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소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소화는 1897년 폴 사바티에에 의해 발견된 반응으로, 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유기 화합물에 수소를 첨가하는 화학 반응이다. 수소화 반응은 니켈, 백금족 원소(루테늄, 로듐, 팔라듐, 백금) 등의 금속 촉매를 사용하여 불포화 탄화수소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단일 결합으로 포화시키는 데 주로 사용된다. 수소화 반응은 불균일 촉매와 균일 촉매로 나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석유화학 공정에서 불포화 화합물을 포화 화합물로 전환하거나, 식품 산업에서 식물성 기름을 마가린과 같은 고체 지방으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암모니아 합성, 메탄올 합성, 불포화 지방산의 수소 첨가 등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유 정제 - 석유코크스
    석유 정제 부산물인 석유코크스는 탄소가 주성분인 고체 물질로, 유형에 따라 미세구조와 화학적 구성이 다르며, 높은 발열량과 환경 문제 유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환경 친화적 기술 개발과 엄격한 환경 관리가 요구된다.
  • 석유 정제 - 알킬화
    알킬화는 유기 화합물에 알킬기를 도입하는 화학 반응으로, 친핵성 및 친전자성 알킬화로 분류되며, 석유화학 및 정밀화학 산업에서 활용되고, 생물학적 알킬화는 DNA 손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 첨가 반응 - 수화 반응
    수화 반응은 불포화 화합물에 물이 첨가되어 새로운 화합물을 만드는 반응으로, 유기화학에서는 알켄, 알킨, 나이트릴 등이 알코올, 알데히드, 아미드 등으로 변환되는 반응을, 무기화학 및 재료화학에서는 시멘트 경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첨가 반응 - 친전자성 첨가 반응
    친전자성 첨가 반응은 알켄이나 알카인의 다중 결합에 친전자체가 첨가되는 반응으로, 할로젠 첨가 반응, 할로겐화 수소 첨가 반응, 수화 반응, 수소 첨가 반응, 옥시수은화 반응, 수소붕소화-산화 반응, 프린스 반응 등이 있다.
  • 합성 연료 기술 - 석탄 가스화
    석탄 가스화는 석탄을 산소, 수증기 또는 물과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기술로, 전력 생산, 화학 원료, 수소 생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환경오염 문제 해결이 과제이다.
  • 합성 연료 기술 - 아세틸렌
    아세틸렌은 두 개의 탄소 원자가 삼중 결합으로 연결된 가장 간단한 알킨으로, 높은 연소 온도 덕분에 용접과 절단에 사용되지만 폭발 위험성 때문에 아세톤에 용해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되며, 화학 물질의 전구체나 생물학적, 천문학적 환경에서도 발견된다.
수소화
반응 정보
이름수소화
반응 조건
촉매니켈 (Ni), 팔라듐 (Pd), 백금 (Pt)

2. 역사

1823년경 상용화된 되베라이너 램프는 백금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를 산소에 첨가하는 반응을 이용한 초기 수소화 반응 장치였다. 수소화 공정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프랑스 화학자 폴 사바티에1897년 니켈 촉매를 이용한 기체 탄화수소 분자에 수소 첨가 반응(사바티에 반응)을 발견하여 1912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1902년 빌헬름 노르만은 액체 오일 수소화에 대한 특허를 획득하여 현재 전 세계적인 산업의 시작을 알렸다. 1905년에 처음 기술된 하버-보슈 공정은 질소의 수소화를 포함하며, 1922년에 보고된 피셔-트롭슈 공정은 일산화 탄소를 액체 연료로 수소화한다.

