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칸디나비아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에 걸쳐 있는 산맥으로, 스웨덴어로는 'Skandinaviska fjällkedjan', 노르웨이어로는 'Den skandinaviske fjellkjede' 등으로 불린다. 남부 노르웨이에는 갈드회피겐(Galdhøpiggen)을 비롯한 높은 봉우리들이 집중되어 있으며, 스웨덴과 핀란드에도 2,000m가 넘는 산들이 있다. 기후는 서쪽 해안은 해양성, 스웨덴 내륙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빙원과 영구 동토가 발달했다. 지질학적으로는 칼레도니아 조산운동으로 형성된 칼레도니아 암석이 기반을 이루며, 신생대 융기 이후 현재의 지형을 갖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칸디나비아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스웨덴 북부 스토라 쇼팔레트 국립공원의 아카산
스웨덴 북부 스토라 쇼팔레트 국립공원의 아카산
다른 이름스칸데르나, 피엘렌 (스웨덴어)
셸렌 (노르웨이어)
위치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지리
좌표북위 65도 00분, 동경 14도 00분
길이1700 km
너비320 km
최고봉갈회피겐산
최고봉 높이2469 m
최고봉 위치롬, 오플란주, 노르웨이
기타 봉우리케브네카이세산 (스웨덴 최고봉)
글리터틴덴산
살렉산
지질조산 운동: 칼레도니아 조산 운동
환경
생태 지역스칸디나비아 산악 자작나무 및 초원
습지 (람사르 등록지)피르티뮈스부오마
샤우냐
라이다우레
테르나숀
올드플론-플론
온숀
포크스튀뮈라
래태세노-히에타요키 미레스
울렌델타에트
외브레 포라
턈메야우레-라이스달렌
타바부오마
블라이크피엘레트
아트네스쇼뮈레네
뫼스바스탕겐
특징적인 지형팔사
플라크
생물
조류키타야나기무시쿠이
어류북극곤들매기
연체동물민물진주조개

2. 명칭

스웨덴에서는 이 산맥을 Skandinaviska fjällkedjansv, Skandernasv(백과사전 및 전문 용어), Fjällensv(''이라는 뜻으로, 구어에서 흔히 사용됨) 또는 Kölensv('키')이라고 부른다. 노르웨이에서는 Den skandinaviske fjellkjedeno, Fjelletno, Skandesfjelleneno, Kjølenno('키') 또는 Nordryggenno('북쪽 능선', 2013년에 만들어진 이름)이라고 부른다. Kölensv과 Kjølenno이라는 이름은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국경 지역 근처의 산맥이 좁은 북부 지역에 선호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남부 노르웨이에는 도브레피엘, 하당에르비다, 요툰헤이멘, 론다네와 같이 개별적인 이름을 가진 광범위한 산악 지역이 있다.

3. 지형

스칸디나비아산맥의 최고봉은 대부분 노르웨이 남부의 스타방에르트론헤임 사이, 평균 고도 1000m 이상인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7] 이 지역에는 1300m 이상의 봉우리가 많고, 2000m 이상의 봉우리도 있다.[12] 트론헤임 피오르 주변에서는 봉우리의 고도가 약 400m에서 500m로 낮아지다가, 스웨덴 랩란드 북부와 노르웨이 인근 지역에서 1900m 이상으로 다시 높아진다.[12] 산맥의 남부에는 북유럽에서 가장 높은 산인 갈드회피겐이 있으며, 그 높이는 거의 2500m에 달한다.[9]

331x331px


이 산맥은 또한 더 넓으며, 흩어져 있는 인젤베르크를 품고 있는 일련의 고원과 완만한 구릉지를 포함한다.[12][43] 남부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고원과 구릉지는 일련의 단구면을 형성한다. 지형학자 카르나 리드마르-베르스트룀과 동료들은 다섯 개의 광범위한 단구면을 확인했다. 노르웨이 동부에서는 일부 단구면이 하나의 표면으로 합쳐진다. 도브레와 요툰헤이멘은 가장 높은 단구면에서 솟아 있다.[10] 노르웨이 남서부에서는 고원과 완만한 구릉지가 피오르와 계곡에 의해 심하게 분리된 고원을 이룬다.[11]

