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스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쉬스창은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청나라 말기에는 문관으로 시작하여 군주제가 무너진 후 중화민국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위안스카이의 총리 임명으로 정치에 참여하여, 위안의 황제 즉위 시도에 반대하여 사임하기도 했다. 1918년에는 중화민국 대총통에 당선되었으나, 군벌 간의 세력 다툼 속에서 조정 역할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는 5·4 운동을 진압하고 몽골 재점령에 실패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차오쿤의 압력으로 퇴임했다. 만년에는 예술 활동에 전념했으며, 중일 전쟁 중 일본의 협력 요청을 거부하며 민족적 자존심을 지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태보 - 장정옥
장정옥은 청나라 3대에 걸쳐 활약한 한족 관료로, 옹정제의 신임을 받아 군기처의 초기 구성원이 되어 주요 정책 결정에 관여하고 《명사》 편찬을 주도했으며, 사후 태묘에 배향되는 영예를 누렸으나 만년에는 건륭제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쉬스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徐世昌 |
원어 이름 (언어) | 중국어 (zh-hant) |
출생일 | 1855년 10월 20일 |
출생지 | 웨이후이, 허난성, 청나라 |
사망일 | 1939년 6월 5일 |
사망지 | 톈진, 중화민국 |
교육 | 진사 학위, 과거 제도 (1886년) |
![]() | |
정치 경력 | |
중화민국 대총통 | 시작: 1918년 10월 10일 종료: 1922년 6월 2일 |
국무총리 | 첸 넝쉰 공 신잔 (대리) 진 윈펑 옌 후이칭 (대리) 사 전빙 (대리) 량 스이 저우 쯔치 (대리) |
전임 | 펑궈장 |
후임 | 저우 쯔치 |
중화민국 국무경 | 시작: 1916년 3월 22일 종료: 1916년 4월 23일 |
대총통 | 위안 스카이 |
전임 | 루 정샹 (중화제국 국무총리) |
후임 | 돤 치루이 |
중화민국 국무경 | 시작: 1914년 5월 1일 종료: 1915년 12월 22일 |
대총통 | 위안 스카이 |
전임 | 쑨 바오치 (대리) |
후임 | 루 정샹 (중화제국 국무총리) |
청나라 관직 | |
친왕 내각 협리대신 | 시작: 1911년 5월 8일 종료: 1911년 11월 1일 |
군주 | 선통제 |
총리 | 아이신 교로 이쾅, 경친왕 |
공동 재임 | 나퉁 |
전임 | 신설 |
후임 | 폐지 |
군기대신 | 시작: 1905년 종료: 1906년 |
전임 | 알 수 없음 |
후임 | 알 수 없음 |
체인각 대학사 | 시작: 1910년 8월 17일 종료: 1911년 8월 5일 |
전임 | 알 수 없음 |
후임 | 알 수 없음 |
협판 대학사 | 시작: 1월 종료: 1911년 8월 5일 |
전임 | 알 수 없음 |
후임 | 알 수 없음 |
우전부 상서 | 시작: 1909년 2월 9일 종료: 1910년 8월 17일 |
군주 | 선통제 |
전임 | 천비 |
후임 | 탕 사오이 |
동삼성 총독 | 시작: 1907년 6월 12일 종료: 1909년 2월 8일 |
군주 | 선통제 |
전임 | 신설 |
후임 | 시량 |
2. 생애
쉬스창은 저장성 닝보 출신으로, 허난성 웨이후이에서 태어났다. 위안스카이와는 절친한 사이였으며, 동북 3성 총독을 역임하고 칭친왕 내각에서 내각 대신을 지냈다. 또한 푸이의 스승을 지내기도 했다.[1] 청나라 말기에는 문관 출신임에도 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중화민국 수립 후, 위안스카이는 황실주의자들을 달래기 위해 1912년에 쉬스창을 국무총리로 임명했다. 그러나 1915년 말 위안스카이의 황제 즉위 시도에 반대하며 사임했다가, 1916년 3월 위안스카이가 군주제를 포기한 후 복귀했다.[1]
돤치루이와 안휘 군벌의 지지로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베이양 군벌 내 여러 파벌 간의 갈등 속에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즈리와 펑톈 지도자를 서로 대립시켜야 했다. 쉬스창은 푸이가 현대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레지날드 존스턴을 초빙하여 교육을 맡기기도 했다.[2]
1918년 11월 18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중국의 승리를 기념하는 대규모 행사를 베이징에서 개최했다. 이후 러시아 내전에 군대를 파견하고, 쑨원의 호법정부와 휴전을 선언했다. 5·4 운동이 일어나자 대규모 체포로 진압했으며, 베르사유 조약 체결을 거부했다.[3][4][5][6][7][8][9][10][11] 이로 인해 군벌 시대가 시작되었고, 1920년 남부와의 분쟁이 재발했으며, 몽골 재점령에도 실패했다. 결국 차오쿤의 압력으로 퇴임하고 리위안훙이 복귀했다.
