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총이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출총이익은 기업의 순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으로, 판매 가격과 원가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매출총이익 마진은 판매 가격이나 마케팅 결정, 수익 예측, 고객 수익성 분석 등 다양한 비즈니스 결정에 활용되며, 백분율 또는 단위당으로 표현될 수 있다. 매출총이익률은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백분율로,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 경쟁력, 판매력, 제조 효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소매업에서는 마크업과 매출총이익을 사용하여 이윤을 측정하며, 산업별로 매출총이익률 수준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리회계 - 고정비
고정비는 생산량 변동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비용으로, 경제학에서는 자본 관련 비용, 회계학에서는 매출원가 외 비용을 의미하며, 약정 고정비와 재량적 고정비로 구분되고, 자동화 및 인건비 고정비화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 관리회계 - 손익분기점
손익분기점은 총수입과 총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으로, 이 지점을 기준으로 이익과 손실이 나뉘며 기업의 경영 상태를 파악하고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이익 - 이윤 극대화
이윤 극대화는 기업이 총수입에서 총비용을 뺀 이윤을 최대로 만드는 생산량과 가격을 결정하는 과정이며,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분석되지만, 시장 상황 등으로 완벽하게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 이익 - 손익분기점
손익분기점은 총수입과 총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으로, 이 지점을 기준으로 이익과 손실이 나뉘며 기업의 경영 상태를 파악하고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재무비율 - 주가순자산비율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시장 가치를 순자산과 비교 평가하는 투자 지표이며, 해산 가치 기준으로 주식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지만 산업별 특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 재무비율 - 지급준비제도
지급준비제도는 금융기관이 예금 인출에 대비해 일정 비율의 자금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하는 제도로, 유동성 확보 및 금융 위기 예방을 목적으로 하며 중앙은행은 이를 통화량과 금리 조절 수단으로 활용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폐지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관리되기도 한다.
매출총이익 | |
---|---|
기본 정보 | |
종류 | 재무 비율 |
목적 | 수익성 평가 |
정의 | 매출액 대비 총이익의 비율 |
계산 | |
계산식 | (매출 총이익 / 매출액) * 100 |
활용 | |
사용 목적 | 기업의 수익성 및 효율성 평가 |
산업별 비교 | 동종 산업 내 기업 간의 수익성 비교 |
추세 분석 | 시간 경과에 따른 기업의 수익성 변화 추적 |
참고 사항 | |
관련 지표 | 순이익률 영업 이익률 |
추가 정보 | |
설명 | 매출 총이익률은 기업의 매출액에서 매출 원가를 차감한 총이익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
중요성 | 매출 총이익률은 기업이 제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여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
해석 | 높은 매출 총이익률은 기업이 제품 또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판매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
2. 목적
매출총이익을 계산하는 주된 목적은 "점증적 매출의 가치를 결정하고, 가격 및 판촉 결정을 안내하는 것"이다.[1]
매출총이익은 예산 편성 및 예측 등 핵심적인 경영 의사 결정의 기반이 된다. 모든 경영자는 사업 마진을 대략적으로 알고 있으며, 실제로도 그러하다. 그러나 마진 계산에 사용되는 가정과 이 수치를 분석하고 전달하는 방식은 관리자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1]
2. 1. 백분율 마진과 단위 마진
'''판매 마진'''은 판매 가격과 원가의 차이를 말하며, 이 차이는 주로 판매 가격의 백분율(%) 또는 단위당 금액으로 표시된다. 경영자는 거의 모든 마케팅 결정 과정에서 마진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마진은 가격 책정, 마케팅 지출 수익률, 수익 예측 및 고객 수익성 분석과 같은 핵심 요소들에 활용된다.[1]200여 명의 선임 마케팅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는 78%가 "마진%" 지표가 매우 유용하다고 답했으며, 65%는 "단위 마진"이 매우 유용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경영자들이 백분율 마진과 단위 마진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해야 함을 보여준다.[1]
Investopedia영어는 "매출총이익"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매출총이익(%) = (매출 - 매출원가) / 매출[2]
이와 다르게 "매출총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매출총이익 = 순매출 - 매출원가 + 연간 판매 반품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값으로, 보통 백분율(%)로 표시된다.
:
매출원가(COGS)는 재료비, 인건비, 공급업체 이윤, 운송 비용 등 판매와 직접 관련된 변동비와 고정비를 포함한다. 하지만 사무실 경비, 임대료, 관리 비용과 같은 간접 고정비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조업체의 경우 매출총이익률이 높을수록 원자재를 수익으로 전환하는 효율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매업체의 경우 매출총이익은 판매 가격과 도매 가격의 차이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높은 매출총이익률을 선호하지만, 할인 소매업체는 운영 효율성과 전략적 자금 조달을 통해 낮은 마진으로도 경쟁력을 확보한다.
매출총이익과 관련된 두 가지 지표는 단위 마진과 마진율이다.
:
:
백분율 마진은 총 매출과 총 비용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백분율 또는 단위 마진을 활용할 때는 각 부분이 합계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한다.[1]
- '''단위 마진 ($) 확인:'' 단위당 판매 가격 = 단위 마진 + 단위당 원가
- '''마진 (%) 확인:'' 매출 대비 원가% = 100% − 마진 %
여러 제품의 매출과 비용을 고려할 때, 전체 마진(%)은 모든 제품의 총 매출 및 총 비용 또는 각 제품의 백분율 마진의 달러 가중 평균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1]
매출총이익률(gross margin ratio영어)은 수익성 분석 지표 중 하나로, 매출총이익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총이익률이라고도 불리며,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경쟁력, 판매력, 제조 효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100
즉, 다음과 같다.