산맥은 달라르나 북부에서 스웨덴에 존재한다. 이 지점의 남쪽에서는 스칸디나비아 산맥이 노르웨이 내에 완전히 위치한다.[12] 대부분의 스칸디나비아 산맥에는 "알파인 지형"이 부족하며, 존재하더라도 고도와 관련이 없다.[43] 이에 대한 예로는 노르웨이 남부의 권곡 분포를 들 수 있는데, 해수면 근처와 2000m에서 모두 발견할 수 있다. 대부분의 권곡은 1000m에서 1500m 사이에 있다.[14]

동쪽으로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낮고 덜 분리된 산들과 접해 있으며, 스웨덴에서는 förfjällsv (문자 그대로 '전-펠')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förfjällsv은 해발 1000m을 넘지 않는다. 지형 단위로서 förfjällsv는 스웨덴을 가로질러 남쪽의 달라르나에서 북쪽의 노르보텐까지 650km 길이, 40km에서 80km 폭의 벨트로 확장된다. 스칸디나비아 산맥보다 낮지만 förfjällsv의 뚜렷한 지형, 많은 고원, 그리고 일관된 계곡 시스템은 동쪽에서 발견되는 소위 구릉 지형 (bergkullsterrängsv) 및 잔여 언덕이 있는 평원 (bergkullslättsv)과 구별된다.[16]

3. 1. 주요 산 (높이순)

스칸디나비아산맥의 주요 산들을 높이순으로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노르웨이'''에는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 10개가 있다. 이 중 6개는 오플란주에, 4개는 송노피오라네주에 위치한다.

'''스웨덴'''에는 2,000m 이상 높이의 봉우리가 12개(정의에 따라 13개) 있다. 8개는 사레크 국립공원과 인접한 스토라 셰폴레트 국립공원에, 4개는 케브네카이세에 위치한다. 산 이름은 대부분 사미어로 되어 있지만, 스웨덴어 철자를 사용한다.

'''핀란드'''에서 가장 높은 곳은 할티이며, 해발 1324m이다. 할티 산은 핀란드 라피와 노르웨이 트롬스에 걸쳐 있다.

3. 1. 1. 노르웨이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 10개(수직 높이 30m 이상) 중 6개는 노르웨이 오플란주에 위치해 있다. 나머지 4개는 노르웨이 송노피오라네주에 있다.

순위산 이름높이(m)위치
1갈드회피겐2469m인나레트
2글리테르틴2465m인나레트
3스토레 스카가스톨스틴2405m베스트란
4스토레 스티게달스틴 이스트2387m베스트란
5스카르스틴2373m인나레트
6베슬레 갈드회피겐2369m인나레트
7수르트닝수에2368m인나레트
8스토레 메무루틴덴2366m인나레트
9예르바스틴2351m베스트란
10센트랄틴2348m베스트란





노르웨이에서 가장 높은 산인 갈드회피겐을 서쪽에서 본 모습


글리테르틴


요툰헤이멘의 팔케틴

3. 1. 2. 스웨덴

스웨덴에는 2000m 이상 높이에 이르는 봉우리가 12개 있으며, 봉우리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13개가 될 수도 있다. 이 중 8개는 사레크 국립공원과 인접한 스토라 셰폴레트 국립공원에 위치해 있다. 나머지 4개의 봉우리는 더 북쪽 지역인 케브네카이세에 위치해 있다. 모든 산 이름은 사미어로 되어 있지만 더 일반적인 스웨덴어 철자를 사용한다.[1]

순위이름높이(m)위치
1케브네카이세2104m랍랜드
2케브네카이세 노르토펜2097m랍랜드
3사레크초코 스토르토펜2089m랍랜드
4카스카사초카2076m랍랜드
5사레크초코 노르토펜2056m랍랜드
6카스카사파크테2043m랍랜드
7사레크초코 시드토펜2023m랍랜드
8아카 스토르토펜2016m랍랜드
9아카 노르베스트토펜2010m랍랜드
10사레크초코 부흐트토펜2010m랍랜드
11포르테초카2005m랍랜드
12팔카초카2002m랍랜드



케브네카이세의 고도는 봉우리 빙하를 포함한다. 만약 빙하가 계속 녹는다면, 불과 500미터 거리에 있는 케브네카이세 노르토펜이 최고봉이 될 수 있다. 케브네카이세 노르토펜은 2097m로 케브네카이세보다 7미터 낮다.[1]