1930년대에 캘빈은 구리(II) 착물이 H2를 산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2. 1. 초기 발견과 발전

1897년 프랑스의 화학자 폴 사바티에는 미세한 니켈 분말이 에틸렌에 수소를 첨가하는 반응을 촉매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발견으로 사바티에는 191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30] 이후 백금족 원소(루테늄, 로듐, 팔라듐, 백금)와 니켈이 수소화 반응에 효과적인 촉매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02년 독일의 빌헬름 노르만은 액체 기름 수소화에 대한 특허를 획득했으며, 이는 현재 전 세계적인 산업의 시작점이 되었다. 1905년에 기술된 상업적으로 중요한 하버-보슈 공정은 질소의 수소화를 통해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공정이다. 1922년에 보고된 피셔-트롭슈 공정에서는 일산화 탄소가 수소화되어 액체 연료로 전환된다.

1922년, 부르히스(Voorhees)와 아담스(Adams)는 대기압 이상의 압력에서 수소화를 수행하는 장치를 설명했다.[30] 1924년 머레이 레이니는 니켈 기반의 라니 니켈 촉매를 개발하여 수소화 반응의 효율성을 높였다.

2. 2. 균일계 촉매의 등장

1960년대에는 윌킨슨 촉매(RhCl(PPh3)3)와 같이 전이 금속 착물을 사용한 잘 정의된 균일 촉매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 직후 양이온성 Rh과 Ir이 알켄과 카르보닐의 수소화를 촉매한다는 것이 밝혀졌다.[31] 1970년대에는 L-DOPA의 합성에 비대칭 수소화가 시연되었으며, 1990년대에는 노요리 비대칭 수소화가 발명되었다.[32] 균일 수소화의 개발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시작된 옥소 공정 및 치글러-나타 중합에 대한 연구의 영향을 받았다.

1966년 제프리 윌킨슨은 자신이 발견한 로듐 트리(트리페닐포스핀) 클로리드(윌킨슨 촉매)가 수소 가스 중에서 알켄을 수소화하는 촉매가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고활성 촉매의 발견으로부터 반응 용액에 가용성인 촉매를 사용하는 균일계 수소화 반응이 발전하게 된다.

균일계 촉매에서는 1968년 윌리엄 놀스 등에 의해 키랄 포스핀 리간드를 가진 로듐 착체에서 발견되었다. 1971년에는 앙리 카강 등에 의해 DIOP를 리간드로 하는 로듐 착체에서 α,β-불포화아미노산을 수소화하면 높은 에난티오 선택성이 나타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1980년 노요리 료지 등은 BINAP 리간드를 가진 착체가 넓은 기질에 대해 높은 에난티오 선택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업적으로 윌리엄 놀스와 노요리 료지는 200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3. 반응 메커니즘

수소화 반응은 크게 불균일계 촉매 반응과 균일계 촉매 반응으로 나눌 수 있다. 촉매가 없을 때 대부분의 수소 첨가 반응 속도는 무시할 수 있다. 금속 촉매를 사용한 알켄 및 알킨의 수소 첨가 반응 반응 메커니즘은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20] 듀테륨을 이용한 동위원소 표지를 통해 첨가 반응의 위치 화학을 확인할 수 있다.

:RCH=CH2 + D2 -> RCHDCH2D

3. 1. 불균일계 촉매 반응

불균일계 촉매 수소화는 대부분 랭뮤어-힌셜우드 메커니즘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메커니즘은 기질과 수소가 각각 촉매에 흡착되어, 촉매 위에서 만나 반응하는 방식이다. 수소는 흡착 시 수소 원자로 해리된다. 이때 촉매 금속 표면의 격자 결함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 촉매 독은 이 격자 결함에 우선적으로 흡착하여 반응을 방해한다.[21][22]

불포화 결합에 수소가 첨가될 때는, 수소가 원자로 해리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수소 원자가 별도로 첨가되는 2단계 반응이 일어난다. 두 개의 수소 원자는 기본적으로 *syn* 입체 선택성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첫 번째 단계 첨가, 경우에 따라서는 두 번째 단계 첨가도 가역적이며, 역반응 시에는 첨가된 수소 원자와 다른 수소 원자가 촉매 상에서 떨어질 수도 있다. 그 결과, 불포화 결합의 *E*-*Z* 이성질체화나 위치 이동이 일어나고, 거기에서 다시 수소화가 진행되면서 입체 선택성이 다소 낮아질 수 있다.[21][22]

3. 2. 균일계 촉매 반응

균일계 촉매 수소화 반응은 금속 착물에 수소 분자가 산화적으로 부가되어 생성되는 다이하이드리드 착물, 또는 모노하이드리드 착체가 활성종이 되어 진행된다.

