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밀러 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티브 밀러 밴드는 1966년 스티브 밀러를 중심으로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이다. 블루스 밴드로 시작하여 사이키델릭, 팝, 록 음악을 선보였으며, "The Joker", "Fly Like an Eagle", "Abracadabra" 등의 히트곡을 발표했다. 197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하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2016년에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몽키스
1960년대 미국에서 결성된 록 밴드 몽키스는 TV 시리즈의 성공과 함께 "Last Train to Clarksville", "I'm a Believer", "Daydream Believer" 등의 히트곡을 내며 인기를 얻었으나, 음악적 갈등과 멤버 교체, 해체를 겪은 후 재결합과 활동 중단을 반복하다 2021년 마이크 네스미스의 사망으로 활동을 종료했다. - 196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베이 시티 롤러스
베이 시티 롤러스는 1965년 결성된 스코틀랜드 록 밴드로, 1970년대 중반 롤러마니아 팬덤을 형성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여러 멤버 교체와 재결성을 거쳐 2023년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미국의 팝 록 밴드 - 비치 보이스
비치 보이스는 1958년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로, 서핑 문화를 주제로 한 음악으로 시작하여 실험적인 작품을 통해 음악적 성장을 이루었으며, 브라이언 윌슨의 건강 문제 등 어려움 속에서도 활동을 이어갔다. - 미국의 팝 록 밴드 - 폴 아웃 보이
2001년 일리노이주에서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 폴 아웃 보이는 팝 펑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과 "Sugar, We're Goin' Down", "Dance, Dance"와 같은 히트곡으로 2000년대 중반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2013년 재결합 후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음악적 성취를 인정받고 있다. - 폴리도르 레코드 음악가 - 지미 헨드릭스
지미 헨드릭스는 1960년대 후반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를 결성하여 혁신적인 앨범을 발표하고 파격적인 기타 연주 스타일을 선보이며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 폴리도르 레코드 음악가 - 에릭 클랩튼
에릭 클랩튼은 영국 출신의 기타리스트, 가수, 작곡가로, 여러 밴드 활동과 솔로 활동을 통해 블루스 록을 선도하며 "슬로우핸드"라는 별칭으로 불릴 만큼 독보적인 기타 연주 실력을 자랑하지만, 인종차별적 발언 논란과 마약 중독을 겪기도 했으며, 현재는 중독자 재활을 지원하는 자선 활동을 하고 있다.
스티브 밀러 밴드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Steve Miller Blues Band (1966–1967) The Miller Band (1967) The Steve Miller Band |
출신지 |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 |
장르 | 블루스 록 사이키델릭 록 팝 록 |
활동 기간 | 1966년–현재 |
레이블 | 캐피틀 머큐리 폴리도르 로드러너 Loud & Proud |
관련 활동 | Goldberg-Miller Blues band, Boz Scaggs |
웹사이트 | www.stevemillerband.com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스티브 밀러 케니 리 루이스 조지프 우튼 제이컵 피터슨 론 위크소 |