스웨덴에서 스키어, 등반가 및 하이커에게 인기 있는 다른 산들은 다음과 같다.[1]


  • 술리텔마 1860m (랍랜드)
  • 헬라그스피엘레트 1796m (예레달렌)
  • 노라 스토르피엘레트 1767m (랍랜드)
  • 템플레트 1728m (옘틀란드)
  • 릴실렌 1704m (옘틀란드)
  • 오레스쿠탄 1420m (옘틀란드)
  • 스토르베테쇼그나 1204m (달라르나)
  • 니프피엘레트 1191m (달라르나)
  • 스태드잔 1131m (달라르나)

3. 1. 3. 핀란드

미콘바라(Meekonvaara)에서 바라본 풍경 () - 가장 높은 산까지


핀란드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할티 (Halti)로, 해발 1324m이다. 할티 산은 라피(Lapland) 지역과 노르웨이 트롬스 지역에 걸쳐 있다. 핀란드에서 할티 산 다음으로 높은 산은 릿니트소흐카 (Ridnitsohkka)이며, 해발 1317m로 라피 지역에 있다.

순위산 이름높이 (m)
1할티 (Halti)1324m
2릿니트소흐카 (Ridnitsohkka)1317m
3키에디트소흐카 (Kiedditsohkka)1280m
4코브도스카이시 (Kovddoskaisi)1240m
5루브드나오아이비 (Ruvdnaoaivi)1239m
6로아소니바 (Loassonibba)1180m
7우르타스바라 (Urtasvaara)1150m
8카페루스바아라트 (Kahperusvaarat)1144m
9알도라사 (Aldorassa)1130m
10키에드도아이비 (Kieddoaivi)1100m


4. 기후

북유럽의 기후는 노르웨이 해안을 따라서는 해양성 기후이고,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강수량 감소 지역에 위치한 스웨덴에서는 훨씬 더 대륙성 기후이다. 북쪽 위치와 북 대서양의 습기가 결합되어 많은 빙원빙하가 형성되었다. 산에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며, 연평균 기온(MAAT)이 -1.5°C인 지역의 산 영구 동토는 겨울철에 눈 덮임이 적고 바람에 노출된 지역에서 발견된다. 더 높은 곳에서는 MAAT가 -3.5°C인 고도에서 광범위한 영구 동토가 예상되며, MAAT가 -6°C인 고도에서 연속적인 영구 동토가 예상된다.[17]

EU가 후원하는 PACE(유럽의 영구 동토와 기후) 프로젝트 내에서, 해발 1540m 고도에 있는 타르팔라 연구소 위의 기반암에 100m 깊이의 시추공이 뚫렸다. 100m 깊이에서의 안정적인 지반 온도는 여전히 -2.75°C이다.[18] 시추공에서 측정된 지열 경사 1.17°C/100m를 통해 영구 동토 두께를 330m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케브네카이세 정상까지 이 고도와 그 이상에서 연속적인 영구 동토가 존재한다는 추가적인 증거이다.

스칸디나비아 산맥에서 광범위한 불연속 영구 동토의 하한선은 노르웨이 남부 서부의 1700m에서 스웨덴과의 국경 근처 1500m까지, 노르웨이 북부의 1600m에서 북쪽의 대륙성 기후인 스웨덴(케브네카이세 지역)의 1100m까지 떨어진다.[19] 영구 동토의 하한선과 달리, 평균 빙하 고도(또는 빙설선)는 강수량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설선, 즉 적설대와 용융대 사이의 경계선인 빙하의 평형선은 서쪽의 1500m(요스테폰)에서 동쪽의 2100m(요툰헤이멘)까지 반대 경향을 보인다.