윌킨슨 촉매를 사용한 말단 알켄의 수소화 메커니즘.


많은 균일 촉매 수소화 과정에서, 금속은 두 성분에 결합하여 중간체 알켄-금속(H)2 복합체를 형성한다. 일반적인 반응 순서는 다음과 같거나 이와 관련된 일련의 단계로 가정된다.[20]

  • 산화적 첨가를 통해 수소가 이수소화물 복합체에 결합한다(H2의 산화적 첨가에 앞서 이수소 복합체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 알켄이 결합한다.
  • 금속에서 탄소로 한 개의 수소 원자가 이동한다(이동 삽입).
  • 알칸의 동시 해리와 함께 금속에서 알킬기로 두 번째 수소 원자가 이동한다("환원성 제거").


윌킨슨 촉매에서는 다이하이드리드 착체에 올레핀이 π 배위된 후, 올레핀이 금속-수소 결합에 삽입 반응하여 알킬 착체가 되고, 알킬 배위자가 또 다른 하이드리드 배위자와 환원적 탈리하여 생성물인 알칸이 된다. 탈리 후의 촉매에는 수소 분자가 산화적으로 부가됨으로써 다시 다이하이드리드 착체가 재생된다.

아세트산 루테늄계 촉매에서는 모노하이드리드 착체에 올레핀이 π 배위된 후, 올레핀이 금속-수소 결합에 삽입 반응하여 알킬 착체가 되는 것까지는 같다. 여기서 수소 분자의 산화적 부가가 일어나 다이하이드리드 착체가 되고, 이 하이드리드 배위자와 알킬 배위자가 환원적 탈리하여 생성물인 알칸이 되며, 동시에 모노하이드리드 착체가 재생된다.

포스핀-에틸렌디아민-루테늄 착체에서는 카보닐기는 루테늄에 배위하지 않고 에틸렌디아민의 아미노기와의 수소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H−Ru−N−H・・・O=C가 정확히 6원환을 형성하는 형태가 되고, 하이드리드 배위자가 카보닐 탄소를 공격하여 수소화 반응이 진행된다.

4. 촉매

대부분의 경우, 금속 촉매가 없으면 는 유기 화합물에 대해 반응성이 없다. 불포화 기질은 촉매에 화학흡착되며, 대부분의 자리는 기질로 덮여 있다. 불균일 촉매에서 수소는 표면 수소화물(M-H)을 형성하고, 이로부터 수소가 화학흡착된 기질로 전달될 수 있다. 백금, 팔라듐, 로듐, 그리고 루테늄은 고도로 활성적인 촉매를 형성하며, 이는 낮은 온도와 낮은 압력에서 작동한다. 니켈(예: 라니 니켈 및 우루시바라 니켈)을 기반으로 하는 비귀금속 촉매 또한 경제적인 대안으로 개발되었지만, 종종 반응 속도가 느리거나 더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 절충점은 활성(반응 속도) 대 촉매 비용 및 고압 사용에 필요한 장치 비용이다. 라니 니켈 촉매 수소화 반응은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한다.[8][9]

촉매는 일반적으로 균일 촉매와 불균일 촉매 두 가지로 분류된다. 균일 촉매는 불포화 기질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된다. 불균일 촉매는 기질과 동일한 용매에 현탁되거나 기체 상태의 기질로 처리되는 고체이다.

