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트렐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트렐치는 16세기 중반 러시아 차르 이반 4세에 의해 창설된 러시아 최초의 정규군으로, 화승총으로 무장하고 제복을 착용했다. 초기에는 평민 출신으로 구성되었으나 점차 세습 군인 계급으로 변모했으며, 모스크바와 지방에 주둔하며 군사 작전, 수도 치안 유지, 국경 방비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스트렐치는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훈련 부족과 봉급 문제로 인해 17세기 후반부터 군사적 효율성이 떨어졌고, 정치적 역할도 수행하며 반란에 가담하기도 했다. 결국 1689년 해체되었고, 일부 부대는 18세기까지 존속하다가 러시아 정규군에 흡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의 부대 및 편성 - 우수리 카자크 기병대
    우수리 카자크 기병대는 러시아 제국 시기 우수리 강 유역을 관할하며 국경 수비와 치안 유지를 담당했던 기병대로,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러시아 내전에서 백군에 가담했다가 해산되었으나, 소련 붕괴 후 재건되어 문화적 정체성 강화에 기여하며 민족주의적 활용 및 군사적 이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러시아의 군사 - 데도브시나
    데도브시나는 러시아 군대의 병영 부조리로, 선임병이 후임병에게 가혹행위를 하는 비공식적 계급 및 위계 질서를 의미하며, 신체적 폭력, 가혹 행위, 굴욕적인 의식 등을 포함한다.
  • 러시아의 군사 - 마스키로프카
    마스키로프카는 러시아 군사 교리에서 적을 속이기 위한 위장, 은폐, 기만 등의 모든 수단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군사적 차원을 넘어 정치, 경제, 외교적 수단까지 포함하는 전략적 기만으로 발전했다.
스트렐치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트렐치
스트렐치
로마자 표기strel'tsy
사수/총기병
소속러시아 차르국
복무 기간1550년–1720년
종류보병
역할총기병
사회 계층
지휘부
지휘 구조러시아군
사령관이반 4세
전투
주요 전투카잔 공성전
리보니아 전쟁
몰로디 전투
폴란드-러시아 전쟁 (1609-1618)
스몰렌스크 전쟁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1667)
대북방 전쟁

2. 창설 및 구조

이반 4세는 1545년에서 1550년 사이에 아퀘부스로 무장한 스트렐치 부대를 창설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은 1552년 카잔 전투에 처음으로 실전 투입되었다. 초기 스트렐치는 촌락민이나 상인들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주력 부대로 장기간 활용되면서 세습제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16세기 정예 부대였던 스트렐치는 훈련 부족과 전투 의욕 상실로 점차 효율성이 떨어져 갔다.[4]

스트렐치는 모스크바에 주둔하는 부대와 지방 부대로 나뉘었다. 모스크바 주둔 스트렐치는 크렘린 왕궁 수비와 일반 호위 임무 외에 군사 작전에도 참여했으며, 모스크바 내 경찰 및 소방 활동도 수행했다. 그리고리 고토쉬킨은 스트렐치가 도끼, 양동이, 구리 펌프를 이용해 화재를 진압했다고 기술했으나, 아담 올레리우스는 그들이 물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기록했다.[5] 지방 스트렐치 부대는 요새를 세우고 국경 방비를 맡았으며, 지방 보이보드의 관할 구역에 종속되어 있었다.

스트렐치는 특유의 군복(적색, 청색, 녹색 코트와 노란색 부츠)을 착용하고, 아퀘부스, 머스킷, 바디시, 사브르, 파이크 등으로 무장했다. 파이크 사용 비율은 낮았으며, 바디시는 육탄전 외에 총기 사격 자세를 위한 보조 장비로 사용되었다.

