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튀름-리우빌 연산자는 실수 구간에서 정의된 2차 미분 연산자로, 다양한 형태의 미분 방정식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로뱅 경계 조건과 함께 힐베르트 공간에서 자기 수반 작용소로 확장되며, 고유값과 고유 함수를 갖는다. 이 연산자는 고유값이 실수이고, 고유 함수가 직교하는 성질을 가지며, 비동차 경계값 문제나 편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응용된다. 스튀름-리우빌 방정식으로 변환하여 해를 구하거나, 사격법, 유한 차분법 등의 수치적 방법을 통해 근사해를 계산할 수 있다. 자크 샤를 프랑수아 스튀름과 조제프 리우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정의

실수의 닫힌구간 [a,b] \subsetneq \mathbb R에서 정의된 2차 연속 미분 가능 함수에 대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꼴의 2차 미분 연산자이다.

:D \colon \mathcal C^2([a,b],\mathbb R) \to \mathcal C^0([a,b],\mathbb R)

:D = -\frac1{w(x)}\left(\frac{d}{dx}p(x)\frac{d}{dx}+q(x)\right)

= -\frac{p(x)}{w(x)}

\frac{d^2}{dx^2}


  • \frac1{w(x)}p'(x)\frac{d}{dx}
  • \frac{q(x)}{w(x)}



여기서

  • p \colon [a,b] \to \mathbb R^+는 양의 실수 값의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다.
  • q \colon [a,b] \to \mathbb R연속 함수이다.
  • w \colon [a,b] \to \mathbb R^+는 양의 실수 값의 연속 함수이다. (이를 '''무게 함수''' weight function영어라고 한다.)


닫힌구간 [a,b] 위의 '''로뱅 경계 조건'''(Robin境界條件, Robin boundary condition영어)이란 [a,b] 위의 연속 미분 가능 함수에 대한, 다음과 같은 꼴의 경계 조건이다.

:\alpha_a y(a) + \beta_a y'(a) = 0\qquad(\alpha_a,\beta_a\in\mathbb R)

:\alpha_b y(b) + \beta_b y'(b) = 0\qquad(\alpha_a,\beta_a\in\mathbb R)

여기서, 다음 조건이 성립해야 한다.

  • \alpha_a 또는 \beta_a 가운데 하나 이상이 0이 아니며, 마찬가지로 \alpha_b 또는 \beta_b 가운데 하나 이상이 0이 아니다.

즉, [\alpha_a:\beta_a][\alpha_b:\beta_b]는 각각 실수 사영 직선 \mathbb P^1_{\mathbb R} = \mathbb R \sqcup \{\infty\}의 두 점의 동차 좌표를 이룬다.

로뱅 경계 조건을 골랐다면, 스튀름-리우빌 연산자는 힐베르트 공간

:H = \operatorname L^2([a,b],w(x)\,\mathrm dx)

= \left\{ f\in \operatorname L^0([a,b],\mathbb R)

\colon \int_a^b |f(x)|^2w(x)\,\mathrm dx < \infty

\right \}



위의 자기 수반 작용소로 유일하게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확대는 선택한 로뱅 경계 조건에 의존한다.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D고유 함수 방정식

:Dy(x) = \lambda y(x)

즉 선형 상미분 방정식

: -\frac{d}{dx}\left(p(x)\frac{dy(x)}{dx}\right)-q(x)y(x)=\lambda w(x)y(x)

을 '''스튀름-리우빌 방정식'''(u/Sturm–Liouville equation}})이라고 한다. 이 방정식은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므로, pq, \lambda의 값에 따라 해의 공간은 벡터 공간을 이룬다. '''스튀름-리우빌 문제'''는 스튀름-리우빌 미분 연산자의 고윳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다음과 같이 정의된 매핑:

:Lu = -\frac{1}{w(x)} \left(\frac{d}{dx}\left[p(x)\,\frac{du}{dx}\right]+q(x)u \right)

는 함수 로 매핑하는 선형 연산자 로 볼 수 있으며, 함수 해석학의 맥락에서 연구될 수 있다.

이것은 정확히 고유값 문제이다. 즉, 연산자의 고유값 및 해당 고유 벡터 를 찾는다. 이 문제에 대한 적절한 설정은 스칼라 곱을 갖는 L^2([a,b],w(x)\,dx) 힐베르트 공간이다.

: \langle f, g\rangle = \int_a^b \overline{f(x)} g(x)w(x)\, dx.

이 공간에서 은 위의 정규 경계 조건을 만족하는 충분히 매끄러운 함수에 대해 정의된다. 또한, 은 자기 수반 연산자이다.

: \langle L f, g \rangle = \langle f, L g \rangle .

이는 부분 적분을 두 번 사용하여 형식적으로 볼 수 있으며, 경계 조건에 따라 경계 항이 사라진다. 그러면 슈트름-리우빌 연산자의 고유값이 실수이고, 서로 다른 고유값에 해당하는 의 고유 함수는 직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연산자는 비유계이므로 고유 함수의 정규 직교 기저의 존재가 명확하지 않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resolvent를 살펴본다.

:\left (L - z\right)^{-1}, \qquad z \in \Reals,

여기서 는 고유값이 아니다. 그런 다음, resolvent를 계산하는 것은 비동차 방정식을 푸는 것이며, 이는 매개변수 변동 공식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는 resolvent가 연속적이고 대칭적인 커널(문제의 그린 함수)을 가진 적분 연산자임을 보여준다. Arzelà–Ascoli 정리의 결과로, 이 적분 연산자는 콤팩트하고 0으로 수렴하는 일련의 고유값 의 존재와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하는 고유 함수는 콤팩트 연산자에 대한 스펙트럼 정리에서 따른다. 마지막으로,

:\left(L-z\right)^{-1} u = \alpha u, \qquad L u = \left(z+\alpha^{-1}\right) u,

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고유 함수로 \lambda = z+\alpha^{-1}을 취할 수 있다.