이전 구성원 | 레스 두덱 소니 찰스 로니 터너 제임스 쿡 팀 데이비스 짐 페터만 보즈 스캐그스 벤 시드란 니키 홉킨스 바비 윙클먼 잭 킹 로스 발로리 제럴드 존슨 딕 톰슨 로저 앨런 클라크 게리 멀래버 존 킹 데이비드 데니 그레그 더글러스 바이런 올레드 노턴 버펄로 존 마사로 빌리 피터슨 리키 피터슨 밥 말라크 고디 누드슨 |
2. 역사
1965년 블루스를 연주하기 위해 시카고로 이주한 스티브 밀러는 키보디스트 배리 골드버그와 함께 베이시스트 로이 루비, 리듬 기타리스트 크레이모어 스티븐스, 드러머 모리스 맥킨리를 영입하여 골드버그-밀러 블루스 밴드를 결성했다. 밴드는 에픽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The Mother Song"이라는 싱글을 녹음했으며, 밀러가 그룹을 떠나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기 전에 ''헐라벌루''에서 이 곡을 연주했다.[4][5]
이후 밀러는 스티브 밀러 블루스 밴드를 결성했다. 매니징 파트너 하비 콘스판은 1967년 앨런 W. 리빙스턴 당시 캐피톨/EMI 레코드 사장과 밴드 계약(5년 동안 86만 달러와 밴드 재량으로 사용할 프로모션 자금 2만 5천 달러)을 작성하고 협상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밴드의 이름은 조지 마틴의 제안에 따라 대중성을 높이기 위해 스티브 밀러 밴드로 축약되었다.[6] 밀러, 기타리스트 제임스 쿡, 베이시스트 로니 터너, 드러머 팀 데이비스 (떠난 래리 하스를 대신함), 그리고 해먼드 B3 오르간의 짐 페터먼으로 구성된 밴드는 필모어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척 베리의 공연에서 백 밴드를 맡았고, 이 공연은 라이브 앨범 ''Live at Fillmore Auditorium''으로 발매되었다.[6] 기타리스트 보즈 스캑스가 곧 밴드에 합류했고, 그룹은 매직 마운틴 페스티벌(1967년 6월 10/11일 개최)과 그 다음 주 몬터레이 팝 페스티벌(1967년 6월 16/17/18일 개최)에서 공연했다.
1968년 3월, 영국에서 밴드는 데뷔 앨범 ''Children of the Future''을 엔지니어/프로듀서 글린 존스와 함께 올림픽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이 앨범은 100위 안에 들지 못했다. 그룹과 그 일행은 '마약 수입 및 위험한 무기 소지' 혐의로 체포되면서 방문 자체가 좋지 않게 시작되었다. 콘스판의 아내는 존스에게 체포 다음 날 치안 법원에서 증인으로 출석하여 보석을 설 것을 요청했고, 존스는 동의했다. 그룹은 존스가 영국에 머무는 동안 '그들의 선행에 대해 보증을 설 것'을 조건으로 석방되었다. 두 혐의 모두 기각되었다. '위험한 무기'는 그룹이 머물고 있던 집의 벽 장식으로 사용되던 작동하지 않는 섬광탄이었다. '수입된 마약'은 그룹의 누구도 모르게 미국 친구가 그룹에 보낸 커다란 과일 케이크 속에 묻혀 있던 약간의 해시시였다.[7]
두 번째 앨범 ''Sailor''는 1968년 10월에 발매되어 ''빌보드'' 차트에서 24위에 올랐다. 성공한 곡으로는 싱글 "Living in the USA"가 있었다. ''Brave New World'' (22위, 1969)는 "Space Cowboy"와 "My Dark Hour"를 수록했다. 폴 매카트니는 "Paul Ramon"이라는 이름으로 "My Dark Hour"에서 드럼, 베이스를 연주하고 백 보컬을 불렀다. 그 뒤를 이어 ''Your Saving Grace'' (38위, 1969)와 ''Number 5'' (23위, 1970)가 발매되었다. 1971년, 밀러는 교통사고로 목을 다쳤다. Capitol Records는 미발매 라이브 공연과 스튜디오 자료를 담은 앨범 ''Rock Love''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2022년까지 CD로 재발매되지 않은 두 개의 스티브 밀러 밴드 앨범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Recall the Beginning...A Journey from Eden''이다. 1972년, 밴드의 처음 일곱 개의 앨범 중 다섯 개의 앨범에서 16곡을 담은 더블 앨범 컴필레이션 ''Anthology''가 발매되었다.
