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이익은 기업이 모든 비용을 지불한 후 남은 이익으로, 배당금 지급이나 이익잉여금으로 적립될 수 있다. 손익계산서의 마지막 줄에 표시되어 '최종 결과'라고도 불리며, 순소득, 순수익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총비용을 공제하여 계산하며, 법인세, 재무비용, 소수지분, 우선주 배당금 등이 공제 대상이다. 농업경영에서는 조수익에서 경영비를 뺀 값을 순수익으로 정의하며, 순이익률은 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계산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순이익 | |
---|---|
순이익 | |
정의 | 회계 기간 동안의 총 수익에서 총 비용을 뺀 값 |
다른 이름 | 순수익 순소득 수익 손익 이익 순이익 |
계산 | 총 수익 - 총 비용 |
회계 | |
회계 기간 | 회계 기간 |
수익 | 수익 |
비용 | 비용 |
주요 관계 | |
수익성 | 기업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 |
재무 분석 | 재무 분석 및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 |
투자자 | 투자자들이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 |
주의 사항 | |
비현금 항목 | 순이익은 비현금 항목(예: 감가상각비)을 포함할 수 있음 |
조작 가능성 | 순이익은 회계 방법과 판단에 따라 조작될 수 있음 |
관련 항목 | |
매출원가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매출총이익 |
영업이익 | 영업이익 |
세전이익 | 세전이익 |
2. 정의
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총 수익에서 사업 운영과 관련된 모든 비용, 이자비용, 법인세비용 등을 제외하고 남은 최종적인 이익을 의미한다.[4] 간단히 말해, 순이익은 사업체가 모든 비용을 지불하고 나서 실제로 손에 쥐게 되는 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순이익은 보통주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되거나, 기업 내부에 이익잉여금으로 쌓아두어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회계상으로는 이익과 수익이라는 용어가 때로는 소득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이는 영국과 미국에서의 용법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순수익'이나 '순이익'은 일반적으로 순소득과 동일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진다. 다만 '소득'이라는 단어 자체는 의미가 넓어 순이익을 지칭할 때 모호함을 줄 수 있으므로, '순이익' 또는 '순소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선호된다.
순이익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손익계산서 가장 마지막 줄에 표시되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 '최종 결과'(bottom lineeng)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손익계산서의 가장 첫 번째 줄을 차지하는 매출액은 '최상단'(top lineeng)이라고 부른다.
순이익 계산은 간단해 보이지만, 특히 규모가 큰 조직에서는 수익과 비용을 정확하게 분류하고 배분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해질 수 있다. 부기사나 회계사는 특정 회계 기준과 상황에 맞춰 수익과 비용 항목을 적절하게 처리해야 한다. 순이익은 보통 1년을 기준으로 하는 회계연도마다 계산된다.
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순이익률이라고 하며, 이는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수익성 지표로 활용된다.
2. 1. 순이익 계산
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총 수익에서 모든 비용을 제외하고 남은 최종적인 이익을 의미한다. 이는 보통주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되거나 기업 내부에 이익잉여금으로 남겨질 수 있다. 순이익은 회사의 손익계산서 가장 마지막 줄에 표시되기 때문에 흔히 '최종 결과'(bottom lineeng)라고도 불린다. 반대로 손익계산서의 첫 줄을 차지하는 매출액은 '최상단'(top lineeng)이라고 한다.순이익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총 수익(주로 매출액)에서 사업 운영에 들어간 모든 비용을 빼야 한다. 여기에는 제품을 만드는 데 직접 들어간 매출원가, 상품 판매 및 기업 관리에 필요한 판매관리비,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 개발에 사용된 연구개발비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돈을 빌리는 데 따른 이자비용과 국가에 납부하는 법인세비용도 중요한 차감 항목이다.[4] 상품 판매 회사의 경우 매출원가 외에도 매출 할인, 반품 및 에누리 등이 비용으로 차감될 수 있으며, 제품 생산 회사는 광고비, 제조비, 설계 및 개발 비용 등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4] 우선주 배당금 역시 비용은 아니지만 순이익 계산 시 차감된다.
간단히 말해 순이익은 모든 비용을 정산하고 나서 기업에게 실제로 남는 돈이지만, 특히 규모가 큰 조직에서는 비용을 정확히 분류하고 배분하는 과정이 복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부서나 제품에 공통으로 발생하는 간접비(본사 운영비 등)를 각 사업별로 나누는 것은 회계적으로 까다로운 문제이다.[6] 순이익은 일반적으로 각 회계연도마다 연간 단위로 계산된다.
순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순이익률이라고 하며, 이는 기업의 수익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2. 1. 1. 순이익 계산 공식
순이익은 기업, 부서 또는 프로젝트와 같은 사업체의 순수한 이익을 계산하는 기본적인 지표이다. 가장 간단한 계산 방법은 총 수익 또는 매출액에서 모든 비용을 빼는 것이다.[5]: 순이익 = 매출액 - 총비용
좀 더 자세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매출총이익에서 각종 비용과 세금, 이자 등을 제외하고 기타 수익을 더하여 계산한다.