2. 1. 부대 구성

이반 4세는 1545년에서 1550년 사이에 아퀘부스로 무장한 스트렐치 부대를 창설했다.[3] 이들은 1552년 카잔 전투에서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초기에는 자유 상인과 농촌 인구 중에서 스트렐치를 모집했으나, 이후에는 군 복무가 종신 및 세습제로 바뀌었다. 16세기 초에는 엘리트 부대였지만, 훈련 부족과 모집의 자유 부족으로 효율성이 떨어졌다.[4]

스트렐치는 "선발"(러시아어: выборные|vybornyje|label=noneru), "모스크바"(러시아어: московские|moskovskiye|label=noneru), 그리고 여러 러시아 도시들의 "시"(러시아어: городские|gorodskiye|label=noneru)로 세분되었다.

  • 모스크바 스트렐치는 크렘린을 경비하고, 일반적인 경비 임무를 수행했으며,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또한 모스크바에서 치안 및 소방대 기능을 수행했다. 1660년대에 스웨덴 제국으로 망명한 러시아 외교관 그리고리 코토시킨은 스트렐치가 도끼와 양동이, 구리 펌프뿐만 아니라 인접 건물을 끌어내리는 갈고리를 사용하여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17세기에 러시아를 여행한 독일인 아담 올레아리우스는 그들이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5]
  • 시 스트렐치는 수비대국경 근무를 수행하고 지방 정부의 명령을 수행했다.


스트렐치는 스트렐레츠키 프리카즈(러시아어:стрелецкий приказ|streletskiy prikaz|label=noneru)의 통제를 받았다. 전시에는 상관의 지휘를 받았다. 시 스트렐치는 또한 지역 보이보드(지방 총독 또는 준독립 통치자)의 관할권 하에 있었다.

스트렐치 부대의 가장 큰 군사 행정 단위는 장비(러시아어:прибор|pribor|label=noneru) 발급을 담당하는 기관이었다. 이 기관은 나중에 프리카즈(러시아어:приказ|prikaz|사무소, 부서|label=noneru)로 개명되었고, 1681년에는 연대(러시아어:полк|polk|label=noneru)가 되었다. 스트렐치 지휘관(러시아어:стрелецкие головы|streletskiye golovy|label=noneru)과 연대를 지휘하는 대령은 프리카즈의 고위 장교로 일했다. 그들은 귀족이어야 했고 정부에 의해 임명되었다.

연대는 "백인대"(러시아어:сотни|sotni|label=noneru)와 "십인대"(러시아어:десятки|desyatki|tens|label=noneru)로 세분되었다. 그들은 용기병 또는 기병(러시아어:стремянные|stremyannyye|등자를 가진|label=noneru) 또는 보병(러시아어:пешие|peshiye|label=noneru)일 수 있었다.

1540년대부터 1550년대에 걸쳐, 차르(Царь) 이반 4세는 당시 러시아에 빈번히 침입하던 타타르(Татар) 등의 외적에 대항하기 위해 황제 직속 근위대인 스트렐치를 편성했다. 이는 러시아 역사상 최초의 정규군이라 할 수 있으며, 스트렐치는 제복을 지급받고 화기를 다루는 훈련을 받았다. 스트렐치는 종신 근무였으며, 초기에는 상인이나 농민 등 평민으로부터 모집되었으나, 점차 세습적인 군인 계급이 되었다.[8]

초기 병력은 500명의 스트렐치로 구성된 pribor라 불리는 연대(이후 prikaz, polk로 개명됨) 6개였으나, 시대가 지남에 따라 증원되어 16세기 말에는 약 20,000명에서 25,000명, 1681년에는 55,000명의 스트렐치가 존재했다. 당시 스트렐치의 약 절반은 모스크바의 정예군에 소속되어 황제의 칙령에 따라 군사 작전에 참여하는 한편, 수도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경찰관 역할을 수행했다. 나머지 절반은 지방 도시에 주둔하여 그 도시의 군 사령관(vaivode)의 지휘하에 국경 경비 등을 수행했다.

스트렐치에게는 교외에 전용 거주지(slobody)가 제공되었고, 봉급과 식량이 지급되었다. 또한 지역에 따라 봉급 대신 작은 토지를 받는 경우도 있었다. 봉급은 충분하지 않았고, 수입을 보충하기 위해 수공업이나 무역 등을 하는 것이 허용되었지만, 이것이 점차 스트렐치 간의 재산 불평등과 상인과의 유착 등을 초래하게 된다.

