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팔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주팔봉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명소로, 칼바위, 팔봉폭포, 캠핑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칼바위는 옥천 누층군의 문주리층으로 구성된 암석이며, 조선 시대 이자가 유배된 곳이자 철종이 방문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1583년에는 이자와 이연경을 기리기 위해 계탄서원이 건립되었으며, 드라마 빈센조의 촬영지로도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주시의 관광지 - 수안보온천
수안보온천은 대한민국 최초의 자연 용출 온천으로 고려 시대부터 역사가 기록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태조 이성계가 찾았으며, 충주시에서 수질을 중앙집중관리하는 pH 8.3의 약알칼리성 온천수로서 무색, 무취, 무미, 투명한 특징을 가진 명소이다. - 충주시의 관광지 - 충주댐
충주댐은 남한강에 건설된 콘크리트 중력식 댐으로, 홍수 조절, 용수 공급, 전력 생산, 관광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며, 본댐과 조정지댐으로 구성된다. - 충주시의 지리 - 요도천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요도천에 대한 요약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충주시의 지리 - 달천
달천은 특정 하천이 아닌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명으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등의 달천과 그 지류들의 위치, 수질, 기능, 환경 문제 등을 다루고 있으며, 일부 지류는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 충청북도의 지리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지리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수주팔봉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수주팔봉 정보 | |
이름 | 수주팔봉 |
높이 | 493 |
![]() | |
위치 | 충청북도 충주시 |
2. 역사
수주팔봉은 조선 시대부터 그 아름다움으로 이름난 곳이었다. 16세기에는 기묘사화 이후 이자(李耔)가 이곳으로 유배되어 생활했으며, 그를 추모하기 위해 1583년 계탄서원이 건립되었다.[3][4] 이자는 이곳에서 이연경(李延慶) 등과 교류하였고, 이들의 학문적 자취는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철종 임금 또한 수주팔봉의 명성을 듣고 직접 방문하여 달천의 아름다운 경치에 감탄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당시 왕이 도착했던 나루터와 마을은 오늘날까지 '어림포', '왕답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1] 이처럼 수주팔봉은 오랜 역사 속에서 문인과 왕족들이 찾았던 유서 깊은 장소이다.
2. 1. 조선시대 이자의 유배지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와 김정은 귀양을 간 뒤 사사되었으며, 이자(李耔)는 훈구파 남곤(南袞)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고 유배길에 올랐다. 첫 유배지는 용인 지곡동이었고, 두 번째 유배지는 음성 음애동이었다. 1529년, 세 번째 유배지로 충주 토계리에 있는 수주팔봉의 칼바위(劍巖)에 도착했다.[3][4]이자는 이곳 칼바위에 몽암(夢庵)이라는 거처를 짓고 생활했으며, 1519년 기묘사화 이후 충주에 내려와 살고 있던 이연경(李延慶)과 교류하며 학문을 나누었다.[3][4]
1533년 이자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1582년 충청감사 김우굉(金宇宏)과 충주목사 이선(李選)이 뜻을 모아 이듬해인 1583년 계탄서원을 건립하였다. 서원의 이름 '계탄'은 이자의 호인 계옹(溪翁)과 이연경의 호인 탄수(灘叟)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이들 두 선생에게 가르침을 받았던 노수신은 계탄서원의 완공을 기뻐하며 '칼바위(劍巖)'라는 제목의 시를 지었다. 현지 안내문에 소개된 시는 다음과 같다.[3][4]
험준한 칼바위 돌아깊은 토계 흐르고
두 노선생 이곳에서 만나 회포를 풀었지
옛 집 황량해 옛날부터 마음 아팠는데
이제 크고 화려한 집 새로 지으니 경사로세
맑고 투명한 가락에 용울음소리 멈추고
제례가 봉황에 의지해 어둠을 밝히네
이제 관리를 보내 서원 경영 시작되었으니
꿈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고삐와 옷깃 다잡네.