4. 1. 불균일계 촉매

불균일계 촉매는 수소화 반응에서 널리 사용되는 고체 촉매이다. 균일계 촉매와 달리, 불균일계 촉매는 반응물과 같은 용매에 녹지 않고 고체 상태로 존재하며, 반응 후 여과 등을 통해 쉽게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13]

불균일계 촉매는 주로 백금, 팔라듐, 로듐, 루테늄과 같은 백금족 금속, 또는 니켈(라니 니켈, 우루시바라 니켈 등)을 기반으로 한다.[8][9] 이들은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낮은 온도와 낮은 수소 압력에서도 반응이 잘 일어난다. 비귀금속 촉매인 니켈 기반 촉매는 경제적이지만 반응 속도가 느리거나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8][9]

촉매의 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콜로이드, 스펀지 형태, 또는 활성탄, 알루미나, 탄산 칼슘, 황산 바륨과 같은 담체에 분산된 형태로 사용된다.[13] 예를 들어, 탄소에 담지된 백금은 탄소 내에서 염화백금산을 환원시켜 생성한다.

린들러 촉매와 같이 촉매 활성을 조절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피독(poisoning)된 촉매가 사용되기도 한다. 린들러 촉매는 팔라듐황산 바륨 위에 놓고 퀴놀린으로 처리하여 만들어지며, 알킨을 알켄까지만 선택적으로 환원시킨다.[14] 페닐아세틸렌을 스티렌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 사례가 있다.[14]
주요 불균일계 촉매

촉매 종류특징주요 용도
백금족 금속 (Pt, Pd, Ru, Rh) 촉매높은 활성, 낮은 온도/압력 조건에서 사용 가능C=C 이중 결합, C≡C 삼중 결합의 C-C 단일 결합으로 수소화, 방향환 수소화
니켈 (Ni) 촉매 (라니 니켈, 우루시바라 니켈)경제적, 높은 온도/압력 조건 필요C=C 이중 결합, C≡C 삼중 결합의 C-C 단일 결합으로 수소화, 알데하이드케톤의 C=O 이중 결합(카보닐기)을 CH-OH (알코올)로 환원
린들러 촉매 (Pd/BaSO4, 퀴놀린)활성 조절 (피독), 알킨을 알켄으로 선택적 환원C≡C 삼중 결합을 C=C 이중 결합으로 부분 환원
산화 백금(PtO2) (애덤스 촉매)매우 강력한 촉매다양한 작용기의 수소화
구리-산화크롬 촉매C=C 이중 결합보다 카르보닐기를 선택적으로 환원하는 경향에스터의 카르보닐기 환원(고온, 고압 조건)
라니 니켈 촉매 결합 수소화 분해탄소- 결합 수소화 분해



불균일계 촉매를 사용한 수소화 반응의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호리우치-폴라니 메커니즘으로 설명된다.[21][22] 이 메커니즘은 촉매 표면에서의 불포화 결합의 결합, 수소 분자의 해리, 수소 원자의 순차적 첨가 단계를 거친다.

4. 2. 균일계 촉매

균일계 촉매는 불포화 기질을 포함하는 용매에 용해되는 촉매이다. 일반적으로 백금족 금속, 특히 로듐(Rh)과 이리듐(Ir)을 포함하는 배위 착물 형태로 사용된다.[10]

몇 가지 잘 알려진 균일계 촉매는 다음과 같다.

촉매명설명구조
디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II)루테늄 기반 전구체 촉매
180px
크랩트리 촉매이리듐을 포함하는 고활성 촉매
180px
사이클로옥타디엔 로듐 클로라이드 이량체많은 균일계 촉매의 전구체
180px
(S)-iPr-PHOX비대칭 수소화에 사용되는 킬레이트 포스핀 리간드
180px



윌킨슨 촉매를 사용한 말단 알켄의 수소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 산화적 첨가를 통해 수소가 이수소화물 복합체에 결합한다.