2. 2. 부대 단위

이반 4세가 1545년에서 1550년 사이에 아퀘부스로 무장한 스트렐치 부대를 처음 창설했다.[3] 초기에는 자유 상인과 농촌 인구 중에서 모집되었으나, 이후에는 군 복무가 종신제 및 세습제로 바뀌었다.[4] 16세기 초에는 엘리트 부대였지만, 훈련 부족과 모집의 자유 부족으로 효율성이 떨어졌다.[4]

스트렐치는 크게 모스크바 스트렐치와 시 스트렐치로 나뉘었다.

  • 모스크바 스트렐치: 크렘린을 경비하고, 일반적인 경비 임무를 수행했으며,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 또한 모스크바에서 치안 및 소방대 기능도 수행했다.[5]
  • 시 스트렐치: 수비대국경 근무를 수행하고 지방 정부의 명령을 수행했다.


스트렐치는 스트렐레츠키 프리카즈의 통제를 받았으며, 전시에는 상관의 지휘를 받았다. 시 스트렐치는 지역 보이보드관할권 하에 있었다.

스트렐치 부대의 가장 큰 군사 행정 단위는 장비(러시아어: прибор|프리보르ru) 발급을 담당하는 기관이었으며, 나중에 프리카즈(러시아어:приказ|프리카즈ru)로 개명되었고, 1681년에는 연대(러시아어: полк|폴크ru)가 되었다. 스트렐치 지휘관(러시아어: стрелецкие головы|스트렐레츠키예 골로비ru)과 연대를 지휘하는 대령은 프리카즈의 고위 장교로 일했으며, 귀족 출신으로 정부에 의해 임명되었다.

연대는 "백인대"(러시아어: сотни|소트니ru)와 "십인대"(러시아어: десятки|데샤트키ru)로 세분되었다. 스트렐치는 용기병 또는 기병(러시아어: )이거나 보병(러시아어: пешие|페시예ru)일 수 있었다.

1540년대부터 1550년대에 걸쳐, 차르(Царь) 이반 4세는 황제 직속 근위대인 스트렐치(Стрельцы)를 편성했다. 스트렐치는 러시아 역사상 최초의 정규군이라 할 수 있으며, 제복을 지급받고 화기를 다루는 훈련을 받았다.[8] 초기 병력은 500명의 스트렐치로 구성된 프리보르(pribor)라 불리는 연대 6개였으나, 시대가 지남에 따라 증원되어 16세기 말에는 약 20,000명에서 25,000명, 1681년에는 55,000명의 스트렐치가 존재했다. 당시 스트렐치의 약 절반은 모스크바의 정예군에 소속되어 황제의 칙령에 따라 군사 작전에 참여하는 한편, 수도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경찰관 역할을 수행했다. 나머지 절반은 지방 도시에 주둔하여 그 도시의 군 사령관(vaivode)의 지휘하에 국경 경비 등을 수행했다.

3. 복장 및 장비

스트렐치는 아퀘부스, 머스킷, 바디시, 사브르, 파이크 등으로 무장했으며, 이 중 파이크 사용은 드물었다.[8] 바디시는 육탄전 외에 총기 사격 시 받침대로도 사용되었다. 스트렐치는 연대별로 색상이 다른 카프탄 형태의 군복을 입었는데, 붉은색, 노란색, 파란색, 녹색 등이 사용되었고, 주황색이나 갈색 가죽 부츠를 신었다. 그리고리 고토쉬킨은 스트렐치가 도끼, 양동이, 구리 펌프를 이용해 화재를 진압했다고 기술했지만, 아담 올레리우스는 그들이 물을 사용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8]

3. 1. 주요 무기

스트렐치는 주로 화승총 또는 피뢰식 머스킷총으로 무장했으며, 이는 동시대 유럽 각국의 머스킷총병과 유사한 전술을 사용했음을 보여준다.[8] 이들은 백병전을 위해 발디시라 불리는 장병 도끼를 휴대했는데, 이는 사격 시 총을 받치는 용도로도 활용되었다.[8] 지휘관의 경우 사벨이나 을 사용하기도 했다.[8]

