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숭정 (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숭정은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숭정제의 재위 기간(1628년~1644년)에 사용된 연호이다. 1627년 10월 2일에 연호가 정해졌으며, 1628년 2월 5일에 개원되었다. 숭정 연호는 명나라 멸망 이후에도 조선에서 소중화 사상에 따라 숭정 기원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연호 - 홍무
    홍무는 명나라 건국 후 사용된 연호로, 건문 연호로 바뀌었다가 잠시 복귀 후 영락 연호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명나라 초기의 정치적 혼란과 권력 투쟁, 북원과의 전쟁을 통한 국력 강화 등 초기 명나라의 변화를 보여준다.
  • 명나라의 연호 - 정통
    정통은 1435년부터 1449년까지 조선에서 사용된 연호로, 훈민정음 창제와 측우기 발명 등 세종 시대의 주요 업적과 조선의 국력 신장 및 문화 발전을 상징한다.
숭정 (연호)
숭정
숭정제의 초상화
숭정제의 초상화
기본 정보
사용 기간1628년 ~ 1644년
국가명나라
군주숭정제 주유검
의미honorable and auspicious (훌륭하고 상서로움)

2. 연대기

천계 7년(1627년) 희종이 사망하자 동생인 숭정제가 황위에 올랐다. 숭정제는 연호를 숭정으로 정하고, 다음 해인 1628년 음력 1월 1일(양력 2월 5일)을 숭정 원년으로 삼았다.[5][6][7][8][9]

이자성의 난으로 1644년(숭정 17년) 음력 3월 19일에 명나라가 멸망하였다. 이자성은 같은 해 1월 서안에서 황제를 칭하고 국호를 순, 연호를 영창이라 하였으나, 4월에 에 의해 쫓겨났다. 남경에서는 숭정제의 사촌 주유송이 1644년 음력 5월 15일(양력 6월 19일)에 황제로 즉위하여 명나라를 부흥시키고( 남명), 유년 개원법에 따라 숭정 연호를 계승하였다. 이듬해인 1645년 음력 1월 1일(양력 1월 28일)에 홍광으로 개원하였다.[10][11][12][13][9][14]

조선에서는 명나라 멸망 이후에도 소중화 사상에 따라 숭정 연호(숭정 기원)를 계속 사용하였다.

2. 1. 연대 대조표

연호원년1628년무진천총 2년2년1629년기사천총 3년3년1630년경오천총 4년4년1631년신미천총 5년5년1632년임신천총 6년6년1633년계유천총 7년7년1634년갑술천총 8년8년1635년을해천총 9년9년1636년병자천총 10년
숭덕 원년10년1637년정축숭덕 2년숭정서기간지청나라 연호11년1638년무인숭덕 3년12년1639년기묘숭덕 4년13년1640년경진숭덕 5년14년1641년신사숭덕 6년15년1642년임오숭덕 7년16년1643년계미숭덕 8년17년1644년갑신순치 원년


3. 명나라 멸망과 관련된 사건

천계 7년(1627년)에 희종이 사망하자 동생 숭정제가 황위에 올랐다. 이자성의 난으로 명나라가 멸망하고, 서안에서 황제를 칭하며( 순) 영창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이자성에 의해 쫓겨났다. 남경에서는 복왕 주유송이 황제에 즉위하여 명 왕조를 부흥(남명)하고, 유년 개원법에 따라 숭정 연호를 계승하였다.

3. 1. 이자성의 난

숭정 원년(1627년, 천계 7년)에 희종이 사망하자 동생 숭정제가 황위에 올랐다.[1]

숭정 17년(1644년) 3월 19일, 이자성이 이끄는 농민 반란군에 의해 명나라가 멸망했다.[2] 이자성은 그해 1월 서안에서 황제를 칭하고( 순), 연호를 영창으로 정했지만, 4월에 에 의해 쫓겨났다.[2]

3. 2. 청나라의 발흥

숭정 9년(1636년), 홍타이지는 국호를 으로 바꾸고 황제를 칭하며 본격적으로 을 압박했다.[1] 이자성의 난으로 명나라가 혼란에 빠진 틈을 타, 청나라는 산해관을 넘어 중원을 장악하고 중국 대륙의 새로운 지배자가 되었다.[1]