구간이 무한하거나 계수가 경계점에서 특이점을 갖는 경우, 을 특이점이라 부른다. 이 경우, 스펙트럼은 더 이상 고유값만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연속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관련된 고유 함수 전개(푸리에 급수 대 푸리에 변환과 유사)가 있다. 이는 1차원 시간 독립 슈뢰딩거 방정식이 슈트름-리우빌 방정식의 특수한 경우이므로 양자 역학에서 중요하다.

2. 1.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실수의 닫힌구간 [a,b] \subsetneq \mathbb R에서 정의된 2차 연속 미분 가능 함수에 대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꼴의 2차 미분 연산자이다.

:D \colon \mathcal C^2([a,b],\mathbb R) \to \mathcal C^0([a,b],\mathbb R)

:D = -\frac1{w(x)}\left(\frac{d}{dx}p(x)\frac{d}{dx}+q(x)\right)

= -\frac{p(x)}{w(x)}

\frac{d^2}{dx^2}

  • \frac1{w(x)}p'(x)\frac{d}{dx}
  • \frac{q(x)}{w(x)}



여기서

  • p \colon [a,b] \to \mathbb R^+는 양의 실수 값의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다.
  • q \colon [a,b] \to \mathbb R연속 함수이다.
  • w \colon [a,b] \to \mathbb R^+는 양의 실수 값의 연속 함수이다. (이를 '''무게 함수''' weight function영어라고 한다.)


닫힌구간 [a,b] 위의 '''로뱅 경계 조건'''(Robin境界條件, Robin boundary condition영어)이란 [a,b] 위의 연속 미분 가능 함수에 대한, 다음과 같은 꼴의 경계 조건이다.

:\alpha_a y(a) + \beta_a y'(a) = 0\qquad(\alpha_a,\beta_a\in\mathbb R)

:\alpha_b y(b) + \beta_b y'(b) = 0\qquad(\alpha_a,\beta_a\in\mathbb R)

여기서, 다음 조건이 성립해야 한다.

  • \alpha_a 또는 \beta_a 가운데 하나 이상이 0이 아니며, 마찬가지로 \alpha_b 또는 \beta_b 가운데 하나 이상이 0이 아니다.

즉, [\alpha_a:\beta_a][\alpha_b:\beta_b]는 각각 실수 사영 직선 \mathbb P^1_{\mathbb R} = \mathbb R \sqcup \{\infty\}의 두 점의 동차 좌표를 이룬다.

로뱅 경계 조건을 골랐다면, 스튀름-리우빌 연산자는 힐베르트 공간

:H = \operatorname L^2([a,b],w(x)\,\mathrm dx)

= \left\{ f\in \operatorname L^0([a,b],\mathbb R)

\colon \int_a^b |f(x)|^2w(x)\,\mathrm dx < \infty

\right \}



위의 자기 수반 작용소로 유일하게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확대는 선택한 로뱅 경계 조건에 의존한다.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D고유 함수 방정식

:Dy(x) = \lambda y(x)

즉 선형 상미분 방정식

: -\frac{d}{dx}\left(p(x)\frac{dy(x)}{dx}\right)-q(x)y(x)=\lambda w(x)y(x)

을 '''스튀름-리우빌 방정식'''(u/Sturm–Liouville equation}})이라고 한다.

다음과 같이 정의된 매핑:

Lu = -\frac{1}{w(x)} \left(\frac{d}{dx}\left[p(x)\,\frac{du}{dx}\right]+q(x)u \right)

는 함수 로 매핑하는 선형 연산자 로 볼 수 있으며, 함수 해석학의 맥락에서 연구될 수 있다.

이것은 정확히 고유값 문제이다. 즉, 연산자의 고유값 및 해당 고유 벡터 를 찾는다. 이 문제에 대한 적절한 설정은 스칼라 곱을 갖는 L^2([a,b],w(x)\,dx) 힐베르트 공간이다.

: \langle f, g\rangle = \int_a^b \overline{f(x)} g(x)w(x)\, dx.

이 공간에서 은 위의 정규 경계 조건을 만족하는 충분히 매끄러운 함수에 대해 정의된다. 또한, 은 자기 수반 연산자이다.

: \langle L f, g \rangle = \langle f, L g \rangle .

이는 부분 적분을 두 번 사용하여 형식적으로 볼 수 있으며, 경계 조건에 따라 경계 항이 사라진다. 그러면 슈트름-리우빌 연산자의 고유값이 실수이고, 서로 다른 고유값에 해당하는 의 고유 함수는 직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연산자는 비유계이므로 고유 함수의 정규 직교 기저의 존재가 명확하지 않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resolvent를 살펴본다.

:\left (L - z\right)^{-1}, \qquad z \in \Reals,

여기서 는 고유값이 아니다. 그런 다음, resolvent를 계산하는 것은 비동차 방정식을 푸는 것이며, 이는 매개변수 변동 공식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는 resolvent가 연속적이고 대칭적인 커널(문제의 그린 함수)을 가진 적분 연산자임을 보여준다. Arzelà–Ascoli 정리의 결과로, 이 적분 연산자는 콤팩트하고 0으로 수렴하는 일련의 고유값 의 존재와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하는 고유 함수는 콤팩트 연산자에 대한 스펙트럼 정리에서 따른다. 마지막으로,

:\left(L-z\right)^{-1} u = \alpha u, \qquad L u = \left(z+\alpha^{-1}\right) u,

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고유 함수로 \lambda = z+\alpha^{-1}을 취할 수 있다.

