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수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수의학은 동물 건강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학문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기원전 2000년경 수메르 문화에서 세계 최초의 수의사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이집트, 중국, 인도 등 고대 문명에서도 동물 질병 치료에 대한 기록이 존재한다. 1762년 프랑스 리옹에 최초의 수의과 대학이 설립되면서 교육 시스템이 갖춰졌고, 20세기에는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문 분야가 세분화되었다. 현재 수의학은 기초, 예방, 임상 수의학으로 나뉘며, 조류, 수생 동물, 야생 동물 등 진료 대상에 따라 세분화되기도 한다. 수의사는 동물의 건강을 관리하고, 식품 안전 및 공중 보건, 동물 복지, 생명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의학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는 1947년 설립되어 전북특별자치도에 여러 캠퍼스를 둔 거점국립대학교로,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기록했다.
  • 수의학 -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며, 제작진이 검찰 수사를 받고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언론의 자유와 사법부의 독립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 대한민국에 관한 - 간호사
    의학적, 간호 지침을 포함한 간호사의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 대한민국에 관한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수의학
개요
학문 분야의학
대상비인간 동물
세부 분야
주요 분야임상 수의학
예방 수의학
비교 병리학
수의 공중 보건학
관련 직업
직업수의사
관련 직업수의 보조사, 수의 기사
기타
관련 질병인수공통감염병
관련 학술지수의 과학 (Veterinary Sciences)

2. 수의학의 역사

수의학은 인류가 동물을 가축화하면서 시작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동로마 제국 시대에 집필된 말의 의학서 『Hippiatrica영어』에는 설사 치료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기원전 3세기의 인도에서 쓰여진 수의학 서적 『Shalihotra영어』의 사본에는 말의 눈 수술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외에도 코끼리와 말의 치료 및 질병 예방 등에 대해서도 기술되어 있다.

동로마 제국 시대에 집필된 말의 의학서 『』에서 설사 치료


기원전 3세기의 인도에서 쓰여진 수의학 서적 『』의 사본에서 말의 눈 수술에 대해.


최초의 수의학 학교는 1762년 1월 1일 프랑스에서 루이 15세의 마술 교사 Claude Bourgelat영어에 의해 창설된 국립 리옹 수의학교(2010년, 합병으로 VetAgro Sup영어으로 명칭 변경)이다. 1764년 6월 3일에는 왕립 학교로 승격되었다.[30]

일본에서는 오오쿠니누시이나바의 흰 토끼의 가죽을 치료한 신화가 전해지며, 『일본서기』에는 오오쿠니누시와 스쿠나비코나가 축산의 질병을 치료했다는 기록이 있다.[31] 스이코 천황 시대에는 쇼토쿠 태자 등이 고구려에서 건너온 혜자에게서 요마의 법을 배웠다고 한다.[31]

20세기에는 대부분의 동물 종에 대해 진단 및 치료 기술이 발전하면서 수의학은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인슐린 주사, 치근관 충전, 인공 고관절 치환, 백내장 치료, 심장 박동기 설치 등 인간과 유사한 치과, 외과적 의료가 동물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최근 수의학은 더욱 전문화되어, 미국 수의학 협회(AVMA)에서는 외과학, 내과학, 심장병학, 피부학, 신경학, 종양학, 방사선학, 행동학, 마취학, 응급 의료 등 20개의 전문 과목을 인정하고 있다.

일본의 수의학 교육은 가축 해부학, 가축 생리학 등 다양한 전문 과목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본에서 수의학 교육 초기에는 개, 고양이와 같은 소동물 관련 학문 발전은 부차적이었고, 농상무성 수역 연구실의 도키시게 하츠쿠마 등의 노력은 메이지 유신 이후 식생활 서구화에 따른 가축 생산성 향상 및 군마 생산, 질병 예방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2. 1. 고대 수의학

고고학적 증거로, 개두술을 시행한 소의 두개골 형태를 통해 사람들이 신석기 시대 (기원전 3400-3000년)에 수의학적 시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기원전 2천년 초의 수의학에 관한 ''카훈 파피루스''의 조각


이집트어로 쓰인 ''카훈 파피루스'' (이집트 제12왕조)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수의학 기록이다.