밴드의 스타일과 멤버는 ''The Joker'' (2위, 1973)로 급격하게 바뀌었고, 사이키델릭 블루스 면을 버리고 정통 록에 집중했다. 타이틀곡 "The Joker"는 1위 싱글이 되었고 5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아 5백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1974년 1월 11일 RIAA로부터 골드 디스크를 받았다.[8]
3년 후, 밴드는 앨범 ''Fly Like an Eagle''로 돌아와 3위에 올랐다. 이 앨범에서 세 개의 싱글이 발매되었다: "Take the Money and Run" (11위), "Fly Like an Eagle" (2위) 그리고 그들의 두 번째 1위 성공작인 "Rock'n Me". 밀러는 "Rock'n Me"의 기타 인트로가 프리의 노래 "All Right Now"에 대한 오마주라고 말했다.[9]
''Book of Dreams'' (2위, 1977) 역시 "Jet Airliner" (8위), "Jungle Love" (23위) (나중에 시트콤 ''Everybody Loves Raymond''의 8번째 시즌 오프닝 크레딧에 사용됨), "Swingtown" (17위) 등 3곡의 히트곡을 포함했다. 1982년의 ''Abracadabra'' 앨범은 스티브 밀러에게 세 번째 1위 성공작인 타이틀곡을 선사했다. 밀러의 히트곡은 시카고의 "Hard to Say I'm Sorry"를 1위 자리에서 밀어냈고, 그의 "Rock'n Me"가 1976년에 시카고의 "If You Leave Me Now"를 1위 자리에서 밀어낸 것과 같았다.[9]
1978년에 발매된 ''The Steve Miller Band's Greatest Hits 1974–78''은 1,5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10]
블루스와 R&B 커버 앨범인 ''Bingo!''가 2010년 6월 15일에 발매되었다. ''Bingo!''의 동반 발매 앨범인 ''Let Your Hair Down''은 10개월 후인 2011년 4월 18일에 발매되었다.[11]
창립 멤버 팀 데이비스는 1988년 9월 20일 당뇨병 합병증으로 4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오랜 밴드 멤버 Norton Buffalo는 2009년 10월 30일 폐암으로 사망했다. 존 킹( "The Joker" 시대의 드러머)은 2010년 10월 26일 짧은 신장암 투병 끝에 사망했다. 제임스 쿡은 2011년 5월 16일 암으로 사망했다. 오리지널 베이시스트 로니 터너는 2013년 4월 28일 폐암으로 사망했다. 그의 밴드 활동은 Jet Airliner, Swingtown, Take the Money And Run, Jungle Love 등과 같은 노래로 이어졌다. 블루스 기타리스트 제이콥 피터슨은 2011년 봄 투어 전에 공식적으로 밴드에 합류했다. 피터슨이 밴드에 합류한 후, 오랜 기타리스트 케니 리 루이스는 악기를 바꿔 밴드의 풀타임 베이시스트가 되었다. 2014년, 스티브 밀러 밴드는 동료 샌프란시스코 록 밴드 저니와 함께 투어를 했다.[12]
스티브 밀러가 밴드 없이 솔로 아티스트로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것이라고 발표되었을 때, 밀러는 ''Rolling Stone''에 "그것은 나의 결정이 아니었고, 나는 그 어떤 것에도 아무런 관여를 하지 않았다. 만약 그들이 나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 물었다면, 나는 '내 밴드에 있었던 모든 사람의 명단을 여기 있습니다. 그들은 모두 여기에 있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13]
2. 1. 결성 초기 (1966년 ~ 1972년)
1965년 블루스를 연주하기 위해 시카고로 이주한 스티브 밀러는 키보디스트 배리 골드버그와 함께 골드버그-밀러 블루스 밴드를 결성했다. 이 밴드는 에픽 레코드와 계약 후 "The Mother Song"이라는 싱글을 녹음했고, 밀러가 그룹을 떠나기 전 헐라벌루에서 이 곡을 연주했다.[4][5] 이후 밀러는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여 스티브 밀러 블루스 밴드를 결성했다.1967년, 캐피톨 레코드와 계약한 밴드는 조지 마틴의 제안으로 밴드 이름을 '스티브 밀러 밴드'로 변경했다.[6] 기타리스트 보즈 스캑스가 합류했고, 매직 마운틴 페스티벌과 몬터레이 팝 페스티벌에서 공연했다.[6]
1968년 3월, 영국에서 글린 존스와 데뷔 앨범 ''Children of the Future''을 녹음했다.[7] 같은 해 10월 발매된 두 번째 앨범 ''Sailor''는 빌보드 차트 24위를 기록했고,[6] 싱글 "Living in the USA"가 히트했다.