구간이 무한하거나 계수가 경계점에서 특이점을 갖는 경우, 을 특이점이라 부른다. 이 경우, 스펙트럼은 더 이상 고유값만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연속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관련된 고유 함수 전개(푸리에 급수 대 푸리에 변환과 유사)가 있다. 이는 1차원 시간 독립 슈뢰딩거 방정식이 슈트름-리우빌 방정식의 특수한 경우이므로 양자 역학에서 중요하다.

2. 2. 스튀름-리우빌 방정식

실수의 닫힌구간 [a,b] \subsetneq \mathbb R 위의 2차 연속 미분 가능 함수에 대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꼴의 2차 미분 연산자이다.

:D \colon \mathcal C^2([a,b],\mathbb R) \to \mathcal C^0([a,b],\mathbb R)

:D = -\frac1{w(x)}\left(\frac{dx}p(x)\frac{d}{dx}+q(x)\right)

= -\frac{p(x)}{w(x)}

\frac{d^2}{dx^2}

  • \frac1{w(x)}p'(x)\frac{d}{dx}
  • \frac{q(x)}{w(x)}



여기서

  • p \colon [a,b] \to \mathbb R^+는 양의 실수 값의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다.
  • q \colon [a,b] \to \mathbb R연속 함수이다.
  • w \colon [a,b] \to \mathbb R^+는 양의 실수 값의 연속 함수이다. (이를 '''무게 함수''' weight function영어라고 한다.)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D고유 함수 방정식

:Dy(x) = \lambda y(x)

즉 선형 상미분 방정식

: -\frac{d}{dx}\left(p(x)\frac{dy(x)}{dx}\right)-q(x)y(x)=\lambda w(x)y(x)

을 '''스튀름-리우빌 방정식'''(u/Sturm–Liouville equation}})이라고 한다. 이 방정식은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므로, pq, \lambda의 값에 따라 해의 공간은 벡터 공간을 이룬다.

다음과 같이 정의된 매핑:

Lu = -\frac{1}{w(x)} \left(\frac{d}{dx}\left[p(x)\,\frac{du}{dx}\right]+q(x)u \right)

는 함수 로 매핑하는 선형 연산자 로 볼 수 있으며, 함수 해석학의 맥락에서 연구될 수 있다.

이것은 정확히 고유값 문제이다. 즉, 연산자의 고유값 및 해당 고유 벡터 를 찾는다. 이 문제에 대한 적절한 설정은 스칼라 곱을 갖는 L^2([a,b],w(x)\,dx) 힐베르트 공간이다.

\langle f, g\rangle = \int_a^b \overline{f(x)} g(x)w(x)\, dx.

이 공간에서 은 위의 정규 경계 조건을 만족하는 충분히 매끄러운 함수에 대해 정의된다. 또한, 은 자기 수반 연산자이다.

\langle L f, g \rangle = \langle f, L g \rangle .

이는 부분 적분을 두 번 사용하여 형식적으로 볼 수 있으며, 경계 조건에 따라 경계 항이 사라진다. 그러면 슈트름-리우빌 연산자의 고유값이 실수이고, 서로 다른 고유값에 해당하는 의 고유 함수는 직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간이 무한하거나 계수가 경계점에서 특이점을 갖는 경우, 을 특이점이라 부른다. 이 경우, 스펙트럼은 더 이상 고유값만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연속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관련된 고유 함수 전개(푸리에 급수 대 푸리에 변환과 유사)가 있다. 이는 1차원 시간 독립 슈뢰딩거 방정식이 슈트름-리우빌 방정식의 특수한 경우이므로 양자 역학에서 중요하다.

2. 3. 로뱅 경계 조건

로뱅 경계 조건(Robin境界條件, Robin boundary condition영어)은 닫힌구간 [a,b] 위의 연속 미분 가능 함수에 대해, 함수와 그 미분 값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되는 경계 조건이다. 즉, 다음과 같은 꼴의 경계 조건이다.

:\alpha_a y(a) + \beta_a y'(a) = 0\qquad(\alpha_a,\beta_a\in\mathbb R)

:\alpha_b y(b) + \beta_b y'(b) = 0\qquad(\alpha_a,\beta_a\in\mathbb R)

여기서 \alpha_a 또는 \beta_a 가운데 하나 이상이 0이 아니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alpha_b 또는 \beta_b 가운데 하나 이상이 0이 아니어야 한다. 즉, [\alpha_a:\beta_a][\alpha_b:\beta_b]는 각각 실수 사영 직선 \mathbb P^1_{\mathbb R} = \mathbb R \sqcup \{\infty\}의 두 점의 동차 좌표를 이룬다.

로뱅 경계 조건을 적용하면, 스튀름-리우빌 연산자힐베르트 공간 위의 자기 수반 작용소로 유일하게 확대될 수 있으며, 이 확대는 선택한 로뱅 경계 조건에 의존한다.

3. 성질

스튀름-리우빌 연산자의 고윳값은 모두 실수이고 이산적(discrete)이다. 고윳값은 크기 순으로 나열할 수 있으며, 최소값은 존재하지만 최대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lambda_0 < \lambda_1 < \lambda_2 < \dotsb

:\lim_{i\to\infty}\lambda_i = +\infty

각 고윳값 \lambda_i에 대응하는 고유 함수의 공간은 1차원이며, 이는 상수배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결정된다. 이 고유 함수는 실수 함수이며, 열린구간 (a,b)에서 정확히 i개의 영점을 갖는다.