2. 1. 어린 시절과 청나라 관료
허난성에서 태어났다. 7세에 아버지를 잃고 가세가 기울어서 성년이 되어서 관공서에서 서기 일을 하고 가정교사를 하였다. 1879년 당시 청년 장교였던 위안스카이(袁世凱)와 의형제를 맺고, 위안스카이의 도움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1886년 진사가 되었고, 국가기관이었던 한림원에서 일했다.[1]1897년 북양군의 실력자가 된 위안스카이가 신식 육군을 양성하자, 쉬스창은 막료로서 일하게 되었고, 그의 밑에서 계속 승진하였다. 1904년 위안스카이는 베이징의 치안을 책임진 경찰을 창설하였고, 이를 책임진 경부상서(警部尙書)로 쉬를 임명하였다.
1907년 쉬는 흠차대신(欽差大臣)에 임명되어 만주 3성(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의 총독 겸 3성을 관할하는 장군에 임명되었다. 쉬는 만주에서 외국과의 통상을 활성화하고 철도를 부설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이곳에 세력을 뻗히려는 러시아와 일본의 세력을 막아내려 하였다.
1909년 위안스카이가 청나라 종친 자이펑에 밀려 실각하자 쉬도 병을 핑계로 사직했고, 우전부상서(郵傳部尙書)로 전임하였다. 1911년 청나라 조정은 대부분이 만주족인 황족으로 구성된 내각을 조직하였는데, 대부분이 만주족인 그 내각에서 쉬스창은 그 중에서 4명밖에 없던 한족이었다.
쉬스창의 선조 고향은 저장성 닝보 인저우구의 윈셴 현(현재의 닝보시 인저우구)이었다. 대대로 관료를 배출하는 명가에서 태어났지만, 쉬스창의 부친이 일찍 사망했기에 집안은 몰락했다. 쉬스창 또한 과거에 급제하여 관료가 되기를 목표로 했지만 학비가 없어 공부하는 틈틈이 허난성 각지의 관료의 서기나 향학의 교사가 되었다. 그러던 중, 광서 8년(1881년)에 향시에 합격했다.
쉬스창과 위안스카이는 집안끼리 원래 관계를 맺고 있었고, 두 사람은 일찍부터 서로 알고 지냈다. 당시 낭인 시절을 보내며 거칠었던 위안스카이와, 온화하고 학문을 좋아했던 쉬스창은 성격이 크게 달랐지만 친교를 맺었고, 일설에는 위안스카이가 쉬스창의 학비를 지원했다고도 한다. 이 두 사람의 관계는 위안스카이가 사망할 때까지 이어졌다.
광서 13년에 쉬스창은 과거에 급제하여 엘리트 코스인 한림원에 배속되었으나, 어머니의 상을 당하는 등 출세가 늦어졌다. 쉬스창이 두각을 나타낸 것은 광서 22년, 위안스카이가 편성한 신건 육군의 참모에 취임하고 나서이다. 쉬스창은 문관이었기 때문에 군사 지식이 부족하여 참모의 임무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위안스카이에게는 정학을 다루고 과거에 급제했으며(위안스카이는 과거에 합격하지 않았다), 전통적인 교양도 갖추고 있으며, 게다가 오래 전부터 친교를 맺어온 쉬스창이 가까이에서 조언하는 입장이 되는 것은, 위안스카이 자신이 청나라 조정에서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데 큰 의의를 지녔다. 그 후 위안스카이의 승진에 따라 쉬스창도 동삼성 총독, 우전부 상서 등 요직을 역임했다.