# 알켄이 결합한다.

# 금속에서 탄소로 한 개의 수소 원자가 이동한다(이동 삽입).

# 알칸의 동시 해리와 함께 금속에서 알킬기로 두 번째 수소 원자가 이동한다("환원성 제거").

균일계 촉매는 키랄 리간드를 사용하여 비대칭 기질을 수소화하여 비대칭 합성에 사용될 수 있다. 초기에는 L-DOPA의 전구체인 에나미드의 Rh 촉매 수소화에 사용되었다.[10] 로듐 촉매 수소화는 Josiphos 유형의 리간드(Xyliphos라고 함)를 사용하는 제초제 S-메토라클로르의 생산에도 사용되었다.[11]


  • 윌킨슨 촉매는 탄소-탄소 다중 결합을 탄소-탄소 단일 결합으로 환원하는 데 사용된다.
  • 클라브트리 촉매는 윌킨슨 촉매로는 환원할 수 없는 반응성이 낮은 4급 올레핀도 환원할 수 있는 이리듐 촉매이다.
  • 키랄 포스핀-로듐 착체는 α,β-불포화 아미노산을 불균등 수소화하는 데 사용된다. DIOP(다이오프), DIPAMP(다이팜프), BINAP(바이냅), DuPHOS(듀포스) 등이 있다.
  • BINAP 유도체-아세트산 루테늄 착체는 에나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알릴 알코올 등의 불균등 수소화에 유효하다.
  • BINAP 유도체-할로겐화 루테늄 착체는 β-케토에스테르의 불균등 수소화에 유효하다.
  • 포스핀-에틸렌디아민-루테늄 착체는 케톤의 카르보닐기의 수소화에 유효하다. BINAP-광학 활성 에틸렌디아민-루테늄 착체를 사용하면 불균등 수소화가 가능하다.

4. 3. 피독

불균일계 촉매는 반응계 내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물질에 의해 촉매 활성이 크게 저하되는 피독(Poisoning)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14]

피독의 원인이 되는 물질(촉매 독)로는 아민, 황 화합물, 포스핀, 할로겐화물 이온, 일산화 탄소 등이 알려져 있다.[14] 이나 비스무트 등의 금속 이온도 촉매 독으로 작용한다.[14] 이러한 물질들은 촉매 상에서 반응이 진행되는 활성점에 기질보다 우선적으로 흡착되어 촉매 활성을 저하시킨다.[14] 촉매 독이 유기물인 경우에는 열 등을 가하여 탈착시켜 저하된 활성을 재생할 수 있다.[14]

피독은 관능기에 대한 촉매 활성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다. 이를 이용하여 특정 관능기에 대한 촉매 활성만 남긴 피독 촉매를 만들 수 있다.[14] 대표적인 예로는 아세트산 납으로 피독된 린들러 촉매,[14] 로젠문트 환원에 사용되는 퀴놀린과 황으로 피독된 팔라듐 촉매,[14] 니트로벤젠에서 아닐린으로의 환원에 사용되는 황산 니켈에서 만든 니켈 촉매[14] 등이 있다.

5. 용도

촉매 수소화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대부분의 산업적 수소화는 불균일 촉매를 기반으로 한다.[2]


5. 1. 화학 공업

석유화학 공정에서 수소화는 알켄과 방향족 화합물을 포화 알칸(파라핀) 및 사이클로알칸(나프텐)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 포화 탄화수소는 장기간 보관되는 액체 연료로서 우수한 저장 특성을 가지는 반면, 알켄은 과산화수소를 형성하여 연료 취급 장비를 방해하는 검을 형성할 수 있다. 미네랄 터펜틴은 일반적으로 수소화된다. 중질 잔류물을 디젤로 수소 분해하는 것도 또 다른 응용 분야이다. 이성화 및 촉매 개질 공정에서는 촉매에 형성된 석유 코크스를 수소 분해하고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수소 압력을 유지한다.[2]

유기 합성에서 수소화 반응은 불포화 화합물을 포화 유도체로 전환하는 데 유용하다. 기질에는 알켄 및 알킨뿐만 아니라 알데히드, 이민, 니트릴도 포함되며,[29] 이들은 각각 포화 화합물인 알코올아민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1-프로판올은 에텐과 일산화 탄소로부터 생성된 프로피온알데히드로부터 생성된다. 자일리톨은 알데히드인 당 자일로스의 수소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올이다. 1차 아민은 니트릴의 수소화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베르기우스 공정을 통해 석탄을 수소화하여 액체 연료로 전환할 수 있다.