- 칼바위, '황경문의 검암시에 차운하다'
철종 임금과 관련된 일화도 전해진다. 어느 날 철종이 꿈속에서 여덟 개의 봉우리가 비치는 아름다운 물가에서 노닐었는데, 발밑으로 수달이 오가는 모습이 마치 신선 세계에 있는 듯 생생했다고 한다. 왕이 이 꿈 이야기를 영의정에게 하자, 이조판서가 "그곳은 바로 충주의 수주팔봉입니다"라고 아뢰었다. 이에 철종이 직접 수주팔봉을 찾아 배를 타고 칼바위 아래에 이르렀고, 그 경치에 감탄하며 달천에 발을 담그고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이때 왕이 도착했던 나루터와 마을은 오늘날에도 '어림포', '왕답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1]
2. 2. 계탄서원
1519년 기묘사화로 조광조와 김정이 사형당하고, 이자(李耔)는 훈구파 남곤(南袞)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져 귀양길에 올랐다. 여러 차례 귀양지를 옮기던 이자는 1529년, 수주팔봉이 있는 충주 토계리 칼바위(劍巖)에 도착했다. 그는 이곳에 몽암(夢庵)이라는 거처를 짓고, 1519년 기묘사화 이후 충주에 내려와 살고 있던 이연경(李延慶)과 교류하며 지냈다.1533년 이자가 세상을 떠나자, 후학들은 그를 기리기 위해 서원 건립을 추진했다. 1582년 충청감사 김우굉(金宇宏)과 충주목사 이선(李選)의 주도로 1583년 마침내 계탄서원이 세워졌다. 서원의 이름 '계탄(溪灘)'은 이자의 호인 계옹(溪翁)과 이연경의 호인 탄수(灘叟)에서 한 글자씩 따와 지은 것이다.
이자와 이연경 두 선생에게 가르침을 받았던 노수신은 계탄서원의 완성을 기뻐하며 '칼바위(劍巖)'라는 제목의 시를 지었다. 현지 안내문에 소개된 시는 다음과 같다.[3][4]
:험준한 칼바위 돌아깊은 토계 흐르고
:두 노선생 이곳에서 만나 회포를 풀었지
:옛 집 황량해 옛날부터 마음 아팠는데
:이제 크고 화려한 집 새로 지으니 경사로세
:맑고 투명한 가락에 용울음소리 멈추고
:제례가 봉황에 의지해 어둠을 밝히네
:이제 관리를 보내 서원 경영 시작되었으니
:꿈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고삐와 옷깃 다잡네.
::— 노수신, '칼바위' (황경문의 검암시에 차운하다)
2. 3. 철종과 수주팔봉
조선 철종 때의 일화가 전해진다. 어느 날 왕이 꿈속에서 여덟 개의 봉우리가 비치는 아름다운 물가에서 발을 담그고 노는데, 발밑으로 수달이 오가는 것을 보았다. 마치 그림 같은 풍경 속 신선이 된 듯한 생생한 꿈이었다. 꿈에서 깬 철종은 영의정을 불러 꿈 이야기를 했고, 이야기를 들은 이조판서가 "충주의 수주팔봉이 바로 꿈에서 보신 그곳입니다"라고 아뢰었다. 이에 철종은 직접 수주팔봉을 찾아 나섰다. 배를 타고 수주팔봉 칼바위 아래에 도착한 철종은 그 경치에 감탄하며 달천에 발을 담그고 한동안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이때 왕이 도착했던 나루터와 마을은 오늘날 '어림포', '왕답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1]3. 지질
수주팔봉에서 가장 높은 바위인 칼바위[劍巖]는 지질학적으로 옥천 누층군의 변성퇴적암 지층인 문주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5]
3. 1. 문주리층
칼바위는 수주팔봉에서 가장 높은 바위로, 지질학적으로 옥천 누층군의 변성퇴적암 지층인 문주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주리층은 충주호 지역에서 수주팔봉을 지나 괴산군 장연면 조곡리 지역까지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는데, 수주팔봉 일대에서 그 폭이 가장 넓어진다. 충주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문주리층의 주요 암석은 담녹색 녹니석편암이며, 문주리층이 분포하는 지역은 옥천 누층군 분포 지역 중 지형적 기복이 가장 심한 지형을 형성한다. 특히 하부층인 황강리층과는 지형적으로도 구별이 가능하며, 달천 변의 팔봉-하문리 구간은 절벽을 이루고 있다.[5]3. 2. 지형적 특징
수주팔봉에서 가장 높은 바위인 칼바위[劍巖]는 지질학적으로 옥천 누층군의 변성퇴적암 지층인 문주리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렁다리와 나무데크길이 설치되어 있다. 문주리층은 충주호 지역에서 수주팔봉을 지나 괴산군 장연면 조곡리 지역까지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하며, 수주팔봉 일대에서 그 폭이 가장 넓어진다. 충주 지질도폭(1965)에 따르면, 문주리층의 주요 암석은 담녹색 녹니석편암이다. 문주리층이 분포하는 지역은 지형적으로 옥천계 분포 지역 중 가장 기복이 심한 지형을 형성하며, 특히 하부층인 황강리층과는 지형적으로도 구별된다. 달천변의 팔봉-하문리 구간은 절벽을 이루고 있다.[5]4. 명소
수주팔봉에는 여러 명소가 있다. 가장 높은 바위인 칼바위는 기묘사화와 관련된 이자, 이연경의 이야기와 철종의 일화가 전해지는 역사적인 장소이다. 칼바위 아래에는 인공적으로 조성된 팔봉폭포가 있으며, 달천 건너편에는 수주팔봉 캠핑장이 마련되어 있어 수려한 경관 속에서 야영을 즐길 수 있다.