1969년, 보즈 스캑스가 밴드를 탈퇴하고, 벤 시드런을 영입하여 세 번째 앨범 ''Brave New World''를 녹음했다. 폴 매카트니는 "My Dark Hour"에 "Paul Ramon"이라는 이름으로 참여했다.[6] 1970년에는 실험적인 사운드를 담은 앨범 ''Number 5''를 발매했다.[6]
1971년, 스티브 밀러는 교통사고로 목을 다쳐 휴식기를 가졌다.[6]
2. 2. 전성기 (1973년 ~ 1982년)
1973년, 밴드는 앨범 ''The Joker''를 발매하여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8] 이 앨범은 100만 장 이상 판매되어 플래티넘 히트를 기록했고, 타이틀곡 "The Joker"는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했다.[22] 1972년 후반, 스티브 밀러는 잭 킹(드럼), 제럴드 존슨(베이스), 디키 톰슨(키보드)과 함께 활동을 재개했고, 플리트우드 맥 등과 투어를 진행했다.[22]1976년, 밴드는 앨범 ''Fly Like an Eagle''을 발표했다.[9] 이 앨범은 세 개의 싱글을 발매했는데, "Take the Money and Run" (11위), "Fly Like an Eagle" (2위), 그리고 밴드의 두 번째 1위 성공작인 "Rock'n Me"가 그것이다.[9][22] 밀러는 "Rock'n Me"의 기타 인트로가 프리의 노래 "All Right Now"에 대한 오마주라고 언급했다.[9]
1977년에는 앨범 ''Book of Dreams''를 발표했다.[9] 이 앨범에는 "Jet Airliner" (8위), "Jungle Love" (23위), "Swingtown" (17위) 등 세 곡의 히트곡이 포함되었다.[9] 1978년에 발매된 ''The Steve Miller Band's Greatest Hits 1974–78''은 1,5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10]
1982년, 밴드는 ''Abracadabra'' 앨범을 발표했고, 동명의 타이틀곡 Abracadabra는 밴드의 세 번째 1위 성공작이 되었다.[9] 이 곡은 시카고의 "Hard to Say I'm Sorry"를 1위 자리에서 밀어냈는데, 이는 1976년 "Rock'n Me"가 시카고의 "If You Leave Me Now"를 1위 자리에서 밀어낸 것과 같은 상황이었다.[9]
2. 3. 1980년대 이후 (1983년 ~ 현재)
1983년, 스티브 밀러 밴드는 라이브 앨범 ''Steve Miller Band Live!''를 발매했다.[9] 1986년에는 블루스 색채가 강한 앨범 ''리빙 인 더 20세기''를 발표했지만, 라이브 활동은 활발하지 않았다.[23] 이후 스티브 밀러는 ''Born 2 B Blue'' 앨범을 발표하고 오랫동안 몸담았던 캐피톨 레코드와 결별했다.[23]1993년에는 앨범 ''Wide River''를 발매했다.[23] 그 후 오랫동안 신보를 발표하지 않다가, 2010년 17년 만의 정규 앨범 ''Bingo!''를 앤디 존스와 공동 프로듀싱하여 발표했다.[11][23] 2011년에는 블루스 커버 앨범 ''Let Your Hair Down''을 발매했다.[11][23]
2016년, 스티브 밀러 밴드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는데,[23] 스티브 밀러는 밴드 멤버 전체가 아닌 자신만 헌액된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13]

3. 구성원
'''현재 멤버'''
- 스티브 밀러 – 리드 보컬, 기타, 하모니카, 키보드 (1966–현재)
- 케니 리 루이스 – 베이스 (1983–1987, 2011–현재), 기타 (1982–1983, 1987–1988, 1994–2011), 백 보컬 (1982–1988, 1994–현재)
- 조셉 우튼 (Joseph Wooten) – 키보드, 백 보컬 (1993–현재)
- Jacob Petersen – 기타, 백 보컬 (2011–현재)
- Ron Wikso – 드럼 (2021–현재)
'''과거 멤버'''
- Lonnie Turner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1966–1970, 1975–1978, 2013년 사망)