불균일계 촉매에 의한 접촉 수소화 반응은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환원 반응이다. 예를 들어, 석유의 접촉 개질, 접촉 분해 과정에서의 수소화, 질소의 수소화에 의한 암모니아 합성, 일산화 탄소의 수소화에 의한 메탄올 합성이 대규모로 수행된다. 불포화 지방산의 수소 첨가는 마가린 제조 등 식용 유지 가공 분야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

5. 2. 식품 산업



식품 산업에서 수소화는 식물성 기름을 마가린과 같이 빵에 발라 먹거나, 사탕, 제빵 제품 등에 사용되는 고체 또는 반고체 지방으로 바꾸는 데 사용된다. 식물성 기름은 불포화 지방산(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하나 이상 가짐)으로 만들어지는데, 수소화는 이러한 이중 결합 중 일부를 제거한다.[28]

불포화 지방산에 수소를 첨가하는 것은 마가린 제조와 같이 식용 유지 가공 분야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 마가린이나 쇼트닝 등의 경화유는 ''cis''-불포화 지방산에 수소를 첨가하여 만들어진다. 이렇게 하면 융점이 높아져 상온에서 고체가 되고, 요리 등에 사용하기 쉬워진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트랜스 지방산이 부산물로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5. 3. 기타

질소의 수소화는 하버-보슈 공정을 통해 암모니아를 대규모로 합성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약 1%를 차지한다.[25]

일산화 탄소 수소화는 메탄올 합성에 사용된다. 불포화 지방산의 수소 첨가는 마가린 제조와 같은 식용 유지 가공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6. 기타 수소 첨가 반응

전이 수소화 반응은 분자 H|2영어 이외의 수소 공여 분자를 사용하는 반응이다. 히드라진, 개미산, 아이소프로판올과 같은 "희생" 수소 공여체는 반응의 용매 역할을 할 수도 있다.[17]

유기 합성에서 전이 수소화 반응은 케톤, 알데하이드, 이민과 같은 극성 불포화 기질의 비대칭 수소화에 키랄 촉매를 사용하여 유용하다.

전이 상태에서 루테늄-수소 착물로부터 카르보닐로의 두 가지 전이 수소화 반응

6. 1. 일전자 이동형 환원

프로톤성 용매 중에서 아연 등 환원력이 높은 금속을 작용시키면, 할로겐화물은 금속으로부터 한 개의 전자를 받아 음이온 라디칼이 된다.[1] 이후 할로겐화물 이온의 유리와 프로톤화를 거쳐 수소화된 생성물을 얻는다.[1] 액체 암모니아 중에서 방향족 화합물에 알칼리 금속을 작용시키는 버치 환원에서는, 한 개의 전자 이동에 의해 음이온 라디칼이 발생하고 이어서 프로톤화를 받는다.[1] 최종적으로 이수소 부가체가 얻어진다.[1] 이와 같이, 한 개의 전자 이동을 핵심 단계로 하는 일련의 환원 반응을 일전자 이동형 환원이라고 부른다.[1]

6. 2. 금속 수소화물을 이용한 카르보닐 환원

금속 수소화물, 예를 들어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 등을 카르보닐기에 친핵성 부가 반응시키는 반응은 1급, 2급 알코올의 제조법으로 자주 사용된다 (히드리드 환원).[1]