5. 지질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암석은 대부분 칼레도니아 조산운동으로 형성된 칼레도니아 암석이다. 이 암석은 더 오래된 스베코카렐리아 및 스베코노르웨이 지방의 암석 위에 놓여 있다. 칼레도니아 암석은 오래된 암석 위로 단층되어 들어온 거대한 나페(sv)를 형성하며, 상당 부분 침식되어 과거에는 더 동쪽으로 뻗어 있었고, 칼레도니아 암석의 남은 괴와 선캄브리아 시대 암석의 창이 남게 되었다.[20]

지질학자들은 나페 내에서 최상부, 상부, 중간, 하부의 네 단위를 인식한다. 하부 단위는 에디아카라기(벤디안),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스기, 실루리아기퇴적암으로 구성되며, 일부 지역에는 선캄브리아기 순상지 암석 조각도 포함된다.[20]

실루리아기와 데본기 동안 칼레도니아 나페는 오래된 암석과 그 자체 위에 쌓였다. 이는 고대 대륙인 로렌시아발티카가 대륙 충돌하면서 야페투스 해가 닫히면서 발생했으며, 이 충돌로 현재의 스칸디나비아 산맥과 거의 같은 지역에 히말라야산 크기의 칼레도니아 산맥이 만들어졌다.[21][26] 칼레도니아 산맥은 데본기에 조산 후 붕괴를 시작하여 구조 확장과 침강을 겪었다.[23]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지형 형성 과정은 지질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이다.[24] 지질학적으로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북대서양 건너편의 동부 그린란드 산맥이나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레이트 디바이딩 산맥과 유사하게, 수동형 대륙 연변으로 분류된다.[26]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조산 운동이 아닌, 주로 신생대에 발생한 지각 변동으로 인해 현재의 높이에 도달했다.[25]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융기는 동쪽으로 기울어진 지표면을 만들었고, 이는 하천 침식을 유발했다.[31] 이러한 기울어진 표면의 일부는 북부 스웨덴의 머더스 평원 지형을 형성한다.[32] 점진적인 기울기는 북부 스웨덴의 평행 배수 패턴을 만드는 데 영향을 주었다.[31]

조산 산맥과 달리, 스칸디나비아 산맥과 같은 융기된 수동형 대륙 연변을 설명하는 데 널리 받아들여지는 지구물리학 모델은 아직 없다.[39] 2012년 연구에서는 스칸디나비아 산맥과 다른 융기된 수동형 대륙 연변이 동일한 융기 메커니즘을 공유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이 메커니즘은 지구 암석권의 원거리 응력과 관련이 있으며,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거대한 배사 암석권 습곡과 유사하다.[40][41]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노르웨이 해안의 해양성 기후와 스웨덴의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북쪽 위치와 북대서양의 습기는 많은 빙원빙하를 형성했으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5. 1. 기반암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암석 대부분은 칼레도니아 조산운동으로 형성된 칼레도니아 암석이다. 칼레도니아 암석은 더 오래된 스베코카렐리아 및 스베코노르웨이 지방의 암석 위에 놓여 있다. 칼레도니아 암석은 오래된 암석 위로 단층되어 들어온 거대한 나페(skollor|스코로sv)를 형성한다. 칼레도니아 암석의 상당 부분은 침식되었는데, 이는 한때 더 두껍고 연속적이었음을 의미한다. 침식으로 인해 칼레도니아 암석 나페가 과거에는 더 동쪽으로 뻗어 있었고, 칼레도니아 암석의 남은 괴와 선캄브리아 시대 암석의 창이 남게 되었다.[20]

지질학자들은 나페 내에서 최상부, 상부, 중간, 하부의 네 단위를 인식한다. 하부 단위는 에디아카라기(벤디안),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스기, 실루리아기퇴적암으로 구성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선캄브리아기 순상지 암석 조각도 하부 나페에 포함된다.[20]

실루리아기와 데본기 동안 칼레도니아 나페는 오래된 암석과 그 자체 위에 쌓였다. 이는 고대 대륙인 로렌시아발티카가 대륙 충돌하면서 야페투스 해가 닫히면서 발생했다.[20] 이 충돌로 현재의 스칸디나비아 산맥과 거의 같은 지역에 히말라야산 크기의 칼레도니아 산맥이 만들어졌다.[21][26] 칼레도니아 산맥은 데본기에 조산 후 붕괴를 시작하여 구조 확장과 침강을 겪었다.[23]

5. 2. 형성 과정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지형 형성 과정은 지질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이다.[24] 지질학적으로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북대서양 건너편의 동부 그린란드 산맥이나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레이트 디바이딩 산맥과 유사하게, 수동형 대륙 연변으로 분류된다.[26]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조산 운동이 아닌, 주로 신생대에 발생한 지각 변동으로 인해 현재의 높이에 도달했다.[25]