아쇼카 시대의 ''샬리호트라 삼히타''는 초기 인도의 수의학 저술이다. 아쇼카의 칙령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피야다시 왕 (아쇼카)은 모든 곳에서 두 종류의 약 (चिकित्सा)을 제공했는데, 하나는 사람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동물을 위한 것이다. 사람과 동물을 위한 본초 치료가 없는 곳에서는 이를 사서 심도록 명령했다."

''히피아트리카''는 서기 5, 6세기에 쓰인 히피아트릭스에 관한 비잔틴 시대의 편집물이다.[3]

신석기 시대의 소 유골에서 천두술의 흔적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 시대에 수의학에 대한 생각이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25]

기원전 2,000년경의 수메르 문화에서 세계 최초의 수의사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26]

이집트 제12왕조 시대(기원전 1991년 - 기원전 1782년경)에 쓰여진 의학서에서도 동물 치료에 관한 기술이 확인된다.

중국에서는 신석기 시대 앙소 문화의 취락 유적 등에서 가축용 울타리와 함께 배설물을 모아둔 장소가 발견되어 위생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갑골 문자에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사용되는 병명으로 기생충과 치통 등이 있으며, 돼지의 거세를 나타내는 글자가 있다.[27][28] 또한, 병마용에 있는 말의 조각상이 환마 (거세된 말)라는 지적도 있다.[29]

2. 2. 중세 및 근대 수의학

클로드 부르젤라


클로드 부르젤라는 1762년 리옹에 최초의 수의과 대학을 설립했다.[6] 소역병 피해를 본 부르젤라는 치료법을 찾기 위해 1761년 리옹에 수의과 대학을 설립하고 학생들을 파견하여 질병과 싸우게 했다.[7] 이 학교는 18세기에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으며, 인의학, 박물학, 비교 해부학 분야를 활용했다.[8]

스웨덴의 수의학 교육은 1774년에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1775년 5월 8일 구스타프 3세 국왕이 관련 문서에 서명하면서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9][10][11] 칼 폰 린네 아래에서 공부한 페테르 헤르니스트는 클로드 부르젤라와 함께 리옹에서도 공부했으며, 학교의 교장이었고 스웨덴 수의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오디햄 농업 협회는 1783년 영국에서 농업제조업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12] 영국의 수의학 전문직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토마스 버지스는 아픈 동물에 대한 더 인도적인 치료를 위해 캠페인을 시작했다.[13] 1785년 협회 회의에서는 "합리적인 과학적 원리에 따라 마술 연구를 장려"하기로 결의했다.

의사 제임스 클라크는 수의학 거래의 전문화와 수의과 대학 설립을 주장했으며, 이는 1790년 그랜빌 펜의 캠페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는 프랑스인 베누아 비알 드 생 벨을 설득하여 런던에 새로 설립된 수의과 대학의 교수로 받아들이게 했다.[12] 왕립 수의 외과 대학은 1844년 왕실 칙허장에 의해 설립되었다. 수의 과학은 19세기 말에 발전했으며, 존 맥페디언 경의 주목할 만한 기여가 있었다.[14]

미국에서는 19세기 초에 보스턴, 뉴욕, 필라델피아에 최초의 학교가 설립되었다. 1879년 아이오와 농업 대학은 수의학 학교를 설립한 최초의 토지 무상 지원 대학이 되었다.[15]

최초의 수의과 대학은 1762년 프랑스 리옹에 설립되었다. 이는 프랑스 국왕 루이 15세의 마술 교사였던 클로드 부르젤라가 국가 회의를 거쳐 창설한 대학으로, 1764년 왕립 학교로 승격되었다.[30]

2. 3. 한국 수의학의 역사

일본서기에는 오오쿠니누시가 동물의 질병을 치료했다는 이야기가 있다.[31] 고구려의 승려 혜자쇼토쿠 태자에게 요마의 법을 전수했다.[31]

조선시대에는 수의학 관련 서적이 있었지만, 서양 수의학 도입 이전까지는 비전으로 여겨졌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은 서구화에 대응하여 가축 생산성 향상 및 군마 생산을 위해 수의학을 발전시켰다.

3. 수의학의 종류

수의학은 연구 및 진료 대상,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크게 기초, 예방, 임상 수의학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진료 대상에 따라서도 세분화된다.