: 순이익 = 매출총이익 - 영업비용 - 기타 사업비용 - 세금 - 차입금 이자 + 기타 수익
순이익을 계산할 때는 해당 사업 활동과 관련된 모든 비용을 수익에서 차감해야 한다. 이때 여러 사업 부문에 걸쳐 있는 간접비를 어떻게 배분하느냐가 중요해진다.[6] 간접비는 특정 제품이나 부서에 직접 연결하기 어려운 비용(예: 본사 직원 비용)이기 때문에, 이를 각 사업 부문에 배분하는 것은 정확한 과학이라기보다는 추정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6]
손익계산서 상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순이익을 계산할 수 있다.
# '''매출액''' = 제품 가격 × 판매량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및 기타 직접 비용
#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일반관리비 및 기타 간접 비용
# '''EBIT''' (이자 및 세전 이익) = 영업이익 + 이자수익 + 기타 영업외 수익
# '''EBT''' (세전 이익) = EBIT − 이자비용 − 기타 영업외 비용
# '''순이익''' = EBT − 법인세
# '''이익잉여금''' = 순이익 − 배당금
순이익을 계산하는 또 다른 상세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주요 항목들을 단계적으로 차감해 나가는 방식이다.
- 순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관리비 - 연구개발비(R&D) = EBITDA
- EBITDA - 감가상각비 및 상각 = EBIT
- EBIT - 이자비용 = EBT
- EBT - 법인세비용 = '''순이익'''
3. 농업경영의 순수익
농업경영에서 순수익은 조수익(총수익)에서 경영비를 뺀 금액을 의미한다.[8] 이는 농업 경영 활동을 통해 얻은 수익에서 외부로 지출된 비용(외급비)을 제외한 것으로, 경영 내부에서 제공된 생산 요소(토지, 자본, 노동 등)에 대한 보수로 볼 수 있다.[8] 농업 순수익은 해당 농업 경영의 성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된다.
3. 1. 농업경영의 조수익
농업경영에서 순수익은 조수익에서 경영비를 뺀 금액이다. 여기서 조수익은 해당 농업 경영이 한 해 동안 만들어낸 전체 생산 가치를 의미한다.[8] 조수익을 파악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8]첫 번째는 실현주의 방식이다. 이 방식은 한 해 동안 판매된 생산물 및 용역의 금액과 가계에서 소비한 생산물의 평가액을 합한 값에, 판매되지 않은 생산물의 연말 평가액 증가분과 고정 자산(고정결과재)의 평가액 증가분을 더하여 계산한다.[8]
두 번째는 발생주의 방식이다. 이 방식은 해당 연도에 생산된 모든 유동적인 생산물과 용역의 가치를 각각의 단가로 계산하여 합한 총생산가액을 구하고, 여기에 고정 자산(고정결과재)의 연말 평가액 증가분을 더하여 계산한다.[8] 다만, 발생주의 방식에서는 경영 내부에서 사용된 중간 생산물은 조수익에 포함되지 않아 이중으로 계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8]
3. 2. 농업경영비
농업경영비는 농업 경영 과정에서 조수익을 얻기 위해 외부로 지출되는 비용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경영 내부의 다른 부문에서 공급받는 중간 생산물 비용도 포함된다. 다만, 경영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농업경영비의 구체적인 구성 내용이나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농업경영비를 파악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 현금주의 파악법: 한 해 동안 구입한 자재 및 용역(서비스) 비용을 계산한 뒤, 연말의 자재 재고 감소액과 고정 자산의 감가상각액을 고려하여 수정하는 방식이다.
- 발생주의 파악법: 한 해 동안 실제로 소비된 자재 및 용역의 양을 직접 조사하고, 각각의 단가를 곱한 총액에 감가상각액을 더하는 방식이다.
조수익에서 농업경영비를 제외하면 농업순수익이 산출되는데, 이는 토지, 자본, 노동 등 경영 내부의 생산 요소에 대한 보수로 볼 수 있다. 이때 내부 생산 요소의 범위는 경영 개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론적인 경영순수익과 실제 농가의 사적인 경제 활동에서 발생하는 경영순수익은 구분될 필요가 있다. 흔히 농업소득이 농업 경영의 성과 지표로 사용되지만, 이는 엄밀히 말해 가계 경제로서의 농가가 얻은 소득 활동의 결과일 뿐, 독립적인 경영체로서 농업 경영 자체의 성과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8]
3. 3. 농업소득과 경영순수익
농업경영에서 조수익을 얻기 위해 필요한 비용 중 외부에서 공급받는 비용을 외급비(外給費)라고 한다. 여기에는 경영 내부의 다른 부문에서 공급받는 중간 생산물 비용도 포함된다. 어떤 비용을 외급비, 즉 경영비로 볼 것인지는 경영에 대한 인식에 따라 그 구성 내용이나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농업경영비를 파악하는 방법에는 현금주의 파악법과 발생주의 파악법이 있다. 현금주의는 한 해 동안 구입한 자재 및 용역 금액을 기준으로 연말 자재 재고 변화와 고정 자산의 감가상각액을 반영하는 방식이다. 발생주의는 한 해 동안 실제 소비된 자재 및 용역 비용을 조사하여 계산하고 감가상각액을 더하는 방식이다.