4. 동시대 다른 나라의 연호

나라연호 (기간)사용한 사람
후금천총(天聰) (1627–1636)홍타이지
청나라숭덕(崇德) (1636–1643)홍타이지
순치(順治) (1644–1661)순치제
순나라영창(永昌) (1644–1645)이자성
서나라의무(義武) (1643–1644)장헌충
대순(大順) (1644–1646)장헌충
명나라 시기예응(瑞應) (1621–1629)사숭명
영흥(永興) (1628)장유원
천운(天運) (1637)장보휘
천정(天定) (1644)유수분
중흥(重興) (1644)진상행
명나라 시기흥무(興武) (1635–1636)고영상
왕조연호 (기간)
후 레 왕조레 신통
레 찬통푹타이(福泰) (1643–1649)
막 왕조막 낑 콴롱타이(隆泰) (1618–1625)
막 낑 부투언득(順德) (1638–1677)
국가연호 (기간)
일본간에이 (寛永) (1624–1644): 고미즈노 천황, 메이쇼 천황고묘 천황
쇼호 (正保) (1644–1648): 고묘 천황


4. 1. 중국

나라연호기간사용한 사람
후금천총1627년 ~ 1636년홍타이지
대청숭덕1636년 ~ 1643년홍타이지
순치1644년 ~ 1661년순치제
대순영창1644년 ~ 1645년이자성
대서대순1644년 ~ 1646년장헌충
기타서응(瑞應)1621년 ~ 1629년사숭명
영흥1628년장유원
영보1629년이성명
흥무1635년 ~ 1636년고영상
천운1637년장보미
천정1644년유수분
중흥1644년진상행


4. 2. [[베트남]]

왕조군주연호 (기간)
후 레 왕조(後黎朝)레 신통(黎神宗)
레 찬통(黎眞宗)푹타이(福泰) (1643년 ~ 1649년)
막 왕조(莫朝)막 낑 콴(莫敬寬)롱타이(隆泰) (1618년 ~ 1625년)
막 낑 부(莫敬宇)투언득(順德) (1638년 ~ 1677년)


4. 3. [[일본]]

5. 조선의 숭정 연호 사용

조선임진왜란명나라의 도움을 받은 것을 잊지 않고 명에 대한 의리를 지키고자 했다.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조선은 공식적으로는 청의 연호를 사용했지만, 내부적으로는 숭정 연호를 계속 사용했다.[4] 이는 명이 멸망한 후 명의 후계자는 조선이라는 소중화 사상에 따른 것이었다. 이러한 조선의 태도는 명에 대한 충성과 소중화 의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변화하는 국제 정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과거의 명분에만 얽매인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참조

[1] 서적 Siling dianli ji
[2] 서적 Lie huang xiao shi
[3] 서적 History of Southern Ming
[4] 웹사이트 小史 使用了二百多年的年號-崇禎 https://smvv0206.pix[...] 2020-03-20
[5] 문서 정묘년(丁卯年) 8월 정사일(丁巳日)
[6] 문서 무진년(戊辰年) 1월 계해일(癸亥日)
[7] 웹사이트 《명실록》(明實錄) 부록(附錄)〈사어소장초본숭정장편〉(史語所藏鈔本崇禎長編) 총서(總序) - 천계(天啓) 7년 8월 정사(丁巳) 기사 https://sillok.histo[...]
[8] 웹사이트 《명사》(明史) 권23 〈본기〉(本紀) 제23 - 장렬제(莊烈帝) 1 https://zh.wikisourc[...]
[9] 웹사이트 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계산 https://astro.kasi.r[...]
[10] 문서 갑신년(甲申年) 8월 임인일(壬寅日)
[11] 문서 을유년(乙酉年) 1월 을유일(乙酉日)
[12] 웹사이트 《명사》(明史) 권120 〈열전〉(本紀) 제8 - 제왕(諸王) 5 신종 8자(神宗八子) - 복왕(福王) https://zh.wikisourc[...]
[13] 웹사이트 《남명야사》(南明野史) 권上 - 안종황제기(安宗皇帝紀) https://zh.wikisourc[...]
[14] 웹사이트 《청실록》(清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권6 - 순치(順治) 원년 7월 정유(丁酉) 기사 https://sillok.his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