이러한 고유 함수들은 주어진 무게 함수 w(x)에 대한 내적

:\int_a^b y_i(x)y_j(x)w(x)\,\mathrm dx = \delta_{ij}

에 대해 정규 직교 기저를 이룬다. 여기서 \delta_{ij}크로네커 델타이다.

정칙 스튀름-리우빌 문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이다.


  • 유한 구간 [a, b]에서 계수 함수 p, q, w와 도함수 p'는 모두 연속이다.
  • 모든 x \in [a, b]에 대해 p(x) > 0w(x) > 0이다.
  • 분리된 경계 조건, 즉 로빈 경계 조건을 가진다.


:

\alpha_{1}y(a)+\alpha_{2}y'(a)=0\qquad\qquad\qquad(\alpha_{1}^{2}+\alpha_{2}^{2}>0),



:

\beta_{1}y(b)+\beta_{2}y'(b)=0\qquad\qquad\qquad(\beta_{1}^{2}+\beta_{2}^{2}>0),



이러한 조건 하에서, 스튀름-리우빌 이론은 고유값과 고유 함수의 존재성과 성질에 대한 결론을 제공한다.

스튀름-리우빌 연산자의 고윳값은 실수이고, 서로 다른 고윳값에 해당하는 고유 함수는 직교한다. 이는 부분 적분을 두 번 사용하여 형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경계 조건에 따라 경계 항이 사라진다.

구체적으로, 무게 함수 w \colon [a,b] \to \mathbb R^+에 대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D \colon \operatorname L^2([a,b],w)\to \operatorname L^2([a,b],w)가 주어졌을 때, 그 스펙트럼가산 집합이며, 하계를 가지며, 상계를 갖지 않고, 중복되지 않는다. 즉, 고윳값들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lambda_0 < \lambda_1 < \lambda_2 < \dotsb

:\lim_{i\to\infty}\lambda_i = +\infty

각 고윳값 \lambda_i에 대응하는 고유 함수의 공간은 1차원이며, 해당 로뱅 경계 조건을 따르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로 구성된다. 이 함수는 열린구간 (a,b) 속에서 정확히 i개의 영점을 갖는다.

이러한 고유 함수들의 집합 \{y_0,y_1,\dotsc\}은 주어진 무게 함수 w(x)에 대해 직교한다. 즉, H의 내적에 따라 정규화하였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int_a^b y_i(x)y_j(x)w(x)\,\mathrm dx = \delta_{ij}

이는 L^2([a,b],w(x)\,dx) 힐베르트 공간에서 스칼라 곱 \langle f, g\rangle = \int_a^b \overline{f(x)} g(x)w(x)\, dx을 정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공간에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은 자기 수반 연산자이며, \langle L f, g \rangle = \langle f, L g \rangle 를 만족한다.

하지만 이 연산자는 비유계이므로 고유 함수의 정규 직교 기저의 존재가 명확하지 않다. 이 문제는 resolvent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a,b] 위의 무게 함수 w \colon [a,b] \to \mathbb R^+에 대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D \colon \operatorname L^2([a,b],w)\to \operatorname L^2([a,b],w)가 주어졌을 때, 그 스펙트럼가산 집합이며, 하계를 가지고, 상계를 갖지 않으며, 중복되지 않는다. 즉, 다음과 같이 놓을 수 있다.

:\lambda_0 < \lambda_1 < \lambda_2 < \dotsb

:\lim_{i\to\infty}\lambda_i = +\infty

각 고윳값 \lambda_i에 대응하는 고유 함수의 공간은 1차원이며, 이는 해당 로뱅 경계 조건을 따르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로 구성된다. 또한, 이 함수는 열린구간 (a,b) 속에서 정확히 i개의 영점을 갖는다.

이러한 고유 함수들의 집합 \{y_0,y_1,\dotsc\}은 (H의 내적에 따라 정규화하였을 때) H정규 직교 기저를 이룬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int_a^b y_i(x)y_j(x)w(x)\,\mathrm dx = \delta_{ij}

''p''(''x'') > 0, ''w''(''x'') > 0이 성립하고, ''p''(''x''), ''p'''(''x''), ''q''(''x''), ''w''(''x'')가 유한폐구간 [''a'', ''b'']에서 연속이며, 분리된 동차 경계 조건에서, 이 경계값 문제를 슈트름-리우빌형 경계값 문제라고 한다.

슈트름-리우빌형 경계값 문제에서, 고유값은 모두 실수이며, 이산적인 값을 가지고 최소값을 가지지만 최대값은 가지지 않는다. 고유값을 작은 순서대로 λ1 , λ2 , λ3 , ... 와 같이 번호를 붙이면, 고유값 λ''n'' 에 대응하는 고유 함수 ''y''''n'' (''x'' )는 상수배를 제외하고 실수 함수로써 유일하게 존재하며, 개구간 (''a'', ''b'')에 ''n'' −1개의 영점을 가진다.

정규화된 고유 함수는, 경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로 이루어진 힐베르트 공간에서,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한다. 단, 내적은 \langle f,g \rangle = \int_a^b f(x)g(x)w(x)\,\mathrm{d}x 로 정의된다.

3. 1. 고윳값과 고유 함수

스튀름-리우빌 연산자의 고윳값은 모두 실수이고 이산적(discrete)이다. 고윳값은 크기 순으로 나열할 수 있으며, 최소값은 존재하지만 최대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lambda_0 < \lambda_1 < \lambda_2 < \dotsb

:\lim_{i\to\infty}\lambda_i = +\infty

각 고윳값 \lambda_i에 대응하는 고유 함수의 공간은 1차원이며, 이는 상수배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결정된다. 이 고유 함수는 실수 함수이며, 열린구간 (a,b)에서 정확히 i개의 영점을 갖는다.