조수익에서 이러한 경영비(외급비)를 제외하고 남은 것이 농업순수익이다. 이는 경영 내부에서 제공된 생산 요소(내급 생산 요소)에 대한 보수가 된다. 어떤 생산 요소를 내급으로 볼 것인지는 경영 개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론적인 경영순수익과 실제 사경제에서의 경영순수익은 구분될 필요가 있다.
한편, 농업소득이라는 용어가 농업경영의 성과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자주 사용되지만, 엄밀히 말해 이는 가계 경제로서의 농가 경제 활동 결과로 얻은 소득을 의미한다. 이는 독립적인 경영 경제 단위로서 농업경영 자체의 경제적 성과 개념과는 구별된다.[8]
4. 관련 용어
순이익은 회사의 손익계산서 가장 마지막 줄에 표시되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 최종 결과(bottom line)라고 불린다. 이와 대조적으로 손익계산서의 가장 첫 줄을 차지하는 매출액은 최상단(top line)이라고 한다. 순이익과 관련된 주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순매출''':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벌어들인 총 매출액에서 고객 할인, 반품액, 기타 조정 금액(수당)을 제외한 금액이다.
- : ''순매출 = 총매출 – (고객 할인 + 반품 + 수당)''
- '''매출총이익''': 순매출에서 판매된 상품의 원가(매출원가)를 뺀 이익이다. 상품 판매 자체에서 발생한 이익을 보여준다.
- : ''매출총이익 = 순매출 – 매출원가''
- '''영업이익''': 매출총이익에서 상품 판매 및 기업 관리 활동에 들어간 모든 비용(영업비용, 예: 직원 급여, 광고비, 임대료 등)을 차감한 이익이다. 기업의 핵심 영업 활동 성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4]
- :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총 영업비용''
- '''순이익률''': 순이익을 매출액(또는 순매출)으로 나눈 비율로, 회사의 최종 수익성을 백분율로 나타낸다.
- : ''순이익률 (%) = (순이익 / 매출액) × 100''
결과적으로 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세금과 이자 등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이다.
- ''순이익 = 영업이익 – 세금 – 이자''
- 또는, ''순이익 = 순매출 – 매출원가 – 영업비용 – 세금 – 이자'' 로 계산할 수도 있다.
5. 순이익률
순이익률은 순이익을 매출액 또는 매출로 나누어 계산하는 비율로, 기업의 수익성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이다.[4]
참조
[1]
웹사이트
IAS 1 Present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http://eifrs.ifrs.or[...]
IFRS Foundation
2012-04-14
[2]
서적
Financial Accounting: An Introduction to Concepts, Methods, and Uses
Cengage Learning
[3]
서적
Financial Accounting
Cengage Learning
[4]
웹사이트
Net Income Formula
https://web.archive.[...]
New Business Playbook
[5]
웹사이트
Gross Profit vs. Net Income: What's the Difference?
https://www.investop[...]
Investopedia
[6]
서적
Marketing Metrics: The Definitive Guide to Measuring Marketing Performance
Pearson Education, Inc.
[7]
웹사이트
IAS 1 Present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http://eifrs.ifrs.or[...]
IFRS Foundation
2012-04-14
[8]
웹사이트
농업경영의 순수익
https://ko.wikisou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중소기업, PB 납품 후 매출·순이익 증가…소기업일수록 효과 커” – 바이라인네트워크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 이어···가상화폐 수탁 기업 비트고, 뉴욕증시 상장 추진
AI 뜨니까 같이 떴다 … 레딧 주가 7배 급등
“연체율 10년만 최고에 수수료도 낮아져”…카드사 상반기 순이익 18% 감소
상반기 카드 연체율 10년 만에 최고…카드사, 순이익 18% 감소
상반기 카드사 순이익 18% 넘게 감소…연체율은 10년 반에 최고
2분기 증권사 순이익 2조8502억…전년 대비 60%↑
2분기 증권사 순이익 2조 8천502억 원…작년 동기보다 60%↑
토스뱅크 순익 404억 반기 기준 역대 최대
토스뱅크, 상반기 순익 404억원…65% 늘어 역대 최대
‘테리픽 10’ 메이투안, 출혈경쟁 여파로 주가 급락
국내은행 상반기 순익 15조원 육박
"삼성전자보다 많이 준다"…최고 연봉에 구직자 몰린 곳
“이번엔 실망했지만, 3분기는 믿는다”…조선·석유주 실적전망 ‘맑음’
코스피 상장사 영업익 110조 삼성전자 빼더라도 실적 선방
“삼성전자 빼면 더 좋네”…상반기 코스피 상장사 영업이익 110조
“CJ, 올리브영 지분 가치 상승분 주가에 반영”…목표가↑
상반기 1조 순익 … IMA로 모험자본 확대
“역시 있는 집들이 더 버네”…하늘 위서 흑자 낸 대한항공∙아시아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