스칸디나비아 산맥(특히 노르웨이 남부)의 융기에 대해서는 두 단계의 모델이 제시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중생대에, 두 번째 단계는 제3기부터 시작되었다.[21] 노르웨이 남부의 융기로 인해 캄브리아기 하부 평원의 가장 서쪽 부분이 융기되었고, 이는 노르웨이 고지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28][29] 노르웨이 남부의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북부 스칸디나비아보다 늦은 신생대에 주요 융기 단계를 겪었다. 반면, 북부 스칸디나비아는 고생대에 주요 융기 단계를 겪었다.[32] 예를 들어, 하당에르비다는 플라이오세 초기에 해수면에서 현재의 까지 융기했다.[30]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융기는 동쪽으로 기울어진 지표면을 만들었고, 이는 하천 침식을 유발했다.[31] 이러한 기울어진 표면의 일부는 북부 스웨덴의 머더스 평원 지형을 형성한다.[32] 점진적인 기울기는 북부 스웨덴의 평행 배수 패턴을 만드는 데 영향을 주었다.[31] 융기는 해안과 평행한 정단층에 의해 일어났으며, 단층이 없는 돔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견해가 있다.[31][33] 따라서 남부와 북부 스칸디나비아 산맥을 두 개의 돔으로 분류하는 것은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31] 노르웨이 해안 평원인 스트란플랫과 산맥의 융기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존재한다.

조산 산맥과 달리, 스칸디나비아 산맥과 같은 융기된 수동형 대륙 연변을 설명하는 데 널리 받아들여지는 지구물리학 모델은 아직 없다.[39] 하지만, 여러 융기 메커니즘이 제안되어 왔다. 2012년 연구에서는 스칸디나비아 산맥과 다른 융기된 수동형 대륙 연변이 동일한 융기 메커니즘을 공유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이 메커니즘은 지구 암석권의 원거리 응력과 관련이 있다. 이 관점에 따르면,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거대한 배사 암석권 습곡과 유사하다. 습곡은 얇은 지각에서 두꺼운 지각으로 변하는 지점(모든 수동형 연변의 특징)에 작용하는 수평 압축에 의해 발생했을 수 있다.[40][41]

다른 연구에서는 기후가 등압 보상을 유도하는 침식을 일으키는 역할을 강조한다.[22] 제4기 동안의 하천 및 빙하 침식과 침식은 등압 반응을 통해 산의 융기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22][24] 이 메커니즘으로 인한 총 융기량은 에 달할 수 있다.[24] 또 다른 지구과학자들은 맨틀 상승이 융기의 원인이라고 추정했다.[22] 한 가설에 따르면,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초기 융기는 약 5300만 년 전 그린란드와 스칸디나비아가 열개될 때 아이슬란드 열점에 의해 발생한 암석권 및 연약권의 밀도 변화 때문일 수 있다.[42]

5. 3. 제4기 지질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노르웨이 해안의 해양성 기후와 스웨덴의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북쪽 위치와 북대서양의 습기는 많은 빙원빙하를 형성했으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연평균 기온(MAAT)이 -1.5°C인 지역에서는 눈 덮임이 적고 바람에 노출된 산 영구 동토가 발견되며, -3.5°C 고도에서는 광범위한 영구 동토, -6°C 고도에서는 연속적인 영구 동토가 예상된다.[17]

타르팔라 연구소 위의 기반암에 뚫린 100m 깊이의 시추공에서는 100m 깊이에서 -2.75°C의 안정적인 지반 온도가 측정되었다.[18] 지열 경사를 통해 영구 동토 두께를 330m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케브네카이세 정상까지 연속적인 영구 동토가 존재한다는 증거이다.

스칸디나비아 산맥에서 광범위한 불연속 영구 동토의 하한선은 노르웨이 남부 서부 1700m에서 스웨덴 국경 근처 1500m까지, 노르웨이 북부 1600m에서 스웨덴(케브네카이세 지역) 1100m까지 떨어진다.[19] 평균 빙하 고도(또는 설선)는 강수량과 관련이 있어 서쪽 1500m(요스테폰)에서 동쪽 2100m(요툰헤이멘)까지 반대 경향을 보인다.