이러한 고유 함수들은 주어진 무게 함수 w(x)에 대한 내적

:\int_a^b y_i(x)y_j(x)w(x)\,\mathrm dx = \delta_{ij}

에 대해 정규 직교 기저를 이룬다. 여기서 \delta_{ij}크로네커 델타이다.

정칙 스튀름-리우빌 문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이다.

  • 유한 구간 [a, b]에서 계수 함수 p, q, w와 도함수 p'는 모두 연속이다.
  • 모든 x \in [a, b]에 대해 p(x) > 0w(x) > 0이다.
  • 분리된 경계 조건, 즉 로뱅 경계 조건을 가진다.


:

\alpha_{1}y(a)+\alpha_{2}y'(a)=0\qquad\qquad\qquad(\alpha_{1}^{2}+\alpha_{2}^{2}>0),



:

\beta_{1}y(b)+\beta_{2}y'(b)=0\qquad\qquad\qquad(\beta_{1}^{2}+\beta_{2}^{2}>0),



이러한 조건 하에서, 스튀름-리우빌 이론은 고유값과 고유 함수의 존재성과 성질에 대한 결론을 제공한다.

3. 2. 고유 함수의 직교성

스튀름-리우빌 연산자의 고윳값은 실수이고, 서로 다른 고윳값에 해당하는 고유 함수는 직교한다. 이는 부분 적분을 두 번 사용하여 형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경계 조건에 따라 경계 항이 사라진다.

구체적으로, 무게 함수 w \colon [a,b] \to \mathbb R^+에 대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D \colon \operatorname L^2([a,b],w)\to \operatorname L^2([a,b],w)가 주어졌을 때, 그 스펙트럼가산 집합이며, 하계를 가지며, 상계를 갖지 않고, 중복되지 않는다. 즉, 고윳값들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lambda_0 < \lambda_1 < \lambda_2 < \dotsb

:\lim_{i\to\infty}\lambda_i = +\infty

각 고윳값 \lambda_i에 대응하는 고유 함수의 공간은 1차원이며, 해당 로뱅 경계 조건을 따르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로 구성된다. 이 함수는 열린구간 (a,b) 속에서 정확히 i개의 영점을 갖는다.

이러한 고유 함수들의 집합 \{y_0,y_1,\dotsc\}은 주어진 무게 함수 w(x)에 대해 직교한다. 즉, H의 내적에 따라 정규화하였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int_a^b y_i(x)y_j(x)w(x)\,\mathrm dx = \delta_{ij}

이는 L^2([a,b],w(x)\,dx) 힐베르트 공간에서 스칼라 곱 \langle f, g\rangle = \int_a^b \overline{f(x)} g(x)w(x)\, dx을 정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 공간에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은 자기 수반 연산자이며, \langle L f, g \rangle = \langle f, L g \rangle 를 만족한다.

하지만 이 연산자는 비유계이므로 고유 함수의 정규 직교 기저의 존재가 명확하지 않다. 이 문제는 resolvent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3. 3. 고유 함수의 완비성

[a,b] 위의 무게 함수 w \colon [a,b] \to \mathbb R^+에 대한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D \colon \operatorname L^2([a,b],w)\to \operatorname L^2([a,b],w)가 주어졌을 때, 그 스펙트럼가산 집합이며, 하계를 가지고, 상계를 갖지 않으며, 중복되지 않는다. 즉, 다음과 같이 놓을 수 있다.

:\lambda_0 < \lambda_1 < \lambda_2 < \dotsb

:\lim_{i\to\infty}\lambda_i = +\infty

각 고윳값 \lambda_i에 대응하는 고유 함수의 공간은 1차원이며, 이는 해당 로뱅 경계 조건을 따르는 연속 미분 가능 함수로 구성된다. 또한, 이 함수는 열린구간 (a,b) 속에서 정확히 i개의 영점을 갖는다.

이러한 고유 함수들의 집합 \{y_0,y_1,\dotsc\}은 (H의 내적에 따라 정규화하였을 때) H정규 직교 기저를 이룬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int_a^b y_i(x)y_j(x)w(x)\,\mathrm dx = \delta_{ij}

''p''(''x'') > 0, ''w''(''x'') > 0이 성립하고, ''p''(''x''), ''p'''(''x''), ''q''(''x''), ''w''(''x'')가 유한폐구간 [''a'', ''b'']에서 연속이며, 분리된 동차 경계 조건에서, 이 경계값 문제를 슈트름-리우빌형 경계값 문제라고 한다.

슈트름-리우빌형 경계값 문제에서, 고유값은 모두 실수이며, 이산적인 값을 가지고 최소값을 가지지만 최대값은 가지지 않는다. 고유값을 작은 순서대로 λ1 , λ2 , λ3 , ... 와 같이 번호를 붙이면, 고유값 λ''n'' 에 대응하는 고유 함수 ''y''''n'' (''x'' )는 상수배를 제외하고 실수 함수로써 유일하게 존재하며, 개구간 (''a'', ''b'')에 ''n'' −1개의 영점을 가진다.

정규화된 고유 함수는, 경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로 이루어진 힐베르트 공간에서, 정규 직교 기저를 형성한다. 단, 내적은 \langle f,g \rangle = \int_a^b f(x)g(x)w(x)\,\mathrm{d}x 로 정의된다.

4. 스튀름-리우빌 형태로의 변환

모든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은 좌변에 적당한 적분 인자(integrating factor)를 곱해 스튀름-리우빌 방정식의 꼴로 놓을 수 있다. (2차 편미분 방정식이나, ''y''가 스칼라가 아니라 벡터인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 주어졌다고 하자.