스트렐치는 연대별로 다른 색상의 유사한 군복을 착용했다. 상의는 붉은색, 노란색, 파란색, 녹색(카프탄) 중 하나였고, 주황색 또는 갈색 가죽 부츠를 신었다. 훈련과 무기는 표준화되어 있었는데, 주 무기는 아퀘부스 또는 머스킷이었고, 방어용으로 폴랙스(바르디체)와 사브르를 휴대했다. 일부 부대는 파이크를 사용하기도 했으며, 긴 무기는 사격 시 총을 지지하는 데 사용되었다.

4. 군사 전술

이반 뇌제에 의해 1545년에서 1550년 사이에 창설된 초기 스트렐치 부대는 아퀘부스로 무장하였다. 이들은 1552년 카잔 전투에 처음으로 실전 투입되었다. 스트렐치는 주로 적색, 청색, 또는 녹색의 코트와 노란색 부츠로 이루어진 특유의 군복을 착용했으며, 아퀘부스, 머스켓, 자루 도끼, 바디시, 사브르, 파이크 등 특유의 무기를 장비하였다. 파이크의 사용 비율은 극히 낮았으며, 바디시는 직접적인 육탄전 외에 총기 사격 자세를 위한 보조 장비로 필수적이었다.[7]

스트렐치의 주요 무기는 화승총 또는 피뢰식 머스킷총이었으며, 군사적 용법은 동시대 유럽 각국의 머스킷총병과 거의 같았다. 또한 백병전용으로 발디시(三日月斧)라 불리는 장병의 도끼를 장비했는데, 이것은 사격 시 총架로도 사용했다. 지휘관은 사벨, 등을 휴대하기도 했다.[8]

군 지휘관들은 스트렐치를 정적인 대형으로 배치하여 고정된 대형이나 요새에 대항하여 사용했다. 이들은 발사대에서 사격하거나, "굴라이-고로드"(이동하는 요새)로 알려진 이동식 목조 "요새"를 사용했다. 일제 사격 또는 카라콜 방식으로 사격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전열이 사격 후 재장전을 위해 후퇴하는 동안 후열이 전진하여 사격했다.[7]

5. 복무 조건

이반 뇌제에 의해 1545년에서 1550년 사이에 창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창기 스트렐치 부대는 아퀘부스로 무장하였다. 이들은 1552년 카잔 전투에 처음으로 실전 투입되었다.[8] 당시 스트렐치는 촌락민이나 상인들로 이루어졌으며, 이후 전력면에서 효율성을 인정받아 주력으로서 장기간 활용되었고, 세습제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16세기에는 정예 부대로써 각광받던 이들은 훈련 부족과 전투 의욕 상실 등으로 인해 점차 효율성이 떨어져 갔다.

스트렐치 부대는 모스크바에 주둔하는 비보니예(выборные), 고로스키예(городские), 그리고 지방 부대로 나뉘었다. 모스크바 주둔 스트렐치는 크렘린 왕궁 수비를 맡았고, 일반적인 호위 임무 외에 타 군사 작전에도 참여하였다. 이들은 또 모스크바 내에서 경찰과 소방 활동을 하기도 했다. 1660년대 스웨덴으로 파견된 러시아 외교관이자 첩자로, 후에 스웨덴으로 망명한 그리고리 고토쉬킨은 스트렐치가 도끼와 함께 양동이, 구리 펌프를 이용해 화재가 난 건물 내부로 물을 뿌리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했다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17세기 러시아를 방문했던 서유럽인 아담 올레리우스는 그들이 단 한 번도 물을 사용한 적이 없다고 기술했다.