선통 원년, 위안스카이는 섭정왕이 된 선통제의 아버지 순친왕과의 대립으로 실각했다. 위안스카이에 의한 베이양 군을 해체하자는 의견도 나왔고, 쉬스창 또한 탄핵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당시 청나라에서 유일한 유효한 군사력이었던 베이양 군을 해체할 수 없었고, 그 베이양 군의 여러 장군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유일한 고급 관료인 쉬스창을 하야시킬 수도 없었기에, 쉬스창은 중앙 정계에 머물며, 허난성에서 은거하는 위안스카이와의 연락을 계속했다.
선통 3년 5월에는 내각 협리 대신(부총리)에 임명되었고, 더 나아가 10월에는 군자 대신이 되었으며, 태보의 칭호를 받았다.
2. 2. 신해혁명과 위안스카이 정부
1897년 위안스카이가 북양군의 실력자가 되어 신식 육군을 양성하자, 쉬스창은 막료로 일하며 그의 밑에서 계속 승진하였다. 1904년 위안스카이는 베이징의 치안을 책임지는 경찰을 창설하였고, 쉬스창은 이를 책임지는 경부상서(警部尙書)에 임명되었다.[1]1907년 쉬스창은 흠차대신(欽差大臣)에 임명되어 만주 3성(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의 총독 겸 3성을 관할하는 장군이 되었다. 그는 만주에서 외국과의 통상을 활성화하고 철도를 부설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러시아와 일본의 세력을 막으려 하였다.[1]
1909년 위안스카이가 청나라 종친 자이펑에게 밀려 실각하자, 쉬스창도 병을 핑계로 사직하고 우전부상서(郵傳部尙書)로 전임되었다. 1911년 청나라 조정은 대부분 만주족으로 구성된 황족 내각을 조직하였는데, 쉬스창은 그 내각에서 4명밖에 없던 한족 중 한 명이었다.[1]
신해혁명 이후 위안스카이가 중화민국 정권을 장악했지만, 쉬스창은 청나라의 옛 신하였다는 이유로 요직 취임을 피하고 자문역 지위에 머물렀다. 위안스카이의 거듭된 요청으로 국무경에 두 번 취임했지만, 모두 곧 사직했다. 1915년 12월 위안스카이가 황제 즉위를 선언하자, 쉬스창은 시기상조라며 반대했다.[1]
2. 3. 중화민국 대총통 재임
1914년 총통 위안스카이는 새로운 약법(約法)을 제정하여 정부를 내각책임제로 바꾸고, 쉬스창을 국무경(國務卿)에 임명하였다. 이때, 위안은 자신의 친구들을 대거 내각에 입각시켰다. 그러나 위안스카이가 황제 즉위를 획책하자 쉬스창은 다시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각지의 반발 때문에 위안이 제정을 취소하고 공화정으로 되돌아가자, 쉬는 다시 국무경으로 복귀하여 위안스카이 정국의 안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1]위안 토벌을 기치로 내건 호국군의 정전협상이 결렬되자, 쉬스창은 임기 1개월만 재임하고 돤치루이를 후임으로 추천하였다. 위안 사후 리위안훙이 총통으로 취임하고 돤치루이가 총리가 되었으나, 두 사람은 권력 투쟁을 벌였다. 북양군벌의 원로였던 쉬는 두 사람을 중재시키려 노력했고, 더 나아가 펑궈장 같은 북양군벌들의 화해를 노력했다.