:P(x)y''+Q(x)y'+R(x)y=0

양변을 ''P''(''x'')로 나누고, 다시 양변에 적분 인자

:\exp\left(\int \frac{Q(x)}{P(x)}\,dx\right)

를 곱한 뒤, 정리하면 스튀름-리우빌 형 방정식을 얻는다.

미분 방정식

:P(x)y'' + Q(x)y' + R(x)y=0

형태의 방정식에서 적분 인자

:\mu(x) = \frac 1 {P(x)} \exp \left(\int \frac{Q(x)}{P(x)} \, dx\right)

를 곱하면 슈트름-리우빌 형태가 된다.

:\frac{d}{dx} \left(\mu(x)P(x)y'\right) + \mu(x)R(x)y = 0,

또는,

:\frac{d}{dx} \left(\exp\left (\int \frac{Q(x)}{P(x)} \,dx\right)y' \right )+\frac{R(x)}{P(x)} \exp \left(\int \frac{Q(x)}{P(x)}\, dx\right) y = 0.

과 같이 쓸 수 있다.

베셀 방정식

:x^2y''+xy'+(\lambda^2x^2-\nu^2)y=0

은 양변에 적절한 함수를 곱하면 다음과 같은 스튀름-리우빌 방정식이 된다.

:(xy')'+(\lambda^2 x-\nu^2/x)y=0

르장드르 방정식

:(1-x^2)y''-2xy'+\nu(\nu+1)y=0



:\frac{\mathrm d}{\mathrm dx}(1-x^2) = -2x

이므로, 다음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1-x^2)y']'+\nu(\nu+1)y=0

다음 상미분 방정식을 생각하자.

: x^3y''-xy'+2y=0

양변을 ''x''3으로 나누고, 적분 인자 \exp\left(\int -\frac x{x^3}\,\mathrm dx\right)=\exp(1/x)를 곱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나온다.

: \exp(1/x)y''-\frac1{x^2}\exp(1/x)y'+ \frac2{x^3}\exp(1/x)y = 0

이 방정식은 \frac{d}{dx}\exp(1/x) = -\frac1{x^2}\exp(1/x) 이므로, 다음의 스튀름-리우빌 미분 방정식과 같다.

: (\exp(1/x)y')'+\frac2{x^3}\exp(1/x) y =0

일반적인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

: P(x)y'' + Q(x)y' + R(x)y=0

은 적분 인자

:\mu(x) = \frac 1 {P(x)} \exp \left(\int \frac{Q(x)}{P(x)} \, dx\right)

를 곱하면 스튀름-리우빌 형태가 된다.

에르미트 미분 방정식

:\left( \mathrm{e}^{-x^2} y'\right)' +2\nu \mathrm{e}^{-x^2} y = 0

라게르 미분 방정식

:\left( x \mathrm{e}^{-x} y' \right)' +\nu \mathrm{e}^{-x} y = 0

도 스튀름-리우빌 형태로 표현 가능하다.

4. 1. 변환 방법

모든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은 좌변에 적당한 적분 인자(integrating factor)를 곱해 스튀름-리우빌 방정식의 꼴로 놓을 수 있다. (2차 편미분 방정식이나, ''y''가 스칼라가 아니라 벡터인 경우에는 성립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 주어졌다고 하자.

:P(x)y''+Q(x)y'+R(x)y=0

양변을 ''P''(''x'')로 나누고, 다시 양변에 적분 인자

:\exp\left(\int \frac{Q(x)}{P(x)}\,dx\right)

를 곱한 뒤, 정리하면 스튀름-리우빌 형 방정식을 얻는다.

:P(x)y'' + Q(x)y' + R(x)y=0

형태의 방정식에서 적분 인자

:\mu(x) = \frac 1 {P(x)} \exp \left(\int \frac{Q(x)}{P(x)} \, dx\right)

를 곱하면 슈트름-리우빌 형태가 된다.

:\frac{d}{dx} \left(\mu(x)P(x)y'\right) + \mu(x)R(x)y = 0,

또는,

:\frac{d}{dx} \left(\exp\left (\int \frac{Q(x)}{P(x)} \,dx\right)y' \right )+\frac{R(x)}{P(x)} \exp \left(\int \frac{Q(x)}{P(x)}\, dx\right) y = 0.

과 같이 쓸 수 있다.

4. 2. 예시

베셀 방정식

:x^2y''+xy'+(\lambda^2x^2-\nu^2)y=0

은 양변에 적절한 함수를 곱하면 다음과 같은 스튀름-리우빌 방정식이 된다.

:(xy')'+(\lambda^2 x-\nu^2/x)y=0

르장드르 방정식

:(1-x^2)y''-2xy'+\nu(\nu+1)y=0



:\frac{\mathrm d}{\mathrm dx}(1-x^2) = -2x

이므로, 다음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1-x^2)y']'+\nu(\nu+1)y=0

다음 상미분 방정식을 생각하자.

: x^3y''-xy'+2y=0

양변을 ''x''3으로 나누고, 적분 인자 \exp\left(\int -\frac x{x^3}\,\mathrm dx\right)=\exp(1/x)를 곱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나온다.

: \exp(1/x)y''-\frac1{x^2}\exp(1/x)y'+ \frac2{x^3}\exp(1/x)y = 0

이 방정식은 \frac{d}{dx}\exp(1/x) = -\frac1{x^2}\exp(1/x) 이므로, 다음의 스튀름-리우빌 미분 방정식과 같다.