- 보즈 스캐그스 (Boz Scaggs) – 기타, 리드 및 백 보컬 (1967–1968)
- Jim Peterman – 키보드, 백 보컬 (1966–1968)
- 팀 데이비스 – 드럼, 백 보컬 (1966–1970, 1988년 사망)
- James "Curley" Cooke – 기타 (1967, 2011년 사망)
- 벤 시드런 (Ben Sidran) – 키보드 (1968, 1969, 1970, 1972, 1987–1991)
- 니키 홉킨스 (Nicky Hopkins) – 키보드 (1969, 1970, 1994년 사망)
- 바비 윙클먼 (Bobby Winkelman) – 베이스, 기타, 보컬 (1969–1970)
- 로스 발로리 (Ross Valory) – 베이스, 백 보컬 (1970–1971)
- Jack King – 드럼 (1970–1972)
- 개리 말라버 (Gary Mallaber) – 드럼, 키보드, 백 보컬 (1972, 1975–1987)
- Roger Allen Clark – 드럼 (1972, 2018년 사망)
- Dick Thompson – 키보드 (1972–1974)
- Gerald Johnson – 베이스, 백 보컬 (1972–1974, 1981–1983)
- John King – 드럼 (1972–1974, 2010년 사망)
- 레즈 두덱 (Les Dudek) – 기타 (1975)
- 더그 클리포드 (Doug Clifford) – 드럼 (1975)
- 데이비드 데니 – 기타, 백 보컬 (1975–1978)
- 노턴 버팔로 (Norton Buffalo) – 하모니카, 기타, 백 보컬 (1975–1978, 1982–1987, 1989–2009, 2009년 사망)
- 그렉 도글라스 (Greg Douglass) – 슬라이드 기타, 백 보컬 (1976–1978)
- Byron Allred – 키보드 (1976–1987, 1990, 2021년 사망)
- John Massaro – 기타, 백 보컬 (1982–1983)
- 빌리 피터슨 (Billy Peterson) – 베이스, 백 보컬 (1987–2011)
- Bob Mallach – 색소폰 (1987–1996)
- 폴 피터슨 (Paul Peterson) – 기타 (1988, 1991–1992)
- Ricky Peterson – 키보드 (1988, 1991)
- Keith Allen – 기타, 백 보컬 (1989–1990)
- 소니 찰스 (Sonny Charles) – 백 보컬 (2008–2011)
- Gordy Knudtson – 드럼 (1987–2021)


3. 1. 현재 구성원
스티브 밀러 밴드의 현재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스티브 밀러 - 리드 보컬, 기타, 하모니카, 키보드 (1966년–현재)
- 케니 리 루이스 - 베이스 (1983년–1987년, 2011년–현재), 기타 (1982년–1983년, 1987년–1988년, 1994년–2011년), 백 보컬 (1982년–1988년, 1994년–현재)
- 조셉 우튼 - 키보드, 백 보컬 (1993년–현재)
- 제이콥 피터슨 - 기타, 백 보컬 (2011년–현재)
- 론 윅소 - 드럼 (2021년–현재)
3. 2. 이전 구성원
스티브 밀러 밴드는 구성원의 변동이 매우 잦았다. 1966년 결성 초기부터 함께한 베이시스트 로니 터너(Lonnie Turner)는 1970년까지 활동하다가 1973년부터 1978년까지 다시 밴드에 합류했다. 1967년부터 1968년까지는 보즈 스캐그스(Boz Scaggs)가 기타와 보컬을 맡았다. 같은 시기 짐 피터먼(Jim Peterman)이 키보드를 연주했다. 밴드의 초기 멤버였던 팀 데이비스(Tim Davis)는 1966년부터 1970년까지 드럼을 담당했으며, 1988년에 사망했다. 기타리스트 제임스 "컬리" 쿡(James "Curley" Cooke)은 1967년에 잠시 활동했고, 2011년에 사망했다.하모니카 연주자 노튼 버팔로(Norton Buffalo)는 1976년부터 1978년, 1982년부터 1987년, 그리고 1989년부터 2009년까지 밴드에서 활동했으며, 2009년에 사망했다. 드러머 존 킹(John King)은 1973년부터 1974년까지 활동했고, 2010년에 사망했다.