많은 경사면과 계곡은 침식에 취약한 단열을 따라 곧게 뻗어 있다.[11] 저반에 해당하는 경사면은 직선을 이루는 경향이 있다.[43] 노르웨이해와 남동쪽으로 흐르는 강의 분수계는 한때 더 서쪽에 있었으며, 빙하 침식이 분수계 이동에 기여했다.[11]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빙하 침식으로 조각되었으며, 빙하 권곡이 점점이 이어져 있고, 일반적으로 빙하기 이전 고지표면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12] 빙하 침식은 계곡 사이에 형성되는 고지표면에서 제한적이었고, 고지표면은 빙하기 동안 발산적이고 느린 빙하 흐름의 대상이었다. 반대로 계곡은 빙하 흐름을 집중시켜 빠른 빙하 또는 빙하류를 형성했다.[14] 산맥 서부에서는 피오르를 구성하는 수몰된 빙하 형태의 계곡이 두드러지며, 동부에서는 계곡의 빙하 재형성이 약하다.[12] 많은 산꼭대기에는 빙하기에 누나탁이었거나 저온 기저 빙하 아래에서 침식으로부터 보호받은 암괴원이 있다.[11] 카르스트 시스템은 북부 지역에서 더 흔하며, 오랜 역사를 가질 수 있다.[11]

산맥은 퇴적 덮개, 빙퇴석, 드럼린, 사력 평원, 에스커 형태의 빙하 기원 퇴적물로 덮여 있으며, 노출된 암석 표면은 산맥 서쪽에서 더 흔하다. 이러한 퇴적물과 지형은 대부분 바이스엘 빙하기와 그 이후의 융빙과 관련하여 형성되었다.[11]

바이스엘 빙하기와 뷔름 빙하기의 최대 빙하기 동안의 유럽. 스칸디나비아 산맥 전체가 빙하 얼음(흰색)으로 덮여 있다.


신생대 빙하기는 페노스칸디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스칸디나비아 산맥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44] 지난 275만 년 동안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산악 중심의 빙모빙원을 50% 동안 유지했다.[45] 페노스칸디아 빙상이 여러 번 성장한 빙원은 안데스 파타고니아의 빙원과 유사했을 가능성이 높다.[44] 최대 빙하기 (약 20 ka BP) 동안 모든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페노스칸디아 빙상으로 덮여 있었으며, 덴마크, 독일, 폴란드, 구 소련까지 확장되었다. 22~17ka BP에 빙상 경계가 후퇴하면서 빙상은 스칸디나비아 산맥에 점점 더 집중되었다. 빙상은 남부 노르웨이와 북부 스웨덴 및 노르웨이의 두 부분에 집중되었고, 두 중심지는 한동안 연결되어 다양한 대규모 임시 빙하 호수를 형성하는 주요 배수 장벽을 구성했다. 약 10ka BP에 연결이 사라졌고, 1천 년 후에는 남부 중심지도 사라졌다. 북부 중심지는 몇 백 년 더 남아 있었고, 9.7ka BP까지 사레크 산은 페노스칸디아 빙상의 마지막 잔재를 유지했다.[46] 빙상이 스칸디나비아 산맥으로 후퇴하면서 빙하 분할이 서쪽으로 집중되면서 빙상이 시작된 초기 산악 빙하 작용과는 달랐다.[44]