  • 기초 수의학: 수의해부학, 수의조직학, 수의발생학, 수의생리학, 수의생화학, 수의면역학 등
  • 예방 수의학: 수의공중보건학, 수의기생충학, 수의세균학, 수의바이러스학, 수의병리학, 수의약리학, 수의독성학, 수의통계학, 수의전염병학 등
  • 임상 수의학: 수의임상병리학, 수의영상의학, 수의마취학, 수의내과학, 수의외과학, 수의산과학, 수의치과학, 수의안과학, 수의피부과학 등[1]


진료 대상별 수의학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조류질병학
  • 수생동물의학
  • 실험동물의학
  • 야생동물의학
  • 반려동물의학
  • 산업동물의학

3. 1. 기초 수의학

수의해부학, 수의조직학, 수의발생학, 수의생리학, 수의생화학, 수의면역학 등이 있다.

3. 2. 예방 수의학

수의공중보건학, 수의기생충학, 수의세균학, 수의바이러스학, 수의병리학, 수의약리학, 수의독성학, 수의통계학, 수의전염병학 등이 있다.

3. 3. 임상 수의학

임상 수의학에는 수의임상병리학, 수의영상의학, 수의마취학, 수의내과학, 수의외과학, 수의산과학, 수의치과학, 수의안과학, 수의피부과학 등이 있다.[1] 인간 의료와 마찬가지로, 수의학 실천에 본래 필요한 것은 환축의 요구에 응하는 다양한 전문 분야를 가진 수의사 집단이다.[1]

3. 4. 진료 대상별 수의학


  • 조류질병학
  • 수생동물의학
  • 실험동물의학
  • 야생동물의학
  • 반려동물의학
  • 산업동물의학

4. 수의학의 교육

수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교육과 국가시험 합격이 필요하다. 수의과대학, 수의학 연구과 등에서 교육을 실시하며, 수의사 국가시험을 통해 해당 국가에서 수의사로 일할 수 있다. 일본의 경우 6세기 말 혜자가 쇼토쿠 태자와 다치바나노 이노히토에게 요마술(태자류 요마술)을 가르쳤고,[40][28] 9세기에는 견당사로 건너간 스즈야마 사콘쇼겐 다이라노 나카쿠니가 대연이라는 마의에게서 나카쿠니류 요마술을 배웠다. 나카쿠니류는 18대 후손인 진신카이 뉴도 마사치카(후지와라노 마사치카)에 의해 구와지마류로 이어졌다. 이러한 요마술은 세습제, 도제 방식으로 비밀리에 전해졌으며, 마서, 마의서 등의 서적이 남아있지만 서양 수의학이 전해지기 전까지 비전으로 여겨졌다.[41][42]

4. 1. 한국의 수의학 교육

한국의 수의과대학은 6년제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수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수의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4. 2. 외국의 수의학 교육

수의과대학이나 수의학 연구과 등에서 대학교육을 실시한다. 일본에서 수의사로 활동하려면 수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 수의사로 활동하려면 해당 국가의 시험 및 면허가 필요하다. (북미 수의사 시험(ECFVG)[38], 유럽 수의학 교육 인증(EAEVE 인증)[39] 등)

5. 수의학의 전문 분야

현대 수의학은 다양한 전문 분야로 세분화되고 있다. 임상 수의학은 내과, 외과, 피부과, 안과, 치과 등 세부 전문 분야로 나뉜다. 구미권에서는 수의사의 전문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한 명의 수의사가 여러 진료과를 담당하는 경우가 흔하며, 전문성이 부족한 경우도 있다.[1]

5. 1. 수의학 관련 직업

수의학적 관리는 보통 수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수의사가 주도한다. 대부분의 수의사는 임상 환경에서 직접 동물을 치료하며, 애완동물, 가축, 실험 동물, 동물원 동물, 등을 전문으로 하거나, 수의 외과, 피부과, 심장과, 신경과, 실험 동물 의학, 내과 등 좁은 의학 분야를 전문으로 하기도 한다.

미국 및 남아프리카 군 수의 기술자들이 개를 중성화 수술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수의사의 업무를 돕는 수의 보조 인력에는 수의 간호사, 수의 기술자 및 수의 보조자가 있다.[1] 이들은 기술 및 자격에 따라 자체적인 업무 범위 내에서 일하거나 경미한 수술을 수행하기도 한다.