4. 음반 목록
;스튜디오 음반
스티브 밀러 밴드는 1968년부터 현재까지 18개의 스튜디오 음반을 발매했다.
- ''Children of the Future'' (1968)
- ''Sailor'' (1968)
- ''Brave New World'' (1969)
- ''Your Saving Grace'' (1969)
- ''Number 5'' (1970)
- ''Rock Love'' (1971)
- ''Recall the Beginning...A Journey from Eden'' (1972)
- ''The Joker'' (1973)
- ''Fly Like an Eagle'' (1976)
- ''Book of Dreams'' (1977)
- ''Circle of Love'' (1981)
- ''Abracadabra'' (1982)
- ''Italian X Rays'' (1984)
- ''Living in the 20th Century'' (1986)
- ''Born 2 B Blue'' (1988)
- ''Wide River'' (1993)
- ''Bingo!'' (2010)
- ''Let Your Hair Down'' (2011)
4. 1. 스튜디오 음반
스티브 밀러 밴드는 1968년부터 현재까지 18개의 스튜디오 음반을 발매했다.- ''Children of the Future'' (1968)
- ''Sailor'' (1968)
- ''Brave New World'' (1969)
- ''Your Saving Grace'' (1969)
- ''Number 5'' (1970)
- ''Rock Love'' (1971)
- ''Recall the Beginning...A Journey from Eden'' (1972)
- ''The Joker'' (1973)
- ''Fly Like an Eagle'' (1976)
- ''Book of Dreams'' (1977)
- ''Circle of Love'' (1981)
- ''Abracadabra'' (1982)
- ''Italian X Rays'' (1984)
- ''Living in the 20th Century'' (1986)
- ''Born 2 B Blue'' (1988)
- ''Wide River'' (1993)
- ''Bingo!'' (2010)
- ''Let Your Hair Down'' (2011)
4. 2. 라이브 음반
스티브 밀러 밴드는 1968년부터 현재까지 6개의 라이브 음반을 발매했다. 이 그룹은 18개의 스튜디오 앨범, 7개의 공식 컴필레이션 앨범, 그리고 최소 29개의 싱글을 발매했다.- ''스티브 밀러 밴드 라이브!'' (1983년, 원제: 페가수스의 부활)
- ''킹 비스킷 플라워 아워 프레젠트 더 스티브 밀러 밴드'' (2002년)
- ''익스텐디드 버전스'' (2003년)
- ''스티브 밀러 밴드: 라이브 프롬 시카고'' (2008년)
- ''더 조커 (라이브)'' (2014년)
- ''라이브 앳 더 캐러셀 볼룸, 샌프란시스코, 1968년 4월'' (2014년)
- ''라이브! 브레이킹 그라운드: 1977년 8월 3일'' (2021년)
4. 3. 컴필레이션 음반
스티브 밀러 밴드는 현재까지 7개의 공식 컴필레이션 음반을 발매했다. 1972년에는 《Anthology》, 1978년에는 《Greatest Hits 1974–78》, 1983년에는 《The Best of the Steve Miller Band》, 1987년에는 《Greatest Hits 1976–86: A Decade of American Music》, 1990년에는 《The Best of 1968–1973》와 《Living in the U.S.A》, 1991년에는 《The Very Best of the Steve Miller Band》, 1994년에는 《Steve Miller Band》, 1998년에는 《Greatest Hits》, 2003년에는 《Young Hearts: Complete Greatest Hits》, 2017년에는 《Ultimate Hits》, 2019년에는 《Welcome to the Vault》를 발매했다.5. 수상
- ASCAP 골든 노트 어워드를 2008년에 수상했다.