: (\exp(1/x)y')'+\frac2{x^3}\exp(1/x) y =0

일반적인 2차 선형 상미분 방정식

: P(x)y'' + Q(x)y' + R(x)y=0

은 적분 인자

:\mu(x) = \frac 1 {P(x)} \exp \left(\int \frac{Q(x)}{P(x)} \, dx\right)

를 곱하면 스튀름-리우빌 형태가 된다.

에르미트 미분 방정식

:\left( \mathrm{e}^{-x^2} y'\right)' +2\nu \mathrm{e}^{-x^2} y = 0

라게르 미분 방정식

:\left( x \mathrm{e}^{-x} y' \right)' +\nu \mathrm{e}^{-x} y = 0

도 스튀름-리우빌 형태로 표현 가능하다.

5. 응용

5. 1. 비동차 경계값 문제

일반적인 비동차 2차 선형 미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x)y'' + Q(x)y' +R(x)y = f(x)

여기서 P(x), Q(x), R(x), f(x)는 주어진 함수이다. 이 방정식은 스튀름-리우빌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스튀름-리우빌 연산자 L

:Lu = \frac{p}{w(x)}u'' + \frac{p'}{w(x)}u' + \frac{q}{w(x)}u,

라고 하면, 주어진 미분 방정식은 Ly = f 형태로 표현된다.

이때, p = Pw, p' = Qw, q = Rw를 만족하는 함수 w(x), p(x), q(x)를 찾으면 된다. 처음 두 방정식을 풀면, w' = \frac{Q-P'}{P}w := \alpha w를 얻고, 그 해는 다음과 같다.

:w = \exp\left(\int\alpha \, dx\right), \quad p = P \exp\left(\int\alpha \, dx\right), \quad q = R \exp\left(\int\alpha \, dx\right).

일반적으로 초기 조건, 예를 들어 y(a) = 0y'(a) = 0이 주어지면, 피카르-린델뢰프 정리에 의해 초기 조건이 지정된 점 근방에서 미분 방정식의 유일한 해가 존재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두 점에서의 경계값, 예를 들어 y(a) = 0y(b) = 1이 주어진 경우에는 문제가 더 복잡해진다. 이러한 경계 조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튀름-리우빌 이론이 사용된다.

스튀름-리우빌 이론에 따르면, 함수 f(x)는 관련된 리우빌 연산자의 정규 직교 고유 함수 u_i(x)와 해당 고유값 \lambda_i의 급수로 전개될 수 있다.

:f(x) = \sum_i \alpha_i u_i(x), \quad \alpha_i \in {\mathbb R}.

따라서, Ly = f의 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y = \sum_i \frac{\alpha_i}{\lambda_i} u_i.

이 해는 열린 구간 a < x < b에서만 유효하며, 경계에서는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L u = -\frac{d^2u}{dx^2} = \lambda u 와 경계 조건 u(0) = u(\pi) = 0을 갖는 스튀름-리우빌 문제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 k가 정수일 때, 함수 u_k(x) = \sin kx는 고유값 \lambda = k^2을 갖는 해이다. 푸리에 급수 이론에 의해 사인 함수는 직교 기저를 형성하므로, 이 스튀름-리우빌 문제는 다른 고유 벡터를 갖지 않는다.

이제 비동차 문제 L y = x, x \in (0, \pi)를 동일한 경계 조건 y(0) = y(\pi) = 0으로 풀어보자. f(x) = x를 푸리에 급수로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 L y = \sum_{k=1}^\infty -2\frac{(-1)^k}{k} \sin kx.

이 푸리에 급수는 수렴성이 좋지 않지만, 푸리에 급수의 수렴에 대한 결과를 이용하면, 이 급수는 L^2 공간에서 수렴한다. 따라서 해는 다음과 같다.

:y=\sum_{k=1}^\infty 2\frac{(-1)^k}{k^3}\sin kx= \tfrac 1 6 (x^3 -\pi^2 x).

5. 2. 편미분 방정식

특정 편미분 방정식은 스튀름-리우빌 이론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예를 들어 얇은 막이 직사각형 틀 안에 고정되어 있을 때 막의 수직 변위 ''W''(''x'',''y'',''t'')영어에 대한 운동 방정식은 파동 방정식으로 주어진다. 이 방정식은 변수 분리법을 사용하여 해를 구할 수 있는데, 먼저 1=''W'' = ''X''(''x'') × ''Y''(''y'') × ''T''(''t'')영어 형태의 간단한 해를 찾는다. 이 경우 편미분 방정식은 + = }}.}}가 된다. 이 방정식의 각 항은 ''x'', ''y'', ''t''영어의 함수이므로 상수여야 한다.

경계 조건 1=''W'' = 0영어 (1=''x'' = 0영어, ''L''1영어 또는 1=''y'' = 0영어, W/''L''2}})에서, 조화적인 시간 의존성을 갖는 {{mvar영어에 대한 "노멀 모드 해"는 다음과 같다.

) sin()cos(''ω''mn''t'')}}

여기서 과 은 0이 아닌 정수이고, ''A''mn영어은 임의의 상수이며, + )}}이다.

함수 은 파동 방정식의 해의 힐베르트 공간에 대한 기저를 형성한다. 즉, 임의의 해 는 개별 주파수 ''ω''mn영어로 진동하는 이러한 모드의 합으로 분해될 수 있다.

1차 시간에 대해 1차원 공간에서 선형 2차 미분 방정식또한 고려될수 있다

f(x) \frac{\partial^2 u}{\partial x^2} + g(x) \frac{\partial u}{\partial x} + h(x) u= \frac{\partial u}{\partial t} + k(t) u,

u(a,t)=u(b,t)=0, \qquad u(x,0)=s(x).

이러한 경우에도 변수분리를 하여 문제를 풀수 있다.