근골격계 질환을 다루는 정골요법사, 카이로프랙터, 물리치료사와 같이 인의학에서도 발견되는 역할도 있다. 동물 미용과 동물 마사지처럼 인간 사회에도 유사한 역할이 있는 경우도 있고, 말의 편자를 만들고 부착하는 대장장이와 같이 특정 동물에 특화된 역할도 있다.

일본에서는 한 명의 수의사가 여러 진료과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으며, 기술적 보조를 담당하는 수의사 외 직원을 두는 동물병원도 많다.

6. 수의학의 기여 분야

수의학은 가축의 건강 유지를 통해 식품 공급에 기여하며, 생물학, 화학, 농학, 약학 연구 등에도 관여한다.[32]

많은 국가에서 수의학은 특수한 분야로 여겨진다. 임상 활동은 주로 운동기·산통(가축으로 사육되는 말의 주요 사망 원인)을 포함하는 소화기, 정형외과, 호흡기 감염증 문제에 대처한다.

동물 의학(zoologic medicine)은 동물원 및 야생 동물의 건강 관리를 포함하며, 야생 동물 보호도 수행한다.

6. 1. 식품 안전 및 공중 보건

수의사는 가축의 건강 유지를 통해 식품 공급의 질, 양 및 안전 측면에 기여한다.[32]

예를 들어, 가축의 건강 유지·번식 등에 관련된 산업 동물 임상 수의사[32], 축산물 위생 관리법에 따라 도축장에 배치되는 위생 관리 책임자[33], 도축 검사원[34][35], 공항에서 감염증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검역을 수행하는 가축 방역관[36], 양식어의 건강 관리 등을 수행하는 수산 수의사[37] 등이 수의사가 수행하는 역할이다.

6. 2. 생명 과학 연구

수의학 연구는 동물의 질병 예방, 관리, 진단 및 치료뿐만 아니라 동물의 기본 생물학, 복지 및 관리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18] 이는 종의 경계를 넘어, 사람과 동물의 질병에 대한 자연 발생적 모델과 실험적으로 유도된 모델 연구, 식품 안전, 야생 동물 및 생태계 건강, 인수공통감염병, 공공 정책 등 인간-동물 인터페이스에서의 연구를 포괄한다.[18]

수의학은 생물학, 화학, 약학 연구 등에도 기여한다.

인간에게도 감염되는 질병, 가축, 양식어, 꿀벌 등의 산업 동물 질병을 연구하며, 야생 동물 질병 연구도 수행한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인수공통감염병
  • Wildlife disease|야생동물 질병영어 - 인간에게 감염되지 않지만, 야생 동물 종 고유의 질병 등을 연구한다.
  • 어병학 - 어류(양식어, 가리비, 굴 등)의 질병을 다룬다.
  • Medical entomology|곤충 의학영어 - 꿀벌 등 산업 동물 및 곤충의 질병을 다룬다.


2011년 브라질에서는 야생 동물의 병변 치료를 위해 재생 줄기 세포 치료를 처음으로 사용한 기록이 있다.[24] 당시 브라질리아 동물원은 차에 치인 갈기늑대를 치료하기 위해 줄기 세포를 사용했고, 늑대는 완전히 회복되어 자연으로 돌아갔다.[24]

새끼 고양이 입양 전 검사

7. 관련 학문

수의학은 농학(축산학, 수산학) 및 환경학(생태학)과 관련이 깊다.