4. 1. 칼바위
칼바위[劍巖]는 수주팔봉에서 가장 높은 바위이다. 지질학적으로 옥천 누층군 문주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광객의 접근을 돕기 위해 출렁다리와 나무데크길이 설치되어 있다.1519년 기묘사화가 일어나 조광조 등이 사형당했을 때, 이자(李耔)는 훈구파 남곤(南袞)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고 귀양길에 올랐다. 그는 용인과 음성을 거쳐 1529년 세 번째 귀양지로 이곳 충주 토계리의 칼바위(劍巖)에 오게 되었다. 이자는 이곳에 몽암(夢庵)이라는 거처를 짓고, 비슷한 시기 기묘사화로 충주에 내려와 살던 이연경(李延慶)과 교류하며 지냈다.
1533년 이자가 세상을 떠나자, 1582년 충청감사 김우굉(金宇宏)과 충주목사 이선(李選)이 그의 학문과 덕을 기리기 위해 계탄서원 건립을 추진하여 1583년에 완성했다. 계탄서원의 이름 '계탄'은 이자의 호 '계옹(溪翁)'과 이연경의 호 '탄수(灘叟)'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이들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던 노수신은 계탄서원의 완성을 기뻐하며 '칼바위(劍巖)'라는 시를 남겼다. 현지 안내판에 적힌 시는 다음과 같다.[3][4]
:험준한 칼바위 돌아깊은 토계 흐르고
:두 노선생 이곳에서 만나 회포를 풀었지
:옛 집 황량해 옛날부터 마음 아팠는데
:이제 크고 화려한 집 새로 지으니 경사로세
:맑고 투명한 가락에 용울음소리 멈추고
:제례가 봉황에 의지해 어둠을 밝히네
:이제 관리를 보내 서원 경영 시작되었으니
:꿈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고삐와 옷깃 다잡네.
철종 임금과 관련된 일화도 전해진다. 어느 날 왕이 꿈속에서 여덟 개의 봉우리가 비치는 아름다운 물가에서 노닐었는데, 발밑으로 수달이 오가는 모습이 마치 신선 세계 같았다고 한다. 꿈 이야기를 들은 영의정과 이조판서가 그곳이 바로 충주의 수주팔봉이라고 아뢰자, 왕이 직접 이곳을 찾았다. 배를 타고 수주팔봉 칼바위 아래에 도착한 철종은 경치에 감탄하며 달천 물에 발을 담그고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이때 왕이 도착했던 나루터와 마을은 오늘날 '어림포', '왕답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1]
4. 2. 팔봉폭포
팔봉폭포는 칼바위 아래에 위치하며, 석문동천이 달천으로 흘러드는 지점에 있는 폭포이다. 이 폭포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과거 오가천의 물길을 막아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해 칼바위에 있는 옥천 누층군 문주리층의 암석을 잘라내어 조성하였다.[1]4. 3. 수주팔봉 캠핑장

수주팔봉 건너편 달천의 모래사장에는 취사와 야영이 가능한 캠핑장이 있어 수주팔봉과 칼바위의 경치를 바라보며 캠핑을 즐길 수 있다.[1] 이 캠핑장은 기존의 불법 건축물을 철거하고 충주시가 노후된 화장실과 수도 시설을 개선한 후 2023년에 재개장하였다.[6][7] 재개장 이후 야영의 명소로 알려지면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6][7]
5. 미디어에서의 등장
(내용 없음)
5. 1. 드라마 빈센조 촬영지
수주팔봉은 드라마 빈센조에 등장하며 대중에게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드라마 17회분에는 빈센조(송중기)와 홍차영(전여빈)이 수주팔봉을 찾는 모습이 그려졌다.[2]참조
[1]
웹인용
달천에 떠오른 8개 봉우리 수주팔봉
https://www.chungju.[...]
충주시 문화관광
[2]
뉴스
빈센조 송중기·전여빈, 충주 수주팔봉 등장
https://www.ccdailyn[...]
충청일보
2021-04-27
[3]
웹인용
팔봉서원이 다시 깨어나고 있다
https://www.cbfc.or.[...]
충북문화재단
"2021-01-01"
[4]
뉴스
수주팔봉 굽이 도는 칼바위(제61호)
http://www.mhj.kr/ne[...]
문화저널
2024-04-05
[5]
웹인용
忠州 地質圖幅說明書 (충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01-01
[6]
뉴스
충주 수주팔봉 불법건축물, 행정대집행 진행 수주팔봉 유원지 개선사업 오는 7월 마무리
https://www.inews365[...]
충북일보
2023-03-20
[7]
뉴스
"여기가 무릉도원"…충주시로 전국 캠퍼들 몰려오는 이유
https://news.sbs.co.[...]
SBS
2023-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