한편 지방의 스트렐치 부대는 요새를 세우고 국경 방비를 맡았으며 지방에서 별도로 관리되었다. 스트렐치 부대는 스트렐치 부서에 따로 소속되어 있었으나, 전쟁이 벌어지면 그들은 자신들의 직속 상관에게 복종하였다. 지방의 스트렐치 역시 지방 보이보드의 관할 구역 내에 종속되어 있었다. 스트렐치는 주로 적색, 청색, 또는 녹색의 코트와 노란색 부츠로 이루어진 특유의 군복을 착용하였으며, 특유의 훈련을 받았고, 특유의 무기(아퀘부스, 머스켓, 자루 도끼, 바디시, 사브르, 파이크 등)를 장비하였다. 그 중 파이크의 사용 비율은 극히 낮았으며, 바디시는 직접적인 육탄전 외에 그들 특유의 총기 사격 자세를 위한 보조 장비로써 필수적으로 동원되었다.

러시아 정부는 만성적인 재정난에 시달렸기 때문에 스트렐치에게 제대로 급여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했다. 1550년대에는 연 4루블을 받을 "자격"이 있었지만, 수입을 보충하기 위해 농사를 짓거나 장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전투력이 저하되고, 원정에 나가려는 의욕도 떨어졌다. 원정에 나서는 계절은 곧 수입 감소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스트렐치와 그들의 가족들은 자신들만의 지역이나 마을에 거주했으며, 국고에서 돈과 빵을 받았다. 특정 지역에서는 스트렐치에게 돈 대신 토지를 지급하기도 했다. 모스크바에 있는 스트렐치 거주지는 현재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본교 캠퍼스가 있는 곳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6]

1540년대부터 1550년대에 걸쳐, 차르(Царь) 이반 4세는 당시 러시아에 빈번히 침입하던 타타르(Татар) 등의 외적에 대항하기 위해 황제 직속 근위대인 스트렐치(Стрельцы)를 편성했다. 이는 러시아 역사상 최초의 정규군이라 할 수 있으며, 스트렐치는 제복을 지급받고 화기를 다루는 훈련을 받았다. 스트렐치는 종신 근무였으며, 초기에는 상인이나 농민 등 평민으로부터 모집되었으나, 점차 세습적인 군인 계급이 되었다.[8]

초기 병력은 500명의 스트렐치로 구성된 pribor라 불리는 연대(이후 prikaz, polk로 개명됨) 6개였으나, 시대가 지남에 따라 증원되어 16세기 말에는 약 20,000명에서 25,000명, 1681년에는 55,000명의 스트렐치가 존재했다. 당시 스트렐치의 약 절반은 모스크바의 정예군에 소속되어 황제의 칙령에 따라 군사 작전에 참여하는 한편, 수도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경찰관 역할을 수행했다. 나머지 절반은 지방 도시에 주둔하여 그 도시의 군 사령관(vaivode)의 지휘하에 국경 경비 등을 수행했다.

스트렐치에게는 교외에 전용 거주지(slobody)가 제공되었고, 봉급과 식량이 지급되었다. 또한 지역에 따라 봉급 대신 작은 토지를 받는 경우도 있었다. 봉급은 충분하지 않았고, 수입을 보충하기 위해 수공업이나 무역 등을 하는 것이 허용되었지만, 이것이 점차 스트렐치 간의 재산 불평등과 상인과의 유착 등을 초래하게 된다.

1552년 카잔 정복, 리보니아 전쟁, 17세기 초 폴란드·스웨덴의 침략(러시아-폴란드 전쟁, 잉그리아 전쟁) 등 여러 전투에서 스트렐치는 러시아군의 주력 부대로 활약했다.

6. 정치적 역할 및 해체

스트렐치(17세기)


초창기 스트렐치 부대는 이반 4세에 의해 1545년에서 1550년 사이에 창설되었으며, 아퀘부스로 무장하였다. 이들은 1552년 카잔 전투에 처음으로 실전 투입되었다. 16세기에는 정예 부대로써 각광받았으나, 훈련 부족과 전투 의욕 상실 등으로 인해 그 효율성이 점차 떨어져 갔다.