7. 1. 농학

7. 2. 환경학

생태학

참조

[1] 웹사이트 Veterinary Assistant vs. Veterinary Technician - A Comparison https://vetcareersch[...] Prof. Melissa Crist 2020-12-22
[2] 논문 Earliest Animal Cranial Surgery: from Cow to Man in the Neolithic 2018-04-19
[3] 간행물 Hippiatrica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9-27
[4] 서적 Veterinary Medicine: A Guide to Historical Source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04
[5]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The Counter-Reformation and price revolution, 1559–161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6] 문서 Claude Bourgelat: avocat des vétérinaires Bruxelles 1971
[7] 문서 Modern Practical Farriery 1879
[8] 논문 A cabinet of the ordinary: domesticating veterinary education, 1766–1799 2018
[9] 웹사이트 Peter (Pehr) Hernquist https://sok.riksarki[...]
[10] 웹사이트 Om Hernquist https://www.slu.se/o[...]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11] 서적 Peter Hernquist från Härlunda eterinärhistoriska muséets meddelandeserie, meddelande nr 38 1996
[12] 간행물 From Farriery to Veterinary Medicine 1785–1795 Heffner, Cambridge (for RCVS) 1962
[13] 간행물 The Royal Veterinary College London, A Bicentenary History Barracuda Books Ltd 1990
[14] 웹사이트 Exacting researcher brought profession into modern age https://www.avma.org[...]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011-04-18
[15] 서적 Michigan Agricultural College: The Evolution Of A Land-Grant Philosophy, 1855–1925 https://books.google[...] MSU Press 2005
[16] 웹사이트 How to Become a Veterinarian - Guide + Degree Timeline https://www.inspiraa[...] 2024-08-15
[17] 웹사이트 Rooster Undergoes World's First Cataract Surgery http://ifpnews.com/e[...] 2018-04-22
[18] 서적 Critical Needs for Research in Veterinary Science. National Academies Press (US) 2005
[19] 웹사이트 Top Global Pharmaceutical Company Report https://torreya.com/[...] 2022-12-29
[20] 논문 Quality of reporting of clinical trials of dogs and cats and associations with treatment effects. 2010
[21] 논문 Deficiencies of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studies in veterinary medicine: a cross-sectional survey of ten leading veterinary and medical journals 2016
[22] 논문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FDA Green Book-Approved Veterinary Drugs and Roles in Human Medicine https://pubs.acs.org[...] 2020-12-24
[23] 논문 Community animal health services for improving household wealth and health status of low income farmers 2006-04-19
[24] 뉴스 Tratamento Conselho Federal de Medicina Veterinária 2011-01-11
[25] 논문 Earliest Animal Cranial Surgery: from Cow to Man in the Neolithic https://www.nature.c[...] 2018-04-19
[26] 문서 獣医史学 東京大学 獣医学専攻獣医病理学研究室
[27] 웹사이트 中国兽医史 http://agri-history.[...] 2023-02-04
[28] 웹사이트 日本在来馬と西洋馬--獣医療の進展と日欧獣医学交流史 https://cir.nii.ac.j[...] 2011-06
[29] 논문 秦馬の実像 https://doi.org/10.1[...] "[출판사불명]" 2021-06-20
[30] 논문 フランスの獣医大学と大学制度 https://doi.org/10.1[...] 1986
[31] 학위논문 日本獣医学史 http://id.nii.ac.jp/[...]
[32] 웹사이트 家畜の健康を支える 獣医師の仕事を知ろう:農林水産省 https://www.maff.go.[...] 2023-02-01
[33] 법률 と畜場法
[34] 법률 と畜場法施行令
[35] 웹사이트 食肉の検査-とちく検査とは|たべもの安全情報館 https://www.hokeniry[...] 2023-02-02
[36] 웹사이트 病気から守るために【家畜防疫官】:農林水産省 https://www.maff.go.[...] 2023-02-01
[37] 웹사이트 養殖業の発展を支える 水産獣医師の活動:農林水産省 https://www.maff.go.[...] 2023-02-01
[38] 웹사이트 日本獣医学会 Q&A アメリカの獣医師試験を受験するには https://www.jsvetsci[...] 2023-02-01
[39] 웹사이트 EAEVEとは|VetNorth Japan 北海道大学・帯広畜産大学 共同獣医学課程 https://www.vetmed.h[...] 2023-02-01
[40] 웹사이트 日本獣医学発展史年表 https://conf.adthree[...]
[41] 웹사이트 本邦獣医学の伝承と伝播 https://cir.nii.ac.j[...] 2023-02-04
[42] 웹사이트 馬医術秘伝書 https://www.iiif.ku-[...] 2023-02-04
[43] 법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대한민국법률 제9932호 2010-01-18
[44] 웹인용 학장 인사말 http://vetmed.chungb[...]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2007-06-03
[45] 서적 Veterinary epidemiology http://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1-11-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