- 1750 바인 스트리트에 위치한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녹음" 부문에 스타가 헌액되었다.
- 스티브 밀러는 2016년에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20 Albums Rolling Stone Loved in the Sixties That You've Never Heard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5-04-09
[2]
웹사이트
Steve Miller Biography
https://www.allmusic[...]
2023-07-18
[3]
웹사이트
Steve Miller recalls late '60s San Francisco music having 'a dark side' but 'so much beauty'
https://www.usatoday[...]
2023-08-27
[4]
서적
Crossroads: How the Blues Shaped Rock 'n' Roll
https://books.google[...]
UPNE
2013
[5]
웹사이트
Barry Goldberg / The Goldberg-Miller Blues Band Goldberg-Miller Blues Band 1965-66
https://www.allmusic[...]
[6]
웹사이트
Chuck Berry News
http://www.chuckberr[...]
Chuckberry.us
2014-08-23
[7]
서적
Sound Man
Plume
2015
[8]
서적
The Book of Golden Discs
https://archive.org/[...]
Barrie and Jenkins Ltd
[9]
서적
Billboard book of number 1 hits
https://books.google[...]
Billboard Books
[10]
웹사이트
The Steve Miller Band hits Littlejohn in Clemson
https://web.archive.[...]
Independent Mail
2008-10-15
[11]
웹사이트
Steve Miller Band announce new album
https://web.archive.[...]
Planet Rock
2011-02-11
[12]
웹사이트
Steve Miller Band Official Site
http://www.stevemill[...]
Stevemillerband.com
2014-05-18
[13]
뉴스
Steve Miller on Rock Hall Induction: ‘It’s Taken a Long, Long, Long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5-12-17
[14]
웹사이트
ASCAP to Honor Steve Miller and Lionel Richie at 25th Annual Pop Music Awards
http://www.ascap.com[...]
Ascap.com
2014-08-23
[15]
웹사이트
Steve Miller Band
https://www.imdb.com[...]
2016-06-14
[16]
웹사이트
The Steve Miller Band
http://projects.lati[...]
2016-06-14
[17]
웹사이트
Steve Miller
https://rockhall.com[...]
[18]
AllMusic
Steve Miller Band – Artist Details
2023-04-07
[19]
AllMusic
Steve Miller Band Biography, Songs, & Albums
2023-04-07
[20]
서적
Chronology of American Popular Music, 1900-2000
Taylor & Francis
[21]
웹사이트
1960s: 20 Albums Rolling Stone Loved But That You’ve Never Heard
https://www.rollings[...]
2019-08-30
[22]
웹사이트
Steve Miller -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7-07-23
[23]
뉴스
스ティーヴ・ミラー、ロックの殿堂入りを果たすもロックの殿堂を大批判
NME JAPAN
[24]
올뮤직
[25]
웹인용
20 Albums Rolling Stone Loved in the Sixties That You've Never Heard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5-04-09
[26]
웹인용
Steve Miller Band
http://www.robertchr[...]
robertchristgau.com
2015-04-09
[27]
웹인용
Steve Miller Band
http://rateyourmusic[...]
Rateyourmusic.com
2008-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