) 문제로 인해 제조 중지 및 사용 금지되었다.[11][12] 해당 볼트가 사용된 교량 등에 대한 안전성 우려로 인해 2021년 현재에도 사용 상황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Bolt | Definition of Bolt by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2016-04-11
[2]
뉴스
Solved: the mystery of how Victorians built Crystal Palace in just 190 days
https://www.theguard[...]
2024-09-16
[3]
서적
Machinery's Handbook
Industrial Press
1980
[4]
서적
Dyke's Automobile and Gasoline Engine Encyclopedia
null
A. L. Dyke
1919
[5]
웹사이트
What is a bolt?
https://web.archive.[...]
2017-02-13
[6]
웹사이트
Common Machine Screws That Are Used In Everyday Lives
https://www.choongng[...]
2024-10-09
[7]
웹사이트
Fastener Material Selection
http://www.thomasnet[...]
[8]
웹사이트
Fasteners Materials: A usefull reference guide - Boulons Plus
https://www.precisio[...]
2024-10-09
[9]
서적
Steel construction manual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2005
[10]
문서
"作業工具の全て"
グランプリ出版
2004-09-10
[11]
웹사이트
철골Q&A
http://www.sasst.jp/[...]
건축철골구조기술지원협회
2023-08-19
[12]
웹사이트
고력 볼트의 지연 파괴가 진행되는 교량의 진단 - 구조물 유지보수 연구센터 (CAESAR)
https://www.pwri.go.[...]
국립연구개발법인토목연구소
2023-08-19
[13]
웹사이트
현도 방부 정차장선 신교(하행선)의 볼트 빠짐에 따른 긴급 점검 결과 및 향후 대응에 대해 - 야마구치현 홈페이지
https://www.pref.yam[...]
야마구치현
2023-08-19
[14]
문서
건축구조기준 일부개정안(KS 반영)
[15]
문서
볼트 구멍 및 카운터 보어지름(KS B ISO 273)
2010
[16]
서적
강구조공학
구미서관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