리위안훙이 사직한 후, 1918년 10월 쉬스창은 완계군벌(돤치루이의 파벌)이 장악한 국회 선거에서 총통으로 당선되었다. 그는 "偃武修文(언무수문: 무력을 배제하고 문치로 폄)"을 표방하면서 내전을 그치자는 정전 명령을 내렸다. 그리하여 1919년 2월 상하이에서 남북 세력 간 휴전 회담이 열렸지만 성과는 없었다.
1922년 북양군벌 내의 봉천군벌과 직예군벌이 싸운 직봉전쟁에서 직예 군벌이 승리하여 베이징 정부를 장악하였다. 직예군벌인 차오쿤, 우페이푸는 쉬스창을 하야시켰다.
쉬스창은 베이양 군벌에서는 위안스카이에 이은 지위였지만, 본인은 문관 출신이기 때문에 군사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군벌 간의 조정을 기대받았다. 쉬스창은 즈리파와 안후이파의 조화를 시도했으며, 더 나아가 베이징 정부와 쑨원 등의 혁명파를 포함한 남방의 여러 세력과의 주선에 힘썼지만, 어느 쪽도 조정은 순조롭지 못했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에 즈음하여 일본이 독일로부터 획득한 자오저우만의 이권을 회복하려 했지만 베르사유 조약에서 부인되었고, 이에 반대하는 중국 민중의 5.4 운동으로 이어졌다.[3][4][5][6][7][8][9][10][11]
전 정권의 국무총리였던 돤치루이가 일본 등으로부터의 차관을 낭비했기 때문에, 정권 안팎에서 불평을 샀고, 통치 능력까지 의심받았다. 결국 1922년에 즈리파에 의해 대총통에서 사임당했다.
2. 4. 만년
쉬스창은 하야한 후 정치에 일체 관여하지 않고, 톈진에서 은거하며 예술에 심취하여 시, 그림, 서예로 소일하였다. 이후 서예가와 화가로서 국제적인 전시회를 열기도 하였다.중일전쟁 발발 후, 화북을 장악한 일본군은 쉬스창에게 괴뢰정부 수반 취임을 요청했지만, 그는 이를 거절하였다.
이후 85세의 나이로 톈진에서 병사하였다.
저서로는 자신의 서간집인 『퇴경당정서(退耕堂政書)』와 동삼성 총독 시절 그 지역에 행했던 시책을 기록한 『동삼성정략(東三省政略)』이 있다. 또한, 학자들을 모아 『청유학안』 등 많은 편찬 사업을 진행했으며, 『신원사』를 정사로 인정하는 대총통령을 내린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이십오사).
3. 평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평가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1차 득표율 | 1차 득표수 | 2차 득표율 | 2차 득표수 | 3차 득표율 | 3차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16년 선거 | 중화민국 부총통 | 2대 | 무소속 | -% | 15표 | 6위 | 낙선 | ||||
1918년 선거 | 중화민국 대총통 | 2대 | 무소속 | 98.15% | 425표 | 1위 |
참조
[1]
뉴스
REPUBLIC DISPLACES MONARCHY IN CHINA; Yuan Shih-kai Decides to Reject Imperial Post and Resumes the Presidenc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16-03-23
[2]
간행물
"Saint Joan" From A Chinese Perspective: Shaw and the Last Emperor, Henry Pu-Yi Aisin-Gioro
[3]
서적
Muslims i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2007-08-01
[4]
웹사이트
Info
http://www.hzwxzzs.c[...]
hzwxzzs.com
2019-10-31
[5]
서적
李大钊北京十年(交往篇)
https://books.google[...]
中央编译局
2015-06-09
[6]
웹사이트
英勇的回族英雄——马骏--黑龙江频道--人民网
http://hlj.people.co[...]
[7]
웹사이트
馬駿 - 英烈紀念堂 - 中國軍網
http://www.81.cn/big[...]
[8]
웹사이트
马骏 - 英烈纪念堂 - 中国军网
http://www.81.cn/ylj[...]
[9]
문서
http://www.huizu360.[...]
[10]
문서
http://www.huizu360.[...]
[11]
웹사이트
回族烈士马骏_中国论文网
http://www.xzbu.com/[...]
2021-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