6. 해의 표현과 수치적 계산

슈트름-리우빌 미분 방정식(슈트름-리우빌 문제)은 경계 조건을 통해 해석적으로 풀 수 있으며, 이는 정확하거나 근사치를 제공할 수 있고, 레일리-리츠 방법 또는 Gerck 등의 행렬-변분법을 통해 풀 수 있다.[1][2][3]

수치적으로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어려운 경우, 고유값을 소수점 몇 자리까지 정확하게 얻기 위해 중간 계산을 수백 자리의 정확도로 수행해야 할 수 있다.



사격법은 λ의 값을 추측하고, 구간 [a,b]의 한쪽 끝점, 예를 들어 a에서의 경계 조건에 의해 정의된 초기값 문제를 풀고, 이 해가 다른 끝점 b에서 갖는 값을 다른 원하는 경계 조건과 비교한 다음, 원래 값을 수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λ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방법은 복소 고유값을 찾는 데 적용할 수 없다.

스펙트럼 매개변수 거듭제곱 급수(SPPS) 방법은 다음과 같은 동차 2계 선형 상미분 방정식에 대한 사실의 일반화를 이용한다. 만약 y가 어떤 점에서도 사라지지 않는다면, 함수

:y(x) ∫ax dt/(p(t)y(t)2)

는 동일한 방정식의 해이며, y와 선형 독립이다. 또한, 모든 해는 이 두 해의 선형 결합이다. SPPS 알고리즘에서, 임의의 값 λ0* (종종 λ0* = 0, 고유값이 될 필요는 없다)과 λ = λ0*에서 [a,b]에서 사라지지 않는 해 y0로 시작해야 한다. ''반복 적분''이라고 하는 [a,b]에 대한 두 개의 함수 시퀀스 X(n)(t), (n)(t)는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먼저 n = 0일 때, [a,b]에서 항등적으로 1과 같다고 간주한다. 다음 함수를 얻기 위해, 1/(py02)과 wy02를 번갈아 곱하고 적분한다. 구체적으로, n > 0에 대해:

: X^{(n)}(t) = \begin{cases}

\displaystyle - \int_a^x X^{(n-1)}(t) p(t)^{-1} y_0(t)^{-2}\, dt & n \text{ 홀수}, \\[6pt]

\displaystyle \quad \int_a^x X^{(n-1)}(t)y_0(t)^2 w(t) \, dt & n \text{ 짝수}

\end{cases}

:\tilde X^{(n)}(t) = \begin{cases}

\displaystyle \quad \int_a^x \tilde X^{(n-1)}(t)y_0(t)^2 w(t)\, dt & n \text{ 홀수}, \\[6pt]

\displaystyle -\int_a^x \tilde X^{(n-1)}(t) p(t)^{-1} y_0(t)^{-2} \, dt & n \text{ 짝수.}

\end{cases}

결과적인 반복 적분은 이제 다음 두 거듭제곱 급수의 계수로 적용된다 λ:

:u0 = y0k=0 (λ - λ0*)k(2k),

:u1 = y0k=0 (λ - λ0*)kX(2k+1).

그런 다음 모든 λ (실수 또는 복소수)에 대해, u0 및 u1은 해당 방정식의 선형 독립 해이다. (함수 p(x) 및 q(x)는 y0의 선택에 대한 영향을 통해 이 구성에 참여한다.)

다음으로 계수 c0와 c1을 선택하여 조합 y = c0u0 + c1u1이 첫 번째 경계 조건을 만족하도록 한다. n > 0에 대해 X(n)(a) = 0 및 (n)(a) = 0이므로, 이것은 간단하다. X(n)(b) 및 (n)(b)의 값은 u0(b) 및 u1(b) 및 도함수 u′0(b) 및 u′0(b)의 값을 제공하므로 두 번째 경계 조건은 λ의 거듭제곱 급수 방정식이 된다. 수치 작업의 경우, 이 급수를 유한한 항수로 절단하여, 원하는 고유값의 근사치를 구하는 계산 가능한 λ의 다항식을 생성할 수 있다.

λ = λ0일 때, 이는 주어진 해와 선형 독립적인 해에 대해 위에 설명된 원래 구성으로 축소된다. 표현식 (5) 및 (6)은 또한 슈트름-리우빌 이론에서 이론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갖는다.[6]

SPPS 방법은 시작 해 y0를 찾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방정식 (py′)′ = μqy를 고려하십시오. 즉, q, w, λ는 에서 각각 0, -q, μ로 대체된다. 그러면 상수 함수 1은 고유값 μ0 = 0에 해당하는 비소멸 해이다. u0 또는 u1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보장은 없지만, 복소 함수 y0 = u0 + iu1는 슈트름 분리 정리의 결과로 정칙 슈트름-리우빌 방정식의 두 선형 독립 해가 동시에 사라질 수 없기 때문에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이 트릭은 값 λ0 = 0에 대한 해 y0을 제공한다. 실제로 실수 계수를 갖는 경우 y0를 기반으로 하는 해는 폐기해야 하는 매우 작은 허수 부분을 갖게 된다.

7. 역사

자크 샤를 프랑수아 스튀름조제프 리우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간행물 Heavy baryons as bound states of three quarks 1983-09
[2] 간행물 Solution of the Schrödinger equation for bound states in closed form 1982-06
[3] 간행물 Scaling Laws for Rydberg Atoms in Magnetic Fields 1983-01
[4] 서적 Numerical Solution of Sturm–Liouville Problem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5] 학술 논문 Efficient computation of high index Sturm–Liouville eigenvalues for problems in physics
[6] 학술 논문 Spectral parameter power series for Sturm–Liouville proble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