하지만, 수소화 나트륨(NaH)은 금속 수소화물이지만, 나트륨이 카르보닐 산소와 친화성이 낮기 때문에, 히드리드는 친핵성을 나타내지 않고 단순한 수소 수용체 (즉, 염기)로 작용한다.[1]

참조

[1] 서적 Reductions in Organic Chemistry American Chemical Society
[2] 간행물 Hydrogenation and Dehydrogenation Wiley-VCH, Weinheim
[3] 서적 Organometallic Chemistry EDTECH
[4] 서적 Advanced Organic Chemistry 2022-02
[5] 서적 Synthetic Organic Chemicals Springer, New York
[6] 논문 Hydrogenation of nitrobenzene using polymer bound Ru(III) complexes as catalyst
[7] 논문 Hydrogenation of nitrobenzene using polymer anchored Pd(II) complexes as catalyst
[8] 논문 m-Toylybenzylamine
[9] 논문 2-Methyl-1,3-Cyclohexanedione
[10] 논문 Application of organometallic catalysis to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L-DOPA 1986-03
[11] 논문 From a Chiral Switch to a Ligand Portfolio for Asymmetric Catalysis 2007-12
[12] 논문 Asymmetric Catalysis at Chiral Metal Surfaces
[13] 웹사이트 Platinum Heterogeneous Catalysts – Alfa Aesar https://www.alfa.com[...] 2018-04-28
[14] 논문 Palladium Catalyst for Partial Reduction of Acetylenes
[15] 논문 Homogeneous Catalytic Hydrogenation: Dihydrocarvone
[16] 논문 Catalytic Hydrogenation of Maleic Acid at Moderate Pressures A Laboratory Demonstration
[17] 논문 The Golden Age of Transfer Hydrogenation 2015
[18] 논문 Catalytic Hydrogenation of Organic Compounds without H2 Supply: An Electrochemical System
[19] 서적 Shriver & Atkins' inorganic chemistry. W. H. Freeman and Co. 2010
[20] 서적 Metal Dihydrogen and σ-Bond Complexes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1] 간행물 Hydrogenation – Heterogeneous John Wiley & Sons
[22] 논문 Exchange reactions of hydrogen on metallic catalysts
[23] 서적 The Handbook of Homogeneous Hydrogenation Wiley-VCH, Weinheim
[24] 서적 Organotransition Metal Chemistry: From Bonding to Catalysis University Science Books
[25] 간행물 Ammonia
[26] 간행물 Direct Synthesis of Hydrogen Peroxide: Recent Advances Wiley-VCH
[27] 논문 Switching Off Hydrogen Peroxide Hydrogenation in the Direct Synthesis Process 2009-02-20
[28] 간행물 Margarines and Shortenings Wiley-VCH, Weinheim
[29] 논문 Catalytic Hydrogen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Amides, and Nitriles with Homogeneous Catalysts 2014-02-02
[30] 논문 The Use of the Oxides of Platinum for the Catalytic Reduction of Organic Compounds. I 1922
[31] 논문 Catalytic hydrogenation using cationic rhodium complexes. I. Evolution of the catalytic system and the hydrogenation of olefins 1976-04
[32] 간행물 Metal Complexes as Hydrogenation Catalysts
[33] 논문 Homogeneous Hydrogenation in the Absence of Transition-Metal Catalysts
[34] 논문 Hydrogenation without a Transition-Metal Catalyst:  On the Mechanism of the Base-Catalyzed Hydrogenation of Ketones
[35] 논문 Metal-Free Catalytic Hydrogenation
[36] 논문 A Nonmetal Catalyst for Molecular Hydrogen Activation with Comparable Catalytic Hydrogenation Capability to Noble Metal Catalyst https://figshare.com[...]
[37] 논문 Apparatus for catalytic reduction 1928
[38] 논문 Mechanically agitated gas–liquid reactors
[39] 서적 Reductions in Organic Chemistry American Chemical Society
[40] 간행물 Giants of the Past: The Battle Over Hydrogenation (1903–1920) http://www.ars.usda.[...] Inform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