참조

[1] Encyclopedia Galdhøpiggen http://www.ne.se/gal[...] 2010-07-18
[2] Encyclopedia fjällkedjan http://www.ne.se/fjä[...] 2010-07-18
[3] 뉴스 - Nordryggen, hæ ? http://www.dagbladet[...] 2013-09-14
[4] 뉴스 Geo365 – Nordryggen: Rotfestet i norsk navnetradisjon http://www.geo365.no[...] 2014-03-02
[5] 뉴스 Fjällen får nytt norskt namn – SvD https://www.svd.se/f[...] 2013-09-14
[6] 뉴스 Norge namnger fjällen – kallar dem Nordryggen – Nyheter (Ekot) https://sverigesradi[...] 2013-09-14
[7] 웹사이트 The delineation of European mountain area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6-11-04
[8] 논문 The long-term topographic response of a continent adjacent to a hyperextended margin: A case study from Scandinavia 2013
[9] 웹사이트 Den skandinaviske fjellkjede http://snl.no/Den_sk[...] 2017-12-14
[10] 논문 Landforms and uplift history of southern Norway 2000
[11] 서적 The Physical Geography of Fennoscand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2] 서적 Geography of Norden https://archive.org/[...] Heinemann 1960
[13] 논문 Automatic regional classification of topography in Norway 2007
[14] 논문 Selective glacial erosion on the Norwegian passive margin 2013
[15] 논문 The Norwegian mountains: the result of multiple episodes of uplift and subsidence 2022-01
[16] 서적 Terrängformer i Norden Nordiska ministerrådet 1984
[17] 논문 Zonation and ecology of high mountain permafrost in Scandinavia 1986
[18] 논문 Recent air and ground temperature increases at Tarfala Research Station, Sweden 2013
[19] 논문 High Mountain Permafrost in Scandinavia 1983
[20] 서적 Sveriges Geologi: Från urtid till nutid Studentlitteratur 2011
[21] 논문 Latest Caledonian to Present tecton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southern Norway 2010
[22] 논문 Geophysical-petrological modelling of the East Greenland Caledonides – Isostatic support from crust and upper mantle 2016
[23] 논문 Orogenic uplift and collapse, crustal thickness, fabrics and metamorphic phase changes: the role of eclogites 1993
[24] 논문 Evolution of topography of post-Devonian Scandinavia: Effects and rates of erosion 2015
[25] 논문 The Scandinavian mountains have not persisted since the Caledonian orogeny. A comment on Nielsen et al. (2009a) 2010
[26] 논문 Stratigraphic landscape analysis, thermochronology and the episodic development of elevated, passive continental margins http://www.geus.dk/p[...] 2015-04-30
[27] 논문 Norway's Paleic Surface 1967
[28] 웹사이트 Paleiska ytan http://www.ne.se/upp[...] Cydonia Development 2015-06-22
[29] 논문 Automatic identification of topographic surfaces related to the sub-Cambrian peneplain (SCP) in Southern Norway—Surface generation algorithms and implications 2014
[30] 논문 Mountains of southernmost Norway: uplifted Miocene peneplains and re-exposed Mesozoic surfaces http://jgs.lyellcoll[...] 2018-05-17
[31] 논문 The long-term topographic response of a continent adjacent to a hyperextended margin: A case study from Scandinavia 2013
[32] 서적 Exhumation of the North Atlantic Margin: Timing, Me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Petroleum Exploration Th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2002
[33] 논문 Meso-Cenozoic morphotectonic evolution of southern Norway: Neogene domal uplift inferred from apatite fission track thermochronology https://research.vu.[...] 1995
[34] Encyclopedia Strandflat
[35] 논문 Deep weathering, neotectonics and strandflat formation in Nordland, northern Norway 2013
[36] 논문 The inheritance of a Mesozoic landscape in western Scandinavia 2017
[37] 논문 The Norwegian strandflat puzzle https://foreninger.u[...] 1998
[38] 논문 Correspondence: Challenges with dating weathering products to unravel ancient landscapes 2017
[39] 웹사이트 Atlantens kustberg och högslätter – gamla eller unga? http://www.geografit[...] Geografilärarnas Riksförening 2009
[40] 논문 Elevated, passive continental margins: Not rift shoulders, but expressions of episodic, post-rift burial and exhumation 2012
[41] 문서 Løseth and Hendriksen 2005
[42] 서적 Exhumation of the North Atlantic Margin: Timing, Me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Petroleum Exploration Th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2002
[43] 논문 Fault-controlled alpine topography in Norway http://jgs.lyellcoll[...] 2010
[44] 논문 Glacial inception and Quaternary mountain glaciations in Fennoscandia 2002
[45] 논문 Preglacial surface remnants and Quaternary glacial regimes in northwestern Sweden 1997
[46] 논문 Deglaciation of Fennoscandia 2016
[47] 웹사이트 Pirttimysvuom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48] 웹사이트 Sjaunj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49] 웹사이트 Laidaur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0] 웹사이트 Tärnasjön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1] 웹사이트 Oldflån-Flån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2] 웹사이트 Ånnsjön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3] 웹사이트 Fokstumyr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4] 웹사이트 Lätäseno-Hietajoki Mire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5] 웹사이트 Ulendeltaet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6] 웹사이트 Øvre Forr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7] 웹사이트 Tjålmejaure-Laisdalen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8] 웹사이트 Tavvavuom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59] 웹사이트 Blaikfjället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60] 웹사이트 Atnsjømyren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61] 웹사이트 Møsvasstangen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