매출총이익률(%)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액 × 100
3. 계산
매출총이익은 순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값이다. 순매출액은 총매출액에서 반품, 할인 등을 제외한 금액이다.[5] 매출원가는 상품 또는 서비스 생산에 직접 관련된 비용으로, 재료비, 인건비, 운송 비용 등이 있다.[2]
매출총이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매출총이익 = 순매출 - 매출원가 + 연간 판매 반품'''
또는 매출액에 대한 매출총이익의 비율(매출총이익률)로 나타낼 수 있으며, 보통 백분율(%)로 표시한다.
- '''매출총이익률(%) = (매출 - 매출원가) / 매출 × 100%'''
예를 들어 7,000엔짜리 상품 100개를 사서 1만 엔에 80개를 팔았다면, 매출은 80만 엔(80개 × 1만 엔)이고, 매출원가는 56만 엔(80개 × 7,000엔)이다. 따라서 매출총이익은 24만 엔(80개 × 3,000엔)이다. 팔고 남은 20개는 매출원가가 아닌 기말 재고라는 자산으로 처리한다.
제조업에서는 매출총이익률이 높으면 원자재를 소득으로 바꾸는 효율이 좋다는 뜻이다. 소매업에서는 매출총이익률이 높으면 판매 가격과 도매 가격 차이가 크다는 뜻이다. 보통은 높은 매출총이익률이 좋지만, 할인 소매업체처럼 운영 효율성과 전략적 자금 조달을 통해 낮은 마진으로도 경쟁하는 경우도 있다.[2]
3. 1. 매출총이익률
매출총이익률(gross margin ratio|그로스 마진 비율영어)은 수익성 분석의 지표 중 하나로, 매출총이익의 매출에 대한 구성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총이익률이라고도 불린다.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경쟁력, 판매력, 제조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5]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100
즉,
매출총이익률(%)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액 × 100
이다.
4. 마크업(Markup)
마크업(Mark up)은 상품의 판매 가격을 결정할 때 영업비, 이익금, 상품 감모 손실, 장래 가격 하락 위험 등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다.[5] 소매업체는 이윤을 측정하기 위해 마크업과 마진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마크업은 이윤을 제품 원가의 백분율로, 마진은 이윤을 제품 판매 가격의 백분율로 나타낸다.[5]
소매업체는 총 판매액에서 이윤을 쉽게 계산할 때 마진을, 원가에서 판매 가격을 계산할 때는 마크업을 사용한다. 마크업과 마진은 서로 다른 백분율을 생성하지만, 둘 다 이윤에 대한 유효한 설명이므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크업 비율은 가격 차이를 ''원가''로 나눈 값에 100을, 매출총이익 비율은 가격 차이를 ''판매 가격''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4. 1. 마크업과 매출총이익(률) 간의 변환
마크업을 매출총이익(률)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매출총이익(률)을 마크업으로 변환할 수 있다.- '''마크업을 매출총이익으로 변환'''
:math display="block">\text{매출총이익} = \frac{\text{마크업}}{1 + \text{마크업}}
예시:
- 마크업 = 100% = 1
:math display="block"> \text{매출총이익} = \frac{1}{1 + 1} = 0.5 = 50\%
- 마크업 = 66.7% = 0.667
:math display="block"> \text{매출총이익} = \frac{0.667}{1 + 0.667} = 0.4 = 40\%
- '''매출총이익을 마크업으로 변환'''
:math display="block">\text{마크업} = \frac{\text{매출총이익}}{1 - \text{매출총이익}}
예시:
- 매출총이익 = 50% = 0.5
:math display="block"> \text{마크업} = \frac{0.5}{1 - 0.5} = 1 = 100\%
- 매출총이익 = 40% = 0.4
:math display="block"> \text{마크업} = \frac{0.4}{1 - 0.4} = 0.667 = 66.7\%
'''매출총이익을 사용하여 판매 가격 계산하기'''
제품의 원가가 주어지면, 특정 매출총이익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판매 가격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원가가 100USD이고 필요한 매출총이익이 40%라면,
:math display="block">\text{판매 가격} = \frac{\$100} {1 - 40\%} = \frac{\$100} {0.6} = \$166.67
5. 판매 가격 결정
상품의 판매 가격을 결정할 때는 영업비와 이익금 외에도 상품의 감모손실, 장래의 가격 하락 등의 위험을 고려해야 하며, 이때 마크 업(mark up) 개념이 검토된다.[5]
6. 산업별 차이
일부 산업, 예를 들어 의류 산업의 경우, 상품을 공급업체로부터 특정 가격으로 구매한 후 재판매해야 하므로 이윤율이 40%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과 같은 다른 산업에서는 매출총이익률이 많은 경우 80% 이상일 수 있다.[3]
7. 소매 성과 측정 도구
소매업 분석에 유용한 도구로는 재고 투자 수익률(GMROII), 공간 수익률(GMROS), 노동 수익률(GMROL)이 있다.
- GMROII: 재고 투자 수익률
- GMROS: 공간 수익률
- GMROL: 노동 수익률
참조
[1]
서적
Marketing Metrics: The Definitive Guide to Measuring Marketing Performance
https://web.archive.[...]
Pearson Education, Inc.
2010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Gross Margin'
http://www.investope[...]
[3]
뉴스
Net Profit Percentage Goals of Any Business
http://smallbusiness[...]
[4]
웹사이트
売上総利益(粗利)とは?営業利益との違いや計算方法を解説
https://keiriplus.jp[...]
2021-12-22
[5]
글로벌2
그로스 마진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