스트렐치 부대는 모스크바에 주둔하는 비보니예(выборные), 고로스키예(городские), 그리고 지방 부대로 나뉘었다. 모스크바 주둔 스트렐치는 크렘린 왕궁 수비를 맡았고, 일반적인 호위 임무 외에 군사 작전에도 참여했으며, 모스크바 내에서 경찰과 소방 활동도 했다. 지방 스트렐치는 요새를 세우고 국경 방비를 맡았으며 지방에서 별도로 관리되었다. 이들은 스트렐치 부서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전쟁 시에는 직속 상관에게 복종했고, 지방 보이보드의 관할 구역 내에 종속되어 있었다.

16세기 말 스트렐치는 2만 명에서 2만 5천 명이었으나, 1681년에는 5만 5천 명으로 증가했고, 그중 2만 2천 5백 명이 모스크바에 있었다. 이들은 수공업과 무역에 종사하면서 재산 불균형이 생겨 상인들과 융합되었다. 카잔 공성전(1552년), 리보니아 전쟁, 17세기 초 북방 전쟁, 폴란드와 크리미아에서의 군사 작전 등 여러 전투에서 능력을 보여주었지만, 17세기 후반에는 정규군이나 라이타(reiter) 연대에 비해 뒤처지기 시작했다.

군 복무의 어려움, 잦은 봉급 지연, 지역 행정부와 지휘관들의 학대 등으로 인해 특히 가난한 스트렐치들은 17세기와 18세기 초 농노제에 반대하는 봉기에 참여했다. 여기에는 혼란 시대와 류리크 왕조가 로마노프 왕조로 대체된 후의 농민 전쟁, 1670~1671년 스텐카 라진의 코사크 반란, 1682년 모스크바 봉기, 1698년 스트렐치 봉기, 1705~1706년 아스트라한의 불라빈 반란과 같은 도시 봉기가 포함된다.

6. 1. 정치적 역할

이반 4세타타르 등의 외적에 대항하기 위해 황제 직속 근위대인 스트렐치를 편성했다. 이는 러시아 역사상 최초의 정규군이라 할 수 있으며, 제복을 지급받고 화기 훈련을 받았다. 스트렐치는 종신 근무였으며, 초기에는 상인이나 농민 등 평민으로부터 모집되었으나, 점차 세습적인 군인 계급이 되었다.[8]

16세기 말에는 약 20,000명에서 25,000명, 1681년에는 55,000명의 스트렐치가 존재했다. 당시 스트렐치의 약 절반은 모스크바의 정예군에 소속되어 황제의 칙령에 따라 군사 작전에 참여하는 한편, 수도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경찰관 역할을 수행했다. 나머지 절반은 지방 도시에 주둔하여 그 도시의 군 사령관(vaivode)의 지휘하에 국경 경비 등을 수행했다.

스트렐치는 17세기 후반 모스크바 정치에서 일종의 "근위대" 역할을 했다.[5] 1682년에는 이복형제인 이반 5세를 지지하며 표트르 1세의 즉위를 막으려 했다. 17세기 후반, 모스크바의 스트렐치들은 여러 정부 세력 간의 권력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구교도를 지지하고 외국 혁신에 대한 적대감을 보였다.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농노와 민중에 의한 폭동이 잇따랐다. 이때 가혹한 군역, 잦은 봉급 지연, 지방 관리 등에 의한 권력 남용에 불만을 품고 있던 스트렐치(특히 가난한 자들)도 폭동에 가담했다. 한편 모스크바 상류층 스트렐치는 정부의 권력 다툼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게 되어, 17세기 말에는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1682년, 황제 표도르 3세가 사망한 후, 그의 누이 소피아 알렉세예브나 등의 선동에 의해 일부 스트렐치가 폭동을 일으켰다(스트렐치의 봉기 (1682년)). 이 정변으로 병약한 이반 5세와 아직 어린 표트르 1세가 공동으로 황제가 되고, 그들을 대신하여 소피아가 섭정으로서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 체제는 1689년 표트르 1세가 쿠데타를 일으켜 소피아를 실각시킬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 후 표트르 1세는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스트렐치의 군사적·정치적 활동에 대해 점차 제한을 가했다. 이에 반발하는 스트렐치에 의해 1698년 7월 모스크바에서 대규모 스트렐치의 봉기 (1698년)이 일어났지만, 표트르 대제에 의해 진압되었고, 모스크바 스트렐치의 해산 명령이 내려졌다.

6. 2. 해체

표트르 1세 정부는 1689년 소피아 알렉세예브나의 몰락 이후, 스트렐치의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을 점진적으로 제한하기 시작했다. 모스크바의 8개 연대는 벨고로드, 세프스크, 키예프 등으로 이동되었다. [8]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스트렐치는 표트르 1세의 대사절단 기간 동안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패트릭 고든 장군에 의해 반란이 진압되었지만, 표트르는 공개 처형과 고문 등 가혹한 보복으로 스트렐치를 진압했다.[8]

고문에는 벌거벗은 등을 굽는 것, 쇠갈고리로 살을 찢는 것, 목재 프레스로 발을 으스러뜨리는 것 등이 포함되었다. 처형에는 바퀴에 매달아 죽이는 것과 산 채로 묻는 것이 포함되었다. 많은 시체는 노보데비치 수녀원 주변에 매달렸다.[8]

스트렐치 부대는 1689년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으나, 1700년 나르바 전투에서 패배한 후 해체가 중단되었다. 가장 효율적인 스트렐치 연대는 대북방 전쟁의 가장 중요한 군사 작전과 1711년 프루트 강 전투에 참여했다. 점차적으로 스트렐치는 정규군에 편입되었다. 동시에 시(市) 스트렐치는 해체되기 시작했다.[8]

대부분의 스트렐치 부대는 1720년대에 해체가 완료되었으나, 시 스트렐치는 18세기 후반까지 일부 도시에 남아 있었다.[8]

프레오브라젠스키 연대와 세묘노프스키 연대가 황실 근위대로서 스트렐치와 린디를 대체하여 차르의 호위병 역할을 맡았다.[8]

총병 처형의 아침(1698년 반란을 일으킨 스트렐치가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서 처형되는 장면) 바실리 이바노비치 수리코프 1881년 작


17세기 후반, 스트렐치는 러시아 정규군에 비해 시대에 뒤떨어지게 되었다. 또한 잦은 봉급 지연, 지방 관리 등에 의한 권력 남용에 불만을 품고 폭동에 가담하기도 했다. 모스크바 상류층 스트렐치는 정부의 권력 다툼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17세기 말에는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8]

1682년, 황제 표도르 3세가 사망한 후, 소피아 알렉세예브나 등의 선동에 의해 일부 스트렐치가 폭동을 일으켰다(1682년 스트렐치 봉기). 이 정변으로 이반 5세와 표트르 1세가 공동으로 황제가 되고, 소피아가 섭정으로서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1689년 표트르 1세가 쿠데타를 일으켜 소피아를 실각시켰다.[8]

표트르 1세는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스트렐치의 군사적·정치적 활동을 제한했고, 이에 반발한 스트렐치는 1698년 7월 모스크바에서 대규모 스트렐치 봉기(1698년)를 일으켰지만 진압되었다. 이후 모스크바 스트렐치는 해산 명령이 내려졌으나, 1700년 나르바 전투에서 패배함에 따라 해산이 일시 중지되고, 대북방 전쟁 등에 스트렐치 정예군이 투입되었다. 그 후 스트렐치는 러시아 정규군에 흡수되었다. 1711년에는 모스크바 스트렐치가 폐지되었고, 1716년까지 지방 도시의 스트렐치도 점차 해산·재편성되었다.[8]

참조

[1] 서적 State Formation, Regime 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12-19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Russ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1-12-11
[3] 뉴스 День Сухопутных войск России. Досье https://tass.ru/info[...] TASS 2015-08-31
[4] 간행물 The Military Revolution in Russia 1550-1682 2004-01
[5] 간행물 The Military Revolution in Russia
[6] 간행물 The Military Revolution in Russia; Obrazovanie stel'tsogo voiska; Enserfment and Military Change in Muscovy; Soldiers of the Tsar: Army and Society in Russia 1462-1874
[7] 서적 Enserfment and Military Change in Muscovy; The Military Revolution in Russi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
[8] 서적 ピョートル前夜のロシア 彩流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